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복합재난을 고려한 원자력시설 사고대비 방재계획 수립방안

        신지훈(Jihoon Shin),박윤원(Younwon Park),김승현(Seunghyeon Kim),차민호(Minho Cha),유민상(Minsang Ryu) 한국방재안전학회 202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6 No.4

        By the social advancement, radiological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is getting important considering complex disasters as in the Fukushima radiological disaster occurred by a chain of natural disasters. However, it has yet to be suggested the specific prevention plans for the complex disasters in the field of national radiological disaster preven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of complex disasters in order to select the ones that are relatively more likely to occur in the domestic environment. It is also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radiological disaster prevention by searching damage spread of the classified natural disasters. We provides the necessary criterial for establishing disaster prevention plans through the scenarios for radiological emergency responses based on complex disasters. it is thought that these criteria can help prepare for the worst case scenario and implement effective resident protection. 현대사회가 고도화되고, 후쿠시마 원전사고 역시 자연재난의 연쇄적인 영향으로 인해 발생함에 따라 복합재난을 고려한 방재계획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방사능방재 분야에서 복합재난을 고려한 구체적인 방재계획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난의 유형을 분석하여 국내 환경에서 비교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유형을 선정하고, 자연재난 유형별 피해확산이 방사능방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복합재난을 고려한 방사능방재 시나리오를 통해 방재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준들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기준은 최악의 상황 대비에 활용한다. 이는 실효적인 주민보호조치를 결정하고 이행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국내 지역안전도 평가의 개선방안 연구

        김용문 한국방재안전학회 2021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4 No.4

        This study trie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y discovering problems or matters requiring improvement among the annual regional safety evaluation systems. Briefly introducing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study, which is the introduction, describes the regional safety evaluation method newly appli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2020. Utilization plans were also introduced according to the local safety level that was finally evaluated by the local government. In this paper, various views of previous researchers related to regional safety are summarized and described. In addition, problems were drawn in the composition of the index of local safety,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index, and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index. Next, the problems of specific regional safety evaluation indicators were analyzed and solutions were presented. First, “Number of semi-basement households” is replaced with “Number of households receiving basic livelihood”of 「Social Vulnerability Index」 in the field of disaster risk factors is replaced with “the number of households receiving basic livelihood”. In addition, the “Vinyl House Area” is evaluated by replacing “the number of households living in a Vinyl House, the number of container households,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in Jjok-bang villages” with data. Second, in the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habitual drought disaster areas, local governments with a water supply rate of 95% or higher in Counties, Cities, and Districts are treated as “missing”. This is because drought disasters rarely occur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governments that have undergone urbanization. Third, the activities of safety sheriffs, safety monitor volunteers, and disaster safety silver monitoring groups along with the local autonomous prevention foundation are added to the evaluation of the evaluation index of 「Regional Autonomous Prevention Foundation Activation」 in the field of response to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However, since the name of the local autonomous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local government, if it is an autonomous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 organized and active for disaster prevention, it would be appropriate to evaluate the results by summing up all of its activities. Fourth, among the Scorecard evaluation items, which is a safe city evaluation tool used by the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UNDRR), the item “preservation of natural buffers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functions provided by natural ecosystems” is borrowed, which is closely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The Scorecard evaluation is an assessment index that focuses on improving the disaster resilience of local governments while carrying out the campaign “Creating cities resilient to climate crises and disasters” emphasized by UNDRR. Finally, the names of “regional safety level” and “local safety index” are similar, so the term of local safety level is changed to “natural disaster safety level” or “natural calamity safety level”. This is because only the general public can distinguish the local safety level from the local safety index. 본 연구는 매년 실시되는 지역안전도 평가제도중 문제점이나 개선을 요하는 사항들을 발굴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구성 및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서론인 도입부에서는 2020년도에 행정안전부에서 새롭게 적용한 지역안전도 평가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지자체에서 최종 평가받은 지역안전도 등급에 따른 활용 방안도 소개하였다. 본론에서는 지역안전도 관련 선행 연구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요약 기술하였다. 또한 지역안전도의 지표구성, 지수 산출 방법, 현행 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재해위험요인 분야의 「사회적 취약성 지표」 “반지하 가구 수”는 “기초생활 수급자 가구 수”로 대체한다. 또한 “비닐하우스 면적”은 “비닐하우스에 거주하는 가구 수, 컨테이너 가구 수, 쪽방촌 가구 수” 등을 합한 자료로 대체하여 평가한다. 둘째, 상습 가뭄재해지역 관리 평가부문은 시군구의 상수도 보급률이 95% 이상인 지자체는 “결측” 처리한다. 수도권 및 도시화가 이루어진 자치단체에는 가뭄재난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방재대책추진 대응분야의 「지역자율방재단 활성화」 평가지표 내용에 지역자율방재단과 더불어 안전보안관, 안전모니터봉사단, 재난안전 실버감시단 등의 활동도 평가에 추가한다. 다만 각 지자체 마다 지역자율 방재조직의 명칭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재난 예방을 위해 조직되어 활동하는 자율 방재조직이면, 그 활동 실적을 모두 합산하여평가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넷째, 유엔재해위험경감사무국(UNDRR)에서 사용하고 있는 안전도시 평가도구인 스코어카드 평가항목 중 자연재난과 연관이 깊은 “자연생태계가 제공하는 보호기능 강화를 위한 자연 완충재 보존”항목을 차용한다. 스코어카드 평가는 UNDRR에서 강조하는 “기후 위기와 재해에 강한 도시 만들기”라는 캠페인을 전개하면서 지자체의 재난 복원력(resilience)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평가 지표이다. 끝으로 “지역안전도”와 “지역안전지수”명칭이 유사하여 지역안전도의 용어를 “자연재난 안전도” 또는 “자연재해 안전도”라는 명칭으로 변경한다. 그래야만 일반인 누구나 지역안전도와 지역안전지수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재난환경변화에 대응한 인적재난 R&D중장기 로드맵 수립 기획연구

        이태식(TaeShik Lee),석금철(GeumCheol Seok),안재우(JaeWoo An),송철호(CheolHo Song),정종수(ChongSoo Cheung),이영재(YoungJae Lee),조원철(WonCheo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4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7 No.1

        본 연구는 재난환경 변화에 대응한 인적재난 R&D 중장기 로드맵 수립 기획에 관한 것으로서, 인적재난 안전기술 분야의 기술개발 투자 확대 방안 및 관련분야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격차해소를 위한 전략 제시, 인적재난안전기술개발 사업의 차세대대응기술 예측을 통한 사업 고도화, 중장기 로드맵 및 중점추진전략 도출, 중점 추진전략에 따른 주요 추진사업 및 세부추진과제 RFP 도출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성과로서, 인적재난안전기술개발 중장기 투자 확대, 미래 인적재난 발생 가능성 예측을 통한 향후 재난대응 환경 변화와 안전관리 정책관련 패러다임 예측 및 효율적 대응, 인적재난안전기술 개발 중장기 로드맵을 통해 인적재난기술의 가치향상과 미래도약 기반강화 등이 기대된다. This research has been shown the Research Plan for R&D Long-term Load-map Design in the Facility Disaster on response of the changing Disaster Environment, Showing the Strategy for the extending investment method of the technical development and related on that the advanced nation’s technical level gap is minimized in the same area, Designing for the business’ high-level, long-term load-map and the core driving strategy of the safety technology development business in the facility disaster, RFP Documentation on the core driving Business and the detailed driving Issue. This research has been resulted the three lists, trend analysis and Vision of the Technology Research Development (R&D) of the Safety Technology Area in domestic and foreign, the Responding Technology Predict and the Extended Research Strategy of the Next Generation Safety Technology in the facility Disaster, long-mid Term Road-Map of the Safety Technology in the facility Disaster, finally the Action Issue’s RFP of the Safety Technology in the facility Disaster.

      • KCI등재후보

        드론을 활용한 케이블지지교량 안전점검 사각지대 해소 기술

        이성진(Sungjin Lee),주봉철(Bongchul Joo),김정호(Jungho Kim) 한국방재안전학회 2022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5 No.4

        케이블로 상부구조가 지지되는 특수교량의 경우 특수한 장비와 인력이 없이는 접근이 어려운 사각지대가 다수 존재하고 있어, 안전점검에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장교와 현수교 등 케이블지지교량의 안전점검 사각지대를 검토하고, 드론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해상에 위치한 사장교를 드론을 활용하여 케이블과 보강형 그리고 주탑을 점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론을 활용하여 점검자의 접근이 어려운 특수교량의 외부 안전점검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특수교량의 점검사각지대인 주탑 외부 상태 및 손상 확인을 위한 드론 점검은 매우 효과적인 안전점검 방법이다. In the case of special bridges whose superstructure is supported by cables, there are many blind spot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without special equipment and personnel. As a result,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safety inspection of special brid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nspection blind spots of cable-supported bridges such as cable-stayed bridges and suspension bridges, and to study ways to eliminate blind spots using drones. To this end, the cables, stiffened girder, and pylons of the cable-stayed bridge located in the sea were inspected using dron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xternal safety inspection of special bridges that are difficult for inspectors to access is possible using drones. In particular, drone inspection to check the external condition and damage of the pylon, which is a blind spot for inspection of special bridges, is a very effective safety inspection method.

      • KCI등재후보

        학교 지진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재대책 개선에 관한 연구

        이병호(Byoung ho Lee),조원철(Won cheo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0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3 No.1

        학교는 지진재해시 학생 및 교직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지역주민의 대피소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방재교육과 대피소에 필요한 방재기능 및 내진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학생 및 교직원의 지진방재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도덕, 과학, 체육 등 교과과목에 지진방재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여 지도하고, 지역주민과 교직원이 학교 방재시설 및 대피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재계획과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학교시설 내진화 및 내진보강은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건축물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철골브레이스와 내진벽체 공법 중심으로 추진하되, 사회적 합의를 위해 노후시설의 개축 등 교육환경 개선사업과 병행해야 한다. 또한, 학교시설을 대피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방재시설을 갖추고 방재기능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School is a place to be done the education of Disaster Preventi on and to be established the function of Disaster Prevention and seismic performance to secure the safety of children as well as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for local communities in case of disaster. To improve the ability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for students and teachers schools have to put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on the subjects, for an example ethics, social study, science and gym and make a plan to efficiently manage school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Seismic retrofitting on school facilities have to be established with the method of construction for steel bracings and seismic shear walls choosing old architectures first which is not the design with the seismic performance considering educational environmental aspects, and reconstruction of old architectures to get the agreement of societies. Furthermore, there is great demand for the effective, efficient and systematic improvement of school facilities for the use of shelters to be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 단지형 다세대주택신축공사의 안전경영모델 표준화 및 적용사례 연구

        김성수(Kim Sung Soo),유태경(Yoo Tae Gyeong),유진열(Yoo Jin Yeol),이태식(Lee Tae Sik) 한국방재안전학회 2016 한국방재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최근 산업재해의 전반적인 감소에도 불구하고, 건설업은 증가추세이다. 사고의 대부분은 안전관리자가 선임되어있는 규모가 큰 공사현장보다 다세대주택, 리모델링, 근생시설 등 규모가 작은 공사현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실제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전체 재해의 81.6%, 대부분이 120억원미만 50인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됐다. 본 연구에서는 단지형 다세대주택을 특화한 소규모 주택업체의 안전관리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효시적으로 안전경영모델을 표준화시켜 적용했다. 본 연구는 소규모 주택업체가 표준화된 안전경영모델을 쉽게 이해하고 실천하여 무재해를 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Notwithstanding industrial accident decrease generally, Construction industry is on the rise recently. Most accident occurs in the small scale like as multiflex housing, remodeling, neighbourhood facility more than safety supervisor appointed large scale construction site. By the size of business place, 81.6% of total accident occurs mostly in small scale site that is bellow 120 billion won and 50 manpower. Safety Adminstration was adopted and applied firstly after investigating the operation condition of construction site safety control in small scale company specialized complex style multiflex housing construction. This paper aimed that small scale housing companies achieve a zero hazard understanding easily the safety adminstration standardard model.

      • KCI등재후보

        안전기준 분류에 따른 효과적 안전관리

        이현우(HyunWoo Lee),이영재(YoungJai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3

        본 연구는 다양한 안전사고와 관련된 법령들 간의 적용되고 있는 많은 안전기준을 분석하고 검토하여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게 안전관리를 체계화하는 것이다. 안전관리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안전기준체계를 일본, 미국, 독일 3개 국가 의 기준체계를 살펴보고 안전관리(KOSAM) 개체관계도를 도출하였다. 개체관계도는 안전기준범위, 안전관리법령, 안전관리기준, 안전관리대상, 안전사고원인, 안전사고요인, 안전관리조직 개체들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각 개체들의 코드를 부여하였고 끝으로 개체관계도들 토대로 KOSAM 안전관리 조건검색화면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안전기준 DB구축 및 안전관리 시스템개발 수행을 통해 안전기준 관리 및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atize safety management for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analysis and review of several safety standards currently in force among the statutes and rules regarding various safety accidents. Accordingly, the safety standard systems of Japan, US, and Germany were examined and a KOSAM entity relationship diagram (ERD) was drawn based on the ontology system. The ERD consists of the safety standard scope, safety management statute, safety management standard, safety management subjects, causes of safety accidents, and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 entities. Next, each entity was assigned a code and finally a KOSAM safety management condition search screen was designed based on the ER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ring an overall improvement in safety standard management and operation through safety standard DB construction and the execu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강동구사례를 중심으로 한 안전모니터링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성수(SungSoo Kim),홍현숙(HyunSook Hong),이태식(TaeShik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1

        정부부처는 지역사회 내 크고 작은 재난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사망자 및 재해자수를 경감시키고 기능적으로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정안전부의 안전모니터링시스템, 소방방재청의 재난전조정보시스템, 국토해양부의 시설위험 신고시스템, 환경부의 환경감시시스템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부분 안전 위험요소를 신고하면 이를 개선하여 줄 수 있는 다양한 민원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동구에 거주하며 방재안전관리사 마스터교육과정을 이수한 전문자원봉사자가 행정안전부 안전모니터링시스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안전모니터링활동을 2012년부터 강동구 최초로 지속적인 신고활동을 해오며 안전모니터봉사단의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강동구를 서울시 안전모니터링 표준모 델로 설정하여 강동구 및 개인 신고 및 제보활동사례의 통계자료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지역사회특성에 맞는 안전 모니터링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Government ministries operate various system dealing with filed civil appeals. There are representative systems such as Safety Monitoring System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OPAS), Disaster Premonitory Information System of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Facilities Hazard Information System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MLTM), Environmantal Monitoring System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E). The purpose managing these systems is to reduce casualties and to improve safety by preventing disasters and accidents in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 to effectively operate a safety monitoring system which fits to local situations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on filed complaint cases in Gangdong-gu as a sample region. The cases has been collected since 2012 through the voluntary safety monitoring activity of a specialist who had finished the Emergency and Safety maneger’s master course.

      • KCI등재후보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동향연구

        김세훈,강휘진,Kim, Se-hoon,Kang, Hwi-jin 한국방재안전학회 2020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3 No.1

        전문건설 업체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구축·운용은 안전시스템 도입과 운영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건설 안전 분야 기술 인력을 보유하지 못한 열악한 환경에서 안전시스템 구축 및 인증 취득 및 정착으로의 선순환 체계 구축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관련 문헌을 조사·검토하고 실태 등 다양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하여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및 인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전문건설 업체와 인증 취득 후 사후심사 및 연장심사를 이행 중인 전문건설업체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The introductio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have a problem incurred in the cost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the safety system.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virtuous cycle system to build a safety system, obtain a certification, and settle in a harsh environment that does not have technical personnel in construction saf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review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o analyze various research trends such as the actual situation. Through this, it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level of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that want to build and obtain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that are carrying out the post-assessment and extension examination after obtaining the certification.

      • KCI등재후보

        재난안전 교육컨텐츠 관리와 공유 활성화를 위한 표준코드 연구

        남상훈(Sangwhun Nam),이영재(YoungJai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3

        본 연구는 재난관리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외 기관과 조직에서 교육 Contents인 교육과정, 교육과목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유의 활성화를 위하여 표준 Code 적용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소방방재청이 2004년 6월 개청되고, 2006년 3월 국립방재교육연구원으로 개원된 이 후에 재난관리 및 방재안전의 교육과 관련된 프로젝트 들이 진행 되어왔고, 교육 Contents가 개발 되어왔다. 기 개발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외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이 개정이 추진되어 2014년 2월 7일 시행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의 재난관리 교육 기관과 조 직 간의 Contents의 공유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외의 우수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의 정보공유와 선진재난관리 교육체계와 Contents를 기 개발 활용하고 있는 국가에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의 선진화를 추진하고 있는 국가, 사회에 자문, 지원 하는 것이 주요 사안이 되고 있다. 이에 국내, 외 교육기관과 조직간 교육과목, 교육과정의 분류와 교육 특성을 고려한 식별 용이성, 교육 서비스, 교육 환경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적용 유연성, 그리고 공공, 민간 부분 및 국내, 외의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적용 유연성을 기초로 표준Code 설계 결과를 소개한다. 그리고 국내의 경제적인 재난관리 및 방재안전의 교육정책, 기 획, 관리, 운영 등의 활동을 위해 교육Contents의 체계적인 관리와 개발 운영되는 교육Contents의 공유 활성화를 위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의 표준Code 적용 사례를 통해 의 적용방안을 제시 한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lementation plan for standard code to efficiently manage curriculum information in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programs across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and to encourage active information sharing. Projects regard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have been progressed and developed since the opening of NDMI on March 2006. Efficient management and systematic operation for the exist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are also required. It is essential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to share and utilize their educational contents each other prior to the effect of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starting from February 7th, 2014. As disaster gets more complex and diverse in its types and sizes, the share of information on advanced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system between each countries is becoming more necessary than they ever did before. Therefore, the standard code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urriculum is resulted based on the flexibility that accommodates the change of education environment and extended application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education institutions.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standard code will be a possible way to improve the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and help to set its correct defi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