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아발달적 관점에서 본 5세 유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 연구 : 모래놀이의 주제 및 심리적 변환과정을 중심으로

        한미현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1 모래놀이상담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모성분리불안, 사회적 위축, 주의력 결핍, 공격성 등의 정서불안정 문제를 가진 5세 유아에게 적용한 모래놀이치료의 효과를 자아발달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접수면접 및 심리검사 결과를 토대로 총 13회기의 모래놀이치료를 6개월간 실시하고, 모래상자에 표현된 놀이의 테마 분석을 통해 모래놀이치료과정의 진행에 따른 심리적 변환 및 자아발달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정서 및 행동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매 치료회기 후 모와의 상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과정의 진행과 더불어 모래놀이주제(상처/치유)의 출현양상이 변화하였다. 즉 치료초기단계에서는 상처의 주제가 많이 나타났으나 치료회기가 진전됨에 따라 치유를 상징하는 주제가 점차 증가되면서 결국 상처의 주제를 능가하게 되고, 치료후반기에는 상처의 주제는 사라지고 심리적 변환의 주제로 변화되었다. 둘째 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나타난 놀이주제의 변화과정은 자아발달적 관점에서 자아의 분화 및 성장과정을 재확인시켜줌으로써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유아의 자아성장을 보여주었다. 셋째, 모래놀이치료과정과 병행하여 모상담을 실시한 결과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아동은 일상생활에서 보였던 정서불안정 문제가 사라지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도 적극적이 되었으며 운동, 학습 등과 같은 사회적 활동을 즐기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사례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발달 및 사회적 적응을 돕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집단 모래놀이치료 연구동향

        서종수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22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search trends on group sandplay therapy by analyzing group sandplay therapy papers made in Korea. For this, 69 paper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group, sandplay’ on RISS, DBpia, Earticle, Kiss, newnonmun, scholar and other research information sites and collecting papers from 2008 to 2021. A collection frame was prepar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andplay therap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year, subject, composition, evaluation method, session and time, research method, research model, group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 location, and major. As a result of this study, group sandplay therapy had the most studies on children and structured group sandplay therapy program.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pre-post-test model is most used for group sandplay therapy, the evaluation method is a complex method, and the Wilcoxon test and ANCOVA are the most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 place where a group sandplay therapy program is implemented was ‘not stated in the paper’ the most, and the children/family (welfare) majors were the most.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group sandplay therap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집단 모래놀이치료 논문을 분석하여, 집단 모래놀이치료에 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RISS, DBpia, Earticle, Kiss, newnonmun, scholar 및 기타 연구정보 사이트에 ‘집단, 모래놀이’를 검색하여 2008년부터 2021년 까지 이루어진 논문을 수집하여 총 6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 틀은 모래놀이치료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작성하였으며, 연도, 주제, 구성, 평가방법, 회기 및 시간, 연구방법, 연구모형, 집단분류, 분석방법, 위치, 전공별로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집단 모래놀이치료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구조화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모래놀이치료는 사전-사후검증 모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평가방법은 복합적 방법을, 통계 분석방법은 Wilcoxon test와 ANCOVA가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모래놀이치료의 프로그램 진행장소는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아동/가족(복지)전공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모래놀이치료의 연구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커플의 모래놀이치료가 부부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검증

        오세선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3 모래놀이상담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커플의 모래놀이치료가 부부관계치료로서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과 제로 첫째는 커플의 모래놀이치료가 한국의 성인부부들에 대한 접근성은 용이한가를 알아보는 것이고, 둘 째는 커플의 모래놀이치료가 부부치료기법으로 치료적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 적인 부부로 자발적으로 실험에 참여한 부부 15쌍(N=30)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Boik과 Goodwin(2000)이 제시한 커플의 자발적인 모래놀이 상자(Spontaneous Sand Tray with Couples)의 7단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의 설계는 1차 4회기와 2차 8회기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1차 4회기에서는 전체 부부 15쌍 에게, 2차 8회기는 15쌍의 부부들 중에 선정된 2쌍의 부부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위한 측정 도구로는 부부조망수용자기보고 척도, 부부의사소통 척도, 부부결혼만족도 척도와 참여자의 프로그램평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양적분석은 SPSS Win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산 출하였고, paired t-test와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커플의 모래놀이치료는 한국의 성인부부, 즉 남편과 아내 모두에게 커플의 모래놀이치료가 치료적 접근성과 적용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커플의 모래놀이치료는 부부조망수용능력과 부부의사소통 그리고 부부만족 도를 향상시켜 주는 효과적인 부부관계치료 기법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커플의 모래놀이치료는 한국의 성인부부의 부부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 KCI등재후보

        우울 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임맹자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1 모래놀이상담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우울 성향을 보이는 유아에게 나타나는 주요 문제인 자기표현과 사회적 참여 변 화에 대하여 모래놀이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5세남아 1명 으로 모래놀이치료는 주1회 50분씩 20회기를 진행하였다.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보여준 자기 표현 변화는 치료초기단계에서는 자기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치료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자기표현을 시도하기 시작하였으며, 언어적 표현 보다는 특히 비언적인 표현이 많았다. 치료후반으로 갈수록 언어적 자기표현이 증가하여 나타났으며, 종결 시점에는 적극적 언어 표 현과 행동화가 나타났다. 사회적 참여 변화는 모래놀이치료 초기에 움직임이 적고 소품을 거 의 사용하지 않았던 반면 치료 중반에는 자신의 놀이에 필요한 소품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 면서 소품을 활용하려고 시도하였으며, 치료사와 관계 맺기도 이루어졌다. 치료 후반으로 갈 수록 스스로 소품을 이용하여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성향을 보이는 유아는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자기표현과 사회적 참여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가 치료 장면과 일상생활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우울 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과 사 회적 참여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유아가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우울 성향을 벗 어나기 시작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집단에 적응해 가는 다문화 가정 남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영옥(Rhee Young Ok)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20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에서 자란 만 11세 남자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안전하고 보호된 공간에서 10개월간 주 1회, 총 23회의 모래놀이치료와 1회의 종결 상담이 진행되었다. 사전 심리검사 자료로는 1회의 HTP, KFD를 실시하였다. 아동은 초기 발달에서 부모와 떨어져 지내며 불안정 애착이 형성되었고, 학령기 초기부터 이주와 동시에 시작된 언어 문제와 문화적 차이로 집단에 대한 부적응 및 문제 행동이 증가하여 지역아동센터를 통하여 의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놀이치료를 통하여 혼란과 불안을 해소하고, 긍정적인 자기 인식을 발달시키면서 집단에의 적응을 돕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아동의 모래놀이치료의 전체 여정은 도라 칼프(Dora Kalff, 2004/2012)의 집단으로의 적응과정 단계 분석틀을 적용해 볼 때, 1단계 혼돈단계(동·식물 단계)에서 출발하여 2단계 투쟁단계를 거쳐 3단계 집단에의 적응단계까지의 자아 성장을 보였다. 모래놀이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사로잡혀 있던 모성에서 분리가 이루어지고, 건강한 남성성을 발달시키면서 긍정적인 자기 개념을 가질 수 있었다. 동시에 또래집단에서 적절하게 적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자아 발달과정에서 모래놀이치료를 통하여 어떻게 집단에 적응해 가는지 확인하고, 도라 칼프가 제시한 정신발달단계를 실제적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었던 사례이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the sandplay therapy for a boy from a multicultural family. A total of 23 weekly sandplay sessions and a closing counseling session were provided to the boy for ten months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boy was securely protected and accepted. In addition, projective 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HTP(house-tree-person) and KFD(kinetic family drawing) tests were conducted. The boy developed an insecure attachment as he was raised away from his parents during early development. During his early school days, he developed low self-esteem as he received negative external feedback because his Korean was not fluent. When reaching adolescence, he had mor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collective and exhibited more problem behaviors. He was referred to sandplay therapy through a local children’s center. Sandplay therapy was performed with the aim to help him dispel inner psychological confusion and anxiety, develop positive self-awareness, adapt to the collective and establish an independent identity that should be developed during adolescence. During the sandplay therapy, the boy exhibited self-growth, going through Dora Kalff’s three stages: chaos, fighting and adaptation to the collective. As the sandplay therapy progressed, the boy’s relationship with his parents improved into a receptive one. He was separated from motherhood which he had been captured by and developed healthy and ideal masculinity. Although he grew out of hyperactivity and negative self-concept, he developed a positive ego, adapting properly to the collective. This study confirmed that sandplay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go development of a boy entering adolescence who ha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collective due to his insecure attachment formed in his multicultural family. It was also found that through sandplay therapy, the boy could establish an identity.

      • KCI등재후보

        유아기 모성성의 상실로 학교부적응을 보이는 중학교 남학생

        김혜자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1 모래놀이상담연구 Vol.7 No.2

        본 사례는 5세 때 부모의 이혼으로 현재까지 조모에 의해 양육된 16세 중학교 3학년 남학생의 사례로, 반항적인 행동-교사지시불이행, 학습태도 불량과 교칙위반- 무단결석과 조퇴, 음주와 흡연, 공격적 행동-학교폭력 등 학교부적응을 나타내고 있는 내담자에게 총 14회의 모래놀이치료로 개입한 사 례이다. 내담자는 유아기의 주 양육자와의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모성성의 상실’로 정서적으로 혼란한, 우울한 정조를 갖게 되었으며, 내담자의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도 공격성, 혼돈과 의욕상실을 가져왔다고 사려 되었다. 또한 이러한 모성의 결핍으로 내담자는 깊은 우울증-기분장애(mood disorder)와 부정적 아니마(Anima)를 가지고 있었으며, 실제로 학교생활 전반에 걸친 부적절한 공격적인 행동양식으로 학업이나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내담자의 반항적인 태도는 학습태도불량, 교사지시불이행 등 모든 교사들과의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또한 유아기의 정서적 애정 욕구충족에 있어서 거부, 좌절, 상실을 경험한 내담자는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고 있었으며, 학교현장에서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이나 문제해결력이 떨어지고 충동적이며 공격적인 행동으로 발전하여 교내폭력, 흡연과 음주, 무단결석과 무단조퇴등의 교칙위반으로 학교생활의 문제아, 이방인이었다. 본 사례는 모래놀이치료의 개입을 통하여 내담자와 상담자의 모자일체성을 바탕으로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공격적인 분노의 감정을 표출하고, 잃어버린 모성성의 회복을 위한 필요한 시점으로의 깊은 퇴행을 하고, 자기치유력을 통해 긍정적인 자기(Self)상을 정립해 나가는 치료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모래놀이치료와 ‘數의 상징’을 중심으로 數의 세계를 모래놀이와 통합하여 모래상자를 이해하고 해석해봄으로써 모래놀이치료의 심리 치료적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6세 소녀의 놀이치료과정의 보고 - 놀이에 관한 관찰-

        오가다 야스노부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4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0 No.1

        오늘날 놀이의 의미, 놀이의 철학 등의 고찰이 많아지며 놀이가 중요시 되고 있다. 여기엔 공 해 추방, 권리주장 등에서 볼 수 있는 세상의 움직임의 하나라는 발상의 전환에 영합하려는 측면이 있다. (실제로는 수정에 불과 하다고 생각하지만.) 그러나, ?놀이?에 관한 연구는 고 대부터 인간의 탄생 이래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놀이의 역사와 철학의 변천 등은 다음 기회로 미루고 여기서는 놀이 치료에 나타나는 놀이를 통해서「놀이?의 고찰을 해 보 기로 한다.「치료를 위한 놀이는 변원(?遠)현상?이라는 Fink의 말처럼, 놀이 치료는 심리 치료의 하나다. 단지 놀이를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놀이의 본질을 나타내지 않은 것 처럼 보이기도 하나, 그것은 놀이치료나 심리치료를 협소하게 여기기 때문이며 편견이라고 생 각한다. 놀이치료 중의 놀이야 말로 오히려 Fink가 말하는 인간의 본질, 인간성을 나타내며, 또한 놀이의 본질을 그대로 실생활로 옮기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래에서는 필자가 치료사였 던 사례에서, 치료사(이하 ‘th’)와 내담자(이하 ‘cl’)의 움직임을 예시, 놀이치료과정을 고찰하여, 놀이에 관한 필자의 생각을 말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놀이치료를 실시한 32회(1년4개월)의 긴 기간의 상담기록을 보고하고, 32회의 상담 중 중요한 것을 선택해 고찰했다. 매회기의 상 담기록을 실은 것은 치료과정의 변화를 잘 알 수 있고, 다른 입장의 사람들이 고찰하기에 편 리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정서적 지지를 위한 모래놀이치료 사례

        양한연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2 모래놀이상담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정서적 지지 증진에 모래놀이치료가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알코올중독자 자녀를 대상으로 총 12회기의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모래놀이치료 진행과정, 우울불안과 자아존중감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모래놀이치료 회기가 진행될수록 아동의 모래상자에서는 관심과 사랑에 목말라하는 정서, 즐거움과 공감을 바라는 마음이 표현되었다. 피겨 선택의 폭이 다양해지고 모래상장에 서의 위치사용도 넓어졌다. 또 치료자와 대화를 할 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얼굴표정이 다 양해지고 목소리도 정확하고 크게 변화하였다. 둘째, 모래놀이치료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우울불안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래놀이치료 실시 후 우울불안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래놀이치료가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우울불안 요소를 감소시켜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모래놀이치료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모래놀이치료 실시 후 자아존중감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래놀이치료가 알코 올중독자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주었다.

      • KCI등재후보

        모성성을 회복하는 30대 직장여성의 모래놀이치료사례 연구

        유미림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4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부정적 모성콤플렉스로 인해 내면의 여성성?모성성이 미분화된 상태로 결혼과 출산을 경험하고 엄마가 되었지만, 어머니의 역할 및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30대 직장 여성의 모래놀이 치료사례이다. 모래놀이 치료를 통한 모성회복 과정은 2011년 11월 시작하여 26개월간 총 48회기 진행되었다. 이중 가시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29개의 모래상자를 분석의 대상으로 대상자의 내적 의식의 흐름을 분석심리학적 틀을 빌어 3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 부는 1회∼12회로 성인여성의 소녀시대 단계이고, 2부는 13회∼21회 독립과 통과의례를 통해 소녀에서 여성으로 변환되는 단계이다. 마지막 3부는 22회∼48회기까지로 모성성이 실현되는 단계로 모래상담을 통한 내적성찰을 통해 비로소 ‘어머니’가 되어 아이를 품을 수 있는 자아 상태에 이르게 되는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심리학적 틀을 빌어 설정된 분석의 틀을 통해 분석한 내담자의 모래놀이 치료 전반에 대한 몇 가지 의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아 기 능의 여러 측면 중 내담자에게 부족했던 대인관계능력과 감성적 영역의 발달에 모래놀이 치료 가 기여한다는 것과 둘째, 모성콤플렉스를 다루는 계기로서의 모래놀이 치료의 가능성 확인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 하였으며, 셋째, 본 사레연구가 융 저작집 2권(2002)에서 제시한 ‘딸의 모 성콤플렉스의 유형’ 중 부정적 모성콤플렉스의 사례를 보여주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자해하는 남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어해룡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1 모래놀이상담연구 Vol.7 No.1

        본 사례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보호된 장면에서의 상징체험을 통해 심각한 심리적 상처를 내재하고 있는 아동의 상처와 분노를 저항감 없이 자연스럽게 표출할 수 있도록 돕고 이 과정의 안전한 탐색과 긍정적인 재경험을 통해 회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내담자의 상징체험 과정에서 자주 등장한 개구리 상징과 물, 홍수 신화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12세의 남자 초등학생으로 내재화된 피해의식과 외현화된 문제행동으로 인해 공동생활가정에서 아동상담치료센터에 입소 의뢰되었다. 심리검사에 따르면 아동은 심리․정서적으로 우울, 무력, 불행, 불만족, 억제, 병리적이었으며 상당한 수준의 불안, 위태, 공격성울 보였고 충족되지 않은 애정 욕구가 컸다. 본 연구의 모래놀이치료는 현상학적 관점에 입각해 진행되었으며 치료자는 치료과정에 적극적인 참여관찰자입장에서 접근하였다. 모래놀이치료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슈퍼바이저로부터 삼각검증(triangulation)의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해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상징 체험 활동이 내담자가 안전하게 퇴행할 수 있도록 돕고, 안정과 통합을 이루게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실세계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부정적 감정을 안전한 모래놀이를 통해 적절히 표출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무의식적 내면을 재구성하여 의식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짐을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