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한국어교육 인식 변인과 학습 능력에 대한 연구

        유경애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2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empirically. The main results and findings are summarized as below. The multicultural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ink that the listening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speaking ability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in the areas of the proficiency of Korean. The grammar and rules of composition appear not much important to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While the learning Korean has been helpful for multicultural families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ability, th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and Korean culture are also important to enhance the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As the results of statistical tests, multicultural families answered that the grammar and rules of composition were the most difficult and the textbooks for Korea grammar and composition were also the most difficult. They asked to make and provide the stratified or classified textbooks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of Korean. The statistical test such as ANOVA show that since there exist several differences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learning and recognition variables of Korean, the Korean education should reflect thes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se variables more effectively. 본 연구는 대부분의 기존연구가 거의 하지 않았던, 한국어를 실제 학습하고 있는 전국차원의 다문화가족 460여 명을 대상으로 실제 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족들의 기초 학습 변인, 다문화가족들이 느끼는 한국어교육에 있어 다문화교육의 성격에 대한 인식, 다문화가족들의 한국어 능력과 그 중요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변인들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실증적인 조사 분석 결과 좀 더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을 위해서는 학습 수요자인 다문화가족들의 학력 등의 기초 학습배경과 다문화와 한국어 능력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변인들에 따라 한국어 각 영역에서의 교재수준을 조절하여야 하며, 한국어의 다문화교육 차원의 인식과 한국어 학습영역의 난이도 등에 따라서 알맞은 한국어 강의 교재 선택, 수업시간 조정, 수강 반 편성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 KCI등재

        결혼이민자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교재 문화영역 개선 방향에 관한 고찰-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관점 중심으로

        고미정 한국문화교육학회 202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cultural technology items and question types among elementary and intermediate Korean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s with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textbook revision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cess was followed. First, we examined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overseas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econd, elementary and intermediate Korean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s recently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ere selected, and the proportion of cultural items included in each selected Korean textbook was identified. Third, among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Korean textbooks, questions contained in the cultural are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comparing them with curriculum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items contained in Korean textbooks showed limitations that they were concentrated in daily lif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ttern of question types, it was analyzed that the questions presented as examples are relatively simple and have limitations in reflecting various situations. Therefore, when supplementing elementary and intermediate Korean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s in the future, it wa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bias of cultural items and diversify questions in the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초, 중급의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내용 중 문화 기술항목과 질문 유형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여 향후 교재 개정시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따랐다. 첫째, 미국과 유럽의 해외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문화 교육 관점과 문화 교육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립국어원에서 최근 출간한 결혼이민자 대상 초, 중급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한국어 교재 각 단원별로 수록된 문화 항목의 비중을 파악하였다. 셋째, 선정된 한국어 교재 내용 중 문화 영역에 수록된 질문을 교육과정 기준과 비교하여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화 항목은 일상생활에 편중되어 있다는 한계점을 보였다. 둘째, 질문 유형 양상을 살펴본 결과 예시로 제시된 질문이 비교적 단순하고 다양한 상황을 반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초, 중급 한국어 교재를 보완할 때는 문화항목의 편중성 극복, 교재 수록 질문의 다양화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핀란드와 한국의 초등 예비교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사례연구

        문지영,서지희,김지윤,엄문영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2 다문화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o we comparatively analyze how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 teachers are implemented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Finland and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rimary and secondary data of each educational institution’s programs by intentionally selecting prim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two countries. The data from 3 institu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considering multi-cultural context and perspective in two countries, and suggested practical and progressive perspective to student teachers program.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에 적합한 교원 역량 함양을 위해 다문화 교육이 핀란드와 한국의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교사교육 해외 사례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실증자료를 제시하며, 한국 사회에 적합한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핀란드와 한국의 초등 교원양성 교육기관을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1차, 2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문헌 분석을 통해 질적 분석을 위한 분석 요소와 기준을 추출하였다. 비교 분석결과 핀란드는 다문화 교원 양성을 위해 별도의 5년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 교원에게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역량을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이중언어 교육이 강조되었다. 반면, 한국에서는 학기 단위로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지역 단위의 요구와 연계한 교육을 수행하고 있었다. 다문화 교원 역량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향후 한국 교원양성기관에서는 다문화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장 연계성과 지역적인 특징을 반영한 교원양성 교육기관의 특색 있는 프로그램 운영 확대 및 기초 의사소통 교육 그리고 이중언어 강사와의 협력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교원양성 교육기관에서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한국어 학습 어려움과 수업개선에 대한 실증연구

        유경애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먼저 전국의 주요 거점 다문화지원센터 14개에서 한국어를 수강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어 학습과 개선에 관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다문화가족은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및 한국어 강사의 다문화에 대한 좀 더 많은 관심과 이해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족은 강의교재보다 한국의 강의자의 능력과 강의자의 열성과 자질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한국어 교재 가운데 어휘 혹은 관용어 교재, 읽기, 쓰기, 문법교재 등의 순으로 좀 더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으며, 말하기 수업과 한국사회와 한국문화 이해 관련 수업을 좀 더 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통계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은 한국사회 유대감을 증진시키고 있으나, 다문화가족이 한국어교육은 상호문화 이해를 지향해야 된다고 생각할수록 한국어 교재 개선, 한국어수업시간 증가, 문화와 역사 이해 등의 수업시간에 대한 증가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고 한국어수업교재와 교재언어가 좀 더 부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An Empirical Study of the Learning Obstacles and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family’s learning variables and the obstacles in learning Korean language in Korea. Most multicultural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ant Korean textbooks be improved and they desire to learn Korean in bilingual textbooks from bilingual teachers. In particular, they think that the Korean lectures’ enthusiasm and abilities are more important than Korean textbooks. They also want to have more Korean culture-related speaking classes as well as Korean writing and reading classes to adjust to Korean society. The more multicultural families have intercultural perspectives and the closer ties they have with Korean society, the more strongly they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textbooks an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다문화 한국 사회를 위한 이중 언어 교육

        이창덕(Lee, Chang Deok)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이 글에서는 21세기 들어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문제, 특히 이중 언어 교육 문제를 살펴보고, 다문화 사회로 가기 위한 이중 언어 교육 방향과 방법을 논의하였다. 한국 사회 소통 환경의 변화와 이중 언어 교육의 개념과 역사, 목적과 방법 등을 다루고, 한국 다문화 가정의 이중 언어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였다. 전통적으로 단일 민족과 문화를 자랑하고 지향하던 한국사회가 21세기 들어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면서 앞으로는 더 이상 단일 민족으로서 국어 교육만을 고집하기 어렵게 되었다. 현재 교육환경에서 소수자로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이중 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것은 다문화 가정 자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 구성원 전체를 위한 사회 통합과 국제 경쟁력을 위해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이중 언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이중 언어 교육은 언어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 가치관 등 다양한 교육내용이 함께 다루어지 는 총체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했다. 그리고 교사 연수와 학부모 연수가 필요함을 논하고, 자격을 갖춘 다문화 가정 학부모를 다문화 교육 교사로 양성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가올 다문화 사회의 여러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 각 부처와 다양한 학문 영역에 속하는 사람들이 다문화 교육을 위해 협의하고, 구체적 다문화 교육 실행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먼저 다문화 사회로 이행한 국가들이 걸어간 이중 언어 교육, 다문화 교육의 실행 과정과 성과를 점검하면서 미래 한국사회가 바람직한 다문화 사회, 다양한 구성원들이 상생의 시너지를 내는 사회를 형성하도록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a monolingual, mono-cultural society. However, according to a few recent surveys,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bilingual education programme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out every school level for all the members of the next generation as well as the min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contention, I have explained the concept, history, purpose, and methods of bilingual education. And I have suggested the methods of bilingu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irst, it must be started on the basis of the requests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Secondly, the contents of bilingual education for minor students should be expanded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e comprehensive area needed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 as same as the major students. Thirdly, for the effect positive results, all the other students except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uld be taken to the bilingual education programme. It would be helpful to integrate the various people in the mut-icultural future society of Korea. Finally, I have suggested to have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study and take training for the multilingual education programme. For fre hopeful progress into rrulti-culttrral society integrated with every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authorities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to thrive every effcrts to set up nation-wide plan referring to the examples of the otrer multi-cultural societies.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교육

        정명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2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새로운 한국어 학습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 교육의 개념도 기존의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은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고민을 던져 주고 있는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의가 무엇이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의 당면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evolve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previously extrinsic elements such as migrant workers, migrant spous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en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new Korean learners within the nation's borders, so has evolved the con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reviously had existed as jus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researchers can't help but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fundamental question like ‘what i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ies to search for an answer. In order to look for the answer, this paper looks into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how Korean education study is going 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efi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for this multicultural context, as well as a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asks required of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within this multicultural context.

      • KCI등재후보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현황 및 과제 : 한국어학과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장혜림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1 한국어문화교육 Vol.5 No.1

        중국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한 대학교는 해마다 늘고 있다. 2011년 1월까지 중국 4년제 대학 중 103개 학교에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다고 한다.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문화 교육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문화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는 많지 않다.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한국문화 교육의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은 문화 교육의 부족으로 한국의 사회와 문화와 접하게 될 때 문화적 충격을 받으며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학과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문화 교육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교육 내용, 교자 자질, 자매대학 협력 등으로 나누어서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 China that have a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s dramatically increasing each year. As of Jan 2011, 103 universities in China offer Korean language courses to local students. Culture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s.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e should lay more emphasis on teaching culture. Despite its increasing importance, not many universities in China provide systematic culture education. Most of Chinese universities have a tendency to offer less culture education to students at beginner's level than intermediate or advanced levels. This paper introduces the present state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universities of China, with emphasis on the problems existing in education content, teacher's quality and sister university's cooperation, etc, for the purpose of offering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한국어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 연구

        주현정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언어문화 교육을 위해 영상매 체를 활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해서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에 내재되어 있는 언어문화에 대 해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 문화와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는 상이하므로 그 문화적 배경 차이로 인해 학습자는 한국어 언어문 화를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 언어문화 를 교수하기 위해 언어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교수하기 위한 영상매체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상매체는 실제적인 담화 상황을 수반하여 학습자가 한국인의 발화를 직접 적으로 보게 하는 적절한 매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트 콤은 영상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드라마나 영화보다 실제 담화 상황과 거의 흡사하므로 언어문화를 교육하는 데에 효과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시트콤을 활용한 언어문화 수업모형을 제시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언어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고 실제 담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영상매체는 작품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기준이 까다롭다는 한계점이 있다. 차후 연구에는 한국어 언어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매체 활용법과 수업 모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lass model using video media for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To learn Korean, Korean language learners need to understand the language culture inherent in the Korean language. However,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becomes an element that makes it harder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because Korean culture and cultur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orean language culture has to offer and suggested the use of video media to teach that. Video media is accompanied by actual discourse situations and can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dia that allows learners to directly see the spoken words of Korean. Among them, sitcoms are effective in educating language culture because the length of the video is relatively short and contains conversations that are almost the same as the actual conversation than drama or movi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helping Korean language learners to build background knowledge on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o lead to actual discourse by suggesting a language culture class model using sitcom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re are strict consideration and standards when selecting visual media. Various media usage methods and class model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culture will have to be presented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효과 - 아시아권 출신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윤은주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7 한국어문화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교육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로서, 언어문화교육에 관한 이론을 기초로 매체언어교육으로서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을 초급 수준의 아시아권 출신 결혼이주여성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 후, 그에 따른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요구에 부합하는 한국어 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에서의 문화적, 사회적 기대는 여성 이주자에게는 매우 낯선 것이며 그들은 이와 관련 하여 크고 작은 어려움에 놓이게 된다. 이들 중 가장 직접적 어려움은 의심할 여지없이 언어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 대구, 경남 지역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3개 한국어 교육기관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뒤, 동질성 검증을 거쳐 진행하였다. 또한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을 6차시에 걸쳐 실험처치 후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 사후로 비교 검증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에 대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 실험 집단의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했다. 다만, 한국어 언어기능의 추론하기 영역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적용 차이에 따른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결혼이주여성의 실생활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 수업방식은 결혼이주여성 학습자에게 언어기능과 한국문화에 대한 습득능력을 증대시키고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 교수방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cultural language education based on socio-cultural need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its effect. Based on theories about cultural language education, subjects of this study ar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Asia who are learning Korean via cultural language education watching Korean soap opera. By understanding the effect of this cultural language education on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comprehension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etter cultural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eeds of marriage migrant women. Marriage migrant women are unfamiliar with various cultural and societal expectations in Korea, and such unfamiliarity begets problems for them. The biggest problem is language. This study picked subjects in Busan, Daegu, and Kyungnam area and assigned subjects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ree different Korean education centers and tested using equivalence check. Also, the study compared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understanding of culture on subjects before and after cultural language education using soap opera.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and culture analyzing the effect of cultural language education using soap opera. But, inference ability on Korean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suggesting that cultural language education using soap opera might be ineffective. But, the cultural language education is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ability overall, the study concludes that cultural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eeds of marriage migrant women is effective in teaching Korean culture and language. Also, it provides a motivation to learn Korean for marriage migrant women.

      • KCI등재후보

        웹사이트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수업 방안

        이임라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에서 광고를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광고 중에서 웹사이트 광고를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 통합 수업에 활용하여 바람직한 수업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웹사이트 광고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쉽고 자료에 접근하기 쉬우며,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매체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실제 수업 모형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학습 목표와 학습 효과에 부합하는 광고를 선정해야 하고,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목표 어휘 및 문법을 선별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의 문화적 배경에 대해서 미리 알아두어 학습자의 문화에 대한 배려를 해야 성공적인 한국어문화교육이 가능하다. This study is about one of teaching methods which utilize internet website advertisement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t aims to seek an instructional model for an integrated clas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rnet advertisement is one of the most accessible media where two-way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it also helps arouse interest of the learners. However, it is critical to select advertisement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aims of the lesson and learning effect, and select suitable target vocabularies and grammers based on learners' levels when designing an actual class. Moreover, teachers must be aware of the background of learners so that they can be more considerate of different cultures, and then successful Korean cultural education i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