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터러시로 세상을 읽다 - 조병영,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 쌤엔파커스, 2021

        이주영(Jooyoung Lee )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피츠버그 대학에서 15년간 읽기와 리터러시를 연구하며 EBS 프로그램 <당신의 문해력>을 기획해 이끈 저자는 최근 저서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에서 이제는문해력을 넘어 맥락을 읽고 세상을 디자인하는 리터러시를 말해야 하는 시대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리터러시를 한 문장으로 정의하는 것은 어렵지만 파울로 프레이리가리터러시를 정의할 때 늘 ‘단어 읽기와 세상 읽기’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는 입장을 견지하며, 리터러시는 정확한 낱글자 읽기가 복잡다단한 세상 읽기로 전환되는 과정에기여하는 매우 정밀하고 섬세한 지적·정서적·사회적 의미의 구성 과정과 실천의 스펙트럼을 포괄하는 의미임을 시사한다. ‘배움의 도구’이자 사회적 개념인 ‘역사적 도구’로, 리터러시는 글자 읽기에서 출발하여 앎을 성찰하는 세상 읽기로 발전한다. 책은 모두가 좋은 리터러시를 갖추고 실천할 수 있도록 사회가 어떻게 도와주고 있는지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며 리터러시의현황과 과제, 전망과 대한 다각적인 질문들을 던지고 유효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인도한다. 텍스트를 매개로 세상을 읽고 쓰는 리터러시를 실천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삶의 자세를 가져야 할까. 저자는 삶의 경험을 근거로 의미를 디자인하는 과정이 필요함을논한다. 읽기와 쓰기는 소통하고 연대하는 사회를 디자인하는, 우리 사회를 바꾸는도구이므로 읽기와 쓰기로 세상을 바꾸는 리터러시 실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리터러시의 의미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이며 포괄적으로 계속 확장될 것이기 때문에 저자의 통찰력 있는 후속 논의가 기대된다. 리터러시는 나로 살아가고 있다는증명이 될 수 있다. 리터러시가 공동체를 만든다는 입장을 견지하는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The author, who planned and led the EBS program <Your Literacy> by studying reading and literacy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for 15 years, stresses in his recent book <Experience Reading Human Literacy> that it is time to talk about literacy that goes beyond literacy and designs the world.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efine literacy in one sentence, the author maintains that Paulo Frey always used the expression “word reading and world reading” when defining literacy, suggesting that literacy encompasses a very precise, delicate spectrum of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meanings. It is a ‘historical tool’ that is a ‘tool of learning’ and a social concept, and literacy starts from letter reading and develops into a world where you reflect on your knowledge. The book asks various questions about the current status, tasks, prospects and prospects of literacy, saying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society is helping everyone to have and practice good literacy. What attitude of life should we have to practice literacy that reads and writes the world through text? The author discusses the need for a process of designing meaning based on life experiences. Reading and writing are tools that change our society, designing a society that communicates and solidifies, so it is possible to practice literacy that changes the world through reading and writing. In the future, the meaning of literacy will continue to expand in multi-layered, complex, and comprehensive ways, so the author's insightful follow-up discussion is expected. Literacy can prove that I am living as myself. We recommend reading books to readers who maintain the position that literacy creates a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연세대학교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김성수(Kim Sung-soo)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연세대학교 <글쓰기(작문)> 교육은 2000년도 이전까지 이루어져 왔던 교수자 중심의 일방향 수업( <국어>, <글과 삶>/ <말과 삶>)으로부터 교수자와 학생 상호간에 글쓰기 ‘실습’을 매개로 한 양방향 수업( <글쓰기>)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2000년대부터 이루어지는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은 글의 구성 방법과 논증 방법, 문장 표현법 등의 글을 쓰고 교수자의 지면·대면 첨삭 교육을 받는다. 이를 바탕으로 특정 주제와 장르에 관한 글을 쓰는 연습을 하면서 향후 전공 학문에서의 학술적인 글을 쓰기 위한 기초 공부를 하고 있다. 글쓰기 교수진은 2000년 이전의 글쓰기 교재인 『대학 작문』(연세대학교출판부, 1972)이나 『글쓰기와 삶』(연세대학교출판부, 1992)의 내용을 혁신적으로 계승하여 『글쓰기』(연세대학교출판부, 2003),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사이언스북스, 2006), 『대학 글쓰기』(삼인, 2008) 등의 교재를 개발하였다. 수준별(외국 학생 대상의 <기초한국어글쓰기>· <글쓰기(특례)>, 국내 학생 대상의 <글쓰기(일반·심화)>), 특성별(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과학 글쓰기>· <고급 실용문 쓰기>), 전공영역별(공통기초 대체 과목인 자유전공의 <학술적 글쓰기>) 등 다양한 강좌를 개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글쓰기 수업의 수준과 내용을 향상키기 위한 교육 지원의 일환으로 2004년부터는 ‘튜터 제도’를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다. 학기를 시작하기 전과 중간에는 워크숍과 콜로키움 같은 행사를 개최하여 교수자들 상호간에 글쓰기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해 토론하고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향후 연세대학교의 글쓰기 교육은 변화하는 시대 환경에 부응하기 위해 학문 영역별·특성별 강좌 및 학문 융합적 성격의 <글쓰기> 강좌를 개발하여 운영해나가는 동시에, 다매체 시대의 특성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 교육을 지향해 나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글쓰기 학습을 할 수 있는 좋은 교육 환경을 조성해나가는 일 역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여기에 대학 글쓰기(작문) 교육의 성패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Yonsei University’s writing(composition) education changed it’s direction from being unilateral( <A Korean Reader>, <Reading &Living>, <Writing & Living>), putting professor at the center of lectures before 2000s, to being interactive through the medium of writing practice between the professor and student. Students wrote an organizing method, a reasoning method, and a sentence expression in the revised format of the writing classes which came into effect after 2000, and then they were instructed through paper correction and face-to-face correction by their professor. Based on such writing experience, they practice writing on the specific theme and genre as ground work for academic writing in their major fields study henceforth. Yonsei University’s writing professors developed writing textbooks like Writing(Yonsei University Press, 2003), Science Writing for Everyone(Sciencebooks, 2006), and College Writing(Samin, 2008) that basically follow but revise the contents of College Composition(Yonsei University Press, 1972) and Writing & Living(Yonsei University Press, 1992). In addition, they developed various courses, such as level-differentiated courses( <Korean Basic Writing>; <Writing (Special Class)> designed for foreign students, <Writing(General Class)>; <Writing(Advanced Class)> designed for domestic students) purpose-specific courses( <Science Writing>; <Advanced Practical Writing> for students), major-specific courses( <Academic Writing> for Open Major Students as a substitute subject for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Also, they introduced and carried out a ‘tutorial system’ to provide writing education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ability level and writing content in writing classes in 2004. In the beginning and at the midterm of every semester, a workshop and colloquium regarding writing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are held as an field for the exchange of educational information between professors on a regular basis.

      • KCI등재

        원인은 숨어 있지만 결과는 만방에 드러나 있다 - 프라기야 아가왈, 이재경 옮김, 『편견의 이유』, 반니, 2021

        최유숙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6

        이 글은 Sway:Unravelling Unconscious Bias의 번역서 인 『편견의 이유』(프라기야 아가왈, 이재경 옮김, 2022)를 한국의 리터 러시 연구자들에게 소개하고 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명시적 편향’과 ‘암묵적 편향’을 구별하고, 이 책이 주로 ‘암묵적 편향’을 주로 다룬 이유를 밝혔으며, 이후 구체적인 사례들로써 이러한 편향이 왜 생기는 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 지, 왜 문제가 되는 지 등을 보였다. 편향이 내면화되는 이유, 양상과 더불어 현대 기술에서의 편향까지,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편향의 거의 모든 측면을 다룬 것이다. 저자가 말한 바와 같이 “편견에서 벗어날 유일한 방법은 편견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뿐”이므로 이 글은 저자가 밝혀낸 편견의 근원과 양상을 충실히 보이는 데 의미를 두었다. 또한 이 책은 영국에 사는 저자의 삶을 배경으로 하므로 유사한 한국 사례나 도서 등도 소개함으로써 한국 사회 편견의 양상도 함께 풀어 보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ntroduces Reasons of Prejudice (Pragya Agarwal, translated by Lee Jae-kyung, 2022), a translation of Sway: Unraveling Unconscious Bias, to Korean literacy researchers. To this end, the concepts of ‘explicit bias’ and ‘implicit bias’ are distinguished, and the reason why this book mainly deals with with the latter is explained. Furthermore, why this bias occurs, how it is manifested, and why it is problematic are illustrated with specific examples. The book covers almost every aspect of the bias we experience, including why and how bias is internalized, as well as bias in modern technology. As “the only way to escape from prejudice i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it,” according to the author, this article aims to faithfully relate the causes and manifestations of prejudice identified by the author. In addition, since this book draws upon the experiences of an author who resides in England, I adduced similar Korean cases and books to explain the aspects of prejudice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사고와 표현’ 교과에서의 글쓰기 교육에 대하여

        이재현(Lee Jae-Hyu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1 리터러시 연구 Vol.- No.2

        2000년대에 들어서서 한국의 대학에서는 <대학국어> 또는 <교양국어>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었던 교과목은 거의 사라지고 <발표와 토론>, <독서와 토론>, <글쓰기>와 같은 ‘사고와 표현’ 또는 ‘의사소통’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의 기초 교양 교과목으로 온전히 자리를 잡았다. 사고력과 판단력에 기초하여 사회와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하고 자신을 표현하고 상대방의 생각을 바르게 이해하고 수용 또는 취사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은 이제 대학이 담당해야 할 가장 기초적이면서 가장 핵심적인 교육이 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사고와 표현 또는 의사소통 관련 교과가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가운데서 자신의 사고를 표현하는 방식으로써의 <글쓰기> 과목은 표현의 측면뿐만 아니라 비판적이며 합리적인 사고력, 체계적이며 논리적 사고력, 분석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 등을 신장시키는 과목으로써 대학의 기초 교양 교과목 중 의사소통 교과의 중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2010년 현재 의사소통 또는 사고와 표현 관련 기초 교양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 소재 대학 35개 중 82.9%에 해당하는 29개 대학이 필수 과목으로건 선택 과목으로건 ‘글쓰기’(쓰기, 작문 포함)를 강의 제목으로 하여 개설하고 있다. 그런데 강의의 내용적인 면에서 글쓰기 교육이 각 대학에서 재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 볼 때, 아직까지 미흡한 면이 많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덕여대 역시 <교양국어>의 형식과 내용을 과감히 벗어 버리고 <독서와 토론>, <발표와 토론> 과목을 통해 토론 및 토의, 화법과 화술과 같은 말하기와, 글쓰기, 비판적 사고 등에 관련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강좌의 제목에서 보이듯이 2000년에서부터 2010년까지 ‘말하기’의 측면은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강조되고 있는 데에 비해서, ‘글쓰기’의 측면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실정에 놓여 있었다. 동덕여대의 <독서와 토론>, <발표와 토론>은 분반 당 25명 정도의 소규모로 운영되면서 개인 발표, 조별 발표, 토론 등을 통해 한 반에 소속된 대부분의 학생들이 전반적이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가능하게 하였지만, 글쓰기 교육은 비중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글쓰기> 과목이 따로 분리되어 단독 교과목으로 설정이 되어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대학 전체의 커리큘럼과 상황이 여의치 못할 경우에는 과목명의 변경을 통해서 ‘글쓰기’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행스럽게도 2011학년도부터는 과목명이 <독서와 토론>에서 <독서와 글쓰기>로 바뀌면서 과목 자체로써 보다 분명한 목적성과 당위성을 가지고 글쓰기 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글쓰기 관련 교육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첨삭 지도인데, 이 글에서는 글쓰기센터를 만들고 재학생 튜터링 시스템과 멘토링 시스템 등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원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대학에서 선배를 활용한 재학생 튜터링 시스템은 글쓰기 교육의 보조 인력의 확보와 동시에 학생 상호간의 의사소통 능력과 사고 표현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2000’s, the college subject called as ‘University Korean Language’ or ‘Cultural Korean Language’ has almost disappeared, and is now being replaced by the subjects ‘Expression and Discussion’, ‘Reading and Discussion’, and ‘Writing’ related to thinking and expression or communication. It becomes the fundamental and core part of education to get the exact awareness about the society and reality through the power of thinking and judging and to accept and partially agree with the different opinions of other people. For this aim, thinking and expression or communication-related subjects are much needed. Among these subjects, the ‘Writing’ class lies in the center of communication-related subjects. since it promotes the students’ cap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to think reasonably, systematically, logically, analytically, and creatively. In 2010, 29 universities corresponding to 82.9% of 35 colleges with communication or thinking and expressionrelated subjects are opening ‘Writing’ class as the required or selective course. When we look into whether the writing education is properly provided for all students at each university, however, it is far from satisfactory. Dongduk Women’s University has discarded the form and content of ‘Cultural Korean Language’ and developed the subjects ‘Reading and Discussion’ and ‘Expression and Discussion’ with an aim to improve speaking. writing, and thinking capability. As noticed in the title of lecture, from 2000 through 2010, the emphasis has been placed on speaking rather than writing.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Reading and Discussion’ and ‘Expression and Discussion’ subjects are opened in relatively small-sized classes with about 25 students, where most members ar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through individual presentation, group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s most of class activities are related to speaking, writing is less emphasized. It is most desirable to separate writing as an independent subject. When it is not possible due to various reasons, however, there are some methods to focus on writing education by changing the title of subjects. Fortunately, as the title of subject is changed from ‘Reading and Discussion’ to ‘Reading and Writing’ in 2011, the momentum is given to intensify writing education with clear purpose and justification. Along with writing education, the correction guidan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writing center equipped with tutoring and mentoring systems. At the universities with less active graduate courses, the tutoring system will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secure the writing helpers and stimulate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thinking and expressing skills among th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