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미술치료사 현황 및 발전방향

        김갑숙,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2

        This study purports to grasp general information about art therapists produced from KATA(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entering upon its 15th anniversary, and their understanding regarding qualification criteria for becoming an art therapist, so a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art therapy. First, most of the art therapists are women in their forties, of which 85% received master's degree and have a religion. As to academic majors, 40% of the therapists majored in art therapy followed by counseling psychology. And more than half of them live in Gyeongsang province. Second, it took an average 3.9 years in order to obtain a certificate of art therapist with an average 5.82 years of art therapy practice, each therapy practice being an average 8.86 hours a week. For the therapy clients or targets, there has been a high ratio of the disabilities or disorders with the highest on emotional disorder with depression and anxiety. The clients are of all age groups with a higher frequency with adolescents. Third, the KATA art therapist's understanding about the existing qualification criteria or standards to be an art therapist and to maintain the status are reasonable. In regards to the events of monthly meeting, case conference, workshop and other programs, the therapists feel rather burdened than comfortable to reinforce, whereas about 20% of them insist that hours for individual analysis, group art therapy, supervision, and workshops by invited experts need to be extended or enhanc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will proceed with a discussion as to the future direction for KATA and its art therapists. 본 연구는 한국미술치료학회가 창립된 지 15주년을 맞이하면서 그 동안 배출된 미술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미술치료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알아보고, 미술치료사 자격기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미술치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 현재의 미술치료사들은 대부분 여성이며 40대가 가장 많았고, 85% 정도가 석사학위 이상의 학위를 소지하고 있고 대부분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은 미술치료전공이 4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상담심리로 나타났다. 거주지역은 경상권 지역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평균 3.9년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술치료 실시 경력은 평균 5.82년, 미술치료 실시 시간은 일주일에 평균 8.86시간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 대상은 장애를 가진 대상을 치료하는 비율이 높았고, 특히 우울이나 불안 등의 정서장애가 가장 많았다. 대상연령층은 전 연령층에 걸쳐있으며, 특히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자격취득 및 자격유지 기준에 대한 인식도는 대다수가 적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월례회, case conference, 미술치료워크숍, 기타시간의 경우는 보강되어야 한다는 비율보다 부담이 된다는 비율이 높았으나, 개인분석이나 집단미술치료, 슈퍼비젼, 전문가초청워크숍시간은 보강을 해야 한다는 비율이 20%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미술치료학 분야의 지적 구조 분석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중심으로-

        김희진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not only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structure and a key researcher, who is recently active in the research activity, and is further to understand the transitional process of research topic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imes, through the author co-citation analysis. The analytic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sed 431 theses, which were recorded from 1994(Vol. 1 No. 1) to 2011(Vol. 18 No. 53) for the first issue of『Research of Art Therapy』in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79 theses, which were recorded in『Journal for Korea Arts Therapy Institute』of Korea Arts Therapy Institute, additionally 292 theses, which were recorded as art therapy in the registered journal(registered candidate included) for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3,856 quoted documents. An analytical method was selected the core authors with high citation frequency through citation data. It coupled the pair in authors after selecting the core author, thereby having prepared the author co-citation frequency matrix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To closely examine the author-based relationship and the research theme, the author cluster was visualized with author map by using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The conclusions,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the current art therapy was indicated the tendency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 the therapy process performance, the therapy performance, case study & theme research, and personality & adjustment research. Second, with regard to the research theme of art therapy, the research activity, which is performed centering on the therapy process performance and the specific theme research in the period before 2000 and on 'therapy performance research' in the period after 2000, according to historical interest and flow, was changed into ‘personality characteristic & adjustment research' and 'case study' in addition to 'therapy performance research' and ‘special theme research.' 본 연구는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해 미술치료학의 지적 구조를 밝힘으로써 미술치료학의 핵심저자, 연구주제 분야와 세부 연구주제 분야를 파악하고 미술치료학의 시대 변화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천과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미술치료학회『미술치료연구』에 게재된 논문 431편과 한국예술치료학회『한국예술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79편, 그 외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등재후보 포함)에 미술치료로 게재된 논문과 참고문헌의 서지사항이며 인용데이터 3,856편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인용데이터를 통해 피인용 빈도가 높은 핵심저자를 선정한 후 저자들의 짝을 결합해 저자동시인용빈도 행렬과 피어슨 상관계수 행렬을 작성하였다. 저자들 사이의 관계와 연구주제를 규명하기 위해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분석을 이용하여 저자 군집을 저자 지도로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미술치료학의 지적 구조 경향은 치료과정 및 성과연구, 사례연구, 치료과정연구, 치료성과연구 분야로 지적 구조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학의 연구주제는 시대적 관심과 흐름에 따라 2000년 이전의 시기는 치료과정연구와 치료과정 및 성과연구가, 2000년 이후의 시기는 치료과정 및 성과연구와 치료성과연구, 사례연구로 변화되었다.

      • KCI등재

        장애아동 가족 관련 미술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이병인,강성리,김동현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ffective art therapy interventions with regard to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reviewing related research articles. Total 39 articles related to art therapy interventions regard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articipants, intervention settings, goals of intervention and contents, scales of measurement used for intervention, experimental designs, and effects of interven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some ways for effective art therapy interventions related to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1) Art therapies participated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implemented by family members in order for them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to recover their functionality among them. 2) Application of evaluation measurement to testify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interventions, and researches based on various research designs should be conducted. 3) Understanding on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sychological-emotional difficultie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lso in-service training and education for family art therapy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hese results will help professionals who want to implement the art therapy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본 연구는 장애아동 가족이 참여한 미술치료 중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장애아동 가족 관련 미술치료중재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에 수록된 장애아동 가족이 참여한 미술치료 중재 연구 39편을 수집하였고 중재 참여자, 중재 환경, 중재 목표 및 내용, 중재 효과에 사용된 측정 도구, 실험 설계 및 중재 효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장애아동 가족과 관련된 바람직한 미술치료 중재의 방향으로는 1) 장애아동 가족이 참여한 미술치료는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 구성원 간 의사소통과 기능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중재로 실행되어야 하고, 2) 장애아동의 가족이 참여한 미술치료 중재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척도의 활용 및 다양한 설계 방법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3) 장애아동의 장애로 인한 특성, 장애아동의 가족이 갖는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대하여 이해하고, 가족 미술치료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한 전문가 양성 및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이 제시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장애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미술치료 중재를 계획하고 시행하고자 하는 미술치료 전문가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시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김용철,이영배,김종훈 한국미술치료학회 2008 美術治療硏究 Vol.15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for improving the visuospatial ability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and to provide the data whether the group art therapy could be applied to patients with dementia in the future. We conducted group art therapy to 10 patients diagnosed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for a total of 13 times and 3 times/week for 50 minutes and examined its effect on the visuospatial ability. By conducting the Clock Drawing Test and Rey Complex Figure Test that are the tests for evaluating the visuospatial ability, we have analyze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Wilcoxon’s signed rank test. We have also analyzed the overlapping of the diagram observed during the program session of group art therapy for the number of deviation error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reconstructing diagrams by using the Wilcoxon’s signed rank test. The study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scores of Clock Drawing Tes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nducting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p<.05). Second, the scores of Rey Complex Figure Test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nducting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p<.05). Third, the number of diagram overlappings and deviation errors that were observed during the program session of group art therapy has significantly decreased (p<.05) and the number of reconstructing diagram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p<.05)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group art therapy may be useful for patients suffering from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Further studies with a large number of samples are requir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patients with dementia. 본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들에게서 저하되어 있는 시공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지증진치료로써 집단미술치료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향후, 집단미술치료가 치매환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진단된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주 3회 50분씩, 총 13회기 동안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집단미술치료가 시공간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시공간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인 Clock Drawing Test, Rey Complex Figure Test를 시행하여 집단미술치료 전후의 변화를 대응표본 Wilcoxon부호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 중에 관찰된 도형의 겹침과 일탈의 오류수, 재구성 도형수의 변화를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lock Drawing Test 점수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시행 후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5). 둘째, Rey Complex Figure Test 점수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시행 후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5).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 중 관찰된 도형 겹침과 일탈의 오류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재구성 도형수는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5). 이러한 연구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에 대한 인지증진치료로써 유용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 보다 많은 대상군을 이용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적극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현자,문기라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3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AP(Active Parenting Now) and the gene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The study subject was 18 childcare teachers in J city. For nine of them, the group art therapy with AP was carried out, and for the other nine teachers, the general group therapy was carried out. Each programs were carried out during 11 sessions for 120 minutes a week.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two programs on the two groups, pretest and post test were carried out. The data materials were analyzed by SPSS(17.0 for Windows), and by which ANCOVA wa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found out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group b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AP improves more than that of the group by the general group art therapy. Secondly, it is found out that the occupational stress of the group b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AP reduces more than that of the group by the general group art therapy. These results mean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AP, which approaches both on cognitive part by AP education and on emotional part by art therapy is mo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nd the reduction of occupational stress than the general group art therapy, which approaches on emotional part by art therapy. Therefore, the group art therapy with AP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fficient teachings and ment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본 연구는 적극적 부모역할(Active Parenting Now)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시의 보육교사 18명으로 9명에게는 적극적 부모역할 Now(Active Parenting Now)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9명에게는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실시하여 집단 간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SPSSWIN Program(version 17.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P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집단이 집단미술치료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P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집단이 집단미술치료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AP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P교육을 통해 인지적인 부분과 미술치료를 통해 정서적인 부분을 함께 자극하여 정서적인 부분만을 자극한 집단미술치료보다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AP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의 효율적인 교수와 정신건강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코로나 시기(COVID-19) 미술치료 키트(KIT) 개발에 대한 체험연구

        구지영(Ji-Young Gu), 조정은(Jung-Eun Cho), 김태은(Tae-Eun Kim)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미술치료 키트를 개발한 미술치료사들이 ‘기획-제작-배포’ 전 과정에서 체험한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총 7명의 미술치료사이며, google form을 활용한 기초 자료 수집 및 약 40-60분 간의 개별 인터뷰 실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별 인터뷰를 위한 질문 내용은 Krueger와 Casey(2000)가 제시한 질문방식을 적용 및 보완하여 도입 질문(Opening questions), 전환 질문(Transition questions), 주요 질문(Key questions), 마무리 질문(Ending questions) 순으로 작성하였으며, 총 14개의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 자료 전사본 총 45장이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기술 방법에 근거하여 7가지 단계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 ‘감염병 상황 속 치료 형태 변화의 혼란에서도 방법을 궁리함’, ‘기존 미술치료를 바탕으로 계획을 수립해나감’, ‘치료적 개입의 한계에 따른 미술치료 키트 제작 전략을 고려함’, ‘철저한 계획에 따른 미술치료 키트 배포 전략을 고려함’, ‘시행착오를 경험하며 보완해나감’, ‘미술치료 키트 활용 미술치료만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함’, ‘미술치료 키트만의 정체성 및 발전 가능성을 확인함’ 이라는 7개의 대주제와 ‘미술치료의 확장’이라는 1개의 근본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art therapist who developed art therapy kit for the COVID-19 period experienced in the entire process of ‘planning-production-distribu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ven art therapis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basic data collection using Google form and individual interview for about 40-60 minutes. The questions for individual interviews were written by applying and supplementing the question method presented by Krueger and Casey (2000), and consisted of a total of 14 questions. In this study, a total of 45 transcripts of interview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nd analysis was conducted in seven stages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method. As a result, the seven major themes that emerged were ‘Thinking about the method even in the confusion of change in treatment style in the infectious disease situation’, ‘Plan based on traditional art therapy’, ‘Considering the art therapy kit production strategy depending on the limitation of therapeutic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art therapy kit distribution strategy depending on exhaustive plan’, ‘Complemented through trial and error’, ‘Discovered the new meaning of art therapy using art therapy kit’, ‘Knowing the identity and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art therapy kit’. The fundamental theme was ‘the expansion of art therap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술관 미술치료: 융합과 협업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임성윤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美術治療硏究 Vol.23 No.2

        Recently, the social interest and demand for art therapy as an alternative psychotherapy is increasing.Museums are also expanding the social role and striving to give benefit to a variety of people in the wider community. Accordingly, there is increased interest in collaboration with museums to create a new field, museum art therap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leading experimental practices and articles of museum art therapy in foreign countries. Most of the programs include as follows: contacting artifacts, making stories to interact from them, and creating artworks and exhibitions. The primary concepts related to museum art therapy are social constructivism, phenomenology, and unique qualities of the museum as healing places. Art therapy and museums continue to seek synergistic collaboration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to expand each other’s area. This trend is expected to become more active in the near future. For successful collaboration between art therapy and museums, four things are needed: good communication and planning between the art therapy and the museums, rich knowledge and skills of art and art museums for art therapists, deep understanding of art therapy for the art museums, and full agreement on a common rationale for the two area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future direction for museum art therapy research in South Korea and expansion of art therapists’role. 대안적 심리치료로서의 미술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미술치료 분야는다양한 응용과 확장을 시도하고 있으며 기존의 미술관 또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사회적 역할을 보다 확대하고폭넓은 공익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미술치료와 관련한 해외의 프로그램 사례와 문헌들을 분석해 보았다. 미술관 미술치료의 주요 근거이론으로는 사회적 구성주의, 현상학적 접근, 그리고 미술관이라는 장소가 갖는 치유적 특성이다.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미술품들을 접하고, 소재로 삼아이야기 및 상호작용을 한 뒤, 작품 창작 및 전시를 하는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해외의 미술관 미술치료 분야는 다양한 협업들을 통해서 서로의 활동영역을 확장하는 시너지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경향은더욱 활발해 질 전망이다. 성공적인 미술치료와 미술관의 협업을 위해서는 서로간의 충분한 소통과 계획, 미술치료사의 미술관과 미술제반에 대한 지식과 역량의 강화, 미술관의 미술치료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두 분야를 가로 지르는 이론적 근거에 기초한 창의적 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이 아직은 미비한 한국의 미술관 미술치료 분야에 일조를 하고 현 미술치료 영역의 확장과 여타 영역과의 유연한 융합에도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치료경험과 역전이 관리 능력이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혜선,최선남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1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개인의 치료경험과 역전이 관리 능력이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미술치료사 총 364명으로 전국의 미술치료사에게 직접 배부하거나 우편 또는 e-mail을 발송해 회수하여 미비한 것을 제외한 126부로 연구하였다. 미술치료사의 역전이 관리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역전이 관리 능력 척도(CFI)의 타당도를 연구한 최가희(2002)의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미술치료사의 치료성과 척도는 정남운(1998)의 상담성과 질문지의 상담자용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미술치료사의 치료경험 정도는 개인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역전이 관리 능력, 치료성과의 수준 모두 중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치료경험, 역전이 관리 능력이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치료경험 요인 중 개인 미술치료 경험 수가 치료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치료경험과 역전이 관리 능력 중에는 역전이 관리 능력이 치료경험보다 치료성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는 미술치료사의 자질적면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 강조된 연구결과이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for the Influence of the Art Therapist's Therapeutic Experiences and the CMA(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n the Therapeutic Outcome. The research objects consisted of the total 364 members of the Korea Art Therapy Association, and they all had been sent to the research questionnaire through the e-mail, post-mail, or in person. And returned 126 answer sheets were used in the research, which some insufficient answer sheets were dismissed. In order to research the ability of therapist's conuntertransferencs, CFI which was notified by Choi(2002) was used, and to know the influence of counseling factor and the questionnaire which was created by Jung(1998) was used in this research. To sum up this answer sheet's outcome, First, there were obvious differences in the therapists by the Art Therapist's Therapeutic Experiences, the CMA. Second, in studying the influence of the therapist's experience and CMA on the outcome it is reported that out of the aspects related to personal experience, the frequency of the personal art therapist's experience h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utcome, and CMA is shown to have more influences on the outcome than personal experience. From this, it is determined that the qualification of the therapist is of more importance than any other factor. Key Words : Art therapist, Therapeutic Experiences,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Therapeutic Outcome"

      • KCI등재

        인천광역시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 연구

        장현정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on the awareness that general social workers in integ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have of art therapy, and based on this, investigate the results from institutional, executive, and therapeutic perspectives of plans to establish art therapy, and finally submit political proposals for the use of art therapy by integ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draws the conclusion by conducting a survey and an interview, and analyzing the res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81 social workers employed in integ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The survey is done to investigate the general present conditions and the awareness of art therapy by asking about current situations associated with art therapy in integ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social workers' awareness of art therapy in terms of its concept and definition, expertise, and relationship with social welfare, and expected roles of art therapy and therapists. The first survey result is that social workers in integ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more aware of art therapy than the average, but it does not mean their awareness is great. The second survey result is that social workers think of the introduction of a new qualification to produce national certified art therapists as a way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The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four social workers who have experience of carrying out an art therapy program in integ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questions were about the type of the program management and the contents, their awareness of art therapy in integ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problems and matters to be improved. Second interview result, which shows what should be improv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is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ids and programs, the implementation of clinical training and supervision, and the enforcement of continuing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의 정착 방안에 대한 제도적 측면, 기관 운영측면, 미술치료 분야의 측면으로 결과를 살펴보고 종합사회복지관 미술치료 활용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통해 조사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는 인천지역 종합사회복지관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 8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으로는 종합사회복지관 미술치료 현황, 개념과 정의, 전문성, 사회복지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 등을 통하여 전반적인 미술치료에 대한 현황과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지 조사 결과 첫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높은 편에 해당하지 않았다. 둘째, 사회복지사가 생각하는 미술치료사 전문성 향상 방안으로는 국가공인미술치료사 자격증 제도 도입으로 나타났다. 면접조사는 종합사회복지관 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 경험이 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사회복지사 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미술치료 운영 형태 및 내용, 종합사회복지관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 종합사회복지관 미술치료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해 질문하고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 KCI등재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최선남 한국미술치료학회 2013 美術治療硏究 Vol.20 No.4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explore lived experience of Art Therapy Master's Course Student. 11 students who attend Art Therapy Master program in Seoul, Taegu, and Gyungbuk province were participat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3-focus-group interviews under their consent for two months in 2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into 46 concepts, 16 categories, and 7 them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The students had their entrance in graduate school either having high motivation on Art Therapy, or getting deficient information about Art Therapy. In master course, they would be withdrawn as exploring their own problem, or they would be confused with the self as encountering inner feeling. In addition, they would be burnt out, or would be much burden in master course and clinical practices. In the course, they got to realize the quality of Art Therapist, and to think over art therapy process deeply. The most supportive experiences was to have empathic peer relationship with self disclose, and to have role model as therapist from their professor. As an Art Therapy Master student, they got to have a chance to experience dynamic growth about self. In getting M.A., they had new positive values on Art Therapy, and felt grown up as professional therapis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미술치료 전공 대학원 석사과정 동안 전공자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 전공 졸업생이 배출되었고, 전공 교수가 있는 서울과 대구, 경북지역 3개의 대학원을 선정하고 주임교수에게 연구의 취지를 알린 후 졸업생들에게 메일과 문자로 연구의 목적을 알렸다. 연구참여를 희망한 미술치료 전공자 16명을 대상으로 2012년 6월에서 8월까지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6개의 개념과 16개의 범주, 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 전공생들은 명확한 동기를 가지고 미술치료 석사과정에 들어오는 경우와 객관적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미술치료 공부를 시작하게 되는 경우로 나타났다. 석사과정에서 자신의 문제를 경험하게 되면서 위축되기도 하고 자신의 내적 감정과 조우하는 경험을 하게 되면서 자신에 대한 혼란스러움이 시작되었다. 또한 미술치료의 이론과 임상 현장에서의 갈등과 소진을 경험하기도 하였으며 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기도 하였다. 과정 중에 치료자 자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술치료의 치료과정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였고, 가장 힘이 되었던 것은 동기생들과 함께 공부하고, 동기생에게 자신을 드러내어 보일 때 강렬한 공감을 체험하고 교수들로부터 역할 모델이 생겼다는 것이 의미있는 관계 경험으로 만족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석사과정 동안 역동적인 성장과정을 경험하면서 졸업 시점에는 미술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갖게 되었고 미술치료 전문가로서 성장했다는 느낌을 갖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