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 언론의 동남아 담론 분석

        김희숙 한국동남아학회 2019 동남아시아연구 Vol.29 No.3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6개 언론사 일간지를 통해 생산 된동남아관련기사들의시기별, 지면영역별특징을빅데이터분석방법의하 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대중의 인식을 유도하고 특정한 관점을 생성해낸다는 점에서 언론에 의해 생산된 기사들은 그 자체로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동남아와 관련하여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주도 적인 담론을 ‘동남아 담론’으로 보고,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동남아 관련 기 사들에 대한 어휘 빈도와 어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약 30년간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동남아 담론에 대한 지면 영역별 기사 수의 추이와 시기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대중에게 전달된 동남아 관련 기사 들이주로국제및경제, 문화영역에편중되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통해한국의언론담론속에서동남아가중국과미국, 일본등의강 대국들이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는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주로 경제적 관계와 관련하여 주시되어왔음을 보여준다. 특기할 만한 현상은 정치면 기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뿐 아니라 내용 면 에서 동남아 자체의 정치가 아닌 남북한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어져왔다는 점 이다. 전체시기에 걸쳐 ‘북한’은 정치면 기사 고빈도 어휘목록에서 1위를 차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동남아가 남북한 외교의 각축장으로서 주시되어 왔음이 확인된다. 또한 언론의 동남아 공간 담론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사실은 한국과의 경제적관계비중이높은일부국가들에대한편중성이크다는점이다. 이러한현상 은 동남아 연구의 대상 지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온 사실과 일정 정도 차이 가있는것으로, 언론및대중담론과학술담론사이에간극이나지체는없는지 를 살펴 이와 같은 편중성을 극복하는 것이 한국 동남아학계의 과제로 남았다.

      • KCI등재

        한국 동남아 국제개발협력 연구 동향 분석: 비판적 동남아 지역연구로서의 국제개발협력 연구 심화 가능성 고찰

        김소연 ( Kim So-yeun ),강하니 ( Kang Ha-nee )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2

        2000년대 이후,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본격적 확대와 더불어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활동과 연구 또한 상당한 발전을 경험해 왔다. 한국의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연구는 단기간 내에 양적으로 성장하였으나, 비판적이고 대안적인 시각에서 기존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한 연구는 제한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판적 동남아 지역연구로서의 국제개발협력 연구 심화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출판된 동남아시아 지역 관련 국제개발협력 연구의 시기별, 주제별 특성 등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에서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학술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7년 이후,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이슈를 다룬 논문 수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공적개발원조(ODA)를 넘어 개발협력, 국제개발로 연구영역이 확장되었으며, 세부 연구주제들도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동남아 지역의 현지 사례를 통해 국제개발/개발협력의 인식론적 깊이를 더하는 연구는 아직 소수에 불과하여, 그간 학술연구의 폭은 넓어졌으나 깊이는 깊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한국의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연구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서 현실비판적/기초학문형 (비판적/대안적) 연구가 지닌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현재 실용적 관점 중심의 국제개발협력 연구가 가지는 한계를 명확히 직시하고, 비판적 시각에서 주류 담론과 레짐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 현지 사례분석을 통하여 개발/발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고민과 성찰을 다룬 학제적 연구의 발전 가능성 또한 제시한다. Domestic debat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has hitherto been rather more focused on the narrow topic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 therefore, practical and practice-oriented enquiries for the former’s effective implementation have dominated the field as a result. However, such lack of foundational debates on ‘development’ has rendered the field inept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development landscape since the new millennium both globally and in Southeast Asia. With this particular problematique in mind, the paper argues for the utility of critical Southeast Asian studies in enriching theoretical debates in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studies. In doing so, we analysed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published since 2000, of which theme concern international development with a specific geographical focus on Southeast Asia. The result shows that such publication and the thematic issues have witnessed rapid quantitative growth since 2007 - while the nature of the publications still clearly remained practical and practice-oriented for effective execution of ODA. We therefore propose the critical Southeast Asian studies to overcome the problematique above by emphasising more inter-/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hat challenge the hegemonic paradigm in the field.

      • KCI등재

        한국의 동남아연구 성장과 포괄성 문제

        전제성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한국의 동남아연구를 포괄적인 방법으로 검토하고 우리 학계의 당 면과제를 새로 설정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발 간된 모든 학술적 성과(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 및 단행본)를 아우르는 연구 총 량 추이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문의 내용은 연구 역사, 연구 축적 경향, 연구자 규모로 나뉜다. 연구 역사는 우리의 인식보다 더 오래되었고 탈중심적이었다. 연구 축적은 점점 더 다원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전문연구자의 수도 예상보 다많았다. 이렇게새로이발견된한국의동남아연구동향은우리학계의포괄 성 증대라는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양적으로 끊임없이 성장하고, 학문적으로 방대하게 펼쳐지고, 국적도 초월하는 한국의 동남아연구 추이에 비하면, 우리 동남아학계는 협소하고 정체되어 있는 것처럼 여겨지기 때문이다. 한국동남 아학회가 포괄성을 증대하려면, 분권적이고 자율적인 소규모 연구회들을 개 설하고, 동남아 출신 국내 대학원생들을 초대하고, 다양한 학문분야의 접점으 로서 대학 거점을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외연의 확대, 지평의 확산: 동남아 미술 연구 10년

        강희정 ( Kang Heejung )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3

        이 글은 동남아시아 미술에 관한 연구가 2008년 이래 비약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까지 약 10년간 동남아시아 지역학 분야에서의 동남아 미술 연구를 검토했다. 이 연구들은 동남아의 미술을 어떻게 다뤘는지 살펴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검토했다. 이 기간에 발표된 동남아시아 미술 연구 논문은 50편이며, 베트남 미술과 인도네시아 미술에 관한 논문이 다수를 점한다. 11개국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미술에 관한 연구가 단기간에 눈에 띄는 성과를 내기 어려운 전문적인 분야라는 점에서 연구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나 짧은 기간에 다양한 연구가 이뤄졌음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도자기와 조각에 집중된 제한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이 기간의 연구는 불균형한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와 동남아 지역 연구 환경을 살펴보면 지역별, 분야별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지난 10년간 동남아 미술 관련 연구가 발전을 거듭했지만 연구 분야와 대상이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역학의 한 분야로서 동남아 미술 연구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각 지역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There was few research dealing with the cultural property or the arts of Southeast Asia before, however many articles and books on the arts of Southeast Asia were published since 2008. There are more than 50 papers dealing Southeast Asian art during the period. It was Vietnamese ceramics and the Buddhist relics of Indonesia which paid attention among those articles. This was relevant to the launching of the Humanities Korea (HK) project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in 2007. A study on Southeast Asian arts from each of eleven countries is difficult to achieve outstanding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Since art historical approach is quite a professional field, the growth of research is limited. Since art historical approach is a professional field, the growth of research is limited. At this point we can say the research on Southeast Asian art are developed in an unbalanced extent in the limited area focused on ceramics and sculptures. Over the past decade, the research on Southeast Asian art has developed, but we still need more experts in specific regions and fields. For establishing the art history as a field of regional studies, it is imperative to cultivate specialists in each region for the profound and balanced understanding the value of Southeast Asian art.

      • KCI등재

        동남아시아 교육과정 신설과 발전을 위한 연대 전략: 성과와 과제에 관한 경험적 분석

        전제성,여운경,이한우 한국동남아학회 2024 동남아시아연구 Vol.34 No.2

        이 논문은 지난 10년간 새로 개설된 동남아 관련 전공들의 창설 과정, 운영 방식, 성과 및 과제를 분석한다. 이런 경험적 분석을 통하여 해외지역연구 관련 전공을 새로 개설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우리가 소개하고 비교 분석하는 사례는 서울대 동남아시아언어문명전공, 서강대 대학원 동남아시아학협동과정, 전북대 동아시아․다문화연계전공이다. 이 세 전공은 동남아 지역연구 전문 교원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이나 분야를 연구하는 교원들의 지지와 협력을 통해 창설되었고 개방과 연대의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교육과정들은 대학에서 동남아 지역과 언어 관련 교육을 확산시켰고 동남아에 관한 이해를 갖춘 졸업생들을 상당수 배출하였다. 교육과정 심화, 안정성 확보, 전공 학생 및 교원 충원 등 여러 도전에 직면하고 있지만, 그런 과제의 해결도 지금까지 그러했듯이 협력과 연대를 통해 해결될 수 있으리라 전망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establishment process, operation method, performance, and tasks of newly opened Southeast Asia-related majors over the past 10 year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we hope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ose who wish to open a new major related to area studies. The cases we introduce and compare are the South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Maj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Graduate Program in Southeast Asian Studies at Sogang University, and the East Asian and Multicultural Studies Major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These three majors have something in common: they were created through support and cooperation of faculty specializing in Southeast Asian area studies as well as faculty teaching on other regions or fields, and are operated in a manner of openness and solidarity. Thanks to the cooperative strategies, these courses provided education on the region and language of Southeast Asia at universities where education on Southeast Asia was scarce, and produced many graduates with an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 Although they are facing many challenges such as deepening curriculum, securing stability, and recruiting major students and faculty, it is expected that such challenges can be solved through cooperation and solidarity as has been the case so far.

      • KCI등재

        동남아시아 반한류에 나타난 문화적 갈등과 특성: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을 중심으로

        김수정 ( Kim Su Jeong ),김은준 ( Kim Eun June ) 한국동남아학회 2016 동남아시아연구 Vol.26 No.3

        동남아시아 국가 중 한류의 강력한 수용국가라 할 수 있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은 한류시장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면서 동시에 반한 류적 담론 역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추세를 보인다. 두 나라의 온라인 담론 분석과 일반인 수용자 인터뷰를 통해 반한류에 나타난 문화적 갈등과 특성을 분석한 결과, 두 나라는 온라인에서 반한류 담론이 활발하게 형성되고 유포된다는 점, 그리고 반한류 현상을 자연스러운 문화적 현상의 하나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이면서 다음과 같은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한류 콘텐츠가 자국 종교와 문화적, 도덕적 가치 측면에서 충돌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비판하면서 한류 콘텐츠가 사회의 도덕을 훼손하는 요인으로 인식되며 반한류 담론이 형성된다. 따라서 반한류의 정서들은 문화정체성을 수호하고자 하는 문화민족주의로 연결된다. 반면 베트남의 반한 류 정서는 문화정체성이나 문화민족주의 정서로 발전하는 모습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대신 케이팝 열성팬으로 인한 사회문제와 세대 갈등이 반한류의 주된 요인으로 지적되며, 케이팝 열성팬을 병리적 현상으로 접근하면서 치료와 교육이 필요한 문제로 인식한다. 또한 케이팝의 성적 선정성 뿐 아니라, 케이팝 아이돌의 실력 없음을 인스턴트 음식에 빗대 ‘라면 아이돌’이라고 부르면서 한류 비판의 근거 로 삼기도 한다. 케이팝 뿐 아니라 한국 드라마는 진부한 전형성과 반복되는 내용의 유사성, 감정 과잉과 비현실성이 문제로 지적되며 이는 한류에 대한 반감의 근거로서 제시된다. 두 나라의 인터뷰 참여 자들은 공통적으로 이러한 반한류 현상을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문화적 현실로 수용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onflicts and characteristics of anti-Korean Wave discourse taken placed among Southeast Asian countries. To do this, it takes Vietnam and Indonesia as the study cases, which have been showing a trend of anti-Korean Wave discourse as well as high popularity of Hallyu. As research methods, the paper analyzes both on-line discourses of anti-Korean Wave and the email audience interviews from both countries. The results show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the similarity that Anti-Korean Wave discourses have been actively produced and disseminated through on-line media. As for Indonesia, the Anti-Korean Wave discourse pivots on the elements clashing between Indonesia`s religion and cultural values and Korean consuming culture. According to the Anti-Korean Wave discourse, K-pop contents and entertainers are criticized for damaging the society`s morals and cultural identities based on Islamic rules and values. Thus, the sentiment of the Anti-Korean Wave is likely to lead to the cultural nationalism for the sake of their cultural identity. As for Vietnam, anti-Korean Wave discourse mainly consists of issues on enthusiastic K-pop fans` anti-social behaviors and generational conflicts which are presumed attributed as the chief factor of the Anti-Korean Wave. In the Vietnamese discourse, social elites and adults treat the enthusiastic K-pop fans as those who are in need of educational care or psychological therapy. Unlike the Indonesian case, anti-Korean Wave discourse in Vietnam criticized the K-pop and the performer`s competence for being cheap sexy and incompetence. They also denounce Korean dramas for their trite, typical story lines, use of excessive emotion, and unrealistic nature. However, the two country`s interview participants have in common both acknowledged that rather than considering the Anti-Korean Wave as an issue that needs to be resolved it should be embraced as a natural cultural phenomenon.

      • KCI등재

        한국의 해외직접투자와 동남아시아의 수출구조 고도화

        임송 ( Lim Song ),이두원 ( Lee Doo Won ) 한국동남아학회 2016 동남아시아연구 Vol.26 No.4

        본 논문에서는 도구변수에 의한 양방향 고정효과 패널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한국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동남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수출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ASEAN(5)국가들의 산업별 수출구조가 미국, EU, 일본과 얼마나 다른지를 나타내는 산업별 수출구조 비유사성 지수(Export Structure Dissimilarity Index)를 구성하고 그것이 한국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자본집약적 산업과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더 나아가서 수출대상국의 경제발전 수준에 따라 수출구조 고도화에 미치는 해외직접투자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기위해 수출대상국을 고소득 국가, 개발도상국 및 저소득 국가로 나누어 분석하고 비교한다. 추정결과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있어서 한국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이 나라들의 수출구조를 개선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그 효과는 자본집약적인 산업에서 보다 크고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대상국 별로는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보다는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들에 대한 수출에서 더 크게 평가되는 것으로, 노동집약적 산업에 있어서는 저소득 국가들에 대한 수출에서만 유의하게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자본집약적인 산업에 있어서 수출구조를 악화시키는 작용을 하였고 그 영향은 수출대상국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다(JEL: F14, F21). In this paper, we analyse the effects of Korean manufacturing outward FDI on the export upgrading in Southeast Asia using instrument variable regression model for panel data with two way fixed effects.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 the Export Structure Dissimilarity Index (EDI) which shows how the sector-based export structure in ASEAN (5) to differ from that of the high income economies such as United States, European Union and Japan. And then, we examine how this index to be changed with the increase of Korean manufacturing FDI dividing the industries into labor and capital intensive sectors respectively. In addition, we divide the importing economies into three groups such as high income economies, developing economies and less developed economie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effects of FDI on export upgrading vary across the economic development stage in importing economies, and compare the results by the group separately.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Korean manufacturing FDI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ort structure upgrading in ASEAN (5) and its effect is larger and significant in labour intensive industries rather than capital intensive industries. We also find that the effects of FDI is the largest in the export to the high income economies while it is the smallest in the export to the developing economies. For the labour intensive industries, the effects of FDI on export upgrading was found only in export to the least developed economies. Finally, we found that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cted negatively to export structure and the magnitude of it was the largest in high income importing economies (JEL: F14, F21).

      • KCI등재

        동남아시아의 정치체제와 자연자원 사이의 상관관계

        박정훈 ( Jung Hoon Park ) 한국동남아학회 2012 동남아시아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1960년부터 2009년까지의 시계열횡단연구(cross-sectional time series) 자료를 이용하여 동남아시아의 각국의 자연자원에 대한 의존도와 정치체제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동남아시아는 중동과 서부사하라 아프리카와 더불어 전 세계에서 가장자연자원이 풍부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나, 관련된 연구는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타 지역에 비해 그다지 축적되어 있지 못한 상태이며, 그나마 단일 사례 혹은 국가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자연자원의존도와 정치체제와의 경험적 연구들에서 주장된 인과 관계들이 동남아시아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에서도 한 국가의 자연자원에 대한 의존도의 증가가 민주주의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자연자원 의존도로 사용하였던 두 가지 지표인 총 수출 대비 자연자원 수출비율과 국민 총생산 대비 자연자원 수입비율 모두 민주주의 수준을 종속변수로 상정한 각 모델에서 음의 상관계수를 보여주었다.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어졌던 주요 이론들인 지대추구(rent-seeking), 지대국가(rentier state), 근대화(modernization)이론을 대표하는 통제변수들을 사용한 대부분의 결과 역시 기존 문헌의 주장을 뒷받침 하고 있다. 그러나 내전 발발과 이슬람을 비롯한 일부 통제변수들의 경우에는 기존 민주화 관련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동남아시아의 지역적 특수성을 보여주는 결과는 후속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 KCI등재

        미중패권경쟁에 대한 동남아 국가들의 헤징전략

        주용식 ( Choo Yong Shik ) 한국동남아학회 2021 동남아시아연구 Vol.31 No.1

        미중패권경쟁의 최대 격전지 중 하나인 동남아 지역의 중소국가들은 미중으로 부터의 압력에서 벗어나고 어느 한 쪽하고도 적대적 관계를 만들지 않으면서 생존과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헤징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본 논고는 미중패권경쟁에 대응하는 동남아 국가들의 헤징전략을 분석해 본다. 우선 헤징의 개념, 동남아 국가들의 헤징동기와 목적 그리고 헤징유형에 대하여 고찰한다. 동남아 국가들은 국내외 상황에 따라 간접균형, 지배부정, 경제실용주의, 반가치외교, 구속개입, 제한편승, 다자제도균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헤징전략을 구사해오고 있다. 헤징의 궁극적인 목적은 미중 양국에 대한 지배부정이다. 동남아 국가들은 어느 정도 지역 자율성을 유지하고 역외국가로 부터의 영향력을 희석시키면서 국가안보를 확보하고 꾸준한 경제성장을 이루어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헤징전략은 유효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동남아 국가들의 헤징전략이 지속적으로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글로벌 차원에서 헤징프레임을 재구성하고 아세안 중심성을 확고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In response to th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the South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taking a hedging strategy that secures national security and obtain economic benefits, while avoiding pressure from and not antagonizing relationship with any of the two great powers. This paper analyzes the hedging strategy of the Southeast Asian states. At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hedging and the motives, goals and types of the Southeast Asian states’ hedging strategies. Depending upon their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the South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adopting various hedging strategies, such as indirect balancing with US, domination denial, economic pragmatism, opposing value diplomacy, binding, limited bandwagoning and multilateral institutional balancing. The ultimate purpose of the hedging strategy is to deny any domination of the region by either China or US. It seems that those hedging strategies have been effective to the extent that they have maintained somewhat regional autonomy, diluted influence of outside powers, preserved national security and achieved steady economic growth. Yet, to keep being effective, the hedging frame needs to be reconstructed from a global perspective. And the ASEAN Centrality should be strengthened and consolidated.

      • KCI등재

        비슷하되 같지 않은 길: -재한 미얀마 카렌족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이상국 ( Sang Kook Lee ) 한국동남아학회 2016 동남아시아연구 Vol.26 No.2

        본 논문은 한국의 카렌족이 1990년대 중반부터 현재(2016년 초)에 이르기까지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 라에뇨와 모사린의 얘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들이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한 시기는 미얀마인을 비롯하여 외국인 노동자들이 들어오기 시작했을 때와 겹친다. 모사린과 라에뇨는 처음에 다른 미얀마인들과 같이 어울려 지내며 비슷한 길을 갔다. 2000년 들어서 카렌족 공동체는 갈라지는 길목에 들어섰다. 여기에 KNU의 핵심인사가 독려한 초국적 자극이 크게 작용했다. 그 둘은 협력하여 2005년에 카렌족 공동체(Karen NationalFellowship)를 결성하고 고유성을 발현하는 새해 행사를 기획했다. 2007년부터 카렌족 공동체 만들기는 정치색을 띠었다. 2009년 초에 카렌청년회(KYO)한국지부를 설립하여 독자적인 난민성을 표방했다. 카렌족의 초국가적 연대도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2010년 이후의 한국의 난민 제도의 변화, 특히 2012년 난민법제정으로 본격화된 난민 제삼국재정착 정책은 카렌족 공동체의 난민성과 초국가성을 강화하는 계기였다. 안팎으로 난민성은 카렌족공동체의 핵심 성격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해외 카렌족 지도자의 2015년 10월 한국 방문은 한국의 카렌족이 초국적 길을 갈 수있도록 자극하는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이렇듯 해를 거듭하며 초국가성, 난민성, 고유성에 기반을 두고 카렌족이 독자적인 길을 구축해왔으나 그 길은 결코 쉬운 길이 아니다. 초국적 연대를 이끌어왔던 중심인물의 부재를 겪어야 하고, 재정착 난민의 소유권을 두고는 한국 정부와 마주쳐야 하고, 고유성을 강조하는 새해 행사는 카렌족의 혼종성이 끼어들기 때문이다. 이 글은 카렌족이 그러한 한계 속에서도 주체적인 길을 걷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Karen in Korea have built up their identity with a focus on the life stories of the two individuals. In early days (the 1990s), the Karen had a similar pattern of lifestyles with other Burmese in Korea. However, stepping into the 2000s the Karen was about to take a different path, prompted by the visit of a Karen politician to Korea. As a result, Karen National Fellowship was established and began to organize a Karen New Year Ceremony as an important event to promote independent identity. In early 2009 as the Korea branch of the Karen Youth Organization was set up, Karen identity became more politicized and stood upon refugeeness. A new policy environment unfolded in the 2010s, in particular a refugee resettlement program enacted in 2012 strengthened refugee identity and subsequently transnational ties among the Karen in Korea and beyond. The history of the Karen community tells that their identity building has stood upon transnationalism, uniqueness, and refugeeness. However, they have to face obstacles in their pursuit of independent identity: the absence of an important person that used to play a bi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ransnational connection; cultural hybridity manifest in the Karen New Year; and the Korean government``s engagement in resettled refugees. They are taking an independent but dynamic path in their ongoing process of identity buil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