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도덕・윤리 교과교육 연구활동의 변천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

        배려윤리 중심의 홀리스틱 도덕교육

        박병춘(Park Byung-ch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1

        홀리스틱 교육은 불필요한 경쟁과 갈등, 단절과 분리를 야기한 환원주의적이고, 기계론적인 세계관에 입각한 기존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등장하였다. 홀리스틱 교육은 관계성과 배려를 중요한 교육 요소로 수용하여 발전시킴으로써 배려윤리와 많은 공통점을 지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배려윤리를 수용한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 기초한 도덕교육을 홀리스틱 도덕교육으로 규정하고, 홀리스틱 도덕교육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홀리스틱 교육 및 배려윤리의 특징을 고찰하여 두 이론의 상호 관련성을 찾아 보았다. 그리고 홀리스틱 교육은 도덕교육의 성격이나 본질에 비추어볼 때 도덕교육과 양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배려윤리를 중심으로 하는 홀리스틱 도덕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의 방향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홀리스틱 도덕교육의 의의를 크게 5가지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listic moral education based on care ethics and it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holism and holistic educatio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theory.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care ethics and holistic education in search of holistic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are ethics. Third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and necessities of holistic education in the moral education, and defined the concept of holistic moral education based on care ethics. Holistic moral education was care ethics based holistic educational approach to the moral education. Finally, I suggested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of holistic moral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제7차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서홍교(Suh Hong-Ky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8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고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하여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행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선택과목제도의 도입으로 인하여 수업시수 확보가 불안정하고, 이로 인하여 도덕과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인성 및 도덕교육의 부재를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현행 고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덕과 교육이 실질적인 인성 및 도덕 교육의 유일한 통로임을 알고 도덕과의 수업 시수를 늘릴 것, 고등학교 2-3학년에서 도덕과의 선택과목제 시행을 재고할 것,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도덕과의 ‘윤리와 사상’ 및 ‘전통 윤리’를 각각 1과목으로 인정할 것, 지금까지의 생활영역 확대에 따른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구성으로부터 주제 요소 중심의 내용 체계 구성으로의 변화를 시도해 볼 것, 훌륭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들을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여 시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것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alities of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in high schools, to investigate the results and problems of it and to improve it.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in high schools has insecure lesson hours because of an introduction of elective courses. Insecure lesson hours is bringing about much difficulties in achieving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and bringing about the absence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in high schools needs a change in the contents organiza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we must know that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is the only means for settling these problems, for the substantial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And so, I suggest that we increase time in moral education, amend the elective course system of moral education during the 2nd and 3rd of high school, approve 'ethics and ideology' or 'traditional ethics' as one subject in the college (academic) aptitude test, try to turn the principle of life sphere extension into the theme centered principle in the contents organiza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provide circumstances for applying the excell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in high schools.

      • KCI등재

        도덕과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노수미(Roh Su Mi),정창우(JEONG CHA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2

        본 연구에서는 통일교육 영역이 ‘2007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연구․개발 단계에서 핵심 쟁점 중의 하나로 부각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주목하면서, 도덕과 통일교육 영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담론의 성격을 분석한 후,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덕과 통일교육 영역에서 제기되는 주요 쟁점들을 ‘교육목적’ 차원(‘왜 통일 교육인가’에 대한 성격 연구), ‘교육내용’ 차원(‘통일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내용 연구)과 ‘교육방법’ 차원(‘통일교육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방법 연구)에서 각각 논의해 보고, 이 틀을 기반으로 도덕과 통일교육의 연구 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왜 통일 교육인가’에 대한 연구는 통일교육의 본질과 방향성에 대한 이론적 기초 연구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특히 도덕과 통일교육의 핵심 개념인 ‘통일의식’의 성격을 ‘도덕성’과 관련하여 규명하는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통일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기본적으로 도덕과 통일교육의 목적과 정합성을 추구하면서 도덕철학, 도덕심리학, 사회학, 한국학, 통일학, 평화학 등의 배경학문 간 소통을 통해 교육내용을 선정하는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보았다. 끝으로, ‘통일교육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도덕심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도덕 사회화와 도덕 발달 간의 관계를 통일교육에서 정립하고, 학생들의 발달 특성에 부합하는 교수․학습방법을 어떻게 구안할 것인가를 밝히는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보았다. 한마디로 본 연구의 기본 관심은 ‘도덕과에서 통일교육 영역을 도덕과답게 가르치기 위해서’ 향후 어떤 연구 노력이 필요한가를 밝히는 것이며,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튜리엘(E. Turiel)의 사회 영역 이론이 제공할 수 있는 시사점이 무엇인가에 대해 주목하고자 하였다. Focusing on the reason why the domain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have been treated as one of key critical issu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this article tries to analyse the nature of contemporary discourse on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moral education, and then present tasks and directions of further studies in this area. For the purpose, we suggest that several key issues in the field of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ⅰ) developing educational objectives, (ⅱ) selecting content knowledge, and (ⅲ) developing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framework, this article presented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The present study considers research related to the topic of ""why should unification education be taught in moral education"" as foundation level studies with respect to the essence and direction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Especially, we think that these kinds of research are needed for the integration between 'unification consciousness' as the key concept in unification education and 'morality' as the key concept of moral education. Also, we believe that studies relevant to the topic of ""what should we teach in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are needed to select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s including moral philosophy, moral psychology, sociology, Koreanology, unification studies, peace studies, under consideration of purpose and coherence of unification education. Lastly, we think that studies relevant to the topic of ""how can we teach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ar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in accordance with students' psychological levels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per relationship between moral development and moral socializ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판단

        고대만 ( Dae Man K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8

        2차교육과정에서부터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의 도덕과 교육과정 기술에 있어서 도덕적 사고 내지는 사고력, 도덕적 판단 내지는 판단력의 개념 사용 상 드러나고 있는 심각한 문제점은 교육과정 변천 시기별로 볼 때 교육과정 간 영역(이를테면, 목표)을 언급한 부분에서 일관성이 결여된다는 점, 동일한 교육과정 시기 아래에서 학교급별 교육과정 간에 통일성이 결여된다는 점, 그리고 학교급이 동일한 교육과정 내에서도 영역별로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덕교육연구자들도 도덕적 사고력의 개념과 도덕적 판단력의 개념에 대해 분명한 이해를 하고 있지 않는 것 같으며, 따라서 도덕적 사고력과 도덕적 판단력의 관계에 대해서도 혼란스러워 하는 것 같다. 도덕적 사고력을 상위 개념으로, 도덕적 판단력을 하위 개념으로 자의적으로 상정함으로써 연구자들 스스로 혼선을 빚고 있는 것이다. 도덕적 사고의 과정이 곧 도덕적 판단의 과정이라는 여러 철학자들의 견해에 귀를 기울여, 도덕적 사고력을 상위 개념으로 보고 도덕적 판단력을 다른 것들과 더불어 하위 개념으로 설정하는 더 이상 실익이 없는 일에 매달리지 않기를 바란다. There is a criticism in the conceptual use of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in the field of Korean moral education from the 2nd National Curriculum in 1963 to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1. The criticism is that the conceptual use of them is wanting in consistency through the periods from 2nd to 2011 National Curriculum, and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under the same period, and between object,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under the same curriculum. It seems that moral education researchers don``t have the distinct understanding on the concepts of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They are confused about the relation between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The reason they are in confusion is because they take moral thinking the upper concept than moral judgment. It is necessary for us to notice the idea that the process of moral thinking means the process of moral judgment in accordance with some philosophers. Accordingly, I hope not to cling to fruitless work any more by taking moral thinking the upper concept than moral judgment.

      • KCI등재

        학교 도덕교육의 역할과 통합 탐색: 도덕과, 일반교과, 교과외 활동의 관계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도덕교육의 역할을 규정하고, 이를 도덕과, 일반교과, 교과 외 활동의 특징과 세 영역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학교 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완성에 있으며, 학교 도덕교육이야말로 학교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학교 도덕교육을 도덕과, 일반 교과, 교과 외 활동으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학교에서의 도덕교육은 정규 교과를 통해 이루어지는 동시에 교과 및 교과외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하면 초, 중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된다. 도덕과교육 전문가들은 교과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덕과 교육을 일반교과 및 교과 외 활동과 차별화하려는 노력을 경주해 왔다. 학교 도덕 교육의 중심에 도덕과 교육이 위치해 있으며, 일반교과 및 교과 외 활동이 할 수 없는 학교 도덕교육의 중요한 부분을 도덕과교육이 담당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도덕과, 일반 교과, 교과 외 활동은 기존의 동떨어진 관계를 탈피한 상호 교류가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가능하다. 세 영역의 통합을 위해서 세가지 방안이 제시된다.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통합, 도덕과 교사 양성 제도의 개선, 도덕교육관련 연구범위의 확대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oles of moral education in school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ral Education, other subject matters education, and the creative experiencing activities based on the revised 2009 school curriculum. The moral education theorists have tried to differentiate the Moral Education from other subject matters education and students activities in order to justify the subject itself. They argued that the Moral Education is placed on the centre of school moral education and other subjects cannot replaced it. However, three domains, the Moral Education, other subjects matters and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can be developed through each others` interrelation. In order to integrate three domains, the following ways are suggested. First, the integration of development of curriculum is needed, Second, the system of educating moral education teachers is needed to change. Lastly, the scope of the moral education research must be expanded.

      • KCI등재

        배려윤리의 초등 도덕과교육에의 적용방안

        박병춘(Park Byung-ch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배려윤리는 기존의 인지도덕발달이론의 성적편견과 이론적 편협성을 비판하면서 등장하였다. 배려윤리는 정의와 권리, 독립성과 자율성과 같은 합리적 도덕성을 중시한 인지 도덕발달이론과는 반대로 배려와 책임, 상호의존성, 관계성과 같은 도덕성의 감정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배려윤리학자라 할 수 있는 길리간과 나딩스는 두 도덕성을 배타적이라기보다는 상호보완을 필요로 하는 불완전한 이론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들은 두 도덕성을 통합적으로 함께 발달시킨 사람을 양성하는 것을 도덕교육의 목표로 설정할 것과 남녀모두에게 배려윤리에 관한 내용을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배려 윤리학자들의 주장을 우리나라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적용해 보는데 주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길리간과 나딩스의 배려윤리를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그 도덕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배려윤리를 도덕과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배려윤리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상적인 도덕적 인간상을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배려와 정의 도덕성의 내용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교과내용을 구성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효율적인 도덕과 교육을 위하여 배려윤리에서 제안하고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도덕교육에 적극 도입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lluminate the implications of care ethics in terms of moral education and to apply it to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Korea. This paper was focused on Carol Gilligan and Nel Noddings's care ethics, finding out some its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and suggesting new direction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care ethics. Moral education should set up a educational goal of producing moral persons balancing justice and care in their morality in the form of integration and constitute the contents of enlarging care ethical perspective, introduce an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care ethics into present moral education for effective mo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도덕적 동기부여와 도덕교육

        남궁달화 한국도덕교육학회 2004 道德敎育硏究 Vol.16 No.1

        Morality is the abilities to be able to understand, to accept, and to do 'the right way'(moral norms). Moral education is to develop such abilities to students by teachers. Generally moral education is fulfilled by the approaches based on contents, on forms, and on motivations. 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and discussed of 'what is the motivational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and 'how is it to be done'. The followings are dealt with as the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based on motivational aspects : 'to understand of the right way, to have a faith in it, and to devote oneself to it', 'to consider other people's interest', 'to have compassion for other persons' hard lot', 'to feel shame and guilt on the wrong', and 'the punishment and the authority of moral rules'. I think these approaches can work to develop students' moral motivation. The education in moral motivation is important as much as in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ement. Perhaps the former is more important than the latter. It is because the moral knowing and the moral judgement cannot be realized into actions without the moral motivation which is activated by the emotions and feelings. 도덕성이란 ‘사람이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도리, 즉 바른 길을 이해하고 받아들여 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도덕교육은 교사가 이러한 능력을 학생들에게 길러주는 일이다. 이러한 도덕교육은 내용적 접근, 형식적 접근, 그리고 행동적 (동기적) 접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용적 접근은 ‘바른 길’(도덕규범)이 무엇인가의 이해를 사실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이다. 형식적 접근은 ‘바른 길’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사고하고 판단(결정)하는 방법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이다. 그리고 행동적 접근은 ‘바른 길’을 실천하는 데서 요구되는 동기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이다. 이 글은 행동적 접근으로 볼 수 있는 도덕적 동기 부여하기에 관한 이론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나는 이 글에서 두 가지 범주에 걸쳐 도덕적 동기를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나의 범주는 ‘바른 길’(도덕규범)에 대한 이해와 신념 및 헌신, 다른 사람의 이익에 대한 고려, 그리고 다른 사람의 고통에 대한 동정이었다. 다른 범주는 수치심 내지는 죄의식, 그리고 벌이었다. 전자의 방법들은 그 자체가 도덕적 동기를 직접적으로 부여하는 이른바 적극적인 접근법이다. 이에 비해 후자의 방법들은 이를테면 간접적으로 도덕적 동기를 부여하는 소극적인 접근법이다. 벌이 도덕적 동기부여로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벌 자체이기보다는 그것에 수반되는 죄의식과 새롭게 발견되고 깨닫게 되는 도덕규범의 권위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즉 아이들에게 가해지는 벌은, 우선은 죄의식을 느낄 수 있도록, 이어서 도덕규칙의 존재에 대한 재인식과 도덕규칙의 권위의 혜손 또는 상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벌은 아이들에게 도덕적 동기를 간접적으로 부여해 주는 작용을 한다. 한편, 벌과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위반 행위에 대한 죄의식도 그 자체가 직접적으로 도덕적 동기부여의 작용을 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도덕적 동기부여로서의 죄의식은, 벌에 따른 것이든 스스로 뉘우친 것이든, 도덕규범에 대한 신념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고려 또는 동정이 동기부여의 방법으로서 비교적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과는 달리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소극적 접근법이다.교과로서의 도덕교육은 물론, 이른바 표면적 교육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은 내용적 접근이나 형식적 접근에 비해 동기적 접근의 도덕교육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는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정서감정을 교육(수업)에서 직접적으로, 즉 ‘살아있는 그대로’ 다루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덕적 삶이란, 그것이 어떤 형태의 것이든, 인간의 성향이 작용하는 행위의 문제이다. 도덕교육을 하는 교사도, 그 접근이 내용적이든 형식적이든, 항상 행위의 문제를 염두에 둔다. 이는 이론적으로도 그러하고 경험적으로도 그러하다. 도덕성은 본질상 행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학생들에게 도덕적 행동을 하도록, 도덕적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덕교육에서 도덕적 동기 부여하기는 도덕적 이해하기와 도덕적 사고하기 및 판단하기 만큼이나 중요하다. 아마도 그 이상으로 중요할 것이다. 정서감정이 작용하는 도덕적 동기가 없이는 도덕적 앎도 판단도 행동으로 옮겨지기 어렵기 때문이다.그러나 도덕적 동기도 인지와 정서감정 간의 조화를...

      • KCI등재

        도덕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도덕교육방법 연구

        정탁준(JUNG TAK-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도덕과 교육의 방법측면은 교사가 다른 도덕적 지식을 가진 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문성을 인정받는 분야이며, 실제 도덕교육이 학교에서 이루어질 때 매우 긴요하게 요구되는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도덕과 교육의 방법은 도덕과의 성격이나 목표 그리고 내용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진 바가 적지 않다. 그 이유로는 크게, 도덕교육의 목표에 대한 수많은 도덕교육학자들의 주장들에 대한 구분을 짓는 노력이 부족했고, 도덕교육의 목표를 직접적으로 추구하는 도덕교육의 방법과, 도덕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지원을 하는 일반적 교육 및 수업전략들이 혼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두 가지 측면에서, 그리고 차기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도덕과 교육의 교육목표와 내용에 비추어, 도덕교육의 방법을 체계화 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차기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도덕과 교육의 목표에 따라 도덕과 교육방법도 덕목중심의 교육방법과 판단력 중심의 도덕교육으로 체계화하고, 도덕교육에 영향을 주는 일반 교육학의 교수학습이론과 도덕과 교수방법, 그리고 그 상세한 수업운영기술을 반영하는 도덕과 교수전략으로 나누어 체계화 하려 한다. Even though one of the core domains of moral education studies is the methodology of moral instruction, the inquiry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has somewhat unobserved. Because of the ebb and flow of moral educational theories with the lapse of time, and of the confusion between general teaching methods and detailed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study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has difficulty in developing an efficient system to help teachers of moral education to structure his/her class. This paper focuses on the systemization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according to next national curriculum in two points: first, the categorization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from general instructional methods and detailed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dyadic structure composed of virtue-centered moral educational method and decision-centered moral education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