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어 교육의 새로운 의사소통 접근 -통합 교수방법-

        이동우 ( Dong U Lee ) 한국불어불문학회 1996 불어불문학연구 Vol.32 No.2

        제 2장은 사회 문화적 성분으로,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를 비교하여 프랑스와 프랑스어를 쉽게 이해하며, 제 3장은 언어적 성분, 즉 한국어와 불어 간의 언어적 차이를 다룰 것이며, 구체적으로 불어의 음성학적이고 통사론적(문법적)이며, 어휘 의미론적인 문제점으로 어떤 것이 있는가를 분석·검토할 것이며, 제 4장은 다양한 언어 층위에 관하여 다루어질 것이다. 필자는 루쏘로 거슬러 올라가 그의 원리들에 따르고, 소피 모와랑과 프랑시드비세의 방식에 의해서 외국어로서의 불어에 응용된, 프레네의 기술에서 영향을 받은 방법론(대화를 통한 통합 교수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방법론은 불어의 구어체와 문어체의 습득 방법에 따른 의사소통을 위한 접근 방법이 될 것이다. 언어는 말을 하는 의사소통의 수단이다. 언어의 의사소통행위는 적어도 두 명의 대화자가 이루는 대화를 가정한다. 역시 언어의 살아 있는 현실이 바로 구술 의사소통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사실상 구어체 불어와 동시에 문어체 불어의 습득을 깨닫고, 구어와 문어, 두 기호 체계의 연구를 동시에 착수해야 할 것이다. 가장 뛰어난 언어의 의사소통의 행위인 대화를 사용하는 방법은 교과서에서보다 수업의 기술(교수-학생간의 대화, 학생들간의 대화)에서 더욱 집약될 수 있었다. 언어 없이 인간들 사이에 진실한 의사소통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 관계의 기호체계를 구성하는 것은 바로 언어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처음부터 언어를 우리 인간의 표현인 태도, 몸짓, 구두 대화의 억양과 리듬 등의 모든 표현 수단을 동원하는 의사소통의 표현 수단으로서 가르쳐야 한다. 중요한 원칙은 각 언어 체계의 독립적이고 자의적인 성격이다. 외국어 습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생을 직접적으로 외국어 체계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외국어 구조에서 언어 단위들은 다른 단위들과 대립을 통해서 만이 그 가치를 갖는다. 우선 언어 단위들을 충분히 실제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음성학적, 문법적, 어휘적 수준에서 그 대립을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대화식 통합교수방법 - 대화가 수업의 본질이 될 수 없지만 이것은 몇몇 어어요소들을 제시하고 이해하도록 하고 모방에 의해 언어를 재생산하도록 하고 또 반복에 의해 기억하도록 하는 수난인 것이다. 이러한 연습들은 언어수업의 한 부분일 따름이다. 우리는 수업의 초기에 대화를 사용함으로써 이미 학습된 구조를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연습으로 문장구조 접근방법과 대화식 접근방법을 병행하고 대조분석(프랑스어 -한국어)을 통하여 수업을 전개시킬 수 있다. 첫번째 대화의 첫 문장을 작성하기 전에 선생님은 가르치고자 목표하는 언어요소들의 정확한 목록을 수립해야 한다. 그는 수업에서 제시해야 할 문법구조나 어휘단위들을 빈도성이나 유용성, 효율성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또한 출발언어와 목표언어 사이에 간섭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해야 하며 여러 다른 문제들을 제시하고 순서에 따라 종합적 평가와 여러 다른 문제들을 제시하고 진도를 맞춘다. 그리고 일상생활의 주제와 상황목록을 작성하는 것인데, 이 속에서 대화는 자연스럽게 제자리를 찾는다. 구조연습은 충분하고도 체계적인 실습을 통해서, 초기 대화 속에 나타나고 교사가 채택한 진행에 속하는 언어구조들을 고정화시킴에 따라 대화식 제시를 필수적으로 보완하는 것이다. - 대화식 통합교수방법의 기본 조건 - i ) 교사는 권위의식을 버리고, 학생들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학습목표를 인지하게 하고, 관심을 가져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한다. · 단계학습의 필요성; 초기에는 불어와 모국어를 혼용하고, 점점 더 외국어로 대화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교사는 유도한다. ii ) 학생은 두려움이 없어야 하고, 발음, 문법, 어휘의 틀린 부분에 너무 신경을 쓰지 않고 계속적으로 말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비록 틀린 곳이 있다 하더라도 어색한 태도를 보이지 않는 것이 좋다). · 수업시간이나 집에서나 학생들 간에 쉬운 불어로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대화식 통합교수방법의 실천(Me′thode inte′gre′e interactive(dialogue′e) - i) 교사는 쉽게 쓰여지고 구문상 잘 되어진, 시사성이나 생활과 관련이 있는 어휘로 된 문장들이 모인, 3-5단락(20∼30줄 정도)을 학생들의 수준에 알맞게 제시한다(적어도 일주일에 두, 세번 정도). ⅱ) 학생들에게 다음 시간 까지 과제를 부과한다. 그 내용을 정확한 우리말로 옮겨 써 보고, 역으로 우리말을 불어로 옮겨 보는 연습을 하게 한다. 학생들은 완전히 암기하여 소리내면서 쓰도록 한다. ⅲ) 교사는 다음 시간에 학생들에게 그 내용을 읽히고 정확한 발음을 지도한다. 정확한 어휘로 정확한 문법에 맞게 말할 수 있게 유도한다. 그리고 교사가 내용을 읽으면, 학생들은 듣고받아 쓰도록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대불어에서 표음식 표기법의 일고사례에 관한 고찰

        선효숙 ( Hyo Sook Sun ) 한국불어불문학회 1997 불어불문학연구 Vol.35 No.2

        본고는 현대불어에서 文語(langue e′crite)에 대해 口語(langue orale)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현대불어의 규범적 틀로부터 逸脫되어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연의 文語表現의 자료군(corpus de productions e′crites)을 근간으로 表音式 表記에 관해, `단어`(mot)`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우선, 불어의 표음식 표기법(code phonographique)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소리`(son) [a] 는 문자(lettre)`a`로 표기되어 지는 것과 같이 어떤 소리는 단순한 방법으로 표기가 되지만, 일부는 그와는 달리 복잡하게 표기되어 지고 있다. 예를 들면, `소리` [ε~] 은 불어어휘가 이웃하는 다른 문자와 어떻게 둘러싸여 있는가에 따라 문자 `in, un, ain, ein` 등 여러 복합자(digramme)로 표기되고 있는 것이다. 자료군(corpus)에 있어서는,`info`,`Charlie hebdo`와 같은 일간·주간지의 광고문과, 풍자적 신문인 `Canard Enchai^ne′`의 `Les dossiers du Canard` 특별호, 그리고 상점들의 간판을 통해 쓰여지고 있는 사례 등, 세 분야로 나누어 수집을 하였다. 앞서 언급된 자료군을 우선 개괄적으로 살펴보면, 현대 불어의 표음식 표기법의 逸脫事例들은 어떻게 해서가도 文語體(e′crit)表記를 日語體(oral)의 틀에 맞추어 表記하려고 하거나 아니면, 口語體와는 사실상 관계가 없는 `소리의 실제`(une re′alite′ phonique)를 文語體表記로 나타내려고 하는 제작·창작자의 시도가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자료군을 통해 현대 불어의 표음식 표기법의 逸脫事例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크게 세 부류의 현상으로 나눌 수 있었다: i) 조음적 현상(phe′enome`ne articulatoire)과 관련된 逸脫事例 : IMPOSSIB`/not` Chirac/KAT`TIFS/petit dej`au lit/ DEM`SERVICE DEMENAGEMENT/PIEC`AUTO/P`TITPAS 위의 단어들의 경우는 현대불어의 口語표현(langue parle′e)에서 자주 만나게 되는 현상으로, 일종의 단순한 口語體의 轉寫表記(une simple transcription de l`oral)라고 볼 수 있다. 이逸脫事例의 경우는, 단어의 일부를 절제하는 딘축법(troncation)을 통해 발음상의 경제적 현상(phe′nome`nes d`e′conomie articulatoire)을 보여 주고 있다. 여기에서의 생략부호(apostrophe)는 일종의 轉寫규칙(convention de transcription)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逸脫事例의 단어들은 口語體와 文語體表記와의 밀접한 관계 (contunuum entre l`oral et l`e′crit)를 보여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i) 순수한 음운론적 현상(phe′nome`ne purement phonologique)과 관련된 逸脫事例 : TVAOUT/ACQUABON/BIEN LE BONSUARD/ ON NE PRETE QU`AU REICH/SUP`STYL 본고의 자료군을 보면, 이 경우는 특히 `재치 있는 말놀이`(jeux de mot)의 형태를 갖춘 단어들의 음운론적 변조(distorsions phonologiques)를 보여 주고 있는 사례들로, 表記된 단어들의 구성요소들 (composante graphique)이 불어에 존재하고 있는 발음들(prononciations)을 도입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 단어들은 어떠한 의미(signifie′)도 지니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첫번째의 경우와는 달리 이 逸脫事例의 단어들은 口語體와 文語體表記와의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pas de relation entre l`oral et l`e′crit) iii) 口語體에 대한 文語體表記의 불분명한 상태로(zone de flou par rapport a` l`oral) i)과 ii)의 중간 형태 범주에 속하는 逸脫事例 SCRUPUL`S/COX`YNEL BOUTIQUE/ELLE EM COUTURE 위의 단어들의 경우는 발음상 애매모호함을 남기고 있다. 그러므로, 口語로 어떻게 구체적으로 표현되느냐에 따라 口語體와 文語體表記사이의 관계가 단절되거나 아니면 연속적 관계를 갖게 되는 양극 현상 (a`la fois un po^le de rupture et de continuum sur ce qui doit se re`aliser a` l`oral)을 나타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의 자료군 분석을 통한 불어의 表音式 表記法 逸脫事例들은 현대불어의 口語표현(langue orale)의 文語體표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발음상의 실제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단축법(troncation)을 통한 경제적 表音式 表記法의 경향은 마치 현대불어에서 그 나름대로의 하나의 모델(norme)을 형성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逸脫事例의 단어들은 불어표기에 있어서 - 단어의 모든 문자들(lettres)을 하나하나 발음하는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 다시 뒤로 되돌아가는 성향 (dynamique de re′cession)과 함께 음운론적 表記 단계 (une e′tape phonologique)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단축법이나 재치 있는 말놀이의 끼어 맞추기식 변조 (intrusion d`un jeu de mot) 등을 통해 그 단어들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들이 각각 발음되어지도록 표기될 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