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복음주의와 공공신학

        조영호 ( Young Ho Cho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본 논문의 주제는 공공 영역과 공론장에서 복음주의 신학과 교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오늘 복음주의는 정체성의 위기와 비전 상실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의 원인을 우리는 ‘공공성 상실’과 ‘기독교 지성의 부재’로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 속에서 현대 공공신학자들의 논의를 통해 공론장에서 한국 교회가 어떻게 기독교적 대안을 제시 할 수 있는지, 공공선을 위해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몇 가지 주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우선, 복음주의란 무엇인지, 그 정체성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고, 복음주의와 종교개혁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현대 복음주의자들이 제기했던 신학적 문제, 특히 공공성 상실에 대한 비판과 기독교적 공공 지성의 부재에 대한 비판을 알아보고 복음주의 신학을 공공 신학적 관점에서 파악할 것이다. 복음주의가 제기한 공공 신학적 문제를 오늘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기 위해 우리는 현대 공공신학자 두 명, 스택하우스와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신학을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신학적 검토를 마무리한 후 한국 복음주의 신학과 복음주의 교회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곳에서 제시한 대안은 세 가지 제시하였다: 1) 기독교적 공공 지성을 양성 2) 잃어버린 언어의 회복 3) 그리고 현대 공공 신학 방법론적 차이의 조화 가능성 The theme of this thesis is to try to explore alternative gospel theology,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church in public areas and public forums. Today’s gospel experiences a crisis of identity and loss of vision. We understand the cause of such experience as ‘loss of publicity’ and ‘absence of Christian intelligence’. Among these understandings, through discussion by contemporary public theologians, how the churches of Korea can present Christian alternatives in public forums, what role do they have for public good? I want to see if it can do or not. Because of this, we critically consider several topics. First of all, let’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spel and religious reform by defining the identity of what the gospel is. Then criticism of theological problems raised by contemporary evangelists, especially criticism of the loss of public nature and lack of Christian public intelligence will be examined and gospel theology grasped from the public theological viewpoint. In order to reinterpret the public theological issue raised by the gospel from today’s point of view, we will review the theology of two modern public theologians, Stackhouse and Hauerwas (Stanley Hauerwas). After completing these historical and theological studies, I will try to present some proposals for the Korean evangelical theology evangelical church. The options presented here presented three: 1) Training Christian public intelligence 2) Recovery of lost languages 3) And the possibility of harmonization of differences in modern public theology methodology

      • KCI등재후보

        해방 이전 한국 장로교 목사들의 종말론

        이상웅 ( Sang Ung Lee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7 No.-

        해방 이전의 한국 장로교회는 하나의 교단이었고, 하나의 공인된 신학교인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가지고 있었다. 평양 장로회신학교는 1901년에 개교하여 1939년에 무기한 휴교하기까지 800명 이상의 한국인 목회자 후보생들과 교회 지도자들을 배출했다. 신학교는 네 개의 장로교선교가 협력하여 운영했고, 교수들도 주로 선교사 교수들이었다. 따라서 한국 목회자들은 선교사 교수들의 신학과 신앙을 그대로 배우고 전수받을 수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특별히 해방 이전 한국 장로교 목사들의 종말론을 논구해 보고자 하는데, 먼저는 그들에게 영향을 미친 선교사 교수들의 종말론에 대해서 간략하게 검토하였는데(II), 그들 대부분은 세대주의 전천년설을 정설로 믿고 가르쳤다. 이어지는 III에서는 초대 한국교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길선주 목사의 종말론을 검토해 보았고, IV에서는 신사 참배 반대 운동에 앞장섰던 주기 철 목사, 손양원 목사, 주남선 목사 등의 종말론을 확인해 보았다. 길선주와 달리 후자에 속한 목회자들은 종말론에 관련된 저술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설교나 심문 조서를 참고할 수밖에 없었다. 마지막 V 절에서는 초기 박형룡 박사와 초기 박윤선 박사의 종말론을 논구해 보았다. 그들의 후기 입장이 역사적 전천년설이었던 것에 비하여, 초기의 종말론적인 언급은 극소수였을 뿐만 아니라 어떤 종말론을 택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규명하기가 어려웠다. 우리는 이러한 논구 과정을 통하여 선교사 교수들의 종말론이 그러하였듯이, 그들에게 배운 한국인 목회자들 대다수 역시도 세대주의 전천년설을 따라갔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사실 세대주의 전천년설은 장로교나 개혁교회 신학과 부합하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선교사 교수들의 영향으로 초기 한국 장로교회는 그러한 입장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어쩌면 달리 다른 선택의 폭이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세대주의 전천년설에 따라 임박한 종말론을 강조하게 되므로 선교와 전도사역에 열정을 낼 수가 있었다거나 일제의 강압에 굴하지 아니하고 신앙을 지켜낼 수 있었다는 점을 외면할 수는 없다. 그런데도 세대주의 전천년설은 칼빈주의와 양립할 수 없는 신학 체계이므로, 현재 장로교회나 개혁교회는 세대주의 전천년설에 대하여 바른 종말론 교육을 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Before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as only one denomination and had an accredited seminary, Pye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Pye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which is opened in 1901 and closed indefinitely in 1939, produced more than 800 Korean pastor candidates and church leaders. The seminary was administered in cooperation with four Presbyterian missions, and the professors were mainly missionary professors. Therefore, Korean pastors had no choice but to learn and receive the theological lectures and faith discipline of missionary professor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eschatology of Korean Presbyterian pastors before liberation. First, I briefly reviewed the eschatology of missionary professors that influenced Korean pastors(section II), and most of them believed and taught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In the following section III, I examined the eschatology of Pastor Seonju Gil,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early Korean churches, and in section IV, I examined the eschatology of Pastors Ki Cheol Joo, Yangwon Son, and Namseon Joo, who took the lead in the movement against shrine worship. Unlike Seonju Gil, the pastors belonging to the latter did not leave any writings related to eschatology, so we had no choice but to refer to sermons or interrogation records. In the last section V, I examined the eschatology of early Dr. Hyung Nong Park and Yune Park. Compared to their late premillennialism, there were only a few early eschatological references, and it was difficult to pinpoint which eschatology they followed. From this examination, we can conclude that the majority of Korean pastors who learned from Missionary professors also followed the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just as the missionary professors’ eschatology is the same. Although the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did not correspond with Presbyterian or Reformed theology, the influence of missionary professors forced the early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to choose such a position. Maybe there were no other options to choose to them. However, by emphasizing the impending eschatology according to the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they were able to exert passion for missions and evangelism and that they were able to preserve their faith without surrendering to the Japanese imperial force. Nevertheless, since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is a theological system that is incompatible with Calvinism, the current Presbyterian churches and Reformed churches must provide correct eschatological education for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 KCI등재후보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에 대한 죽산 박형룡의 이해

        이상웅 ( Sang Ung Lee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13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한국 장로교회는 그간에 많은 교단들로 분열되어 왔고, 신학적인 정체성이 다양화되었다. 따라서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이 무엇인가에 대해 정리하고 규명하는 작업은 간단하지가 않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인 정체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죽산 박형룡(1897-1978)을 논구해 보았다. 박형룡은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교수로부터 시작해서 반세기에 가까운 긴 세월 동안 한국 장로교 신학 교육을 위해 헌신했고, 전7권에 이르는 『교의신학』 전집(1964-1973)을 출간했기 때문에 그가 한국 장로교 신학 전통에 대해 어떻게 규명했는지를 논구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본론에서 우리는 초기 박형룡이 정통신학을 어떻게 규명했는지를 『근대 신학 난제 선평』(1935)을 중심으로 논구해 보았다(2절). 초기부터 박형룡은 성경의 절대적 권위와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그 근거위에서 주요 교리들을 해설하였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3절에서 우리는 박형룡의 고려신학교 교장 취임 연설문(“사도적 신학 소론”)을 살펴 보았는데, 박형룡은 사도적 신학은 곧 칼빈주의 정통 신학으로 계승되었음을 천명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우리는 박형룡의 주저인 『교의신학』 전집(1964-1973)에 드러나는 신학적 특징을 확인해 보았는데(4절), 죽산은 술이부작(述而不作)의 자세를 취하면서 주요 개혁파 신학자들의 저술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신학 작업을 진행하였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죽산의 신학적 자세는 독창적인 신학을 추구하는데 있지 아니하고, 선교사들이 전해준 정통 보수 신학의 계승과 보완에 있음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죽산의 마지막 신학적 천명은 1976년 신학지남에 기고한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이라는 논문에서 확인할 수가 있는데(6절), 이 논문에서 박형룡은 자신이 평생동안 견지하고 가르쳐온 신학 전통이 무엇인지에 대해 최종 정리해 주고 있다. 죽산의 신학은 영미 청교도 개혁주의와 유럽 개혁주의를 조화롭게 수용한 한국 청교도 개혁주의라고 하는 점을 우리는 분명하게 확인할 수가 있었다. For more than 130 years,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as been divided into many denominations, and its theological identity has diversified. Therefore, it is not easy to summarize and clarify what the theolog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is. With this interest in what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is, in this paper, we examined Park Hyung-Nong(1897-1978). Because Park Hyung-Nong devoted himself to the theological educa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for nearly half a century, it is significant and relevant to refer him as a reference point. In the main sections, we examined how Park Hyung-Nong identified orthodox theology in the early days, focusing on A Theological Review of Modern Theological Problems(1935) (Section 2). From the beginning, Park Hyung-Nong emphasiz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 importance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and it was confirmed that he explained the main doctrines on that basis. In section 3, we examined Park Hyung-Nong’s rectoral inaugural speech at Korea Theological Seminary(“An Overview on Apostolic Theology”) and confirmed that Park declared that apostolic theology was inherited as Calvinist orthodox theology. In section 4, we checked th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revealed in his main works, Dogmatic Theology (1964-1973). Park took the stance of description-but-not creation and utilized the writings of major Reformed theologians. It was also confirmed that Park’s theological aim did not consist in pursuing originality in theology but the succession and complementation of the orthodox conservative theology delivered by missionaries. We could confirm Park’s final theological position in his “Theological Traditions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published in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Review, 1976) published in 1976 (section 6). In his final paper, Park Hyung-Nong summarized the theological tradition that he has maintained and taught throughout his life. We could confirm that the theology of Park Hyung-Nong is Korean Puritan reformed theology that harmoniously accommodated Anglo-American Puritan Presbyterian theology and European Reformed theology.

      • KCI등재후보

        성품 윤리로 분석한 한국교회의 도덕적 성품 형성

        강성호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2 조직신학연구 Vol.41 No.-

        This paper examines the moral crisis of the Korean church based on character’s ethics. It also delves into the ethical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assimilation of narratives between Korean society and the Korean church. This paper not only shows the assimilation of narratives that caused the moral crisis of the Korean church but also provides the necessity of faithful narratives for the Korean church. In order to solve many moral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reality of the current master narrative that distorts the moral character of the Korean church, and to build a narrative of the Korean church that is faithful to the biblical narrative. This paper also aims to show that the methodologies of Stanley Hauerwas and H. Richard Niebuhr can be effective to explain and analyze the assimilation of cultural and ecclesial narratives that have caused the moral crisis of the Korean church. In addition, it argues for the necessity of discovering new narratives for the Korean church and Korean society in terms of character ethics. 한국교회의 도덕적 문제는 한국교회의 일부의 일탈 행위이거나 어느 특정 시기에 일어난 일시적인 행위로 치부할 수 없다. 이 논문은 한국교회의 지배적 서사로 작동한 성장의 서사를 살펴 보고 한국사회의 경제 성장 서사가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있다. 성장 서사가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에 경제 발전과 교회 성장을 이루는데 기여하였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 역시 적지 않다. 성장 서사의 지나친 추구에 의한 부작용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도덕적 문제점들이다. 한국교회의 많은 도덕적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교회의 도덕적 성품을 왜곡시킨, 현재의 지배적 서사의 실체를 인정하고, 한국교회의 서사를 성경적 서사에 충실하게 구축해 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스탠리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와 리처드 니버(H. Richard Niebuhr)의 방법론이 한국 교회의 도덕적 위기를 초래한 문화적, 교회적 서사의 동화를 설명하고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라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또한 공동체의 서사가 공동체 구성원의 성품을 형성하는 성품윤리적 측면에서 한국교회와 한국사회를 위한 새로운 서사 발굴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칼빈의 성경 영감에 대한 이해

        양신혜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3 조직신학연구 Vol.18 No.-

        한국장로교회는 박형룡과 김재준의 성경영감에 대한 논쟁으로 수많은 장로교교단 분열을 경험하였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중요한 신학적 과제로서 장로교단의 신학근원인 칼빈의 성경영감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영감의 라틴어 인스피라레 또는 인스피라치오의 사용 용레를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칼빈은 성령의 역할로서 ‘영감’을 뜻하는 단어를 드물게 사용하였다는 점을 발견하고 성령의 역할을 사용하는 다른 다양한 단어들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 『기독교 강요』I.6.2에 기술된 성경의 전승 과정에서 영감이 어떤 역할을 하욨는지, 칼빈의 관심이 어디에 있는 살펴보았다. 셋쨰, 성령의 역할로서 영감 이해의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는 성경 구절 디모데후서 3장13-17절에 대한 칼빈의 주석을 분석하여 영감에 대한 그의 이해에 접근하였다. 칼빈이 성령의 역할로서 영감을 성경의 신적 본질을 보증하는 증거로 사용하였는지에 주목하여 그의 주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칼빈의 관심은 하나님의 역사적 과정을 통해서 해석되어 전수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음을 밝혔다. 그리고 성셩이 지닌 신적 본질로서의 독트리나를 하나님께서 성령의 도구로서 제사장, 선지자 그리고 사도들과 인격적 관계를 통해서 해석 적용하는 과정을 직접 이끄셨다는 점을 부각시켜 칼빈에게 있어서 성경과 영감의 관계는 하나님의 섭리의 역사임을 밝혔다. The argument about the inspiration of the Bible bet between Hyeong yong Park and Jaejun Kim in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caused the division of denominations. So,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Calvin`s inspiration as an important subject. To reach this purpose, I analyze the term inspirare/inspiration in Institutio, but I get to know that Calvin doesn`t use securely this term as the function of the Holy Spirit, so I try to further analyze other terms gubernare, dictare etw. From this, I attain an effect that Calvin used these terms as a work of the Holy Spirit in relation to the authors of the Scripture. Secondly, I look over, I.6.2 in Institute, where Calvin described the historical process, how the author of the Bible the revelation of God hands over the generation to generation. I go through it and try to reveal the function of the Holy Spirit in transmission of the Bible. Thirdly, I analyze II Time3,16-17, because this paragraph provides a basisfor the understanding of the inspiration of the Bible. I pay attention, on Calvin comments the inspiration as an evidence of the divine revelation of the Bible in this text. From this, I show that Calvin expresses doctrina as divine evelation is conveyed in the Bible, he uses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in personal relation to the authors of the Bible and the emphasizes the providence of God, in other words, God works as the author of the Bible through the Holy Spirit.

      • KCI등재후보

        장 깔배의 성령론에 관한 한국장로 교신학자들의 논의

        조봉근 ( Bong Geun Cho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2 조직신학연구 Vol.17 No.-

        깔뱅은 성령의 사역을 그의 『기독교 강요』총 80장에서 전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깔뱅은 『기독교 강요』제1권 성령론적 입장에서 신인식론, 계시론, 성경론을 기술하고 있으며, 그래서 그의 성령론은 그의 ‘성경관’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성경의 학생”이 되기를 거부하고, “성령의 조명”을 받기를 거부하는 인간은 이미 정죄를 받았다고 말한다. “시력이 약한 사람이 안경 없이는 똑똑히 볼 수없듯이, 우리도 하나님을 찾을 때, 성경의 안내를 받지 않으면, 즉시 혼돈에 빠질 정도로 연약하다.” 고 주장하며, 동시에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인 것을 알 수 있는 최종적 증거는 성령의 내적 증거에 있음을 강조했다. 즉, “하나님의 살아있는 말씀을 발견하고, 그 말씀이 우리 각인에게 선포된 것을 깨달으려면 성령의 감화된 증거가 꼭 있어야 한다.” 고 말한다. 즉, 깔뱅은 믿음에 응답하는 “성령의 내적 증거”를 “성경의 권위”를 발견하는 최고표준으로 보았다. 깔뱅에게 “성령과 성경의 관계”는 불가분리성을 가진다. 그래서 깔뱅은 “우리가 하나님의 사역들을 잘 관찰하는 것은 당연한 일리지만 보다 도 중요한 것은 성경를 경청해야 한다.” 고 말한다. 그러나 깔뱅은 성령과 성경을 그대로 동일시하지 않는다. 그는 성령께서는 성경에 기록된 말씀을 오직 조명할 뿐이지, 성경 위에 여하한 새로운 사실을 첨가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성경은 하나님께서 우리 신자들에게 성령의 조명을 베풀어 주시는 은혜의 방편이라고 설명했다. 깔뱅은 그가 주장하고 있는 교리를 성경 자체에서 인용하고 있다. “율법과 예언들은 사람의 뜻을 따라 전달된 것이 아니라, 성령에 의하여 감동된 사람들이 쓴 하나님의 말씀이다.”라고 확신했다. 즉, 깔뱅은 성경이 바로 “성령의 학교”라고 밑었다. 또 ”성경의 저자들은 성령의 도구요, 기관이요, 필사자등이었다.” 라고 말한다. 또 그는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 인간의 언어로 계시된 것이라” 주장하면서, “성령께서는 성경 속에서 응변적인 수사법과 더불어 조잡하고 세련되지 못한 문체까지도 동시에 사용하신다.” 고 말한다. “깔뱅의 성령론”에 대한 연구는 조봉근을 비롯한 김재성, 오영석, 이은선, 변종길, 차영배, 이종성, 이수영, 최윤배에 의해서 발표되었고, “깔뱅의 영성”에 대한 연구는 전 숭실대학교 교수인 김영한 박사에 의해서 발표되었다. 깔뱅이 추구했던 성령론은 크게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깔뱅의 성령론은 첫쨰 성경적인 성령의 내적 증거이다. 둘쨰, 기독론 안에서의 구원론적 믿음이다. 셋째, 교회론적 은혜의 방편들(말씀, 성례, 기도)을 강조한다. 넷째, 삼위일체론적 성령이해이다. 다섯째, 종말론적 이웅은혜로서 칭의뿐만 아니라 성화를 똑같이 중요시하여 칭의와 성화를 조하하려고 했다. Does ‘Peneumatology’ have a “dogmatic position” for John Calvin? This question arises because the dogmatic system all reformed theologians generally construct include Introduction, Theology. Anthropology, Harmatology, Christolohy, Soteriolohy, Ecclesiology and Eschatology, but superficially exclude pneumatology. However, if we look at Calvin`s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as a whole, we can see that Pneimatology does not belong to any other category, but Calvin deals with it in detail directly and indirectly in Chapter 80 of The Institutes. Calvin is certainly, as in the words of B.B.Warfield of Princeton Seminary of USA, in reality the greatest theologian of the Holy Spirit. Calvin begins from the first book of The Institutes in writing the doctrine of the Scripture in a Pneumatological perspective, and Calvin`s most important theological standpoint is well apparent in his view of the scripture in his Pneumatolohy. According to Calvin “One who refuses to be a student of the scripture of to be illuminated by the Holy be Known by the illumination of the Holy Spirit and through the help of the Scripture.” (Institutes 1.14.1.) Calvin claims that just like when we become old or weak or through any other ailment our sight becomes poor we need the help of spectacles to see right, we must be guided by the Scripture to find God, otherwise we are so weak that we fall in to confusion. At the same time, Calvin emphasizes that the final evidence that the Scripture is the Word of God is in the internal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In other words Calvin expresses the opinion that “ to find the living Word of God and to know that Word has been personally sent to each man, there needs to be the inspirational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To put in another way, Calvin saw the “internal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as the best standard in finding “ the authority of the Scripture.” For Calv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ripture and the Holy Spirit” has an inseparable quality. Calvin always studie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within the Scripture, and does not project his own subjective world of experience. This is why he claims that “though it is right for man to investigates the works of God but for a greater good we must listen carefully to the words of the Scripture.” However in one hand he does not agree with identifying the Holy Spirit as the Word of God. He claims that the Holy Spirit only amplifies the written words of the Scripture and does not add new truths on top of the Scripture, and that it is indeed the Word of the Scripture that is the means of God`s grace to the believers in giving the illumination of the Holy Spirit. Calvin quotes the Scripture itself for his claimed doctrine. Calvin is certain that “the law and the prophets are not delivered according the will of man, but are doctrines that were written down through what the Holy Spirit made tell.” This is why Calvin believed the Bible was the school of the Holy Spirit. Also he tells us that “the auhors of the Bible are the tools, organs and transcribers of the Holy Spirit. Also he claims that “the Scripture is the Word of God revealed in human language” and concludes that “that Holy Spirit uses both oratorical rhetorics and crude and unsophisticated literary styles in the Scripture”.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eologians in like of Kim yung-Han, Kim jae-Sung, Byun Jong-Gil, Oh Young-Suck, Lee Su-Young, Rhee Jong-Sung, Lee Eun-Sun, Cho Bong-Geun, Chah Young-Bae, and Choi Yun-Bae(2010) have presented theses on “Calvin`s Pneumatology”. However, in summary we can categorize the Pneumatology Calvin pursued in 7 titles. Firstly, he concentrated in developing a Pheumatolohy that was thoroughly dependant on the Special Revelation of the Holy Scripture. Secondly, he considered the gift of faith in Christ as the great prerequisite to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irdly, he tried to explain in balance the Person of the Holy Spirit within the Trinity. Fourthly, he considered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just as important as the doctrine of of Sanctification and devised an agreement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Fifthly, he writes of the Means of Grace (Word, Sacraments, Prayer)in detail as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continually working in believers in their life with Church (spiritual community). Sixthly, he considered the togetherness with Christ as a perquisite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Lastly, he saw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s dynamic behind the entire Soteriology of ma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교회의 정치참여에 대한 신학적 성찰

        김영한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2 조직신학연구 Vol.16 No.-

        한국 경제는 1950-53년 한국전재에 의하여 폐허된 잿덤이에서 출발하여 세계12위권의 선진경제국의 문척에 들어서고 있으나 정치는 아직도 후진국의 수준에 머물러, 조선조의 파벌싸움보다 나아진 것이 별로 없다. 한국의 보수교회는 1970년 대까지 권력지향적 자세를 취한 것을 반성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 보수교회가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다. 일제의 신사참배가 강요되던 1938년에 주기철, 한상동 등을 중심한 신사참배 반대운동이 있었다. 1940년에 있었던 한국 보수장요교인들이 선언한 “ 장로교인 언약” 은 신사참배 거부운동을 위하여 작성된 것이다. 교회가 정치에 참여하는 것은 직접적인 참여가 아니라 정당을 간접적인 참여다. 정당은 기독교적인 성격과 인물로 구성될 수는 있으나 교회처럼 기독교 이름을 내걸 필요는 없다. 올바른 정치신학은 기독자의 양심에 근거하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불의와 불행과 부조리의 상화에 직면하여 고통을 겪고 거기에 대항해서 투쟁하는 기독교 신자의 시학적 반성이다. 정의로운 정치의 조건으로 다음 세가지를 말할 수있다. 정의로운 정치인, 바른 사회제도와 깨어 있는 국민의 의식이다. 세가지는 정의로운 정치문화를 창출하는 조건이다. 교회는 정당의 설립보다는 올바른 정치의식으로 훈련받는 지도자 일군을 배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회는 직법 정치에 참여 하는 것 보다는 교인들의 정치적 영성을 훈련하는 것이 요청된다.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Church Korean economy has been entering the threshold of advanced counry world ranking 12th place, beginning from the ash of destruction after Korea war 1950-53, however, politics has remained in the level of underdeveloped countries no better than lee-dynasty party struggle. Korean conservative church needs to have a remorse for having pro-power oriented attitude until 1970s. However, conservative church has not been always so. There were an opposing movement against the Shinto shrine worship by Joo, Kichol and Han, Sangdong etc. The Presbyterian covenant written by Korean conservative Presbyterians 1940 was proclaimed for the opposing the Shin shrine worship. The participation of the church to the politics is not a direct one but an indirect one through the party. The party can be composed by the Christian character and persons, but needs not to put the name of Christianity like church. A true political theology is a theological reflection of Christian facing the social injustice and corrupt structure and fighting against them, based on the Christian conscience We can say three as the condition of the just politics: just politicians, right political system and awakening consciousness of citizens. These three constitute the just political culture. The church nee to incubate the groups of the political leaders enable to practice the right political mind rather than directly building a political party. The church needs to train a right political spirituality rather than participating in the politics.

      • KCI등재

        이근삼(李根三, 1923-2007)과 기타모리 가조(北森加藏, Kitamori Kazoh, 1916-1998)의 기독론 비교 연구: 그리스도의 고난을 중심으로

        이신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4 조직신학연구 Vol.47 No.-

        본 논문은 이근삼과 기타모리 가조의 기독론을 그리스도의 고난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비교하는 글이다. 이근삼은 고신대학교의 초대 총장을 역임한 개혁주의 조직신학자로서 그의 기독론은 경륜적 삼위일체론의관점에서 정통 개혁주의적 입장을 표방한다. 그리스도의 사역으로서 그의 고난 이해는 고난의 육체적 차원보다는 정신적이고 영적인 차원이 더강조되는데 특히 이근삼은 그리스도의 죄에 대한 관여라는 주제와 그의고난을 관련시켜 이해한다. 기타모리는 일본의 루터파 신학자로서 하나님의 고통의 신학 (1946) 을 집필했는데 이 단행본에 나타난 그의 기독론은 삼위일체적 관점보다는 하나님의 내재적 본질로서 그의 고통에 근거한 것인데 이는 삼위일체론에 대한 그의 부정과 관련된다. 이런 신론적 기초는 그리스도의 고난이 그의 기독론 구상에 전 포괄적인 주제로 자리 잡도록 이끌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스도의 고난과 관련된 두 신학자의 견해 차이는 주로 역사적 예수라는 주제로 집결되는데 이근삼은 역사적 예수를 고등비평에 근거한 예수에 대한 재해석에 대해서 부정적 입장을 취하고 위로부터의 기독론이라는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그의 고난을 역사적사실로 수용한다. 이와 달리 기타모리는 역사적 예수를 인정하고 이를 하나님의 고통이라는 관점으로 독특하게 해석한다. 달리 말하면, 기타모리에게 역사적 예수는 하나님의 고통에 대한 현실화 또는 실현으로 나타나며, 예수는 단지 역사 속에 실존했던 인간으로 표현된다. This article compares christologies of Kun Sam Lee and Kazoh Kitamori regard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ffering of Christ. Kun Sam Lee, a systematic theologian, the first President of Kosin University, holds an orthodox Reformed position on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conomic Trinity. His understanding of the suffering of Christ is focused more on the mental/spiritual aspect of suffering than the physical. Especially Lee connects the theme of Christ’s intervention with sin to concept of the suffering of Christ. Kazoh Kitamori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presentatives of Japanese Lutheran theology and known for his Theology of the Pain of God (1946). His christology had not been constitu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which he denied, but from the concept of the pain of God as his inner essence. His particular doctrine of God had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the suffering of Christ as the overarching concept in his christology. Regarding the suffering of Christ, main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ologians converge in the subject of historical Jesus. Lee takes negative attitude towards historical Jesus, originating from the higher criticism of Scripture and thus accepts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suffering of Christ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Kitamori, on the contarary, acknowledges historical Jesus while interpreting him in terms of the pain of God. In other words, he is expressed as a realization or actualization of the pain of God and considered Jesus as a mere human being who existed i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