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전통무예 현황 및 인식 분석

        오형근(Oh, Hyoung-Keun) 한국무예학회 2021 무예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전통무예의 인식 및 관심 분야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전통무예 진흥을 위한 중장기 발전 방안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감성분석,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태권도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며, 핵심 키워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예종목 관련 키워드와 전통무예 참여 관련 단어가 상위빈출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둘째,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결과, 태권도, 한국, 공연, 택견, 수련, 체험, 스포츠, 무도 등 전통무예 종목 수련‧참여 등의 관련 키워드가 높은 중심성을 보이며, 빈도 분석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셋쩨, 감성분석 결과, 긍정 비율이 92%를 나타내며 전통무예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긍적 키워드의 경우 새롭다, 기대하다, 특별하다, 원하다, 재미있다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전통무예에 대한 높은 기대감과 흥미성을 시사한다. 넷째, CONCOR분석결과, 총 4개의 군집(전통무예 대회, 청소년 연계프로그램, 전통무예 체험, 외래 전통무예)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전통무예 대회는 가장 큰 그룹으로 형성되며, 전통무예 대회 관련 정보 및 사안의 높은 관심도를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uses big data analysi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nd interests of traditional martial arts, and through this,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the promotion of traditional martial arts. Text mining, sentiment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First, as a result of keyword frequenc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aekwondo had the highest frequency and was a key keyword. In addition, keywords related to martial arts and participation in traditional martial arts were derived as the top keywords. Second, as a result of the degree centrality, related keywords such as training and participation in traditional martial arts events such as Taekwondo, Korea, performance,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 sports, and martial arts showed high centrality, and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frequency analysis. Third, as a result of emotional analysis, the positive rate was 92%, confirming the positive perception of traditional martial arts. In the case of positive keywords, new, anticipation, special, want, and fun were found to be high, suggesting high expectations and interest in traditional martial arts. Fourth,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it was composed of a total of 4 cluster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traditional martial arts competition is formed into the largest group, and information and issues related to the traditional martial arts competition are the areas receiving the highest attention.

      • KCI등재

        무예 관련 기록(記錄)의 기록(記錄) 사례

        조성균(SungKyun Cho),이재돈(Jaedon Lee) 한국무예학회 2014 무예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무예 관련 기록을 문화콘텐츠로 생산해 내고 있는 기네스협회와 한국 기록원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네스 기록에서는 총 17개의 기록이 검색되었는데, 팔굽혀펴기처럼 무예의 기술이라고 보기 애매한 기록도 있으나 검색의 결과에 포함되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에는 포함을 시 켰다. 둘째, 한국기록원에서 인증한 무예관련 사례를 검토한 결과 총 10건의 사례가 조사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정에서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여 기네스기록과 한국기록원의 기록에 대해 전문가의 입장에서 충분히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다만 한국기록원은 사진 및 설명을 간략히 제시하고 있어, 기네스기록에 비해 덜 모호 하였다. 따라서 두 단체 모두 기록수립의 과정과 방법 등에 대해 자세한 설명과 동영상 등이 제시된다면 기네스기록과 한국기록원의 기록에 대해 보다 많은 무예인들이 도전 의 동기부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각 무예 단체에서는 기네스기록이나 한국기록 원의 기록과 같이, 자체적으로 측정 및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기록의 기록을 만들어간다 면 각 무예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t was conducted a case study of Guinness Records and Korea Record Institute that produce cultural contents related record of martial ar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17 cases were found in Guinness Records homepage. Second, the 10 cases were found in Korea Record Institute homepage. But both of them each homepage, the measurement method was insufficient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refore it needs to offer the accurate explanation and movie clips that are related in process and method of the records. It would help motivation if martial artists to break the records. In conclusion, each organization of marital arts need to make record of record for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their organization like Guiness Records or Korea Record Institute.

      • KCI등재

        韩中武术(武技)种类和形态比較硏究

        趙誠均(Sung-Kyun Cho) 한국무예학회 2007 무예연구 Vol.1 No.1

        무술은 중국, 한국, 일본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다. 현대 무술(武技)의 종류는 태권도, 유도, 검도, 합기도, 궁도, 우슈, 태극권 등으로 지역과 국가별로 각기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어의 “Martial Arts"는 武術, 武藝, 武道에 모두 적용되어 쓰일 수 있는 개념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무술, 무예, 무도를 서로 다른 그 무엇으로 구분하고 있지 않으며, 중국에서는 武術이라는 표현은 많지만 무예, 무도하는 표현은 아주 예외적으로만 쓰일 뿐이다.현재 중국무술은 중국과의 수교 이후 개인 차원이든지 혹은 동호회 차원에서든지 여러 경로를 통하여 한국으로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국무술이 “경기우슈”란 이름으로 아시안게임에 가입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중국무술과 한국무술의 형태와 종류를 살펴보고 중국무술과 한국무예의 차이를 이해하고 그 역사성과 실체를 정확하게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중국무술은 민간무술과 군사무술의 형태로 발전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또한 민간무술과 군사무술 간의 교류는 중국무술사에서 보여주는 특징 중에 하나이다. 한국무예는 태권도와 택견이 한국을 대표할 만한 무술이다. 태권도는 한국의 근대화 과정이라는 풍토 속에서 탄생하여 오늘날 스포츠 형태로 경기화 되었고, 그 경기화를 통하여 많은 기술과 새로운 무술의 구조를 발견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절된 한국의 역사 속에서도 면면히 한국적 성격을 간직하면서 근대화에 성공한 유일한 무술이다. 그러나 현대 무술의 개념과 바른 인식은 ‘전통문화’라는 식의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인식 태도를 벗어 던지고, 현대적 의미에서 무술현상을 재해석하고 그 가치를 실제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수련 방식을 모색함으로서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Martial arts have been developed in China, Korea, and Japan. Modern martial arts include Taekwondo, Judo, Gumdo, Hapkido, Goongdo, Ushu, and Taeguekkwon, etc. and they are specific to a region and a country. Basically, “Martial Arts” in English can be used to represent martial skills, martial arts, and martial spirits. Although all of them are used as the same concept in Korea, only martial arts are often used in China and martial skills or martial spirits are rarely used in China.Recently, the Chinese martial arts are being imported into Korea through diverse paths individually or group level after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was established. Especially, they are becoming popular nationwide since they became an official sports game “Kyunggi Ushu” in Asian Gam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types and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martial arts, to understand their difference, and to define their history and identities clearly.The Chinese martial arts have civil martial arts and military martial arts. The exchange between civil martial arts and military martial arts is a kind of special feature of the Chinese martial arts history. The Korean martial arts have Taekwondo and Taekgyeon. Taekwondo was created during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and became a sports game. Because it became a sports game, many techniques and patterns have been developed thereafter and it is a unique martial arts which achieved successful modernization while keeping Korean spirits in the middle of rugged Korean history. However, the concept of modern martial arts and correct recognition for Taekwondo may be achieved when we are escaping from our subjective and relative recognition of Taekwondo as ‘traditional culture’, and re-interpret it in terms of modern viewpoints and come up with new and practical exercise methods.

      • KCI등재

        한국 무예 공연의 발전가능성과 관객개발 관리 구축

        이선희(Sun-Hee Lee),송선영(Sun-Young Song) 한국무예학회 2011 무예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한류열풍과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무예 공연의 관람객 성향을 파악하고 공연관람 행태를 조사하여 지속적인 관객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의 면담을 통해 향후 한국 무예 공연의 발전 가능성을 조사하여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 한국 무예 공연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무예공연 관람객 25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표집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에 의해 표집하였으며 모집된 대상자는 자기 평가 기입방법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공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면담한 내용은 코딩한 후 범주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공연을 관람하는 이유는 한국의 정서와 동서양의 퓨전적 조화로 인해 흥미를 유발 시키며, 기존의 공연물들과의 차이점은 대중적이고 교육적이며 내용(Story)이 공감이 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즉 다른 공연에 비해 한국 무예 공연은 감동적이고 공감대가 형성이 된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의 고유의 정서인 ‘흥’과 ‘어울림 문화’로 인해 배우와 관객이 하나가 되어 같이 즐기고 호흡하며 공연자체를 함께 어울릴 수 있다는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향후 발전가능성에서는 무예 공연을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국내 관람객은 물론 해외 관람객 유치에 힘을 기우린다면 충분히 발전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중들의 입장과 사회의 흐름을 관찰 하여 그 흐름에 맞는 공연을 기획하고 홍보하고 올바른 우리문화를 형성하여 한국의 고유의 공연인 한국 무예공연이 세계적으로 나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d our increasing interest in the martial arts performances at this time South Korea’s propensity to identify audience viewing behavior and performance investigation could lead to an ongoing scheme to the audience as well as interviews with experts’ future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martial arts, perform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tial arts performances to Korea,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is. Martial arts performances this study were selected as subjects 250 spectators,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were sampled by the subjects recruited to fill out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o use, and destination specialists to perform were interviewed. I use Frequency Analysis and the coded informa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categorization task. South Korea to watch the show because studies in Korea due to emotional and exciting blend of East and West like harmony of fusion to induce, the existing differences between the performances and the popular educational and information The majority opinion was that the two empathy. Show that compared to other martial arts performances Korea and moving to a consensus will be formed. In addition, Korea’s unique emotion ‘excitement’ and ’harmony culture to become one of the actors and the audience enjoying the breath as you can and go with the gig and the differences were found. Finally, the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 for the systematic planning martial arts performances and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to attract international visitors and domestic visitors as well as leaning on the power potential was sufficiently developed.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public to observe the flow of society and for the flow of the show to promote proper planning and the formation of our culture of South Korea’s own martial arts performance, a performance and Korea should be out in the world.

      • KCI등재

        동양무예사상의 의술관점으로 접근한 운동처방학 교육과정 담론

        최현희 한국무예학회 2020 무예연구 Vol.14 No.1

        This study described discourses on the curricula of exercise prescription studies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such as Asian martial arts, western sports, oriental medicine, western medicine, Asian martial artistic medicine, and exercise medicine. This research has confirmed there exists martial artistic medicine to give life to the opponent, not just taking the life from the opponent. This study is based on the basic idea that martial arts' movements are not different from the western sports' in the sense that both try to make humans healthier and recovered from damage. The current status of exercise prescription has turned out to lack the medical philosophy from Asian martial arts, centering only on western medicine, which is regrettable. But the intensive investigation reveals Asian martial arts' medicine and exercise prescription studies share the common purpose of saving life through exercise, curing the illness and preventing injuries, even though they are divided into the two different cultural spheres. It is expected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recognizing the necessity that the curriculum of exercise prescription studies must have some interests in Asian martial artistic tradition, forming new directions of exercise prescriptions, as oriental medicine's principles are being proved scientifically, whil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full-fledgedly being unfolded. 본 연구는 동, 서양에 따른 동양무예와 스포츠, 동양의학과 서양의학, 동양무예의술과 운동처방이라는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운동처방학 교육과정 담론을 기술하였다. 이에 동양무예사상에 깃든 의술은 인간을 사하기 위한 무예사상 속에 인간을 생하기 위한 의술도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동양무예 수련의 바탕에 무예가 인간의 움직임인 운동과 동일하다는 본 연구의 담론은 운동처방과 무예운동이 인간상해에 따른 회복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현상을 보였다. 그리고 운동처방학 교육과정의 현재는 서양의학에 발맞추어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양무예사상 속 의술철학은 아쉽게도 드러나진 않았다. 동양무예의술과 운동처방학이라는 두 학문을 집중조명 해 보면 동양과 서양의 사상과 문화의 차이일 뿐 무예와 운동, 의술과 처방학이라는 관점에서 운동을 통해 상해예방과 처치를 한다는 목적은 같음으로 정리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동양의술의 원리가 과학적으로 입증되는 시점에서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운동처방학 교육과정이 서양의학에 치우친 발전보다 동양무예사상 의술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그에 따른 교과목 형성을 통해 통합운동처방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보는 의미 있는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 본국검보 조천세의 좌쌍수 파지법과 환집 기법 고찰

        노병일(Noh, Byeong-Eil),심준영(Shim, Jun-Yeong) 한국무예학회 2021 무예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무예도보통지』24기예 중 본국검법에서만 나오는 33가지 자세 중 조천세 원문의 의미와 좌쌍수 파지법, 환집 기법 및 범례의 분합사례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국검의 조천세를 중심으로 본국검보 한문본과 본국검총보, 한글로 된 언해본과 본국검총도의 그림을 비교하고 관련된 문헌을 비교 검토하였다. 주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국검보 원문의 그림은 좌측 손을 위로 한 좌쌍수 파지법이고, 본국검총도의 조천세 그림은 우측 손을 위로한 우쌍수 파지법으로 분리되어 표기하고 있다. 이러한 파지법이 나올 수 있는 근거는『무예도보통지』범례에 따라 보와 도를 조합한 조천세의 좌우 회전이 그림에 반영된 것이다. 둘째,『무예제보번역속집』왜검보 그림에 단병기의 좌쌍수 파지법과 우쌍수 파지법이 나타난 것은 동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손을 바꾸어 잡는 환집이 이루어진 다음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셋째, 좌쌍수 파지법의 이점으로 좌우 환집이 원활하면 단병기와 장병기를 쉽게 운용함으로써 공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무예도보통지』범례에서 보와 도로 분합된 각 자세들의 기법을 연결하고 종합하여 해석해야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to re-examine and reproduce the meaning of original Jocheonse(朝天勢) and left double grip, hands changing method and separation and integrity cases of legend of 33 postures found only in Bongguggeombeob(本國劒法) of 24 martial arts of『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synthetically. For this, the present study compared and examined pictures of Bonguggeombeob written in Chinese, Bonguggeomchongbo(本國劒總譜), Eonhaebon(諺解本) in Korean and Bongguggeomchongdo(本國劒總圖) and related literatures focused on Jocheonse of Bongguggeom. The main conclus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pictures of the original Bonguggeombo(本國劒譜) showed left double grip with left hand directed upward and the pictures of Jocheonse of Bonguggeomchongdo indicated right double grip with right hand directed upward separately. These different grip methods were originated in the pictures of left and right rotation of Jocheonse combining Bo and Do according to the legend of Muyedobotongji. Second, left double grip and right double grip of short weapons displayed in the pictures of 『Muyejebobeunyeuksokjib(武藝諸譜飜譯續集)』Waegeombo(倭劒譜) showed the motion after changing hands in the process of doing motions. Third, left double grip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 efficiency of attack and defense by operating short weapon and long weapon easily when left and right hand changing method is smoot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chniques of all postures combined into Bo(譜) and Do(圖) in the introductory remarks of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should be connected, synthesized and interpreted.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기예질의(技藝質疑)'의 의미

        차명환 한국무예학회 2018 무예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universal theory for Korean martial arts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universal theory notific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uniqueness of intuitive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meaning to the extension of epistemological outline of Muyedobotongji. First, in order to realize the intrinsic value of Muyedobotongi, it is required to discover the uniqueness of intuitive knowledge, and to make an epistemological approach to establish universal theory by continuously producing basic concepts about martial arts. Secondly, the contents of the 'heoyugyektapmun' included in ‘Kiyejileui’ is intuitive knowledge acquired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f judgment or reasoning against the empirical knowledge. However, even though it is not conceptualized, it can be included as a source of meaningful thought in terms of the existence of reality and the dissemination of thorough personal thought from Muyedobotongji’, and ‘Kiyejileui’. 본 연구는 한국무예의 독자적 학문체계 구축을 위한 보편이론을 정립하는데 있어 '武藝圖譜通志'관련 연구동향 검토와 '技藝質疑'의 내용 분석을 근거로 실증적 지식과 배치되는 직관적 지식의 고유성을 구현하기 위한 실마리를 추적하고, '武藝圖譜通志'연구의 인식론적 외연 확장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시론적 연구이며, 그 과정을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武藝圖譜通志'의 내재적 가치구현을 위해서는 직관적 지식의 고유성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무예일반에 대한 기초개념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여 보편이론을 정립할 수 있는 인식론적 접근이 요구된다. 둘째, '技藝質疑'에 수록된 ‘허유격답문(許遊擊答問)’의 내용들은 실증적 지식과 대립되어 판단이나 추론의 개념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획득되는 직관적 지식이다. 그러나 개념화 되지 않았음에도 실체가 존재한다는 점과 철저한 개인적 사고의 소산이라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사고의 원천으로 포섭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武藝圖譜通志' 및 '技藝質疑'를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가장 큰 목표는 바로‘무예수련’을 위한 지식의 전달이었다. 무예의 수련은 곧 몸이 인식주체가 되고, 몸으로 체득되어지는 직관적 지식의 습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실증적 지식과 대비되는 중요한 인식론적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숙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군정기 이경석(李景錫)의 柔術(柔道) 역사론 재고

        이승수(Lee, Seung-Soo) 한국무예학회 2023 무예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군정기 이경석의 한국 柔術(柔道) 역사론을 재고하여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그가 1948년에 작성한 ‘우리 柔術(柔道)에 對한 史的考察’을 분석했다. 또한 이와 관련한 문헌자료 및 신문기사를 토대로 분석했으며, 선행연구도 원용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경석의 한국 柔術(柔道) 역사론의 토대가 되었던 것은 安自山의 『朝鮮武士英雄傳』이었고, 그는 柔術(柔道) 역사 서술 외에 기술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그가 소개한 기술은 일본의 柔術(柔道) 기술의 골자 일부를 한국어로 번역, 소개한 것이었고, 번역 과정에서 이극로를 중심으로 한 국어학자의 협력이 있었다. 또한 유도복 띠 제정에 있어서는 역사학자들의 협력도 있었다. 그러나 이경석은 일본 柔術(柔道) 기술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대한 면밀한 검토는 없었다. 일본 柔術(柔道) 기술의 한국어 번역 작업은 한국화 작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고, 그 속에는 민족주의 의식이 내포되어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이경석과 사회지도자는 상호 협력 관계에 있었다. 또한 한국 柔術(柔道) 역사를 재정립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경석에 의해 일본 柔術(柔道)이 일부 有用되었다. 본 연구는 미군정기 한국 柔術(柔道)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생각하고, 또 한국의 柔術(柔道) 발달사를 재고하는데 단초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theory of Lee Gyeong-seok regarding the history of Korean Yusul(Yudo) under the US military ruling era in a way of displaying its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zes the ‘Historic Contemplation Regarding Our Yusul(Yudo)’ that he drafted in 1948. In addition, the analysis is made on the basis of pertinent bibliographic data and newspaper articles as well as quoting the advance studies, and the result is shown as follows.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Yusul(Yudo) history of Korea for Lee Gyeong-seok is 『Joseonmusayoungwung-jeon(Joseon Swordmen Hero Story)』of An Ja-san. He also introduced on skills beside the description of the Yusul(Yudo) history. Skills introduced by him is a translation of some main frame of Jujutsu(Judo) skills of Japan into the Korean languag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re was cooperation of Korean linguistic scholars, led by Lee Geuk-ro. With respect to establishing the Judo uniform, there was cooperation by the historians. However, there was no close review on the process of historic changes for the Yusul(Yudo) skills. The translation of the Jujutsu (Judo) skills of Japan into the Korean language was made as part of the Koreanization works, and it contains the nationalism awareness within. In this series of process, Lee Gyeong-seok and social leaders were under the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 In addition, as a mean to re-establish the Yusul(Yudo) history of Korea, part of Jujutsu(Judo) of Japan was partly utilized by Lee Gyeong-seok.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Yusul (Yudo) during the US military ruling era, and has the implication in providing a clue to re-contemplate the history of Yusul (Yudo) development of Korea.

      • KCI등재

        한국 맨손무예와 일본 柔術과 연관성 논의

        김재우,남덕현 한국무예학회 2020 무예연구 Vol.1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are-Handed martial arts in Korea and Japan. The meaning of Korean“Subak(手搏)”,“Kyunbub(拳法)”,“Baekta(白打)”and Japanese“Jiu-Jitsu(柔術)”were identifi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bare-handed martial arts show a technical tendency to hand and foot with a hitting form. Second, there was a common technique in the Joseon Dynasty's ancient constitution to throw opponents in the game scene between the Joseon Dynasty people and the Japanese and Japanese "Pyeon-Ssaum(偏戰)" play. Third, in Japanese literature, the evidence that Subak, Kyunbub, and Baekta related to Jiu-Jitsu can be confirmed. Fourth, the Korean bare hand martial arts in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which can confirm the Korean and Japanese culture exchange, showed similar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game styles as Japanese Jiu-Jitsu.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맨손무예 특성을 분석하고자 수박(手搏), 권법(拳法), 백타(白打)의 의미와 유술(柔術)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종합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맨손무예는 타격 형식과 함께 손과 발을 이용하여 상대를 넘기는 기술 성향도 보인다. 둘째, 조선시대 고문헌을 확인해 볼 때 조선인과 일본인과의 경기 장면 및 일본 편싸움(偏戰) 놀이에서 상대를 잡아 던지는 공통 기술이 존재했다. 셋째, 일본 문헌에서 수박, 권법, 백타는 유술과 연관된다는 근거를 확인할 수 있다. 넷째, 한일 문화교류사를 확인할 수 있는 조선 문헌에서 한국 맨손무예는 일본 유술과 유사한 기술적 특성과 경기방식을 보였다.

      • KCI등재

        청주세계무예마스터십 개최가 무예인들의 자긍심과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박관도,김학덕 한국무예학회 2018 무예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World Martial Arts Masterships on Pride and Sports Confidence of Martial Artists.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municipalities in Chungcheongbuk province, which attracted the Cheong-ju World Martial Arts Masterships, and 186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Firs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holding World Martial Arts Mastership and martial arts martial artists’ pride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n pride factor among the factors of Pride.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lding World Martial Arts Mastership and martial arts masters’ sports confidence showed that physical mental preparation and social support factor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holding World Martial Arts Mastershi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de and sport confidence of the martial arts, the prid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of sports confidence. 본 연구는 청주세계무예마스터십 개최가 무예인들의 자긍심과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청주세계무예마스터십 대회를 유치한 충청북도 무예인들을 중심으로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받아 그 중 미흡한 자료 14부를 제외한 186부를 최종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무예마스터십 개최가 무예인들의 자긍심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긍심의 요인 중에서 구체적으로 종목자긍심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계무예마스터십 개최가 무예인들의 스포츠 자신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구체적으로 스포츠 자신감의 요인 중에서 신체 및 정신준비, 사회적지지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예인의 자긍심과 스포츠 자신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구체적으로 자긍심의 종목자긍심 요인은 스포츠 자신감의 신체 및 정신준비 요인과 사회적지지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개인자긍심은 사회적지지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