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암 중원의 조계종사 인식과 조계종의 회복 ― 퇴경의 「조계종」과 한암의 「해동초조에 대하야」와 관련하여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2 문학/사학/철학 Vol.69 No.-

        이 논문은 퇴경 권상로(退耕 權相老, 1879~1965)의 논설 「조계종」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작성된 한암 중원(漢巖重遠, 1876~1951)의 논설 「해동초조에 대하야」(1930)에 담긴 그의 조계종사 인식과 조계종의 회복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한암은 조선불교조계종의 종정 취임(1941)을 전후로 하여 일제의 조선불교 체맹과 연합 시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붓다 법통의 연원과 조사 종통의 계통에 대해 깊이 천착하였다. 그는 퇴경의 논설인 「조계종」(1929)에 일정한 영향을 받으며 자신의 논설인 「해동초조에 대하야」(1930)를 발표하였다. 여기에서 한암은 붓다의 법통의 연원과 조사의 종통의 계통에 대해 조목조목 밝히며 자신의 조계종사 인식과 조계종 회복에 대해 피력하고 있다. 한암은 해동 조계종을 부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책을 모색하였다. 그는 종래의 태고 초조설을 강력히 부정하면서도 현실을 인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암은 도통의 연원을 제시하기 위해 왕통론(王統論)을 원용하여 초조를 도의로 하고 중흥조를 보조로 할 때 비로소 제종을 포섭한 태고를 수용할 수 있으며, 태고-환암-구곡-벽계-벽송의 계보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유연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새로운 도통과 종통의 재구성에 대한 당시 사람들로부터의 불필요한 저항을 방지하기 위해 장치로 이해된다. 한암은 도의를 연원으로 하여 홍척·혜철·범일·무염·철감·현욱 등 구산의 개(산)조와 보조 지눌 및 송광사 16국사 그리고 태고-환암-구곡-벽계-벽송으로 이어지는 종통의 계통을 수립하고 있다. 그 결과 벽송 이후에는 부용-청허/부휴의 계보를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그런데 당시 한암은 종명 회복과 종조 확정에 관한 강력한 의지는 있었지만, 그가 1941년에 총본산을 태고사 이외의 ‘장소’로 바꾸거나 태고사 이외의 ‘사명’으로 바꾸지 않고 그대로 태고사로 결정한 것은 그에게 태고 보우 국사의 법맥 계승의식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동시에 불교계가 직면한 정치 경제 사회적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총본산의 ‘장소’와 총본산의 ‘사명’에 대한 사항들은 대중들의 화합과 불교교단의 통합 차원에서 수용했던 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리하여 법통의 연원을 밝히고 종통의 계통을 수립한 한암의 제안은 이후 대한불교조계종의 종헌에 수용되어 도의의 수창, 보조의 중천, 태고의 제교포섭으로 나타났다. 혜능의 주석처인 ‘조계’의 계승과 지눌의 ‘조계종’ 이름의 복원 그리고 한암의 ‘도의-보조-태고 법통’의 비판과 수용은 조계종의 법통과 종통의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권상로와 김영수와 임석진 그리고 한암이 강조한 법통과 종통은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조관과 종단관으로 이어져 수행의 이념과 수행의 방법에 일정한 영향을 미쳐오고 있다. 결과적으로 한암의 조계종사의 인식은 조계종의 회복으로 이어졌고 법통관과 종통관은 대한불교조계종의 과거와 현재 및 미래의 지남으로 수용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Joongwon Hanam’s (漢巖重遠, 1876~1951)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hereafter, the Jogye Order) and its restoration, as discussed in his treatise Regarding the Forefather of Korean Buddhism」(1930), which was a written reply to Toegyung Sangro Kwon’s (退耕 權相老, 1879~1965) treatise, the Jogye Order(1929). Hanam was appointed as Jongjeong, the head of the Jogye Order of Joseon Buddhism; at that time, he investigated extensively the origins and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Dharma and precepts of the Jogye Order in order to prevent Japanese imperialists from attempting to unite Korean and Japanese Buddhism. His article was influenced by Toegyung's treatise to some degree. However, his article clearly explicated hi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Jogye Order and its origins from Buddha through the lineage of the Jogye Order’s forefathers. In a variety of ways, Hanam had to find a solution to restore the lineage of the Jogye Order . Consequently, he suggested a method that could strongly negate the Taego-founder theory without contradicting the reality they had to face. He suggested that the lineage of Dharma must follow the same principle of succession to the throne as in a kingdom, and that only when the founder of the Jogye Order is decided to be Doeui and the re-founder to be Bojo, the patriarchs who followed them in the next generations, who are the lineage of Taego, Hwanam, Googok, ByukGye, and Byuksong, can be accepted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seems that this was to prevent unnecessary resistance from in those days people to the idea of reconstructing the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Dharma and precepts. Hanam established a theory in which Doeui is the founder, whose Dharma was transmitted to the forefathers of the Nine Mountains, such as Hongchuk, Hyechul, Bumil, Mooyum, Hyunwook, and so on; and to the 16 national preceptors represented by Jinool Bojo; and then to highly respectable monks such as Taego, Hwanam, Googok, ByukGye, and Byuksong, followed by the lineage of Booyong, Cheongheo, and Boohyoo. His clear vision is now accepted as an established theory that underpins the current structure of the Jogye Order, with Doeui defined as the founder, Bojo as re-founder, and Taego as re-re-founder. The Jogye Order was first named by Bojo after the name of a mountain where Huinung practiced Dharma. Hanam’s understanding of the lineage of the Jogye Order, by which Doeui, Bojo, and Taego connections are created,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lineage of the Dharma and precepts of the Jogye Order. Especially, Sangro Kwon, Youngsu Kim, Seokjin Lim and Hanam’s understanding of the lineage of the Order influenced the views on the founder of the Jogye Order, which led to the identity of the Order that influenced the concept of what spiritual practice they needed to follow, and how they should practice it. As a result Hanam’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Jogye Order eventually defined the restoration of the Jogye Order, and his views on the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Dharma and precepts are widely accepted as the compas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Jogye Order.

      • KCI등재

        『삼국유사』의 동물과 식물 ― 고대 한국인들의 불교적 자연관과 생명관을 중심으로 ―

        민태영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3 한국불교사연구 Vol.23 No.-

        In this study, the animals and plants recorded in Samgukyusa were organized by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through the aspects of the collection, the ancient Koreans' perception of nature and life, which was established along with the acceptance of Buddhism, was examined. Animals and plants recorded in scriptures and historical books contain the history together, as well as beliefs, culture and environment, so animals and plants are inevitably elements that can look into the general consciousness of Koreans. In particular, Samgukyusa was able to further expand the collection of various natural elements such as animals and plants by embracing the unrealistic world and supernatural elements that were considered off- topic. Samgukyusa contains 58 kinds of animals and 55 kinds of plants. The relation with plants and Buddhism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animals, as animals were recorded in the first half of Samgukyusa , and plants were mainly recorded in the second half, which were highly related to Buddhism. And though the boundary of separation or coordination between ancient nature worship and Buddhism is ambiguous, both animals and plants have something in common: sacred spaces, guardians of Buddhism, and objects of Buddhist omens and experiences. In addition, both animals and plants were projections representing human thoughts and contained the fundamental equality and interdependence of life. Although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alculation of imaginary animals and plants and unspecified creatures,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role of animals and plants in Samgukyusa can b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problem of present and future through the nature friendly awareness settled in ancient Koreans,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 KCI등재

        『삼국유사』 「흥법」편의 내용과 특징*

        이성운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3 한국불교사연구 Vol.23 No.-

        불교문화 관련 이야기가 많이 담겼다고 해서 ‘불교문화사류’로 보는것은 삼국유사 의 본질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삼국유사 는 문자 그대로 유사(遺事)이고 별이(別異)한 것을 교정한, 기전체를 바탕으로 한 기사본말체에 가까운 준 역사서라고 하겠다. 삼국유사 흥법 편의 여섯 조목은 불교의 수용과 국운의 융성에관련된 내용으로 불법의 흥성이 세간의 흥성으로 이어진다는 인식으로 짜였다. 불교가 전래 되고 수용된 것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정치적인 목적에 의해서였다고 일연은 분명하게 그 구조와 인식에서 밝히고 있다. 고구려의 불교공인도 그렇고, 백제 또한 불교의 수용이상당히 수월하게 이뤄졌다. 하지만 신라의 경우 법흥왕의 사신(捨身)으로 흥법하고 박염촉의 멸신(滅身)이라는 희생에 의지하여 비로소신라에 불교가 널리 펴질 수 있었다. 이때부터 신라에는 어떤 집이나 예불을 드리면 반드시 대대로 영화를 얻게 되고 누구나 불도를행하면 반드시 불법을 깨쳐 깨닫게 되는 이익을 얻었다. 불교의 흥법은 백성이 이롭지만 그렇지 못하면 나라가 망하고, 또지나친 불교의 흥법이나 신봉은 오히려 나라가 망할 수 있다는 것을 편제의 구조와 인식의 설명으로 분명하게 드러내 보여주고 있는것이 삼국유사 흥법 편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