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어독문계열 학과 및 학회의 현황과 과제

        진일상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2 No.72

        Mit der Bildungsreform 1997 begann in Korea die Zahl der Deutsch-Studierenden und der Studienplätze für Deutsch drastisch zu sinken. Die Fachdisziplin, Deutsch und Deutsche Literatur verliert im Zuge des Rückgangs der Geisteswissenschaft langsam an Boden. Auch in den Schulen wurde der Schwerpunkt der Fremdsprache von den europäischen auf die asiatischen Sprachen verschoben. In dieser Studie wird die sogenannte Krise des Studienfaches - Deutsch und Deutsche Literatur - an den koreanischen Hochschulen durch Statistiken und Daten ausführlich dargestellt. Zudem wurde eine Umfrage unter den Lehrstuhlinhabern der Abteilung durchgeführt. Die Umfrage besteht aus Fragen zum Studienfach Deutsch und zur Rolle der fachbezogenen wissenschaftlichen Gesellschaften. Nach der Bildungsstatistik 2017 bieten insgesamt 46 Universitäten Studienplätze für Deutsch und Deutsche Literatur an. Insgesamt 7317 Studierenden sind im Bachelorstudiengang. Die Studierenden im Magistergang sind weniger als 50. Der Schwerpunkt der Lehrangebote liegt nunmehr auf der deutschen Kultur als auf der Literatur. Dies ist nicht zuletzt der Beschreibung der Abteilung zu entnehmen. Im Vordergrund der Lehrangebote steht anstelle der Literatur deutsche Kultur oder in einigen Fällen German Studies, welche Area Studies untergeordnet sind. Die Zahl der Deutschlehrer an Schulen ist in den letzten 20 Jahren von 219 auf 38 geschrumpft. Die Zahl der Schüler, die im Abitur Deutsch als zweite Fremdsprache wählen, ist von 6574 im Jahr 2007 auf 1152 zurückgegangen. Es gibt kaum noch wissenschaftlichen Nachwuchs und das Durchschnittsalter der Lehrkräfte wird immer höher. 60 Prozent der Lehrstuhlinhaber sind über 55 Jahre alt. Nur 4 Prozent sind unter 45. Obwohl die Zahl der jüngeren Wissenschaftler immer weiter zurückgeht, gibt es elf fachbezogenen Gesellschaften, die jährlich bis zu vier Journale herausgeben. An das Studienfach Deutsch und Deutsche Literatur wird die Forderung gestellt, sich mehr an dem Arbeitsmarkt zu orientieren und praktischen Lehrprogramme anzubieten. Die Umänderung der Lehrpläne auf sogenannte „German Studies“ findet in diesem Kontext statt. Nun ist der Zeitpunkt gekommen, sich zu fragen, was das Studienfach „German Studies“ beinhalten soll. Aber davor müssen wir uns fragen, was Deutschland bzw. die deutsche Kultur für uns bedeutet und wozu wir uns damit beschäftigen sollen. Weitere Fragen, nämlich wie die deutschsprachigen Länder unter dem Begriff Area Studies zusammenzufassen sind, wie und inwieweit die Zusammenarbeit mit anderen Fachdisziplinen betrieben werden soll, usw. sind erst danach zu beantworten. Dies alles hängt schließlich mit der Identität des Studienfaches Deutsch und Deutsche Kultur oder German Studies zusammen. Zur Fragestellung und zur Suche nach einer möglichen Antwort sind letztlich wir, die Germanisten und die fachbezogenen Gesellschaften, verpflichtet. 필자는 2002년 전국 인문대학장들의 ‘인문학 위기 선언’으로 공론화된 제도권 내 인문학의 문제를 독어독문학과의 범주 내에서 살펴보기 위해 <독어독문학과의 현황과 고등교육 정책>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한 바 있다. 당시 인문학의 위기는 군소학문으로 분류되는 독어독문학 분야에서 더욱 구체적이고 극단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부제 시행 및 학과의 통폐합 등의 구조조정과 함께 독문학과와 재학생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이는 독문학과 졸업생들이 마땅히 사회진출의 가능성이 없는 현실과 맞물리면서 가속화되고 있었다. 그 간 독문학과의 양적인 축소와 인위적인 구조조정에 대처하기 위해 대응책을 고민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이 글은 2010년 이후 현재 독어독문계열 학과의 현황 및 관련 학회의 현황을 교육통계 등의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업데이트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독어독문 계열 학과 소속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소속 학과의 교과과정 관련 변화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학회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궁극적으로는 이 글이 독어독문 계열 학과 및 학회가 처한 현실을 직시하고, 발전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Interkulturelle Germanistik in Suedkorea- Grundlagen, Konzepte und Vorschläge -

        김유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4 獨語敎育 Vol.30 No.-

        한국독어독문학은 90년대 중반 이후로 지금까지 약 10여 년간이라는 세월동안 학문의 정체성과 교수모델 방향 설정의 측면에 있어 심각한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기에 독어독문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작은 보탬이 되고자 독일의 상호문화적인 독어독문학의 근원지라고 할 수 있는 바이로이트 대학의 모델을 분석해 봄으로써 한국 독어독문학 실정에 맞는 모델을 구상하고자 했다. 우선 바이로트대학의 상호문화적인 독어독문학의 모델 창설자인 Wierlacher 교수의 상호문화적인 해석학이론에 입각한 초기 모델은 독일 내에서조차 이론적이고, 추상적이며 서양문화중심의 문화이해라는 점에서 비판을 받게 된다. 그의 후임자인 Müller-Jacquier 교수는 이러한 비판을 염두에 두고, 보다 실용적이며 개별적인 문화를 고려한 실제적인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목표에 부합한 새로운 바이로트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Müller-Jacquier 교수의 바이로트 모델에서 출발하여 한국정서에 부합한 상호문화적 독어독문학 모델을 구상하고자 시도해 보았다. 따라서 이 모델에 대한 구상도 역시 상호문화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을 가르치자는 데 근본적인 목표가 있다. 이 모델 구상은 기존의 우리가 이미 지녀왔던 독문학과 독어학의 맥락에서 외국 문학과 언어학으로서 이미 내재하고 있는 상호문화적인 의사소통 요소를 강화하여 가르치자는데 취지를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문화적인 측면의 인식과 이러한 차이들의 교육을 위한 한국형 상호문화적 독어독문학 모델을 구상해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Übersetzungsprobleme deutscher Phraseologismen aus Kinder- und Jugendbüchern ins Koreanische

        천미애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2 獨語敎育 Vol.55 No.-

        본 글은 독일어 성구소의 다양한 내재적 의미가 한국어 번역 시 적절하게 반영되었는가를 분석한 논문이다. 대상은 독일청소년문학과 이에 대한 한국어 번역본이다. 분석된 성구소의 대응의미는 문맥 및 상황에 근거하여 “적절한 gelungen” 번역과 “부적절한 weniger gelungen” 번역으로 분류했다. 여기에는 번역된 한국어 성구소와 뜻풀이 (Paraphrase)가 대상이 되었다. 적절한 번역의 경우에는 다음의 사항들이 해당된다. 적1) 독일어 성구소의 사전적 의미보다는 문맥에 충실하여 “문맥적절성 kommunikativ einbeziehend”을 충족시켰을 때, 적2) 동일한 의미의 한국어 성구소가 존재할 때, 적3) 한국어 성구소를 강조의 기능으로 첨가했을 때, 적4) 설명의 기능으로 또 하나의 한국어 성구소를 제시했을 때, 적5) 독일어 성구소의 내연적 의미가 포착되었을 때, 적6) 원본에는 없는 문장이지만 해설의 불가피성 때문에 번역자가 해설을 첨가했을 때 등이다. 적4)의 경우는 청소년문학이라는 장르의 특성상 필요한 번역방법이다. 적6)의 경우는 문화적 차이에 의해 때론 피할 수 없는 번역방법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부적절한 번역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부1) 독일어 성구소가 번역에 반영되지 않았을 때, 부2) 독일어 성구소를 직역함으로써 성구적 의미가 상실되어 결국 오역이 되었을 때, 부3) 독일어 성구소의 뜻과 상이한 한국어 성구소를 사용하였을 때, 부4) 독일어 성구소의 뜻풀이가 잘못되었을 때, 부5) 독일어 성구소의 내연적 의미가 포착되지 않았을 때 또는 아주 약하게 반영되었을 때, 부6) 독일어 성구소에 내재되어 있는 폄하적 의미가 번역자의 주관에 의해 중립적으로 번역되었을 때 (“번역자검열”), 부7) 독일어 성구소를 인식하지 못했을 때, 부8) 성구소의 고유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았을 때, 부9) 뜻풀이의 오류, 부10) 원본에 제시되어 있는 독일어 성구소에 대한 설명을 번역하지 않을 경우 등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독어학 연구 20년: 성과와 전망 - 코퍼스언어학적 접근

        권민재,이민행 한국독어학회 2018 독어학 Vol.38 No.-

        Im Jahr 2018 feiert die Koreanische Gesellschaft für Deutsche Sprache (KGDS) ihr 20-jähriges Jubiläum. In ihrer Zeitschrift 'Dokohak'(Zeitschrift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fü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wurden in den letzten 20 Jahren insgesamt 447 Aufsätze mit verschiedenen Themen veröffentlicht. In dieser Arbeit wird versucht, diese Untersuchungsergebnisse korpuslinguistisch und statistisch zu analysieren, dadurch die bisherigen Entwicklungen im Bereich der germanistischen Linguistik in Korea zu überblicken und eine Prognose über künftige Entwicklungen zu stellen. Als Grundlage der Analyse wurden die Daten wie Veröffentlichungsjahren, Bandnummern, Forschungsgebiete, Autoren, Titel, Schlüsselwörter und Zusammenfassungen gesammelt und mit Corpus Workbench in 2 Corpora (GERLING und GERLING21) enkodiert. Aus diesen Corpora wurden diejenigen Daten recherchiert, die zu diachronischen und synchronischen Tendenzen der Untersuchung Aufschluss geben und zu einem Überblick zusammengefasst. Dabei stellt sich heraus, dass die Forschungsinteressen sich in den letzten 20 Jahren immer weiter ausgedehnt haben. Anders als in den Anfangsphasen bekommen die angewandten Bereiche wie Computerlinguistik und Textlinguistik größere Aufmerksamkeit als die traditionellen theoretischen Bereiche wie die Morphologie und die Syntax. Außerdem lässt sich feststellen, dass die Forschungsgebiete thematisch sehr beschränkt und daher nur schwer erweiterbar sind. Das liegt wohl daran, dass die KGDS immer noch nicht genug Forscher mit unterschiedlichen Untersuchungsthemen und -methoden hat. Um dieses Problem zu lösen, schlagen wir vor, einerseits regelmäßig und langfristig Arbeitsgemeinschaften zu aktivieren und andererseits auch auf der Ebene der Gesellschaft gemeinsame Forschungsprojekte zu planen und zu entwickeln. 본 연구는 한국독어학회에서 발간하는『 독어학』에 게재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국 독어학 연구 20년의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 추세를 전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독어학』 1집부터 36집까지 게재된 총 447편의 논문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코퍼스 GERLING과 GERLING21로 구축하고 이로부터 빈도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지난 20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연구 분야의 집중 현상이 완화되는 추세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독어학 연구 분야의 외연이 확장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통사론, 형태론 등 전통적인 이론언어학 보다는 전산언어학이나 텍스트언어학 등 응용언어학 분야의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 중의 하나는 국내 독어학 연구층이 두껍지 않아 연구 분야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고 확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이다.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이 속한 연구 분야를 분석해보면 개별 연구자의 전공 분야가 결정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확장성의 제한이라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정기적인 공동 연구 모임을 활성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대형 공동 연구를 기획하고 개발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학회 차원에서 중대형 공동 프로젝트를 개발하여 함께 연구하고 좋은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다면 이상적일 것이다.

      • KCI등재

        독일어권 국가 비즈니스문화 교육을 위한 제언

        하수권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3 No.73

        Aus meiner Sicht ist es heutzutage notwendig, das Lehr- und Lernthema „Businesskulturen in den deutschsprachigen Ländern“ im Rahmen des Germanistikstudiums in Korea weiter zu entwickeln. Diese Notwendigkeit kann vor allem aus dem Grund gerechtfertigt werden, dass diese Art von Fachkenntnissen sowie die Vermittlung direkter als auch indirekter Erfahrungen aus dem Bereich Businesskulturen in den deutschsprachigen Ländern positive Auswirkungen auf eine erfolgreiche interkulturelle Businesskommunikation haben. Trotz dieser Notwendigkeit / dieses Bedarfs sind wissenschaftliche Diskussionen darüber aber noch selten. Die vorliegende Studie soll zur Entwicklung des akademischen Diskurses auf dem Gebiet beitragen, wozu in dieser Arbeit die folgenden zwei Aspekte diskutiert wurden: In Bezug auf den ersten Aspekt wurden zuerst einige Lernmaterialien analysiert. Dabei wurden zunächst die Auswahlkriterien diskutiert und dann die ausgewählten Lernmaterialien insbesondere anhand folgender Fragestellungen analysiert: a) Welche Lerninhalte sollen als Lerngegenstände / Themen ausgewählt werden? b) Welche Lernziele sollen angestrebt / erreicht werden? c) In welcher Sprache sind sie geschrieben / werden sie angeboten? d) Welche unterrichtsmethodischen Ansätze werden in den ausgewählten Lernmaterialien antizipiert? In Bezug auf den zweiten Aspekt wurden die Lehr- und Lernmethoden der Businesskulturen in den deutschsprachigen Ländern diskutiert, wobei auch ein Unterrichtsmodell aus meinen eigenen / persönlichen Praxiserfahrungen vorgestellt wurde. 대학교육에서의 ‘이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 필요성은 이제 더 이상 논의를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인정되고 있다. 무엇보다 경제적으로는 한국이 FTA를 확대하고 기업들이 다국적 기업화되면서 한국경제가 글로벌 경제 시스템에 깊숙이 편입되어 있고, 사회적으로도 한국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에게 있어 이문화란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의 문화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상호문화는 한국인이 이문화와 접촉하고 소통하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문화교육은 주로 한국 이 외의 국가나 집단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즉 이문화 이해를 목적으로 삼는 지식교육이다. 이에 비하여 상호문화교육은 한국인들이 다른 문화권 출신 사람들과 성공적으로 문화 간 소통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을 할 수 있는 “상호문화 역량”(이병준/한현우 2016, 7) 함양을 목적으로 삼는다. 글로벌 의사소통 상황에서 소통 참여자들은 이 역량을 기반으로 서로 협상하여 공유할 수 있는 “상호간 문화의 혼합체 Inter-Kultur”(유수연 2008, 97)를 만들어 낸다. 이문화 이해는 상호문화 역량을 향상 시키는데 반드시 필요한 인지능력이다. 잘못된 이문화 이해나 부족한 이문화 이해는 문화 간 소통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 KCI등재

        영어 way구문의 특성과 독어 표현 비교

        윤삼랑 한국독어학회 2007 독어학 Vol.15 No.-

        Diese Abhandlung zielt, die Eigenschaft, den Gebrauch und die Bedeutung der Way-Phrase im Englischen und deren deutschen entsprechenden Ausdruck zu untersuchen. Wir prüften auch wichtige Fragen über die Auswahl der Way-Konstruktionen und die verbindende Weise der Wortschätze. Diese Konstruktion hat die Form [SUBJi [V [POSSi way] OBL]]. Diese Struktur ist sehr verschieden von den anderen. In keinem Wort dieses Satzes drückt sich die Ortsveränderung aus, jedoch zeigt der gesamte Satz, dass sich das Subjekt als Täter die OBL-Phrase entlang bewegt. Jackendoff betrachtet die englische Way-Konstruktion als die Adjunkt-Konstruktion. Dieser Adjunkt(Zusatz) ist mehr radikal(fundamental) als die anderen Zusätze, z.B. ein adverbialer, ein nominaler und ein präpositionaler. Die meisten Adjukte verändern die syntaktische Strukturen nicht, die von dem Verb entschieden werden. Goldberg nennt diese Struktur die konstruktionale Redensart. Wir wollen diese noch ein idiomatisches Satzmuster nennen. Es erweist sich, dass der gesamte Ausdruck der Way-Phrase mehr als das Verb die Syntax des Satzes entscheidet, im Gegensatz zu den allgemeinen Verbindungen der Satzglieder, die durch die Argumente-Fusion festgestellt werden. Dieser Ausdruck wird durch die syntaktische Bedingungen und die pragmatische Umgebung kontrolliert und entschieden. Zum Schluss könnten wir sagen, die Way-Konstruktion des Englischen drückt sich im Koreanischen nicht aus und im Deutschen nicht genug. Im Unterricht könnte der Lehrer einige der in dieser Arbeit vorhandenen Erklärungen für die Besprechung der grammatischen Erscheinungen benutzen. Meiner Meinung nach läßt sich die Funktionsweise der englischen Way-Konstruktion sicher leicht dann erlernen, wenn im Vergleich mit den beiden Sprachen gearbeitet wird. way 구문은 표현된 어휘와는 별개로 독립적인 어떤 의미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것은 어휘의 본래의 의미에서 보어 구문 complement construction을 예측하려는 현재의 일반적 경향과는 반대이다. Jackendoff는 동사와 way구 그리고 OBL구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복합 술어 분석’을 제안하였고, Goldberg는 ‘구문적 관용어’라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어휘의 의미들이 합성되면서 차원이 달라진 새로운 의미가 형성되는 즉, 어휘 항목의 의미들이 구문의 의미 속에 융합되는 특이한 문장이 된다. 이에 대해 우리는 ‘관용적인 또하나의 문장유형’이란 견해를 취하였다. way구문은 주어 지시체, 소유격, 경로 표현, 전치사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이 결합하면서 새로운 의미가 창출되고, 특히 이동 표현이 없는데도 장애를 뛰어넘어 이동했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 중심적 내용이다. 이 구문에서는 주어와 동사, 그리고 way를 수식하는 형용사, 전치사구 등 어휘들의 결합 방식과 및 문장의미 및 언어 환경에 따라 파악된다. 그리하여 way구문은 간단히 어휘를 분석하고 결합해서 내용이 파악되는 통상의 형태 통사적인 이론의 범위를 벗어나서, 의미적인 그리고 화용적인 성질까지를 고려해야 한다. way구문은 영어에 독특한 현상이어서, way가 나타나는 문장들이 독어로는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독어에서 직접적 이동은 Weg구로 표현되는 경향이지만, auf seinen Weg처럼 부사구나 재귀동사(V+sich)로, 또는 다른 어휘를 써서 표현하는 경우도 있었다. 은유적 이동은 직역이 되지 않았다. 영어의 way구문에 대한 독어의 상응 표현은 상당히 제한적이었으며, 결과구문도 제한적임을 확인하였다. way구문은 통사적 표지이면서 이동수단으로 해석되고, 어휘와 구문의 관습적인 혼합으로서, 구문적 다의성이 형성되었다. way구문은 수단 및 양태의 두 가지 해석을 가지는데, 수단 해석이 더 기본적이다. 즉, 수단 해석이 구문의 통사적 형태를 유발하며, 양태 해석의 동기는 특정한 어휘 요소에 비슷한 형태의 다의성이 있다. 수단 해석이 모든 화자들에게 허용되는 반면, 양태 해석은 그렇지 않으며, 수단 해석은 분석된 자료의 90%에 해당한다. 지면상 본고에서 다루지 못했지만, 영어 way에는 부사적 용법도 있는데, 1. away, far, off의 뜻일 때, 독어 weg와 동의이나, 2. very의 의미일 때는 독어의 sehr, völlig 등의 뜻이다. 영어 way구문은 대부분 독어로 직역하기 어려워, 영어와 독어 2개국어 학습자에게 상당히 난이도가 높은 부류에 속한다. 독어교육에 기여 있기를 소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