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역사적 접근에서 구약 신학으로: 발터 아이히로트의 방법론적 전환

        안석일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19 구약논집 Vol.14 No.-

        이 글에서 저자는 발터 아이히로트(Walther Echrodt)의 구약 연구 방법론이 어떻게 역사적 방법에서 구약 신학으로 옮겨가게 되었는지를 추적한다. 저자는 아이히로트가 이런 생각을 가지게 된 역사적인 배경으로 게블러(Gabler)의 성경 신학의 유산, 프록쉬(Otto Procksch)의 영향, 아이스펠트(Otto Eissfeldt)에 반대하는 방법론, 그리고 그 시대 횡행한 역사 방법의 문제점 인식을 차례로 살핀다. 그런 다음 아이히로트의 구약 연구 방법론으로 횡단적(cross-sectional) 접근과 그의 구약 신학의 핵심 개념인 언약을 살핀다. 저자는 아이히로트가 하나의 개념으로 구약 신학 전체를 설명하려는 시도가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가 구약 연구에 기여한 부분은 과소평가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아이히로트 이전의 많은 학자들이 구약 연구에서 역사적인 차원만 강조했기 때문이다. 이전의 구약 연구의 경향과는 구별되는 방식으로 아이히로트는 횡단적 방법을 사용하여 언약을 강조하며 자신의 구약 신학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의 구약 신학은 이후의 구약 연구에 분명한 기여를 했다. The author in this article traces how Eichrodt’s method has shifted from historical approach to OT theology. The author explains Eichrodt’s historical background, including Gabler’s legacy of biblical theology, the influence of Otto Procksch, his method against Otto Eissfeldt’s, and the methodological problem of the history of religions. After dealing with Eichrodt’s cross-sectional approach and his central concept of covenant in his OT theology, the author argues that even though Eichrodt’s attempt to explain the OT theology as one concept has its drawback, Eichrodt’s contribution cannot be underestimated. Many scholars before Eichrodt only emphasized the historical dimensions in OT studies. Distinguishing his method from the previous trends, however, Eichrodt carried out his OT theology in a cross-sectional way. In this respect, Eichrodt has manifestly contributed to the subsequent studies of the OT.

      • KCI등재후보

        고대 근동과 구약의 우주 지형도 비교 연구: 하늘, 땅, 지하세계를 중심으로

        이희성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0 구약논집 Vol.17 No.-

        This study explores cosmology of the ANE and the Old Testament. As the cosmology reflects how humanity see and imagine the physical form and structure of the surrounding universe, it demonstrates the world view of the contemporary people. Mesopotamians, Egyptians, Canaanites, and Israelites commonly shared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universe with three layers. The upper layer is the heaven, the middle is the earth, and the lower is the netherworld. The heaven is the dwelling place of the gods according to their hierarchical structure. The sky regarded as firmament contains sun, moon, stars. The ANE people recognized that the earth is like a flat disk shape and their dwelling territory is the center of the earth. The ANE people thought that there are netherworld under the earth where the deceased go down. The OT description of the cosmic geography is similar to that of the OT. The OT depicts the shape of the heaven as firmament(Gen 1:7,14,15), the dwelling place of God(Ex 24:10), the vaulted heavens (Job 22:14). The earth has a flat disc shape and is described as the foundation upon the water(Ps 24:2), the pillar of the earth (Job 9:6-7), its cornerstones (Job 38:4-6). The descriptions regarding the netherworld are the realm of the death below(Deut 32:22), going down alive to Sheol(Ps 55:15), the place where the deceased remain. While the cosmic geography of the OT is similar to that of the ANE,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ANE cosmology describes the structure of the universe with its relationship to the polytheistic perspective. However, the OT describ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notheism that the one God, the creator, governs the universe. The OT attempts to challenge and transform the world view of the surrounding nations with the unique theological ideology. The modern interpreters should be aware of the ideology and world view of the ANE in oder to acquire the mature understanding of the biblical text and interpret it properly. Furthermore, they should suggest the unique theological message of the OT to challenge and transform the world view and culture of this world. 본 연구는 구약과 고대 근동의 우주 지형도를 비교 연구한 것이다. 우주 지형도는 사람들이 주변 세계의 물리적 형태와 구조를 어떻게 인식했고 상상했는지를 드러내 주기에 그 시대 사람들의 세계관을 반영한다. 메소포타미아인, 애굽인, 가나안인, 그리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우주의 구조를 세 가지 층으로 이해했다. 우주의 상층부는 천상, 중간에는 지구, 하층부에는 지하세계가 있다고 생각했다. 고대 근동인들은 하늘에는 각 신들이 위계질서에 따라 거주하는 위 하늘과 태양, 달, 별과 같은 천체들이 있는 아래 하늘을 구분하였다. 또한 지구의 형태를 평평한 디스크 모양으로 인식했고 자신들의 지역을 지구의 중심이며 수도라고 여겼다. 고대 근동인들의 우주 지형도에는 죽은 자들이 가는 장소인 지하세계가 땅 아래에 위치했다고 생각했다. 구약은 고대 근동의 우주 지형도와 유사한 기술을 한다. 하늘의 모양을 여러 층이 있는 궁창(창 1:7, 14, 15), 하나님이 거하시는 곳(출 24:10), 둥근 하늘(욥 22:14), 천막(사 40:22)과 같은 용어로 묘사한다. 땅의 모양은 평평한 디스크 형태이며 그 터를 바다 위에 세우심(시 24:2), 땅의 기둥 (욥 9:6-7), 땅의 기초들과 모퉁잇돌(욥 38:4-6)로 기술한다, 지하세계에 대해서는 스올의 깊은 곳(신 32:22), 스올에 내려감(시 55:15)과 같이 죽은 자들이 거주하는 장소로 소개한다. 성경의 우주 지형도 묘사는 고대 근동인들의 것과 상당한 유사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관찰한 우주 지형도는 고대 근동인들의 다신론적 사상과는 전혀 다른 유일신 사상과 절대자 하나님의 창조와 주권을 드러낸다. 구약 성경은 고대 근동의 우주 지형도와는 차별화된 신학적 사상으로 주변 민족들의 세계관의 변혁과 도전을 도모했다. 오늘날 성경 해석자들은 칼빈의 계시 적응 사상의 원리에 성경 당대의 문화와 세계관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견고한 본문의 주해를 통해 구약이 말하는 독특한 신학적 메시지를 세상 나라의 세계관과 문화 변혁과 도전을 위해 제시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역사서 치유기사의 중심주제

        유선명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2 구약논집 Vol.22 No.-

        Despite the diversity of the characters, diseases and patterns of healing they narrate, the healing narratives in the Old Testament historical books reveal the centrality of prayer by the human agent in those incidents. Numerous studies of these stories focus on the ‘supernatual’ origin, the process and veracity of those reports. Such lopsided approach neglects the fact that most healing narratives, apart from those of sickness resulting from sin and healing infertility, emphasize that healing results from prayer. An emic approach in exegesis that would pay due respect to the role and efficacy of prayer will help revitalize biblical theology true to its historic root. 구약 역사서의 치유기사들은 다루는 인물과 질병, 치유양상의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치유자’를 제의의 집행이나 초자연적 능력의 행사를 통한 치유의 주체자이기보다는 하나님의 치유를 수행하는 매개자로 이해하는 시각을 공유한다. 그러나 구약성경의 치유사건을 다룬 기존의 연구 다수는 치유를 곧 ‘신유’로 자동 환치하거나 역으로 기적의 가능성을 부인하여 치유기사의 사실성을 최소화하는 접근법을 취한다. 이처럼 치유기사 자체의 서사구조에 주목하는 대신 치유의 ‘초자연적’ 성격에 관한 논의에 함몰되는 해석학적 편향성의 결과로 죄의 심판으로서의 득병(발병)과 난임의 해소 유형을 제외한 일반적인 치유기사들이 기도의 응답으로서의 치유를 드러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는 사실이 가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역사서의 대표적 치유기사들이 치유의 주체가 하나님이며 하나님의 초자연적 역사가 통상적 수단을 배재하지 않음을, 그리고 치유 서사의 주 관심사가 기도와 응답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치유기사의 해석작업이 본문의 주 관심사인 기도의 역할과 효능에 주목할 때 정경적 의도에 충실한 성경해석의 수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역대기의 모형론이 지닌 의미와 기능

        안석일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0 구약논집 Vol.18 No.-

        The Chronicler emphasizes both the tradition of Old Testament covenants and the tradition of worship places, by describing typologically Old Testament events such as Abraham’s worship, Moses’ construction of the tabernacle, and Solomon’s construction of the temple. The Chronicler's restatement of the Judean history is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post-exilic community as God's covenant people in the post-exilic period. The post-exilic community would want to know if they are still God's covenant people. They knew that it was God's grace to return to their homeland from Babylonian captivity, but the post-exilic community would once again want to reaffirm their identity as God's covenant people. The Chronicler would feel the need to explain Israel's covenant tradition and the tradition of worship places, and he employed typologies, in retelling of the Judean history, to emphasize that the covenants and the worship places have the continuity with the post-exilic community. It was very important for the post-exilic community to remember the worship tradition of Israel and to assure the presence of God in their worshiping community. This is because without the presence of God, the restoration of Israel is far away. Therefore, the worship of the post-exilic community in the rebuilt temple becomes a channel for the glorious restoration of Israel,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presence of God. In this way, when the post-exilic community understand that they have the continuity of the Old Testament covenants and the worship places, and seek the covenantal God through the temple worship, they would be able to reestablish their identity as the covenant people and expect a restored future. 역대기 저자가 구약의 아브라함과 모세의 성막 건축과 솔로몬의 성전 건축과 같은 사건들을 모형론적으로 사용하여 강조하는 것은 구약의 언약 전통과 예배 처소의 전통이다. 저자가 남 유다 역사를 재진술하는 것은 포로 후기 시대에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의 유다 공동체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포로 후기 공동체는 여전히 자신들이 하나님의 언약 백성 인지 알고 싶어 한다. 바벨론 포로 생활에서 자신들이 고향 땅으로 귀환하게 된 것이 하나님의 은혜라는 것을 알았지만, 포로 후기 공동체는 다시금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의 자신들 을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싶었을 것이다. 저자는 이스라엘의 언약 전통과 예배 처소에 대한 전통을 설명할 필요를 느꼈으며, 이에 남유다 역사를 재진술하는 가운데 모형론을 사용하여 언 약과 예배 처소가 포로 후기 공동체와 연속성을 지닌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포로 후기 공동체가 이스라엘의 예배 전통을 기억하고 예배 공동체로서 하나님의 임재를 확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하나님의 임재하심이 없이는 이스라엘의 회복은 요원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로 후기 공동체의 재건된 성전에서의 예배는 영광스로운 이스라엘의 회복을 가져오는 통로가 되며, 가장 중요한 요소는 하나님의 임재인 것이다. 이처럼 포로 후기 공동체가 구약의 언약과 예배 장소와 연속성을 지닌다는 것을 이해하고, 성전 예배를 통해 언약의 하나님을 찾을 때, 언약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회복된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구약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이미지로서의 물

        송승인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0 구약논집 Vol.17 No.-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the image of water in the Old Testa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 Although water image in the Old Testament is associated with various themes or motifs, such as life or salvation, judgment, chaos, the Spirit, eschatological temple, human words or wisdom, purification, and living water,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that water is used as an image of the Spirit. For this claim, I offer three grounds. First, Old Testament writers often use the language of “pouring out” in describing God’s giving of the Spirit (Joel 2:28-29; Isa 32:15; 44:3-4). Second, water and the Spirit are sometimes mentioned together in the Old Testament (Ezek 36:25-27; Isa 44:3-4). Finally, in the writings of the prophets (Ezek 36:25; Zech 12:10-13:2; Isa 4:4), water and the Spirit perform two identical functions: cleansing sin and removing idols.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구약성경에서 물 이미지가 성령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고 제안한다. 구약 성경에서 물 이미지는 생명 혹은 구원, 심판, 혼돈, 성령, 종말론적 성전, 인간의 말 혹은 지혜, 정결, 생수와 같은 다양한 주제 혹은 모티프와 연관되는데, 본 연구는 이 여러 가지 가능성 중 물이 성령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사용된 경우에 집중한다. 이 주장에 대해 필자는 다음 세 가지 근거를 제시한다. 첫째, 구약의 저자들은 자주 하나님께서 성령 주심을 묘사할 때 “부음”의 언어를 사용한다(엘 2:28-29; 사 32:15; 44:3-4). 둘째, 구약성경에서 물과 성령은 때로 함께 언급된다(겔 36:25-27; 사 44:3-4). 마지막으로, 선지자들의 글에서(겔 36:25; 슥 13:1-2; 사 4:4) 물과 성령은 죄를 정결케 함과 우상들을 제거하는 두 가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 칼빈의 이사야 주석에 나타나는 구속사적 해석: 사 61:1-3을 중심으로

        박덕준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18 구약논집 Vol.13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meaning and redemptive-historical or Christo-centric meaning in the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For this purpose, it investigates Calvin’s interpretation of Isaiah 61:1-3 in his commentary. Based on Luke 4:17-21, Calvin’s contemporaries including Luther interpret this passage as directly applying to Christ and the church. In comparison, Calvin makes it clear that historically this passage is concerned with the prophet Isaiah and the Israelites in Babylonian exile, and, at the same time, that typologically it points forward to Christ and the church. Likewise, in other messianic prophecies such as Isaiah 9:1-7; 11:1-9; 52:13-53:12, Calvin respects each passage’s literary and historical context and, simultaneously, stresses the ultimate locus of meaning in Christ’s work and the church. This type of interpretation has its basis on the presupposition that the Bible including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is a unified God’s revelation, Christ being its climax. In this interpretation, Calvin defines Isaiah’s audience as “the Church of Christ” or “the Kingdom of Christ,” which includes the believers in the New Testament age as well as the Israelites in Isaiah’s days; this facilitates Calvin to apply the message found in the Old Testament to his contemporaries. In his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themes and metaphor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For example, he connects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by means of the theme of “captivity and liberty” (Isa 61:1; John 8:36) and the metaphor of the “tree of righteousness” (Isa 61:3; 1 Cor 3:7). This shows that Calvin’s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is not merely a dogmatically oriented operation but also a literarily sensitive one, which explores a theological connection reflected in recurring themes and metaphors in the Bible. 본고는 구속사적 해석에 있어서 역사적 의미와 구속사적 또는 그리스도 중심적 의미의 관계를 탐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칼빈이 이사야 주석에서 61:1-3을 어떻게 주해하는지 고찰한다. 누가복음 4:17-21을 근거로 루터를 비롯한 당대의 주석가들은 이 구절을 직접 그리스도와 교회에 적용한데 반해, 칼빈은 이 구절이 역사적으로는 이사야 선지자와 바벨론 유수 중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에 관한 것이라는 점을 명시하고 동시에 모형론적으로 그리스도와 교회에 대한 예언임을 밝힌다. 이사야의 다른 메시아 예언들에 있어서도(9:1-7; 11:1-9; 52:13-53:12) 칼빈은 구약 각 구절의 문학적, 역사적 맥락을 중시하면서도 동시에 그리스도의 사역과 교회에 그 예언들의 궁극적인 의미가 있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칼빈의 해석은 신구약을 포함한 성경이 하나님의 계시이고 그리스도가 그 계시의 정점이라는 전제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해석에서, 칼빈은 이사야의 선포의 대상을 선지자 당대의 이스라엘 백성으로부터 신약의 성도를 포함하는 “그리스도의 교회” 또는 “그리스도의 왕국”으로 확장함으로써 구약의 메시지가 칼빈의 회중에게 용이하게 적용되도록 한다. 칼빈의 구속사적 해석에 있어서, 주제와 은유는 신구약의 연결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칼빈이 ‘갇힘과 자유함’(사 61:1; 요 8:36)이라는 주제와 ‘의의 나무’(사 61:3; 고전 3:7)라는 은유를 통해 신구약을 연결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의 구속사적 해석이 단순히 교리적인 작업이 아니라 신구약에 반복되어 사용되는 주제와 은유에 담긴 신학적 연관성을 탐구하는 문학적인 작업이기도 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이사야서에 나타난 여호와의 영이 행한 사역의 목적:메시아 사역자 본문(11:1-5, 42:1-4, 61:1-3)을 중심으로

        최윤갑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19 구약논집 Vol.15 No.-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offer a contribution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theological role of Yahweh’s Spirit in the Book of Isaiah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essianic passages, where the Spirit is poured upon the Messianic king(11:1-5, 32:15-20), the servant(42:1-4), and the servants(61:1-11). Since the beginning of the last century, due to its theological importance, the increasing numbers of the biblical scholars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both the Hebrew term ר֣וּחַ and Spirit in the Old Testament from the linguistic, thematic, and theological dimensions.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emphases and approach, scholars have exhibited a shared sense of concern with the task of providing a clear-cut contour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identity, ministry, and promise of the Yahweh’s Spirit in the Old Testament. While the overall content of these studies have much to be commended, however, there is still lacking an integrating principle or framework which explains the purpose of Yahweh’s ministry in the Old Testament. Thus, the task of better understanding the pneumatology of the Old Testament is compelling and may require a new paradigm of our understanding of the ministry of the Yahweh’s Spirit in that period. In this respect, we will attempt to explore the ministry of Yahweh’s Spirit in the Book of Isaiah in this study with the particular reference to the messianic passages where Yahweh’s Spirit is to be poured upon the messianic agents-king, servant, and servants. This endeavor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pneumatology of the Old Testament by providing us a proper and integrating viewpoint on the theological role and purpose of the ministry of Yahweh’ Spirit in the Old Testa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consists of four major sections. In the section I, we will review the scholarly opinions regarding the term, theme, and theology related with Yahweh’s Spirit in the Old Testament, and then see the scholarly context and void this study would fill. The section II will explicate the ministry of Yahweh’s Spirit upon the messianic agents in the Book of Isaiah and take into account the thematic pattern the Spirit acts upon the messianic agents in a way to create and cultivate the righteousness in the Israelite community and society. In the section III, we will discuss how the righteousness produced by the Spirit-empowered agents works to establish Yahweh’s rulership, more broadly his Kingdom, in the midst of Israel. Finally, based on these explorations and observations, we will argue that the theological role of the ministry of Yahweh’s Spirit is to embody and establish the rulership of Yahweh, namely, the his Kingdom within the people of Israel in the Book of Isaiah. 본 논문은 이사야서에 나타난 여호와의 영이 행한 사역의 주된 목적이 무엇인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별히 논자는 여호와의 영이 메시아 사역자들을 통해 시온 백성과 열방 가운데 성취한 변화와 회복을 유심히 살핌으로써, 그 영이 행하였던 사역의 목적을 살피도록 하겠다. 지난 세기 초부터, 점점 더 많은 학자가 언어적, 주제적, 그리고 신학적 관점에서 구약 성경에 묘사된 여호와의 영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비록 다른 강조점과 접근 방식에도 불구하고, 그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구약 시대에 활동하였던 여호와의 영의 정체성, 활동, 그리고 약속을 규명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양한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구약에 여호와의 영이 성취하였고, 장차 종말의 때에 성취할 사역의 목적을 규명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다시 말해, 구약에 묘사된 여호와의 영이 행한 사역의 통합적인 해석의 틀(framework)을 밝히는 것은 성령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논자는 여호와의 영이 이사야서의 메시아 사역자들을 통해 성취한 사역을 깊이 있게 주해하고 분석함으로써, 이사야서와 구약에서 여호와의 영이 행한 사역의 주된 목적을 논하겠다. 이상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고는 크게 세 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 단계에서 논자는 학자들이 이사야서에 나타난 여호와의 영을 어떻게 연구하였는지 설명할 것이다. 이 단계에서 독자들은 이사야서에 묘사된 여호와의 영과 관련한 연구사를 살피고, 아울러 본고가 보완할 부분을 발견할 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 논자는 이사야서에 메시아 사역자들이 등장하는 세 본문- 11:1-5, 42:1-4, 그리고 61:1-3–을 상세하게 주해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독자들은 여호와의 영과 관련하여 이사야서가 전달하는 뚜렷한 주제의 패턴(thematic pattern)-여호와의 영, 사역자, 그리고 공의와 정의-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여호와의 영이 시온 공동체와 열방 가운데 성취할 공의와 정의가 궁극적으로 여호와의 다스림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논할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논자는 결론적으로 이사야서에서 여호와의 영은 이스라엘 공동체와 열방 가운데 여호와의 다스림을 굳건히 확립함으로써, 그의 통치와 나라를 세우는 사역을 감당하였음을 논증할 것이다. 아울러 이것은 그가 구약에서 행한 사역의 중심된 목적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모세오경에 나타난 톨레도트 양식 (Toledot Formula) 연구

        강화구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19 구약논집 Vol.14 No.-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Toledot Formula in the Pentateuch. The formula, which represents the expression “These are the generation of ~”, has been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Genesis scholarships for a long time. The Hebrew word ‘Toledot’ itself occurs 39 times in the Old Testament, whereas the formula only occurs 13 times in the Old Testament, particularly 11 times in Genesis. Not surprisingly, this formula is a significant express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the main thematic stream of Genesis. It is possible to categorize the formula into three: the Toledot formulae followed by narrative or genealogy, Segmented or Lineage Toledot, and Independent or Coordinate Toledot. By exploring these featur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Toledot formula is a crucial function to establish the proper structure of Genesis and that the formula makes us focus on the main theme, that is, the promised seed. In addition, this study expands its concern to the Pentateuch. In doing so, we are asked why the author of the Pentateuch uses this special expression in Numbers 3:1 once more.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author intended to narrow focus from Creation, Adam, Noah, the Patriarchs, and the twelve tribes of Israel to Aaronic priesthood by using the specific Toledot formula. The life of Israelites, therefore, placing the tabernacle among their center can be considered as a fulfillment of the mission in Eden, which is given to the first humanity, Adam and Eve. In addition, this study expands its concern to the Pentateuch. In doing so, we are asked why the author of the Pentateuch uses this special expression in Numbers 3:1 once more.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author intended to narrow focus from Creation, Adam, Noah, the Patriarchs, and the twelve tribes of Israel to Aaronic priesthood by using the specific Toledot formula 12th time. The life of Israelites, therefore, placing the tabernacle among their center can be considered as a fulfillment of the mission in Eden, which is given to the first humanity, Adam and Eve. 본 논문은 오경 안에 나타나는 톨레도트 양식 (Toledot Formula)를 연구한다. 톨레도트 양식은 구약성경에서 일반적으로 “이것은 ~의 족보니라”라고 번역될 수 있는 히브리어 표현을 일컫는다. 히브리어에서 족보를 뜻하는 톨레도트라는 단어 자체는 총 39회 나타나지만, 이 톨레도트 양식은 구약 성경에서 13회, 그리고 창세기에서만 11회 사용된다. 창세기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표현이 바로 톨레도트 양식이다. 이 글에서 톨레도트 양식은 세 가지 일반적인 특징으로 규정된다. 첫째, 톨레도트 양식이 이야기 단원을 가져오는 것과 족보 단원을 가져오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족보는 직계와 방계로 나눌 수 있다. 셋째, 접속사 바브를 포함하는 등위절과 바브가 없는 독립절로 나눌 수 있다. 이런 구문론적인 특징을 통해 본 논문은 창세기의 구조를 재구성하는데 있어서 톨레도트 양식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창세기의 주요 주제인 약속의 후손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는 점을 논증한다. 여기에 더해 이 논문은 창세기의 주요한 구조적 특징인 톨레도트 양식이 민수기 3:1에서 다시 등장하는 이유와 그 의도에 대해 질문한다. 이를 통해 오경 전체에서 저자는 12번의 톨레도트 양식을 사용하면서 창세기의 창조로부터 시작되었던 이야기가 아담과 노아, 족장들과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그리고 최종적으로 아론의 대제사장 직분을 통해 완성되고 있다는 사실을 본 논문은 주장한다. 결국 제사장을 중심으로 하나님을 예배하는 예배 공동체는 에덴에서 아담과 하와에게 주셨던 인류의 사명을 재확인하고 살아가도록 요구한다.

      • KCI등재

        출애굽기 21:12-14과 함무라비207조의 살인죄에 관한 법의 상관성과 그 의미

        곽은성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3 구약논집 Vol.25 No.-

        1903년 프리드리히 델리취의 ‘Babel und Bibel’(바벨탑과 바이블) 강연으로 인해 고대 이스라엘과 고대 근동의 언어,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특히 1901년에 발견된 함무라비 법전(the Law of Hammurabi)과 언약 법전(Covenant Code: 출 20:23-23:19) 사이의 유사성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는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최근 라이트(David P. Wright)는 언약 법전이 함무라비 법전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출애굽기 21:12-14와 함무라비 207조의 살인죄에 관한 법에 초점을 맞추어 두 법전 사이의 상관성과 그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먼저 두 법전의 살인죄에 대한 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관찰하고 이 점들을 고대 근동의 다른 민족의 살인죄에 관한 법들과 비교할 것이다. 두 법전 사이의 유사한 점이 고대 근동의 타민족의 살인죄에 대한 법에도 나타나고 있음을 밝히고, 두 법전 사이의 유사한 점이 의미하는 바가 언약 법전이 함무라비 법전에 대한 직접적인 의존이라고 하기 보다는 고대 근동의 공통된 문화 혹은 관습법에 의한 것임을 강조할 것이다. 언약 법전이 함무라비 법전으로부터 구별되는 점이 의도치 않은 살인죄에 대한 처벌인데, 민수기 35장과 신명기 19장에 등장하는 의도치 않은 살인을 한 자의 보호를 위해 피할 수 있는 장소(מקום)를 마련하는 법과 관련하여 구약성서에 의도치 않은 살인죄에 대한 처벌에 일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이러한 독특한 구약 성서의 살인죄에 대한 이해는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에 기초한 ‘피’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있음을 논할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 부분이 다른 함무라비 법전 뿐만 아니라 다른 고대 근동의 법과도 차이가 나는 언약 법전의 독특한 신학임을 피력할 것이다. 이를 근거로 언약 법전이 함무라비 법전에 대한 직접적인 의존성을 입증 할 수 없음을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하나님 나라와 언약관점으로 본 시편 신학연구

        이성혜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1 구약논집 Vol.19 No.-

        In the study of psalms, researches on the unity of the psalms by classification of genre and structure of psalms brought active development of psalm studies through various attempts by many scholars. The genre division of each psalm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salm, but it does not present the main theological themes that appear in each psalm. Therefore, it would also be a significant work to look at the emphasis of each psalm and how each psalm is connected and oriente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ology of Psalms through "The Kingdom of God and the Covenant" among the unified theological themes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Old Testament theology. In general, Old Testament theology organizes 'the kingdom of God' and 'theology of the covenant' into independent theological themes. However, in this study, rather than seeing these main topics of biblical theology individually, I would like to see how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 kingdom of God and covenant" and present theology of Psalms in this context.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mes of Kingdom of God and covenan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Old Testament, and then see how the elements of Kingdom of God (king/sovereignty, people, land/meeting place) and elements of covenant are revealed in the Psalter.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the theology of Psal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Covenant" through a study on "Psalms of Ascents" (Psalm 120-134). In this study, I aim to contribute to the study on unity of Psalms and connectivity in theological messages that the unified theme of "Kingdom of God and the covenant" in the psalms. 시편연구에 있어서 장르별 구분과 시편 구조적 제안들로 시편 통일성에 대한 제안들이 다양한 학자들을 통한 여러 시도들을 통해 시편연구의 활발한 발전을 가져왔다. 시편이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각 시편의 장르별 구분들이 시편이해에 기여하는 바는 크지만, 각 시편에서 나타내는 주요한 신학적 메시를 제시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각 시편이 어떤 강조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서로 연결되고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는 연구라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구약신학의 발전 속에서 통일된 신학적 주제들 중에서 “하나님의 나라와 언약“ 을 통해 시편신학을 살펴보고자한다. 일반적으로 구약신학에서는 ‘하나님의 나라’와 ‘언약신학’을 각각 독립된 신학적 주제로서 입장들로 정리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성경 신학의 이 주요한 주제가 개별적으로 독립된 것으로 보기보다는 “하나님의 나라와 언약적 관점”에서 서로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고, 이 맥락에서 시편신학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나라와 언약에 관한 주제가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다음 시편 속에 나타난 하나님나라의 요소(왕/주권, 백성, 땅/만남장소)과 언약적 요소들을 이 시편에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보고자한다. 그리고 시편의 표제들을 통해 드러나는 시편의구성적 접근과 하나님나라와 언약과의 상관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 (시 120-134편)연구를 통해 ‘하나님나라와 언약’신학에 대해 살펴보고자한다. 이 연구를 통해 시편의 신학이 전체 구약 안에 흐르는 “하나님나라와 언약‘ 이라는 통일된 주제들과 연결성을 가지는 신학적 메시지 속에 시편의 구성적 통일성과 연결성을 가진 시편신학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