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불안장애 내담자를 위한 정신분석적 꿈 심리치료

        강효련 ( Kang Hyo Ryeo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6 No.-

        본 연구는 정신분석적 꿈 심리치료가 사회불안장애 내담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단일사례연구로 사회불안장애를 겪고 있는 내담자의 꿈의 변형과정을 정신분석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정신분석적 꿈 심리치료로 진행된 본 연구는 Kvale의 정신분석적 인터뷰로 진행되었으며, 내담자의 심리 내적 변화와 증상의 변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내담자가 자발적이고 자연적인 자기(self)로 발달할 수 있도록 새로운 대상관계 형성하기와 안전기지 되어주기, 담아주기와 공감하기로 치료적 관계를 지향하고자 하였으며, 꿈 분석은 Freud의 자유연상법과 Jung의 확장법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담자의 꿈을 정신분석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꿈을 통해 내담자 자신이 의식하지 못했던 무의식의 신호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인도해 주기 위함이다.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 of psychoanalytic dream psychotherapy on a client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aimed at investigat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dream of the client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s psychoanalytic dream psychotherapy involved a Kvale’s psychoanalytic interview, and was intended to focus on the internal psychological change and the transformation of symptoms of the client. The researcher intended to orient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y forming a new object relations, providing a safe base, embracing and empathizing with the client so that the client could develop into a voluntary and natural self, and the interpretation of dream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Freud’s free association and Jung’s expa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ream of the client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which further aims to allow the client to be aware of the unconscious signals that the client was unaware of through the dream, and to guide them to better adapt to the social environment.

      • 내적 대상관계 변형을 위한 애도 과정으로서의 정신분석 심리상담 이해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5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심리상담을 대상관계와 애도 과정의 관점에서 묘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목표는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데 있다. 정신분석이 무의식을 의식화하기 위해 강조한 개념이 전이와 역전이다. 정신분석은 상담 상황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유년 시절 대상관계를 재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전이로 인해 상담자는 무의식적 압력을 받게 되어 내담자에게 반응한다. 그렇기에 정신분석은 전이와 역전이 개념을 도입하여 지금 여기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분석관계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그 분석관계에서 구현되어 나타나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환상과 갈등, 그리고 내적 소원과 기대가 내담자의 무의식으로 들어가는 효과적인 길임을 알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대상관계의 성격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정신분석에서 중심 과제가 되었다. 결국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내담자의 내면에 깊이 존재하는 내적 대상을 떠내 보내도록 돕는 작업이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목표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대상관계이론의 효시가 되는 논문 중 하나인 프로이트의 「애도와 우울증」을 시작으로 다양한 상담사례를 통해 내적 대상을 떠나보내는 애도의 과정이 어떻게 정신분석 심리상담에서 핵심 목표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프로이트는 「애도와 우울증」에서 상실의 경험 이후에 어떻게 외부 대상이 내면화되는지의 과정을 설명했다. 이는 우울증의 정신 상태을 의미하며 병리적인 것으로 그는 이해했다. 하지만 이 내면화와 동일시의 과정은 발달상의 핵심 과제로 이해되었고, 그 내적 대상에 대해 다루는 것이 정신분석의 작업에서 중심 주제가 되었다. 그 내적 대상은 상담 상황에 다시 재현되어 나타나며, 정신분석 상담자는 그 내적 대상의 일부가 되어 다뤄줌으로써 애도의 과정을 돕게 된다. 본 논문은 정신분석을 대상관계와 애도과정의 관점으로 조명한다는 점에서 상담자들이 정신분석 상담의 사례를 개념화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the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terms of object relations and mourning process. The core goal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s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The essential concepts that psychoanalysis emphasized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are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Psychoanalysis has found that the patient reproduces the object relations internalized in his/her childhood in an analytic situation. Due to this transference, the analyst is unconsciously pressured and reacts to the patient in compliance with the pressure. Therefore, as psychoanalysis introduced the concept of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it began to put an emphasis on the analy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nalyst and the patient, here and now. It was found that the patient’s unconscious fantasies and conflicts, as well as internal wishes and expectations that were embodied in the analysis relationship, were an effective way to enter his or her unconscious. In that sense,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nature of object relations has become a central task in psychoanalysis. In the e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ignificant goal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s the work of helping the unconscious to be conscious and letting out the inner objects that exists deeply within the patient’s psychic world. This article shows how the process of mourning and letting the inner objects go is one of the important task in the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by investigating Freud’s Mourning and Melancholia which is recognized and analyzing various psychoanalytic cases. Freud described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external objects after experiences of loss in “Mourning and Melancholia.” For him, internal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ost loved object meant a mental state of Melancholia which was understood as pathological. However, this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identification began to be understood as a essential task in the child development and dealing with the internalized inner objects became a central theme in the work of psychoanalysis. The inner object reappears in the analytic situation, and the psychoanalytic therapist helps the process of mourning by dealing with the inner object.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conceptualizing and understanding the cases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that it illuminates psychoanalysis in terms of object relations and mourning process.

      • 경계성 성격 사례에서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적용과 한계

        이춘 ( Lee¸ Ch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5 No.-

        Kenberg는 ‘전이 초점 심리 치료(Transference Focused pysychotherapy, TFP)’를 개발하였다. 경계성 심리의 장애가 되는 심리구조의 취약성을 변화시키고 통합하는 것이 전이초점심리치료이다. 본 연구는 경계성 성격장애 사례를 Kenberg의 전이초점치료 전략에 따라 분석하였다.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관점으로 경계성 성격장애를 가진 내담자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사례를 Kernberg의 전이해석을 위한 3단계 전략의 구조에 맞추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여기에서 사례분석의 1단계는 만성적인 공허감, 혼란스러운 사고와 감정표현, 왜곡된 정서가 활성화되는 원시적 부분적 대상관계의 성격을 재구성하도록 하는 것과 가장 지배적인 정서를 파악하고 평가한 회기까지를 범주에 넣었다. 사례분석의 2단계는 자기 이미지와 대상 이미지의 측면에서 전이 안에서 형성되는 지배적인 대상관계를 상담자가 평가한 부분이다. 대상관계와 자기와의 상호작용을 명료화 한 회기까지를 2단계의 범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3단계에서는 경계성 성격장애를 갖는 내담자가 진정한 자기와 그의 내적 대상에 대한 개념이 통합되어가는 부분이다. 방어적으로 해리된 대상과의 통합을 돕고, 내재화된 대상관계, 자기, 그리고 대상들이 전체 세계를 통합하도록 개입한 범위까지를 3단계의 범위로 넣었다(컨버그, 2003). 전체적으로 경계성 성격장애와 전이치료에 대한 이론적 고찰, 내담자의 호소문제, 초기경험, 임상평가와 진단, 그리고 상담 진행 과정과 전이초점치료의 한계점까지 알아보았다. 이 사례는 기본적으로는 전이초점 심리치료로 진행되었으나 다른 기법들이 통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Kernberg의 전이초점 치료와 임상현장의 치료적 역동성을 함께 살필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Kernberg의 전이해석을 위한 3단계 전략의 구조에 맞추어서 사례를 분석한 것을 보고 실질적으로 임상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Kernberg developed ‘Transference Focused Psychotherapy (TFP)’. TFP is aimed at changing and integrating the vulnerability of the psychological structure which causes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is study offers an analysis of a client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ccording to Kernberg’s schema of TFP: Three-stage strategy for transference analysis. The sessions of the first stage are directed to transform the primitive partial object relations of the client in which chronic emptiness, confused thoughts, and distorted emotions are activated, and grasp and evaluate the most dominant emotions. The sessions of the second stage are aimed at evaluating dominant object relations formed in transference in terms of self-image and object image and cla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self. The sessions of the third stage of analysis are intended for the client to integrate the concept of not only her true self but also her inner object. I aided her to integrate defensively dissociated objects, internalized object relations, and her self in her whole inner world (Kerberg, 2003). Overall, I in this study explain the theoretical review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TFP, the client’s complaints and initial experiences, clinical evaluation and diagnosis of her, the course of analysis, and the limits of TFP. The analysis basically proceeded based on TFP, but other techniques were used in combin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Kernberg’s TFP and the therapeutic dynamics that occur in the clinical field. I believe that the case analysis according to Kernberg’s three-step strategy should be a help for other psychoanalysts in the clinical field.

      • 꿈 생성 조건으로서의 수면상태와 분석카우치

        이세형 ( Lee Se Hyoung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꿈 이론 중에서 꿈 생성 조건으로서 수면상태가 만들어내는 퇴행의 과정 혹은 퇴행의 해석학을 다룬다. 동시에 분석상황에서 분석 카우치의 자리가 꿈에서의 수면상태와 상응하는 기능을 하는 점에 주목하여 수면상태와 분석 카우치가 꿈 형성 곧 분석세팅의 생성 조건임을 밝힌다. 아울러 현대 정신분석에서 꿈 분석의 중요성이 간과된 것은 수면과 꿈에서의 퇴행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한 결과이며 꿈 분석에 대한 훈련의 부족임을 밝힌다. 꿈 형성이 퇴행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은 수면이라는 독특한 환경 때문이다. 수면은 수면에 드는 것과 수면에서 깨어나는 과정을 갖는다. 이러한 이중의 움직임은 분석가의 이중적 기능으로 이어진다. 분석가는 꿈과 수면에 들게 하는 자이면서 동시에 꿈과 수면을 깨우는 자이다. 분석가는 환자와 함께 꿈과 수면에 함께 드는 자이고 더 적극적으로는 환자로 하여금 잠을 잘 수 있는 능력과 꿈을 꿀 수 있는 능력을 회복시키는 자이다. 동시에 분석가는 카우치에서 자유연상을 통해 꿈 작업을 풀어가게 함으로써 환자와 함께 깊은 퇴행의 여정을 떠날 수 있는 자이다. 그리고 마침내는 환자와 함께 퇴행의 여정에서 과거로부터 무의식으로부터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보상을 얻어 꿈과 카우치에서 깨어나는 자이다. 수면과 꿈은 우리를 퇴행으로 안내하여 무의식에 접속하게 하지만 경계를 가지고 있어 안전한 자리이다. 프로이트의 꿈과 수면에 소개된 퇴행의 여정이 지형학적인 모델에서 소개된 것이라고 해서 현대 정신분석이 간과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꿈과 수면에서 퇴행의 여정은 우리를 창조성의 자리로 안내하는 엄마의 품으로의 여정이다. 퇴행은 돌아감으로 다시 되돌려지는 재탄생의 여정이다. 정신분석이 새로운 분화를 계속한다 해도 꿈 형성에서 퇴행의 여정은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이 더해질 뿐 간과되어야 할 영역이 아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r analytics of the regression brought on by the sleeping state, a condition of dream-formation from Sigmund Freud’s dream theor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will highlight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analytical couch in the analytical situation with the sleeping state while dreaming, thereby revealing the sleeping state and the analytical couch as conditions for the building of the analytical setting. In addition, this paper will reveal that the importance of dream analysis has been overlooked in modern psychoanalysis resulting from the importance of the regression of sleep and dreams being ignored, along with the lack of training for dream analysis. The unique environment that is sleep is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dream-formation regression. Sleep includes the processes of falling asleep and waking from sleep. Such dual movements are continued into the analyst’s dual functions. The analyst is both the one who induces and awakens people from dreams and sleep. The analyst joins the patient to dream and fall asleep together, and assertively helps the patient to recover the abilities of a good night’s sleep and being able to dream once more. At the same time, the analyst utilizes the couch via free association to embark on the path to the journey of regression together with the patient. Eventually, the analyst becomes the one who awakens the patient from dreams and the couch by allowing them to open up the reward of a new future from the journey of regression into the unconscious and the past. Sleep and dreams guide us into regression and create contact with the unconscious, but maintains borders and thus remains as a safe place. The journey of regression having been introduced by Freud regarding dreams and sleep as a topographical model by no means dictates that it should be ignored by modern psychoanalysis. Rather, the journey of regression from dreams and sleep is the journey to the place of creativity that is the mother’s embrace. Regression is the journey of returning and becoming reborn. Even if the field of psychoanalysis continues to see new divisions, the journey of dream-formation regression should not be overlooked, but moreover requires interpretation from a new perspective.

      • 임상에서의 비온의 주요개념에 대한 이해와 적용

        백지연 ( Beak Ji Yeo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0 No.-

        비온은 분석가는 피분석자의 말을 듣기보다는 피분석자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자기 자신을 들어야 한다고 한다. 담는 것과 담기는 것 안에서 피분석자의 연상들 안에 있는 내용을 듣는 임상적 순간에, 자신이 경험하는 것과 그 과정을 듣고 느껴야 한다는 것으로, 비온이 생각하는 정신 병리는 궁극적으로 불완전하거나 성공적이지 못한 담아주기의 결과이다. 분석가는 피분석자가 온전히 분석의 장안에서 자신의 존재가 수용되어지고 받아들여지는 담김의 경험을 하길 원할 것이다. 그렇다면 분석가는 언어로 표현되지 못하고 던져지는, 피분석자의 정서적 언어를 통해 느껴지는 정서적 진실을 어떻게 하면 담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피분석자가 분석가의 몽상 안에 있을 수 있을 것인가? 비온의 담아내기는 분석가가 피분석자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이와 역 전이를 통해 느끼는 고통을 인내심을 가지고, 피분석자의 것이라고 느껴지는 감정이 분석가 자신의 내면에서 찾아질 때까지 모호함 속에서 기다려야 하는 힘든 과정이다. 이러한 정서적 진실과 담아내기, 몽상, 꿈 사고, 선택적 사실 등에 초점을 둔 비온의 개념들은 현재 상담현장에서 사용되는 주요 임상적 도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온의 여러 개념들 중 몽상, 선택된 사실, 꿈 사고, 담아주기 등 비온의 주요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선택된 사실’이 정신분석적 치료의 임상사례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해석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Bion says that the analyst should listen to himself listening to the patient rather than listen to the patient. Bion says that the analyst have to hear and feel what he experience at the clinical moment when he hear what’s inside the patient’s associations in the process of container and contained, and says psychopathology is the result of unstable or unsuccessful containing. The analyst would like that the patient have an experience of contained in which his existence is fully accepted and accommodated in the field of analysis, so how can the analyst contain the emotional truth felt through the emotional language of the patient which is thrown out without expressing in language? How can the patient be in the analyst’s reverie? Bion’s containing is a difficult process of patiently waiting for the moment when the analyst can feel the emotions of the patient inside him with the pain arised through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between the analyst and the patient. Bion’s concepts, which focus on these emotional truths and containing, riverie, dream-thought, and selected facts, are currently the main clinical tools used in the counseling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how ‘selected facts’ was specifically applied and interpreted in the clinical case of psychoanalytic treatment among the main concepts of Bion such as riverie, selected facts, dream-thought and containment.

      •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 이해: 자기-자기대상 모체 개념을 중심으로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9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에 대해 살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의 흐름 가운데 위치한 자기심리학은 인지영역의 확장이나 자아의 강화에서 치유의 원인을 찾지 않았다. 자기애 개념에 관심을 갖고 정신분석 이론을 전개시킨 자기심리학은 내담자의 자기 구조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 자기 구조의 변화가 정신분석이 치유를 발생시키는 이유가 된다고 보기 시작했다. 동일하게 전이에 깊은 관심을 보인 자기심리학은 내담자가 보이는 전이를 해석을 위한 관찰 자료로 이해하기보다, 자기 구조의 성숙과 변화를 위한 발달의 재활성화로 이해하기 시작했다. 억압과 분열로 마음 속 깊이 분리되어 있던 자기의 측면은 상담관계에 전이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다시금 성장하려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욕구가 담겨져 있다고 자기심리학은 본 것이다. 그렇기에 자기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치료개입은 공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자기심리학이 전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이 활성화를 통해 자기 구조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전체로서의 자기에 집중하고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는 자기심리학의 핵심적인 상담개입 방법이 공감이다. 분석가의 공감적 개입은 내담자의 전이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숨겨진 내담자의 자기 구조가 지금 여기의 분석관계에서 다시금 재활성화되도록 이끈다. 그리고 성숙한 분석가의 공감에 의해 촉진된 원초적이고 유아적인 자기의 융합 욕구는 결국 분석가의 건강한 공감에 조율할 수 있게 되고,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기 구조는 변화한다. 본 논문은 이런 자기 구조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코헛의 치유개념을 살펴보며 이해하려고 한다. 먼저 자기애에 대한 정신분석의 다른 이해들을 살펴보면서, 코헛이 자기애를 어떻게 다르게 이해했는지를 묘사할 것이다. 더불어 코헛은 자기애에 대한 다른 이해를 통해 어떻게 정신분석의 치유과정을 설명하려고 했는지 이해하면서 사례를 통해 그 과정을 보다 심화시켜 이해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ure in psychoanalytic self-psychology. Self-psychology located in the flow of psychoanalysis did not seek the principle of cure in the expansion of the cognitive domain or the strengthening of the ego. Self psychology constructed upon the concept of narcissism was interested in the self-structure of the client, and began to see that the change in this self-structure is the reason why psychoanalysis generates cure. Equally, self-psychology, which showed a deep interest in transference, began to understand transference as reactivation of development for maturation and cohesion of self-structure, rather than as observational data for interpretation. Self-psychology saw that the aspects of the self were deeply separated in the mind due to repression or splitting and transferred 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which contained the unconscious desire of the client to grow agai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has begun to emerge as important in self-psychology is empathy. Self-psychology sees transference as sphere in which development of self-structure is reactivated. In this process, empathy is an important psychoanalytic technique that focuses on the client’s self as a whole and understands it as it is. The analyst’s empathic intervention not only promotes the client’s transference, but also leads the client’s self-structure to be reactivated in the analytic relationship here and now. And the primitive and infantile desire for fusion of self promoted by the mature analyst’s empathy can eventually be tuned to the analyst’s healthy empathy, and in this process, the client’s self-structure changes.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is change in self-structure occurs by examining Kohut’s concept of cure. I will first look at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narcissism in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and then describe how Kohut understood it differently. In addition, I will describe how Kohut tried to explain the healing process of psychoanalysis through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narcissism,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process more deeply through case vignette.

      • 목회자 자녀의 자존감 회복에 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김은 ( Kim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6 No.-

        본 연구는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통해서 목회자 자녀의 낮은 자존감을 분석하고 목회상담학적인 치료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회자 자녀들은 목회자인 부모와 교인들의 지나친 기대와 관심 그리고 시선을 받기 때문에 공감적인 반영을 받지 못한다.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에서 부모는 자녀의 자기애적 욕구를 공감적으로 반영해주면서 건강한 자기애로 승화해주는 자기대상의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목회자 부모는 공감적인 자기대상의 역할을 하지 않고 오히려 엄격하고 높은 기준과 기대감에 맞추도록 자녀에게 요구한다. 그러면 목회자 자녀는 자기애적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적절한 공감의 부재로 인해 낮은 자존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목회자 자녀의 낮은 자존감의 회복 방안을 제안했다. 낮은 자존감을 가진 목회자 자녀가 겪을 수 있는 병리적 성격을 정리하고 목회상담자가 마주할 수 있는 역동과 상담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기독교 영성 훈련인 렉시오 디비나를 통하여 자기대상으로의 하나님의 이미지가 회복되는 시도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w self-esteem of pastor’s children through Heinz Kohut’s self-psychology, and to suggest pastoral counseling treatment options. Pastor’s children cannot not receive empathic reflection, as they receive excessive expectations, interest, and attention from their parents and church members. In Heinz Kohut’s self-psychology, parents should take the role of selfobjects that empathize with their children’s narcissistic needs and sublimate them into healthy narcissism. However, parents who are pastors often do not act as empathetic selfobjects, but rather require their children to meet strict and high standards and expectations. And it is common phenomenon for them to criticize and rebuke their children if their children do not meet the standards. Then the pastor’s children will not be able to meet their narcissistic needs, and will have low self-esteem due to the lack of appropriate empathy.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for recovering the low self-esteem of pastor’s children, focusing on Heinz Kohut’s self-psychology. This study also summarized the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pastor’s children with low self-esteem may experience, and also presents dynamics and counseling methods that pastoral counselors can face. And this study attempted to restore the image of God on pastor’s children as selfobject, through the traditional Christian spiritual training Lectio Divina.

      • 중년기 여성의 수치심에 대한 프로이트 정신분석적 고찰

        이지민 ( Lee Ji-mi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현대의 한국 중년기 여성들은 다른 세대와 달리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급류에 휩쓸리듯 성장해 왔다. 그녀들의 발달과정은 현대의 다른 세대들과 달리 왜곡된 가부장제의 영향으로 표현에 서툴렀던 아버지와 남존여비 사상의 영향을 받은 어머니 아래 양육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원가족 양육 환경은 현대의 많은 중년기 여성들에게 차별과 편애 및 부모화 강요를 경험하게 했다. 수치심은 무엇보다 쉽게 세대 전이될 수 있는 감정이며 특히 여성에게 더욱 취약하다는 의미에서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들의 내면화된 수치심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병리적 수치심을 야기시키며 병리적 수치심은 인간의 영혼을 병들게 하는 치명적인 정서이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상태수치심과 달리 대개 유아기부터 중요한 대상들에게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경험된 수치가 내재화 되어 형성된 정서이다. 수치심은 그 어원에 걸맞게 숨기고 가리는 특징이 있다. 이는 정신분석학에서는 ‘억압’된 감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억압된 수치심은 우리의 무의식에 잠재되어 개인의 모든 영역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을 설명할 때 정신분석은 그 어떤 이론보다 수치심의 특징을 뚜렷하게 설명할 수 있다. 프로이트(Freud, 1856-1939)에 의하면 지정학설, 성격 구조론, 불안에 대한 세 가지 정의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수치심이 언급된 바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수치심은 리비도에 의한 추동 과정에서 항문기를 어떻게 부모가 대응하는지에 따라 아동은 수치심이 내재화되거나 혹은 주도성을 가지게 된다고 보았다. 또한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간의 갈등에서 파생되는 신경증적 불안에서 수치심은 원초아(id)의 욕구 충동을 억제 시키는 기능으로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여성에게 강렬히 경험되는 수치심으로 남근기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시기가 있다. 이는 여아가 남근 선망으로 인해 자신의 여성성을 무시하고, 열등감으로 어머니를 증오하며 질투하게 되는 과정을 말한다. 정리하자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서의 여성의 수치심은 세 가지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발달과정에서 부모 양육 태도로부터 경험되는 수치심 둘째, 사회 적응을 위해 부적절한 욕구를 억제하기 위한 수치심 셋째, 자신의 존재에 대한 수치심이다. 따라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입장에서 바라본 한국의 중년기 여성들의 수치심은 먼저 왜곡된 유교 문화와 가부장제의 문화적 영향으로 당시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의 욕구를 억압하는 과정에서 수치심이 더욱 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와 더불어 중년기 여성들은 성장 과정에서 남아선호 사상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아 왔다. 이는 여성 존재 자체에 관한 수치심으로 내재화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결과적으로 중년기 여성들의 수치심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은 그녀들의 다양한 정신병리를 유발하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효율적으로 해석하고, 억압된 수치심을 의식화하여 수치심으로 억눌린 자아에 동조적 상담을 제공함으로 치유적 도움을 제공한다는 것은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세대 전이를 예방할 수 있고 가족의 안녕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Unlike other generations, modern middle-aged Korean women have grown as if they were swept away by rapid currents in a rapidly changing era. Unlike other modern generations, their development process experienced parenting under their father, who was poor at expression due to the influence of distorted patriarchy, and their mother, who was influenced by the idea of male support. This family-of-origin environment has experienced discrimination, favoritism, and coercion into parenting for many middle-aged women today.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nalized shame of middle-aged women in the sense that shame is an emotion that can easily be transferr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especially to women. Internalized shame causes pathological shame, and pathological shame is a fatal emotion that makes the human soul sick. When explaining internalized shame, psychoanalysis can explain its characteristics more clearly than any other theory. In summary, women’s shame in classical psychoanalysis can be understood in three ways. First, shame experienced from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cond, shame to suppress inappropriate desires for social adaptation, third, shame on one’s existence.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shame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viewed from a classical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was firstly strengthened in the process of suppressing and repressing their desires to adapt to the society at the time due to the distorted Confucian culture and the cultural influence of the patriarchal system. In addition, middle-aged women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reference for boys in the process of growth. This suggests that it may have been internalized as a shame about the existence of women themselves. As a result, providing therapeutic help by effectively interpreting the internalized shame that causes their various psychopathologies and providing sympathetic counseling to the self suppressed by shame by making the repressed shame conscious is not only personal growth but also generational trans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the disease and to provide the well-being of the family.

      • 애착 이론을 통해서 본 애착유형의 특징과 불안정애착(D Type)으로 인한 경계선 성격장애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변상규 ( Byun Sangkyu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7 No.-

        이 논문은 애착 이론의 창시자인 존 볼비가 그의 학문적 동반자였던 메리 에인스워스가 만든 낯선 상황 실험(SSP)의 형성 과정을 통해 안정애착과 불안정 애착의 형성과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안정적이지 않은 애착의 유형 중 D type(혼란/비통합적) 유형이 경계선 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강조한다. 애착 이론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비롯되었지만, 보울비는 그의 이론에 추상적인 측면 대신 경험적이고 실험적인 측면을 적용했다.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을 주된 학문적 근거로 삼은 자아심리학자인 안나 프로이트와 대상관계이론의 어머니로 알려진 멜라니 클라인은 아동의 정신분석을 놓고 논쟁을 벌였다. 이들(자아심리학자)은 볼비의 애착이론이 정신분석을 행동주의로 바꾼 이론이라며 영국 정신분석학회에서 퇴출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른 지금 애착 이론은 정신분석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이론이 되었고, 특히 임상적 환경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의 심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애착이론은 뇌 연구, 학습이론, 감정 이론 등 학문 분야에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다. 애착이론은 경계선 장애 등 불안한 애착을 형성한 사람들이 이 이론을통해 보다 확실한 애착을 가질 수 있도록 인간의 삶 전반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간 이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formation and features of both secure attachment and unsecure attachment through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attachment theory started by John Bowlby and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e (SSP) created by Mary Ainsworth, who was Bowlby’s academic companion. In particular, it stresses that among the types of unsecure attachment, the disorganized/disoriented type is closely associated with borderline disorder. Although attachment theory originated from Freud’s psychoanalysis, Bowlby applied the empirical and experimental aspects of psychoanalysis to his theory instead of its abstract aspects. Anna Freud, the ego psychologist whose main academic basis was Freud’s psychoanalysis, and Melanie Klein, who is known as the mother of object relations theory, were polemical debaters on the psychoanalysis of children. They even argued that Bowlby’s attachment theory was a theory that transformed psychoanalysis into behaviorism and that he should be expelled from the British Psychoanalytic Society. However, now that the years have passed, the attachment theory has become a theory showing the diversity of psychoanalysis, and is known as a very useful theory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specially in clinical settings. Attachment theory opens up various possibilities for academic areas such as brain research, learning theory, and emotion theory. It can be said that attachment theory shows us a new paradigm of human understanding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human life so that people who have formed insecure attachment, including borderline disorder, have a more secure attachment through this theory.

      • 멜라니 클라인의 환상에서의 불안과 아동 정신분석

        김옥주 ( Kim Ok Joo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0 No.-

        정신건강에 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최근 언론매체에 따르면 정신질환 중 현재 한국에서 가장 진단 빈도수가 높은 것은 우울증, 불안장애, 수면장애, 스트레스로 인한 적응장애, 그리고 조현병을 꼽았다. 특별히 우울증과 불안장애는 지속적인 증가 폭을 보여주고 있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사람은 자신만의 불안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신분석학에서 프로이트는 인간에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거세불안이 있다고 말한다. 전임자만큼 불안에 관해 깊이 있게 연구한 분석가는 멜라니 클라인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생물학적 유기체(id)에서 자아와 초자아로의 진화론적 관점에서 이해하였다. 그에게 있어 남근기 이전의 유아는 불안을 의식할 수 있는 수준의 자아는 아직 아니다. 반면에 클라인에게 있어 유아는 불안을 갖고 태어나는 미성숙의 자아로 태어난다. 본 논문은 클라인이 아동에 관한 정신분석적 임상 영역의 확대로 인해 얻어진 불안이해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클라인은 아동을 분석하면서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불안은 내부에서의 멸절에 대한 두려움이라고 말한다. 무엇보다도 주체의 불안이 누군가의 조력이 있다면 조금 더 쉽게 해소-완화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성장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클라인이 아동에 관한 정신분석적 임상 안에서 발견했던 불안에 관한 고찰이다. 지면의 한계를 감안하여 본 연구자는 클라인의 임상 안에서 불안을 매개로 하는 아동의 무의적 환상, 유아와 엄마와의 관계, 조력자/분석가의 임상적 자질, 그리고 임상에서 아동의 불안이 표현되는 절박한 시점을 다루도록 하겠다. 이를 통해 인간이 환상과 불안의 관계 및 조력자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인들이 겪는 불안장애의 원인과 완화를 위한 이해를 도모하도록 하겠다. An interest in mental health is increasing. According to recent media outlets, depression, anxiety disorder, sleep disorder, stress-induced adaptation disorder, and schizophrenia are the most frequently diagnosed mental illness in Korea. In particular,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are showing a continuous increas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omehow people have their own anxiety. In psychoanalysis, Freud says that humans have castration anxiety in the Oedipus complex. An analyst who has studied anxiety as deeply as his predecessor is Melanie Klein. Freud understood humans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from biological organisms (id) to ego and super-ego. For him, infants before the Oedipus stage are not yet at the level of being aware of anxiety. On the other hand, for Klein, infants are born as immature egos with anxiety. This paper will examine Klein’s understanding of anxiety gained by expanding the psychoanalytic clinical domain for children. Klein analyzes children and says that the most profound anxiety of humans is the fear of annihilation. Above all, it suggests that the anxiety of the subject can not only be more easily resolved-relaxed with a helper, but also lead to growth.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anxiety Klein found in the psychoanalysis of children. Considering this paper’s limitation, this researcher will deal with children’s phantasy mediated by anxiety in Klein’s clinical sett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and mother, the clinical qualities of assistants/analysts, and point of urgency when children’s anxiety is expressed in clinical practice. Through this, it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ntasy and anxiety and the role of assistant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causes and mitigation of anxiety disorders that modern people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