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도덕・윤리 교과교육 연구활동의 변천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한국 교육의 변화와 도덕.윤리과 교육의 방향

        조난심(Nansim C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5

        이 글에서는 2007년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정․고시한 시점에서 학교의 도덕․윤리과 교육을 좀더 거시적인 한국 교육의 변화 흐름 속에서 살펴보고, 향후 도덕․윤리과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한국 사회의 전망으로 지식기반 사회와 정보화 사회의 고도화, 세계화의 진전, 다문화 사회의 도래 및 학령인구의 급감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학교교육에서는 1) 미래사회에 필요한 기초 소양과 핵심능력 육성, 2) 학습자의 교육 내용 및 교육 활동 선택권 확대, 3) 학교교육의 질적 심화와 수월성 교육 강화, 4) 유비쿼터스 기술이 통합된 교수학습 체제 구축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우리는 도덕․윤리과 교육을 이러한 학교교육 변화의 한 부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도덕․윤리과 교육 고유의 상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곧 변화하는 학교교육의 흐름 속에서 도덕․윤리과 교육은 1) 보편윤리의 추구를 확대하여 좀더 폭넓은 인문교육을 도덕․윤리과 교육에 접목, 2)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서의 도덕성 부각, 3) 포스트모더니즘적 지향에 대응하여 도덕․윤리과 교육의 접근 방법 및 내용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덕․윤리과 교육의 변화를 위한 연구와 실천 방안으로 도덕․윤리과 교육의 정체성 강화와 도덕․윤리과 교육 연구 외연의 확장 및 고교 수준의 윤리과 교육의 전문성 심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Moral/Ethics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hanges of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new social trends. Especially,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wa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year of 2007 the main content was r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ocial and ethical issues. Nowadays, the social trends like knowledge-based society, information society, globalization, multi-cultural society and rapid decrease of school-age children in Korea has influenced to the school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social trends, school education is trying to change. Schools try to foster students' basic literacies and key competencies, to enlarge elective cours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excellency education, and to introduce the ubiquitous teaching-learning system. The Moral/Ethics Education is a part of this changing school. And we should conside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recommendable future directions of Moral/Ethics Education are as below. 1) integrating liberal education to the Moral/Ethics Education through enlarging the universal ethics education, 2) focusing morality as one of the key competencies for the future society, 3) chang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Lastly, the way of research and practice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was suggested for change. Those were enforcing the identity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enlarging the scope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research community, and deepening the depth of high school ethics education.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미래사회의 특성과 도덕․윤리과 교육의 정체성

        임용경(Lim Yong Kyou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5

        본 연구는 도덕․윤리과 교육이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요구되는 과제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미래 사회의 특성과 그에 따른 교육 일반 및 도덕․윤리과 교육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였고, 다음으로 정체성 논란의 근원과 쟁점을 검토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미래사회에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미래사회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고도로 발달하고, 이를 토대로 창의적 지식이 사회발전의 동력이 되는 지식기반사회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학습형태는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 및 적시형 학습으로 바뀌게 되고, 전통적인 학교제도 또한 많은 변화를 겪게 될 것이다. 이러한 미래사회 속에서 도덕․윤리과 교육이 고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과 나름대로의 존재 이유, 즉 정체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 동안 우리의 도덕․윤리과 교육은 교육과정과 교육주체라는 두 측면에서 자폐성, 망라성, 주체성의 세 기준을 따라 검토했을 때 전반적으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자폐성의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인접학문들이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있을 뿐 이를 유기적으로 통합시킬 이론적 토대가 없었다. 둘째, 망라성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형상 다양한 요소를 망라한 것 같으면서도 정작 중심적인 이론이 없어 교과의 목표, 내용, 방법, 대상 등을 일관성 있게 설명 하지 못하였다. 셋째, 주체성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타력에 의한 압축적 근대화를 거치면서 한국 사회에서의 바람직한 삶의 모습에 대해 주체적 문제의식을 가질 겨를이 없었고, 이것이 자폐성과 망라성의 결여를 불러온 근본적 요인이 되었다. 향후 도덕․윤리과 교육이 그 동안의 정체성 논란을 해소시키고 미래사회에서 정체성을 지속해 나가기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배경을 윤리학으로 하되 동양과 서양의 전통적인 개인윤리학과 사회윤리학을 아우르는 깊이를 지녀야 할 것이다. 둘째, 망라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윤리학을 중심으로 미래사회의 도덕․윤리과 교육과 관련이 깊은 도덕심리학이나 정보윤리, 생명윤리, 환경윤리 등을 유기적으로 포괄해야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이러한 모든 노력은 보편적 윤리를 지향하되, 그 출발은 미래 한국인의 삶을 도덕적으로 이끌어 나가고자 하는 주체적 태도에서 비롯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준비 없이 미래사회를 맞이한다면, 우리는 또 다시 타력에 의한 근대화와 더불어 시작되었던 정체성 혼란을 다시 겪게 될 가능성이 높다. In this study, I studied the identity which moral education should have to implement in the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Future society is an information society which has highly developed ubiquitous network and this is also a knowledge-based society that creative knowledge becomes the major power of social change. Therefore, the form of study will change to individualization and we can predict the de-schooling of traditional school system. In the future society, moral education should have its own identity to play its own role. However, according to three standards of closure, completeness, subjectivity, our moral education has weak closure, completeness and subjectivity. To establish identity in the future moral education, we have to study continually to improve our weakness. And, in this procedure, we especially need to focus o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o enhance the characteristic of closure, we have to choose ethics as an academic background. Second, to enhance completeness, we have to embrace the moral psychology and the information ethics. Third, all these efforts should head for the universal ethics but should start with subjectivity.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도덕·윤리과의 수호 및 존속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우리나라 초ㆍ중ㆍ고등학교 도덕ㆍ윤리교과의 수호 및 존속의 역정을 탐구하는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1990년부터 현재인 2005년에 이르는 약 15년간이다. 그 기간 중에 1992년 제6차, 1997년 제7차 그리고 2005년 현재 차기 교육과정 개정작업에서 도덕ㆍ윤리과는 적지 않은 교과위기를 겪었고, 또 현재도 낙관적인 상황에 처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뒤돌아보면 제6차 교육과정 개정과정에서는 교육부와 교육과정 총론 개정연구위원회의 도덕ㆍ윤리 교과의 성격과 구조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교과목수 감소와 관련되는 교과폐지의 시도를 극복할 수 있었다. 제7차 교육과정 개정과정에서는 1995년 당시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의 교육개혁 방안에서 강조한 전 교과목을 통한 도덕ㆍ윤리 교육 실시 계획을 저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05년 현재 차기 교육과정 개정은 아직 그 방향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도덕ㆍ윤리 교과의 위기는 상존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 task for the protection and maintenanc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ubject such as 'Morality & Ethics' in Korea began to be raised from the years of nineteen nineties and has still stayed unresolved up to present year of 2004. We have hardly coped with the trial to abolish the school subject through those sixth curriculum revision promulgated in 1992 and seventh curriculum revision promulgated in 1997. As for the sixth curriculum revisio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st of curriculum revision members in charge of designing its outline tried to abolish the subject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ut all the determined endeavors to protect the subject on the part of professors with major in moral education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e subject could deter the trial to abolish the subject. As for the seventh curriculum revised and promulgated in 1997, the key to protec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ubject of 'Morality & Ethics' depends upon how to deter the will that the Committee for Education Reform, an advisory organization for the president, had with the intention of denial of major subject on moral education. A member of scholastic societies including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and others did their best to defend the identity of 'Morality & Ethics' as a single subject in charge of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youths.

      • KCI등재

        도덕적 창의성에 관한 인지 모델 접근의 배경에 관한 조명

        김현수(Hy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6

        이 연구는 도덕적 창의성이 지니는 인지적 측면에 관하여 창의적 인지 모델을 통한 이해 를 바탕으로 도덕적 창의성 연구의 방향을 전망한다. 도덕적 창의성은 고정된 것이 아닌 발 달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발달적 특성의 측면에서 도덕적 창의성에 관한 이 해는 창의성이 지니는 인지적 측면에 관하여 설명을 시도하는 인지 모델 접근의 배경에 대한 조명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창의적 인지 모델에 관한 접근은 창의적 아이디어 간의 관 계에 초점을 두는 관계론적 이해와 창의성 발현의 주체로서 인간에 관심을 두고 연령에 따른 발달상의 변화에 초점을 두는 발달 과정론적 이해로 구분된다. 인지 모델 접근의 배경에 관 한 이해를 도덕과 교육의 영역에서 전망하면 관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제시된다. 먼 저, 관계론적 이해의 관점에서는 도덕과 교육의 인지적 측면에 대한 관심의 재조명, 도덕적 관점의 형성을 통한 도덕적 창의성 계발, 도덕적 창의성에 대한 교육의 가능성 등이 제시된 다. 이어, 발달 과정론적 이해의 관점에서는 도덕 행위자가 되기 위한 발달적 기능의 형성, 뇌과학적 연구 성과와 도덕적 창의성 교육의 관련성 탐색, 도덕적 문제의식의 담지와 개념적 조합의 구성 등의 적용이 제시된다. 인지 이론에 바탕을 둔 도덕적 창의성의 수업은 도덕교육을 통한 도덕적 창의성 형성의 구체화로 귀결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prospects the directions of studies on moral creativity, in view of cognitive model approach. Moral creativity hold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o approach this, illuminating the backgrounds of cognitive model approach is needed. Cognitive model for understanding creativity could be divided as ‘relations of ideas approach’ and ‘developmental process approach’. Relations of ideas approach attentions to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e ideas, whereas Developmental approach focuses on human being and his or her developmental stages which are based on age variables. Connecting backgrounds of cognitive model approach to moral education domain, following is suggested: In view of relations of ideas approach, such is needed as Shedding new light on cognitive side of moral education, Forming moral standpoint for developing moral creativity, Educability of moral creativity itself. In 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pproach, such is needed as Building developmental function for being moral agent, Exploring relevance between research outcome of brain and cognitive science, Conceptual organizing and carrying morally critical mind. Teaching moral creativity based on cognitive model could bring to a conclusion of mapping out a specific plan of building moral creativity through ethics and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education.

      • KCI등재

        도덕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의 지원 전략 및 방법에 관한 연구

        김현수(Hy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8

        도덕과 교과 교육과 관련지어 창의성의 신장에 관하여 탐색하는 연구는 도덕적 창의성의 신 장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의 지원 전략 및 방법에 관한 탐색을 통하여 구체화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접근 및 분석을 시도하였다. 첫째, 도덕적 창의성을 창의성이 담아내야 하는 도덕적 측면과 도덕성이 지향해야 하는 창의적 특성 두 측 면을 포괄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창의성에 관한 핵심적 구성요소의 추 출을 시도하였다. 둘째, 도덕적 창의성의 하위 요인들에 관하여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을 제고 하는 인지적 요인, 창의적 활동을 장려하는 정의적 요인, 창의적 활동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 어지도록 하는 환경적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이상의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도덕과 교수-학습을 통한 도덕적 창의성 교육의 지원 방법 및 효과성 제고 전략에 관하여 각각의 요 인들 및 해당 요인들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Research on enhancing creativity in view of Ethics and Moral Education could be formed by searching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y, especially supporting strategy & methodology for enhancing moral creativity in view of moral education process. For that, this research tried to use structural approach and analysis as follows. First, Moral creativity could cover both moral elements of creativity and creative directivity of morality. Second, Sub factors of moral creativity could be categorized by cognitive factors, emotive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rd, supporting strategy could be approached by investigating combinations and interactions of these factors as well as analyzing the cause and effect of each factor own.

      • KCI등재

        도덕철학 및 도덕심리학 기반 대화형 통일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 윌슨(J. Wilson)과 나바에츠(D. Narvaez)를 중심으로

        박형빈(Park, Hyoungb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통일교육은 정치적인 문제이기보다 통일 주체 세대인 통일세대를 어떻게 이해시키고 그들의 인정을 받아낼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통일교육 현장에서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대한 인식과 교육 대상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전제될 때, 성공적인 통일교육이 수행될 수 있다. 도덕윤리과 통일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공고히 하고 제기되는 쟁점들에 주목하며 실제적인 교육방법을 위해 통일교육의 본질, 목적,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이론 기반으로서 도덕철학을, 통일교육의 실제 방법을 위한 토대로서 도덕심리학을 살펴봄으로써 통일세대에 대한 강요의 교육에서 벗어난 교육 방법을 모색했다. 도덕철학 및 도덕심리학 기반 대화형 통일교육 방안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했다. 첫째, 통일교육의 교육목적 차원을 위한 도덕철학의 제안을 살펴보았다. 둘째, 통일교육의 교육방법 차원을 위한 도덕심리학의 제안을 탐색했다. 셋째, 통일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대화형 통일교육의 구조적 개요를 제시했다. Reunification education is not a political issue, but rather a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the unification generation and obtain their recognition. In order to solidify the theoretical basis of moral ethics and reunification education, pay attention to the major issues raised, and to derive practical educational methodology,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 explores the moral philosophy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and moral psychology as the basis for the actual method of reunification education that deviated from the compulsory education. It attemp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an interactive re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moral philosophy and moral psychology. First, the proposal of moral philosophy was examined for the educational purpose of reunification education. Second, the proposal of moral psychology was searched for the educational method of reunification education. Third, as a concrete method of reunification education, a structural overview of interactive reunification education was presented.

      • KCI등재후보

        차기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선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차우규(Cha Woo Ky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1

        우리나라 초, 중등 교육에서 교육과정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교육과정 자체가 ‘교육의 기본 설계도’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처럼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이 고시되어 운영되는 경우 교육과정 자체가 초, 중등 교육 전반에 대한 가장 주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 초, 중등학교 현장에서 교과서는 ‘성서(Bible)'와도 같다. 교과서는 여러 가지 교수-학습 자료 중의 하나이어야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교과용도서의 개선은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못지않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연구는 제7차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초등 도덕과 교과용도서 개발 시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내용으로는 (1)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 및 이와 관련된 쟁점 내지는 문제점 분석 (2) 현행 초등 도덕과 교과용도서의 특징 및 이와 관련된 쟁점 내지는 문제점 분석 (3)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과 개선해야 할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 등이 포함되었다.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은 가능한 학교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가 반영되어 살아있고 생동감 넘치는 도덕과 교육과정, 현재의 문제를 풀어가고 미래의 비전을 열어가는 도덕과 교육과정, 그리고 개인과 국가 사회의 요구가 조화되는 교육과정으로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ould be played a role as fundamental materials for improvemen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if we were to develope in time to come, 'Moral' textbooks for studen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main contents include the followings ; (1) the analysis of pecularities, issues or problem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2) the analysis of pecularities, issues or problems on the 'Moral' textbook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3) the analysis of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and contents improve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Moral' textbook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hould have to be vivid, because it should be reflected on the various voices in the field(school). In other words, it will be solve the present problems, hopefully open the road in time to come, and make the curriculum being a harmony between personal and national dem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