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불교학의 세계화와 세계 불교학의 한국화 방안 ‒ 한국어와 영어 권역 불교학술 논저를 중심으로 ‒

        고영섭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6 No.-

        이 논문은 국제적인 시야와 무대에서 한국학으로서 불교학의 보편적 언어와 문법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글이다. 국제화 세계화 시대를 사는학자들의 가장 큰 화두는 학문 간의 상호 소통의 문제일 것이다. 통역자를 대동하든 번역자를 매개하든 우리말과 외국어의 소통의 문제는 시대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시간과 공간에 살아온 이들이 발화하는 말과 글 즉 언어와 문장은 서로의 만남 속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인식되고 있을까. 국내의 무대에서 이루어지는 ‘국학’의 성과와 국제의 무대에서 이루어지는 ‘한국학’의성과는 학자들 사이에서 어떻게 공유되고 소통되고 있을까. 이러한 물음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국학과 한국학의 성과뿐만 아니라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불교학 자체의 연구 논저를 공유하고 소통하여 연구를 심화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먼저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불교학의 여러 논저들을 우리말로 번역할 수 있는 사회적 여론 형성과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국내외의 연구 성과가 세계의 시민들 속에 살아있는 성취가 되고, 국외의 연구 성과가 우리의 국민들 속에 살아있는 성취가 될 때 우리는 국제화와 세계화의 과제를 해결해 갈 수 있을 것이다. 결국통역이든 번역이든 궁극적인 목표는 연구 결과물의 공유와 소통에 있다. 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첫째, 고전은 一者 번역을 넘어 多者 번역이 되어야 한다. 다자 번역이 이루어지더라도 책임번역자가 반드시 있어야만 그 성과가 온전히 집성될 수 있다. 한국불교 고전의 경우에는 원전의 다자 번역을 통한 우리말 대본이 먼저이루어져야 한다. 이 대본에 기초하여 三藏 傳承의 다자 번역 형식을 원용하면 많은 부분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 대학의 영어권번역연구소와 전문 번역인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특히 국내외의 불교학 연구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과 영어 번역이 가능한 한국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셋째, 번역본은 국내외의 유수한 출판사와 유명 대학출판사에서 출판해야 한다. 전문성과 시장성을 갖춘 출판사에서 간행함으로써 번역 논저가 연구자의 손에 직접 닿을 수 있게 해야만 한다. 이렇게 되면 완성도가 보다 높은 번역본이 출간되고 소통되어 좀더 심화된 연구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한국어와 영어 권역 불교학술 논저의 공유와 소통 및 연구의 심화를 위해서는 한국학으로서 불교학을 연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1) 한문번역에 익숙한 이들을 발탁하여 지원함으로써 한국불교 고전의 완역본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2) 우리말로 완역된 한국불교 고전을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을 발탁하여 번역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동시에 국외에서 이루어진불교학의 여러 논저들을 영어 번역이 가능한 한국인을 선발하여 번역할 수있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3) 이렇게 이루어진 번역본을 국내외의 유수한 출판사와 유명 대학출판사에서 출판하여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의 연구 성과가 세계의 시민들이 접할 수 있는 결과물로 다가가고, 국외의 연구 성과가 우리의 국민들이 접할 수 있는 결과물 다가올 때, 우리는 한국 불교학의 세계화와 세계 불교학의 한국화라는 과제를 해결해 갈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measures that could help examine universal language and grammar used in Buddhist Studies which were performed as Korean Studies based on global insight and in global community.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might be the most outstanding issue among scholars in this era of internalization and globalization.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may represent the challenge of the times, regardless of whether the communication is facilitated by interpreter or translator. How have the writings and words articulated by those living in different time and space, i.e., the language an sentences, been understood and perceived when they encounter each other? How are the results of ‘National Studies’ at home and results of ‘Korean Studies’ abroad being communicated and shared among scholars? To answer this question, we need to share research articles of Buddhist Studies which are carried out in Korea or abroad, as well as results of National Studies and Korean Studies, and further deepen the research. Above all, there should be groundswell of public opinion throughout society for translation of various articles of Buddhist Studies performed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along with institutional support. Through such process, results of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should become viable outcomes for citizens around the globe and results of overseas studies should become viable outcomes for Korean citizens. Then, we will be able to resolve issues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After all,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ultimately aim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sharing of results derived from studies. To resolve this issue, several tasks should be completed. First, classics should be translated by multiple translators, instead of single translator. For Korea Buddhism classics, original scripture should be first translated into Korean version through multi-party translation. Based on the translated scripture, many ambiguities can be resolved through multi-party translation of succession of Tipitaka(三藏 傳承). Seco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s of universitie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professional translators should be fully leveraged. Particularly,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s capable of translating English into Korean should be fully utilized to ensure that results of domestic and overseas Buddhist Studies can be shared. Third, translated scripture should be published by prominent domestic and overseas publishers and renowned university publishers. The translated versions should be made directly available to researchers by ensuring that the publication is made by publishers with proven professionalism and marketability. In that way, translated scripture with greater perfection can be published, leading to more profound research findings. Thus, Buddhist Studies need to be researched as Korean Studies for communication of articles of domestic and overseas Buddhist Studies and furtherance of studies. For that, 1) those well-versed in translation of Chinese letters need to be recruited to secure complete translations of Korean Buddhist classics. 2) Korean Buddhist classics translated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translated in English by recruiting those who use English as mother tongue, and at the same time, Koreans capable of translating various overseas articles of Buddhist Studies in English should be also recruited to secure English translations. Furthermore, 3) such translations should be published by prominent domestic and overseas publishers and renowned university publishers so as to make them available to researchers. Thus, results of studies performed by Koreans can become accessible by citizens worldwide and outcomes of studies abroad can become accessed by Koreans. Then, we will be able to resolve the issues related to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and Koreanization of global Buddhist Studies.

      • KCI등재

        한국 고대불교 연구의 성과와 과제- 1970년대~2010년대의 불교사학과 불교철학 연구를 중심으로 -

        고영섭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이 논문은 한국 고대불교 즉 사국과 남북국시대의 불교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를 분석 검토한 글이다. 한국불교의 서론에 해당하는 한국 고대불교 즉 사국-통일신라와 대발해 시대 불교에 대한 연구는 인도불교와 중국불교의 전래와 수용과 공인을 거쳐 주체적으로 소화한 불교의 첫 탐구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불교는 한국불교의 서두라는 점에서 인도불교와 중국불교를 주체화하고 자아화하여 ‘우리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었으며 ‘한국학의 자존심’과 ‘한국불교의 자긍심’을 수립해 가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논자는 여기에서 한국 고대불교를 국가별, 시기별로 구분한 뒤 반야-중관-삼론, 유가-유식-법상, 밀교, 지론-섭론-기신, 법화-천태-교관, 화엄-일승-법성, 정토-염불-염불선, 선법-선관-선수 등 불교사상사의 전개에 따라 주제별, 인물별로 분석해 보았다. 고구려의 僧朗과 義淵과 普德, 백제의 謙益과 玄光과 慧均, 신라의 圓光과 安含과 慈藏을 필두로 통일신라의 圓測과 元曉와 義湘, 그리고 憬興과 義寂과 太賢 등으로 이어지는 성취는 동아시아 사상사에서 다른 사상가들과 당당히 견줄 수 있을 정도로 넓고 깊었다. 이들 이외에도 元表, 慧超, 無相, 地藏, 慧覺 등은 세계인으로 살았던 한국인들이었다. 한국의 불학자들은 인도 불교와 중국 불교를 받아들이면서도 이론보다는 실천에 집중하는 인도의 ‘교학’과 실천보다는 이론에 치중하는 중국의 ‘종학’을 뛰어넘어 이론과 실천을 치우침 없이 아우르는 한국의 ‘불학’의 틀로 녹여 내었다. 때문에 사국-통일신라시대 불학자들의 성취는 이후에 전개되는 모든 연구영역에서 ‘한국학의 자존심’이자 ‘한국불교의 자긍심’으로 자리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가 거시적이고 거치른 연구였다면, 앞으로의 연구는 미시적이고 섬세한 연구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이들의 진면목을 밝혀내고 우리의 참얼굴로 이어가기 위한 노력이 확충되어야 한다. 지난 반세기 동안의 한국 고대불교 연구는 일제 식민사관의 극복과 민족사관의 수립을 위하여 거칠게나마 윤곽을 잡아주기 위한 노력의 시기였다. 이제는 세계의 보편사관과 특수사관의 균형에 기반하여 우리 시대의 역사를 두발로 걸어가고 철학을 올곧게 세워가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고구려와 백제, 가야와 신라 및 대발해의 불교 전래와 수용 및 공인과정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어야 한다. 또 오대산 결사와 오대산 화엄만다라 신앙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각 학통별, 사상별, 인물별 연구가 특정 학통과 사상 및 인물 중심을 넘어 보다 다양화되고 세분화되어야 한다. 나아가 한-일, 한-중, 한-인 불교교류와 구법승과 전법승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화 확장되어야 한다. 지난 반세기 동안의 한국 고대불교에 대한 선학들의 연구 분량은 셀 수 없을 정도로 축적되어 있다. 현재 우리가 직면한 과제는 이들 선행연구의 성찰적 평가에 기초하면서 새로운 연구를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의 불교학자들이 우선적으로 직면하는 것은 한국불교 기초사료의 발굴과 찬술 문헌의 복원에 입각하여 그들 사료와 문헌 속에 담겨 있는 한국불교의 독자적 인식과 독특한 논리를 분석하여 적출해 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 이론이 지니고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 구심성과 원심성, 종합성과 독자성을 의식하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review the studyresult and future assignment of Buddhism study result in ancient age,the age of four countries and south and north country. The study onthe Buddhism of the age of four countries-Unified Sinra andDaebalhae, which belongs to the introduction of Korean Buddhism,was the first research process adopting Indian Buddhism and ChineseBuddhism through its introduction, acceptance and official approval. Because the Buddhism of this age was the process to subjectify IndianBuddhism and Chinese Buddhism and change them into Korean styleto find out Korean when considering that it was the beginning ofKorean Buddhism. It was the process to establish 'pride of Koreanstudy' and 'self-esteem of Korean Buddhism'. Here, the researcher classified ancient Korean Buddhism bycountry and age and analyzed each subject and character by Buddhistphilosophy history such as Thoughts of Prajñā-Madhyamika-Samron,Yogācāra-Vijñāptimatrata-Beopsang, Esoteric Buddhism,Dasabhumika-Mahāyāna samparigraha śāstra-Sraddhotpāda śāsrtra,Lotus-Tiantai-Teaching and meditation, Huayan-OneVehicle-Beopseong, Pure Land-Yeombul-Yeombulseon and Methodsof Dyāna-Vipaśyanā-practice of meditation. The achievement beginning from Seungrang, Uiyeon and Bodeok of Goguryeo, Gyeomik,Hyeongwang and Hyegyun of Baekje and Wongwang, Anham andJajang of Sinra and being connected to Woncheuk, Wonhyo, Uisang,Gyeongheung, Uijeok and Taehyeon of United Sinra was wide and deepenough to be fairly compared to other philosophers of East Asia. Besides them, Wonpyo, Hyecho, Musang, Jijang and Hyegak were theKorean people who lived in the wide world. Korean Buddhist scholarsconcentrated on practice rather than theory while accepting IndianBuddhism and Chinese Buddhism. Beyond ‘Doctrine' of India thatconcentrates on practice rather than theory and ‘Teaching of Sect' ofChina that concentrates on theory rather than practice, they fusedtheory and practice in the frame of Korean Buddhist study. Becauseof this reason, the achievement of Buddhist scholars from the age offour countries to the age of Unified Sinra and Daebalhae became the‘pride of Korean study' and ‘self-esteem of Korean Buddhism' in allstudy fields. Although the previous study on them was macroscopic, roughstudy, the future study should be microscopic, detail study. Therefore,it should find out their real aspects and expand the effort to connectthem to real face of Korean people. For the last half century, the studyon ancient Korean Buddhism was the effort to create the rough outlineto overcome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establish historicalview of a nation. Now, it is time to walk the history of this age onown feet and establish right philosophy on the basis of the balancebetween the world's universal view of history and special view ofhistory. For the purpose, the study on the process to introduce, acceptand official approve Buddhism in Goguryeo, Baekje, Gaya, Sinra andDaebalhae should be deepen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Odaesan Association and Odaesan Hwaeom Mandara belief. The studyon school, philosophy and character should be diversified andsubdivided beyond a certain school, philosophy and character. The study on Buddhist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 andChina and Korea and India, Seeking the Buddha-Dharma monk andspreading Buddha-Dharma monk should be deepened and expanded. Previous scholar's countless studies on ancient Korean Buddhismhave been accumulated for the last half century. The current assignmentof Korea is to search for various methodologies for a new study onthe basis of introspecting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KoreanBuddhist scholars should analyze and extract the unique recognitionand logic of Korean Buddhism contained in historical material andliterature on the basis of excavation of basic Korean Buddhism historymaterial and restoration of compiled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searchfor the s...

      • KCI등재

        日帝下 寺法에 관한 연구

        김경집 한국불교학회 2007 韓國佛敎學 Vol.49 No.-

        the Japanese imperialism governed Korean Buddhism to use the sabob(寺法) that controlled law of korean buddhism in 1911. Korean Buddhism was converted a thirty main temples of Buddhist sects by the controlled law of korean buddhism. Each thirty main temples of Buddhist sects established the sabob and gained the permission of The government-general. As a result, the Japanese imperialism had a hold on personal management and economic bloc of korean buddhism by the sabob. In accordance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policy, the ceremony of Korean Buddhism had disappeared and the ceremony of Japanese Buddhism were flourished in Korean society. The government-general reformed the sabob toward permission the korean monk’s marry and eat meat in 1926. The government-general had established the taegosabob and deepen the colonialization of Korean Buddhism in 1941. The result, many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was collapsed. The monks had dominated korean buddhism became the pro-Japanese group, and work up spiritual and material assist when the Japanese imperialism starts a war with America from December. 8. 1941 to August. 15. 1945. 1910년 8월 한국을 식민지로 만든 일제는 한국불교에 대해 강력한 통제를 실시하였다. 그들은 한국불교의 종파를 폐지하는 한편 향후 통제를 위한 법령을 제정하였다. 그것이 1911년 6월 제정된 사찰령이다. 이 법령에 의해 한국불교는 30본산제로 전환되었으며, 각 본산은 100조에 달하는 본말사법을 제정하여 총독부의 인가를 얻어야 했다. 그 결과 일제는 이 사법에 의해 한국불교의 인사권과 경제권을 장악하여 자신들이 바라는 식민지 지배 방향으로 이끌 수 있었다. 사법이 제정되면서 가장 변화된 것은 불교 교단이었다. 1902년 대한제국이 사사관리서의 설치와 현행세칙의 제정으로 생겨난 대법산제와 이후 한국불교의 독자적인 의식에 의해 형성된 원종과 임제종이 폐지되고 30본산제로 전환된 것이다. 이런 제도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승직과 법식 또한 일제가 의도하는 대로 변질되어 한국불교의 법식은 사라지고 일본불교의 법식이 유행하게 되었다. 물론 이런 법령이 제정되고 한국불교가 일제의 통제 하에 놓이자 이를 비판하고 폐지하자는 여론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러자 일제는 한국불교의 현실에 맞게 개정하겠다고 약속하였지만 실제 개정할 때에는 한국불교의 식민지화를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특히 당시 불교계의 최대 현안이었던 대처육식의 문제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개정시키면서 한국불교의 지계 정신을 악화시켰다. 이것은 승풍의 변질로 이어졌고 친일적인 인물이 주지에 임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1930년대 말에 이르면 일제는 한국불교의 통합 의지를 허용하는 척 하면서 실제로는 전시에 필요한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새로운 태고사법으로 전환하고 불교계를 총본산제로 개편하였다. 이런 변화로 한국불교는 오랜 염원이었던 총본산을 건립할 수 있었지만 이때 종권을 장악한 인사들은 더욱 친일화 되었다. 그래서 1941년 12월 8일 시작된 태평양 전쟁에서 일제의 승리를 위해 정신적인 지원과 함께 물질적 지원에 최선을 다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한국의 불교와 여성 연구: 회고와 전망

        조승미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The investigation of how to view women in Korean Buddhism appeared to start during 1920's and 1930's but the research paper of Prof. Young-Ja Lee read for the foundation seminar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in the year of 1985 was the real opening in this field. The subject discussed the most frequently was the Buddhist view of women. Eight rules for nuns in Buddhism and dispute about female enlightenment have often been pointed out as the most gender discriminative doctrines of the Buddhism. Eight rules for bhikkunis has been seriously dealt with in Korea. The topic of women's enlightenment has been continuously argued. Studies have been focusing too much on issues of principle in Korea while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Buddhist women around the world have been covered in the western school of Buddhism. This may imply where the research works are likely to be headed in Korea. The relation between the Buddhism and feminism was examined in various aspects. Their similarities were analyzed; the view that the Buddhist 'original' position would complement feminist limitations was introduced. The most progressive achievement was the critical approach to the Buddhist culture and its reinterpretation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which is not easy to find in Korea. In the past ten years, the study of the Buddhism and women in Korea primarily concentrated on the research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bhikkunis. Other features we can notice are increasing papers by male scholars and conservative interpretations often found. It is believed positive that there have been more studies of Korean female Buddhists' present situ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anthrop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at the history of Korean female Buddhists' different achievement has been discovered. It is still regrettable not to be able to meet much research on original Buddhist script related with women. There also needs to be broader view to connect Korean text with that of entire East Asia. It may desirably lead studies to regional expansion such as Tibet or South-East Asia. To see the studies of the Buddhism and women further develop as a branch of the Buddhist studies, it is suggested to include different research methods and active interdisciplinary studies. 한국에서 불교와 여성 연구가 본격적으로 촉발된 것은 1980년대의 일이다. 그 후로 한세대의 기간 동안 불교와 여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성과가 축적되어 왔다.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된 주제는 ‘불교의 여성관’이었으며, 가장 성차별적인 불교교설로는 팔경법과 여성성불 불가설이 지목되었다. 불교와 페미니즘의 관계에 있어서는 상호 비교 분석되기도 하였고, 불교의 ‘본래’ 입장이 페미니즘의 한계를 보완할 것이라는 불교우위의 견해도 제기되었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불교문화를 비판, 재해석한 연구는 가장 취약한 분야임에도 몇몇 의미있는 시도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최근 10년간 한국의 불교와 여성 연구는 주로 근현대 한국 비구니 조명에 편중되었다. 그리고 남성 불교학자들의 연구가 증가하였고, 불교여성의 현실을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한 연구도 늘어난 점 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한편, 국내 연구 현황이 너무 원론적인 문제에 집중되어온 것에 반하여, 서구의 연구 경향은 사상적 문제보다 세계 여러 지역의 불교여성의 역사와 현실을 이해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어, 앞으로 국내 연구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보충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의 불교와 여성연구는 다양한 연구방법론의 도입과 활발한 학제간 연구로 전개되어 왔다. 불교학의 한 분과학문을 넘어 보다 확대 발전될 수 있는 전망을 갖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부족한 면은 여성 관련 불교원전의 연구, 그리고 동아시아적 맥락과 연결하여 한국을 보는 시야, 티벳, 동남아 등 세계 지역에 대한 연구적 관심 확대 그리고 불교해석 전통에 대한 여성주의적 도전 등의 과제가 제기된다.

      • 「겨울의 유산」에 나타난 한‧일불교

        김호성,金浩星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09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

        한국인으로 태어났으나 일본인으로 귀화한 일본작가 다치하라 마사 아키(立原正秋, 1926〜80)는 그의 체험을 토대로 자전적 소설 「겨울의 유산(冬のかたみに)」을 남기고 있다. 특히 한국의 무량사와 일본의 건각사에서의 선 체험을 작품 속에 녹여내고 있다는 점에서, 선소설(禪 小說)로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 나는 이 작품 속에 한국불교에 대한 묘사와 일본불교에 대한 묘사가 공존하면서, 한국의 선과 일본의 선이 교류하는 모습에 주목하여 한, 일불교의 소통이라는 문제에 천착해 보았다. 그러면서 이상적인 불교의 모습이 이 작품 속에 그려지고 있다고 보아서, 그것을 ‘상상의 불교’라고 이름 하여 보았다. 우선「겨울의 유산」유산 속에는 1930년대 중반 무렵의 한국불교에 대한 묘사가 행해지고 있다. 여기에는 이미 작가가 일본불교에 충분히 습윤 (濕潤)된 뒤에 작품이 씌어졌다는 점에서 일본불교적인 영향이 없지 않아 보인다. 그러면서도 스승들의 묘사나 조선시대 선승들의 선시를 인 용하는 등 우리 불교에 대한 올바른 묘사 역시 존재한다. 이런 예비적 고찰을 행한 뒤에, 작품 속에서 한국과 일본의 선은 어떻게 만나고 있는지, 또 왜 그는 돌아가야만 한다는 강박관념을 이기고서 돌아오지 않고 일본에서 살아가게 되었는가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작가는 일본의 선이 자칫 알음알이에 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경계하면서, 주인공이 임제선과 조동선의 어록을 함께 읽는 모습을 통하여 우리 불교와는 다른 일본불교의 모습을 제시한다. 또한 선승 세끼링 (碩林)의 존재를 통하여 스승은 어디에나 존재하고, 나라(奈良)의 고사 (古寺)에서 일본 안에서도 무량사가 존재함을 자각하게 된다. 이러한 작품의 결론은 ‘한국’과 ‘일본’이라는 역사적 업연의 한계를 벗어나서, 불교 안에서 하나로 어우러지며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을 우리에게 일러주고 있는 것은 아닐까 평가하고 싶다. 一体どうして私は日本仏教を語ろうとするのか。この問いの答えは即ち我々が日本仏教に関して話すことを忌む所以と表裏を成して いると思う。もともと仏教を伝えあげた方は我々だったとの一種の歴史的な優越感と言うか、または源泉指向意識によるインドや中国への関心の重々しさに比べられる相対的な疎外などとを挙げよう。いや、おそらくそれより帝国主義時代の日本にやられた植民地体験、別けても仏教に対して加えられた弾圧の記憶が未だ生々しく 残っている所以かもしれない。その理由は如何であろうと、我々にとって日本仏教とはあまり度外視するべき存在であったのが事実で ある。もちろん近世․近代の不幸な歴史から目を背けることはできない である。そうではあるが我々の中の憎みや怨みなどの呪縛を断ち切 れ、束縛からもトラウマからも自らを束縛から、トラウマから開放 できればそれより大した自由があろうか。その一方法で私は、仏教 を通じる韓国・日本お互いの実体と存在を認めて理解していくによっ て相互間に会通/疎通ができようはずであると信じている。こうし た訳で「日本仏教を勉強しましょう」という旗じるしを掲げてき た。そのうちに一人物が目についてきた。彼は立原正秋(1926-80)という作家であり、彼の作品の『冬のかたみに』のためである。この作品は「少ししかない自力門/聖道門の小説の代表作」として評価されているだけでなく、いろいろな面で問題作になってきた。別けても私が着目したのはこの作品に描かれている韓国仏教と日本仏教の有様の断面であった。 作家の自伝小説として、或いは自伝に準じるものとして知られているこの『冬のかたみに』の第1部と第2部には1920,30年代の韓国仏教が描かれている。それは当時の純な韓国仏教の有様もあるし、また作家の理想としてのあらざるをえない韓国仏教の像もあ る。また日本仏教風とうか日本仏教的要素が混じて塗られている韓国仏教の様子もある。その上で作品の第3部「建覚寺山門前」には主 人公の渡日後の日本生活とともに仏教体験が述べている。即ち日本仏教の姿がうかがえる。たとえ文学的に形象化されている形にしてもこの作品『冬のかた みに』を検討していく際、私は韓・日仏教の疎通の光というか一すじ の希望のようなものを感じられた。作品に描かれている韓・日仏教の有様や面影、また両者の間の相違というか対立的または区別される 様子[二相]を越えて義相(625-702)の「法性円融無二相」という語 句まで浮かばせるようになった。即ち主人公の梵海禅文はそんなに 長いあいだ懐かしんでいた無量寺に、いつかはきっと戻るべき所として思っていた無量寺についに帰れない。その代わりに奈良の唐招提寺の金堂の瓦葺き屋根の曲線美から、また鎌倉の建覚寺(建長寺と 円覚寺の合称であるか)の居士林での修行などから、『徒然草』や『方丈記』などの日本中世の古典から、無量寺または韓国仏教の風土を見つけ出している。それは一生を通して彼(作品の主人公または 作家自身)を日本にいられるようにする力であり、また韓・日仏教の 疎通であった。従って仏教的な立場から見ると彼が住するところが 韓国であっても日本であっても、それは非本質的なものに過ぎないと言える。彼の居所は何処でも良い。なぜなら彼は、もはや「仏教 の内」、「仏教の中」で生きていられる所以である。自分の姿を映してみるには鏡が必要である。それは他者という鏡であろう。すなわち他者という鏡に自分を映して自らを省みることは基本的に自分と他者をの比較であり、融合でもある。そうした他者という名の存在は多様すればするほどもっと多面的な自分の面目が見つけよう。我々の仏教の現実を映し、融合させる鏡になってく れる対象は実に色々ある。チベット仏教もあり、ヴィパッサナー(Vipassana)修行に関わる南方仏教もあり、書物の翻&#

      • KCI등재

        고대 한국의 세속불교 : 기원, 전개 및 배경

        김종명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origins of secular Buddhism, which is used as a synonym for Buddhism for blessings in this paper, together with its development and background in ancient Korea. In India, early Buddhism was a self-sustaining life education system. However, Buddhism introduced to ancient Korea was a Chinese form of Buddhism as a belief system. The agents of Buddhist acceptance in ancient Korea was the political circles, and Buddhism functioned as a political religion, a religion for blessings, and a miraculous religion at that time. Believing in karmic retribution, ancient Korean intellectuals, including kings and nobles, misunderstood Buddhism or had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it: they regarded the Buddha as a divine being, Buddhism as a belief system, and the Buddhist community as a subject of national control. This tradition is believed to have continued until the present with different forms and contents. These characteristics of ancient Korean Buddhism still remain points of debate for further stud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the Buddhist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theory of karmic retribution, Buddhism as a trad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intelligence. 이 연구의 목적은 4세기부터 10세기까지 고대 한국의 기복불교로 대표되는 세속불교의 기원과 전개 및 배경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기복불교는 한국불교의 제반 문제점이 집약적으로 돌출된 현상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거의 없었다. 3장의 본문으로 구성된 이 논문의 1장 「세속불교의 기원」에 서는 인도로부터 중앙아시아로,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으로, 다시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된 세속불교의 기원에 대해 검토하였다. 2장 「세속불교의 전개」에서는 4세 기부터 10세기까지 한반도에서 전개된 세속불교의 역사적 전개에 대해 논하였다. 3장 「세속불교의 배경」에서는 세속불교의 인적 배경으로서 승려, 국왕을 포함한 왕족 및 관리로 대표되는 지식인들의 불교관 및 세속불교의 사상적 배경으로서의 업설을 검토하였다. 초기 불교는 자력에 바탕을 둔 인생교육제도였다. 그러나, 불교의 시공간적 전개와 함께, 그 성격도 변하였으며, 업사상을 바탕으로 한 기복신 앙은 그 대표적인 산물이었다. 인도에서 성격 변화를 거친 초기불교는 중앙아시아로 전파되었으며, 다시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으로 전해졌다. 중국으로 전파된 불교는 중국화의 과정을 거쳤으며, 고대 한국에 처음 전해진 불교도 이러한 중국화 된불교 전통이었다. 초기불교의 성격 변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정치계와 불교계의 유착으로 간주된다. 현존 자료들에 의하면, 고대 한국에서도 불교 수용의 주체는 정치권이었으며, 불교는 정치 종교, 기복 종교 및 기적 종교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고대 한국의 세속불교 전통의 인적, 사상적 배경은 당시의 지식인과 업사상으로 나타났다. 불교의 수용 및 전개와 관련된 당시의 지식인들의 불교에 대한 이해는 잘못되었거나, 제한적이었는데, 그들은 초기불교에서와는 달리, 붓다를 신적 존재 로, 불교를 타력 신앙으로, 승단을 국가적 통제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이 전통은 고려(918~1392)와 조선(1392~1910)을 거쳐 현재까지도 그 형태와 내용을 달리한 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현대 한국불교의 뿌리가 된 고대 한국불교의 이러한 특성들은 종교와 정치의 관계, 업설의 불교철학적 의미, “전 통”으로서의 불교, 종교성과 지성의 관계 등의 측면에서 추후 연구를 위한 논쟁점 으로 남아 있다.

      • KCI등재

        한국불교 계율학의 연구성과와 전망

        신성현,하춘생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The research of disciplinary code in Korean Buddhist academiahas been actually started from offering the course of disciplinarycode in the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It is commonly known that the First Buddhist Council was held soonafter the mahaparinirvana of the Buddha, dated round 400 BCE inwhich the Vinaya was recited by Upali. About 100 years after theBuddha's Nirvana the Second Buddhist Council at Vesāli derivesprimarily from the canonical Vinayas of various schools which theoverall result was the first schism in the Saṃgha between theSthaviras and the Mahāsāṃghikas because of disagreement of theinterpretations on the Vinaya disciplinary rules. When disciplinarycode was respected and the study of Vinaya was thriving Buddhistmonastics was also flourishing in the history of Buddhism not onlyTheravada but Mahayana. As time goes on, however, Dharma andVinaya in Buddhist monastics have not been respected and alsogiven circumstances were not amicable. It seems to be the mostoverlooked that the cod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disciplinarycode is the result of historical accumulations. Therefore, it is self-evidence that the studies of disciplinarycode would be towards applying to real world. Living Buddhism isnot just an ancient belief system superimposed on modern societiesbut it is itself shaped by the forces of history and culture. All extant Vinaya texts included the Dharmaguptakas Vinaya (Four PartsVinaya, 四分律) which is followed by Korean Buddhism should becarefully reinterpreted and taken in the original meanings. Forinstance, it should be a clue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disciplinary code and modern ethics. In addition, the Vinaya textsin Pāli should be urgently translated for grasping the originalintention and meaning of the codification Vinaya. The academicresearch of scholars should be conducted in such directions and soits result should be contributed for better circumstance to Buddhistmonastic community. 한국의 불교학계에서 계율연구가 본격화된 시점은 이지관이 1975년 동국대 박사학위논문으로 『南北傳六部律藏比較硏究-四分律比丘戒本을 중심으로-』를 발표한 이후 실질적으로는 1977년 동국대 불교학과에 계율학 과목이 신설되면서부터이다. 주지하다시피 계율이 처음 결집된 것은 불멸직후에 이뤄진 제1차 결집 때 우바리존자에 의해서였다. 그리고 불멸 100년 후 웨살리의 제2차 결집 때 계율에 대한 해석차이로 부파분열이 일어나면서 각 부파마다 독립적 계율을 전승하게 되었다. 이후 율장은 5본으로 정리되어 남․북방으로 전해졌고, 북방불교의 종주국인 중국의 경우 삼국시대와 남북조시대를 거치면서 唐代 측천무후시대에 이르기까지 6전의 율부가 모두 번역되었다. 특히 수당 이후부터는 『사분율』의 세력이 왕성해지면서 중국율통의 기초를 다지는 일가를 이루게 되었고,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이 『사분율』에 의거해 수구의식을 치러온 기반을 이룬 것도 그러한 역사성에 따른 것이다. 남․북방의 불교통사를 통해 교단의 모습을 살펴보면 계율이 존중되고 계율학이 번성했을 때 교단도 함께 번성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국불교사에서 일찍이 불교의 전성기를 누렸던 백제와 신라시대에 범본율본이 확립되고 범망경 등의 대승계가 번성했던 사실은 그 같은 역사성을 잘 반증해준다. 하지만 갈수록 교단 안에서 율법을 숭상하지 않고 계율을 존중하지 않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이는 곧 율의 성문화와 율의 해설 등이 하나의 역사적 산물이라는 사실을 간과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중국불교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처럼 한국불교의 현실에서도 정상적으로 비구생활을 하는 비구들이 괴팍한 사람으로 천대받는 까닭은 생명성 없는 과거 인도불교의 관념이나 중국불교의 관념으로 한국의 현대인들을 규범한 데서 나타난 결과인 것이다. 따라서 계율학의 연구가 현실에 적용하고자 하는 의지와 지혜를 발현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한국불교가 의존하고 있는 『사분율』을 비롯해 모든 율장의 재번역을 통해 계율제정의 취지를 바로 알고자 하는 일이 시급한 까닭도, 불교의 현대윤리학적 접근이 필요한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또한 계율제정의 본의를 바로 살펴야 한다는 점에서는 율본의 원전인 빨리율의 번역도 매우 시급한 일로 지적된다. 계율연구자들의 이러한 연구자세와 방향제시야말로 율법을 숭상하지 않는 교단현실의 지표로 작용해 계율을 선양하고 존중하는 환경조성에 큰 몫을 담당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동국대 불교학과에 계율학 과목이 처음으로 신설된 이후 현재까지 30~40여 년 동안 한국의 불교학계가 일궈낸 계율관련 연구성과를 고찰해 계율이 던져주는 의의와 향후 계율연구의 방향 및 전망 등을 살펴보는데 그 의미를 두었다.

      • KCI등재

        상좌부(Theravāda) 불교와 한국불교 재가불자 역할비교

        정준영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4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arison of the role of Lay Buddhists between Theravāda Buddhism and Korean Buddhism. Theravāda is the school of Buddhism preserves now in Sri Lanka, Myanmar, Thailand, Laos and Cambodia. This study focuses how lay Buddhists perform the three types of meritorious deeds[Almsgiving(dāna), Morality(sīla), Mental Development(bhāvanā)] and the role this practice plays in daily life in Modern Theravāda and Korean Buddhism. In the Theravāda Buddhist countries almost every male enters the monkhood at least once in life for a limited period. Returning from monkhood poses no problems in these societies. In the Theravāda societies the Sangha is the most highest group. Though the financial management of the Sangha also depends on the lay Buddhists. However, Korean Buddhism has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In fact, there are visible asymmetry between the two groups. Korean lay Buddhist, as a Mahāyāna Buddhist hope to be a bodhisattva. Therefore, Korean lay Buddhist has different role and system from Theravāda. Furthermore, this study will be concerned about the problems of role of lay Buddhists in relation 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it is also presented some assumptions that might help solution of these problems. 붓다의 입멸이후 2500여년이 지난 지금, 불교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大乘佛敎, 上座部佛敎 그리고 金剛乘佛敎이다. 본고는 이들 세 가지 불교국가들 가운데 대승불교에 해당하는 한국불교와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진행되는 상좌부불교를 중심으로 재가불자의 역할을 살피고 이들의 특징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고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로 상좌부불교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재가불자의 역할을 ‘보시’, ‘지계’, ‘수행’, ‘그 외의 것’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어떻게 진행되었으며 그 안에서 재가자는 어떻게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두 번째로 상좌부불교 국가의 근대 역사를 살피고, 국가별로 나타나는 상가와 재가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세 번째는 한국불교 재가불자의 역할을 살피는 것으로 한국불교 역시 상좌부불교의 전통과 마찬가지로 보시, 지계, 수행이 재가불자의 역할로 대두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좌부불교와 한국불교의 재가불자역할을 비교하였다. 역사․환경적배경이 다른 상좌부불교와 한국불교를 비교하기는 난해하지만 결과적으로 상좌부불교 재가불자는 보시, 지계, 수행의 역할에서 보다 활성화 되어있었으며, 사찰의 운영이나 출가와 재가의 관계 그리고 개인적인 참여도 역시 적극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물론 이러한 비교가 절대적일 수는 없지만, 이들의 관계를 살펴 상좌부불교와 한국불교를 이해하고, 한국불교 재가불자의 역할을 재고하는데 근거가 될 것이다.

      • 韓國 近代佛敎 ‘帶妻食肉’의 二元的 路線

        김광식(Kim Gwang sik)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5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3

        본 고찰은 한국 근대불교에 큰 영향을 끼친 일본불교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일본불교의 상징으로 지칭되었던 이른바 ‘帶妻食肉’의 문제를 정리한 논고이다. 근대기 불교의 대처식육에 대한 문제는 근대불교의 본질 이해의 단서로 인식한 연구가 일부 있었다. 그러나 한국 내부의 대처식육의 인식 및 수용에 대한 이념, 한국불교내부의 대처식육에 대한 찬반양론의 흐름은 정리되지 않았다. 특히 한국에 영향을 미친 일본의 대처식육에 대한 성격까지는 연구가 미치지 못하였다. 대처식육의 문제는 한국의 근현대 불교를 설명하는 가장 본질적인 주제이다. 이를 통하여 韓日 불교의 교류, 이질적인 불교문화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 과제를 도출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의 지금까지 연구는 연구 관점의 단순성, 민족 감정의 문제, 일본에서의 연구 성과를 수용하지 않은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개재되어 심화되지 못했다. 필자는 이와 같은 연구 성과의 한계를 인식하면서, 이 고찰에서는 대처식육이 한국 근대불교에 수용되었던 제반 흐름을 몇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개괄적으로 살폈다. 그러면서 대처식육에 대한 수용을 긍정(善)과 부정(惡)으로 대별하면서 그에 내재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본고가 한일불 교 문화의 이해, 교류 등에 일조가 되길 기대한다. 本考察は、韓国近代佛教に大きな影響を及ぼした日本佛教に対する本質を理解するために、日本佛教の象徴ともいわれている'帶妻食肉'の問題を整理した論考である。近代期佛教の帶妻食肉に対する問題は、近代佛教の本質理解の手掛かりとして認識している研究がいくつなされている。しかし、韓国内部の帶妻食肉の認識やその受容に対する理念、韓国仏 教内部の帶妻食肉にたいする賛否両論の流れは整理されていない。特に韓国に影響を及ぼした日本の帶妻食肉に対する性格までは研究が進んでいない。帶妻食肉の問題は、韓国の近現代仏教を説明する最も本質的な主題であるといえる。それにも関わらず、韓国での今までの研究はその観点の単純性、民族感情の問題、日本での研究成果を反映していない限界などが複合的に関わり、研究が深まらない原因になっていると思われる。筆者は、このような研究上の限界を認識しながら、この考察では帶妻食肉が韓国近代佛教に受容されてきた流れを幾つかの時期に区分して概括的に論究した。また、帶妻食肉の受容を肯定(善)と否定(悪)として大別し、それに内在している認識を分析した。本稿が韓日佛教文化の理解、交流などに少しでも役に立つことを期待する。

      • KCI등재

        근대시기 한국불교계의 유럽불교학 인식과 그 영향

        김영진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4 No.-

        Some of the Buddhist intellectuals in Modern Korea understood Buddhism in a new light by accepting modern Buddhist studies that was established in Europe. Under the influence, not only Korean Buddhist studies, but also Korean Buddhism went through changes.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t Buddhist orientations of three Korean figures, Baek Seong-uk, Kin Fa-lin and Choe Nam-seon, who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d Europe and European Buddhist studies. In doing so, this paper traces the different paths of European Buddhist studies being adopted and developed in early modern Korea. On the one hand, Baek Seong-uk, while accepting European Buddhist studies, tried to maintain standpoint of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t studies that he learned in the traditional Buddhist Academy, gangwon. On the other hand, Kin Fa-lin accepted the spirits of modern academism positively and tried to open up the exchang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s via the newly established European Buddhism. Choe Nam-seon, who was the only one among the three to experience Europe through indirect routes, resisted the negative views about Korea and Korean Buddhism that the Europeans held, and furthermore, formulated “Korean Buddhism” against Japan’s degradation of Korea as a nation, while at the same time utilizing the accomplishments of European Buddhist studies. His Buddhist studies was Buddhist research as a form of Korean studies. 근대한국에서 일부 불교 지식인은 유럽에서 형성된 근대불교학을 수용함으로써 새롭게 불교를 이해했다. 그것의 영향으로 불교학뿐만 아니라 불교계도 변화를 겪었다. 본고는 유럽과 유럽불교학을 직접 경험한 백성욱과 김법린, 그리고 간접적으로 그것을 경험한 최남선 등 세 사람의 불교 지향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서 그들이 보인 유럽불교학의 상이한 수용과 전개를 추적한다. 백성욱은 유럽불교학을 수용하면서도 그가 불교 강원에서 학습한 전통적인 불교학 입장을 견지하려 했다. 반면 김법린은 유럽불교학뿐만 아니라 유럽의 근대학술 정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유럽에서 새로 정립된 불교학을 통해서 동서문명의 교류를 시도하려 했다. 최남선은 유럽불교학 성과를 이용하면서도 한국불교나 한국에 대한 유럽인의 부정적인 시선에 대항하고 나아가 일본인의 민족적 폄하에 대항하여 ‘조선불교(한국불교)’를 구상했다. 그의 불교학은 이른바 조선학으로서 불교연구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