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초기 니체 수용사: 1890~1910년까지

        정낙림 한국니체학회 2018 니체연구 Vol.34 No.-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To examine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is meaningful for us because it was exactly Japan where Nietzsche’s Philosophy was first introduced and Nietzsche’s texts were translated.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Korea and China was mostly influenced by Japan. Thus, research into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Korea and China will be able to gain objectivity through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Another reason why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has meaning to us is because we will be able to see how Nietzsche’s Philosophy had been reinterpreted in Japan in accordance with its culture, history and social conditions. Through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we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and problems of the Oriental understanding of Nietzsche’s Philosophy.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is nearly half a century ahead of Korea. This study introduces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from approximately 1890 to 1910. The intellectuals of that time we should pay attention to are Takayama Rinjiro[Chogyu], Anesaki Masaharu[Chofu], and Mori Ogai. ‘The aesthetic life debate’ triggered by Takayama Rinjiro is mainly based on Nietzsche’s Philosophy. 이 논문은 일본의 니체 수용사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의 니체수용사가 우리에게 의미를 가지는 것은, 무엇보다도 동양에서 최초로 니체철학이 소개되고 니체의 저서들이 번역된 곳이 일본이고, 한국과 중국의 니체 수용은 일본을 거쳐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니체 수용사에 대한 연구는 일본의 니체 수용사를 통해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니체 수용사가 우리에게 의미를 가지는 또 다른 이유는 일본의 니체 수용사를검토함으로써 우리는 일본이 어떻게 자신의 문화와 역사, 사회적 조건에 맞게니체를 재해석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일본의 니체 수용사를 통해, 니체철학에 대한 동양적 이해 방식의 의의와 그 동시에 문제점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니체 수용사는 한국보다 반 세기 가까이 앞서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략 1890년에서부터 1910년까지의 일본에서의 니체 수용사를 소개한다. 이 시기에 우리가 주목해야할 지식인은 다카야마 린지로[쵸큐], 아네사키 마사하라[쵸후], 모리 오가이이다. 1900년초 다카야마 린지로가 촉발하고 당시 일본 지식인들의 화두였던 ‘미적 생활’ 논쟁은 일본의 니체 철학 수용과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주제이다.

      • KCI등재

        니체의 민주주의 이념 비판- 자유, 평등, 박애 비판을 중심으로

        최순영 한국니체학회 2014 니체연구 Vol.26 No.-

        Democracy has developed in Western Europe, and it prevailed in this world, as English Chartist Movement started. After very end of World War Ⅱ, democracy has begun to spreaded over the colonial countries, including Korean democratic republic. Liberal Democracy has confronted to people's democracy in the era of cold war. And the socialist countries has fallen down. The latter has been defeated by the former. F. Fukuyama has declared the victory of liberal democracy as the end of history. Liberal democracy has been transforming to neo-liberalism. But financial crisis of USA in 2008 has revealed the limit of neo-liberalism. In first decade of 21C, we have observed the Jasmin Revolutio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african countries. The political meanings and institutional forms of democracy has been changing, as democracy has been developing in the whole world. Democracy became a universal value of mankind nowadays. By the way, democracy has lost the critical meaning in the course of its universalization. As S. E. Bronner pointed out, democracy has lost its critical character and function, as it becomes cure-all for political problems. It proved to be obscuration and abstraction of democracy, as long as the concept of democracy has been extended. It is worthy of listening to Nietzsche's unreserved critique of democracy. In this paper Nietzsche's critique of liberty, equality and fraternity has been critically analyzed. The meanings and limits of Nietzsche's critique of democracy are described. The desirable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is disputable till today. It results from 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of will to power, which is Nietzsche's most important philosophical concept. I tried to compare, and to analyze various interpretations of will to power. In this way, I do philosophical endeavors to clarify the merits and faults of each interpretation. Nietzsche's philosophical contributions should be succeeded, on the contrary, his limits should be overcome. First of all, the political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should be done to approach this goal. I hope that this paper could contribute to the philosophical researches of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and of contemporary democracy. 민주주의는 19세기 영국의 차티스트 운동을 기점으로 유럽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2차 대전 직후 민주주의는 한국을 포함한 구식민지 국가들에게 확산되었다. 냉전 시기 동안 민주주의는 자유민주주의와 인민민주주의의 대결국면을 맞았다. 결과는 사회주의의 몰락과 자유민주주의의 승리였다. 후쿠야마는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를 역사의 종말이라고 환호하였다. 이후 자유민주주의는 신자유주의로 변화해갔다. 그러나 2008 미국발 금융위기는 신자유주의의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2010년대 우리는 아랍과 북아프리카에서 민주주의의 제 3의 물결 ‘쟈스민 혁명’을 목격하였다. 역사 속에 민주주의는 전 세계로 확산되어간다. 그리고 민주주의의 의미와 제도 또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민주주의는 이제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되었다. 20-21세기 민주주의가 보편화되는 과정에서 민주주의는 그 비판력을 많이 상실하였다. 브론너의 지적처럼 ‘민주주의가 모든 문제들의 해결책이 됨에 따라 그 비판적 특성과 기능은 상실되었다.’ 이는 민주주의 개념의 외연적 확장에 따른 민주주의 개념의 내포, 즉 민주주의 개념의 모호화로 드러나고 있다. 민주주의의 외연이 확장되면서 그 내포가 추상화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에서, 우리는 니체의 거리낌 없고 솔직한 민주주의 비판에 정치철학적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민주주의의 핵심적 이념인 자유, 평등, 박애에 대한 니체의 비판을 분석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서술하였다. 니체의 정치철학에 대한 해석은 여전히 논쟁적이다. 이는 니체의 가장 중요한 철학적 개념인 힘에의 의지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필자는 판단한다. 필자는 니체철학에 대한 다양한 정치철학적 해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각각의 해석이 갖는 장단점이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논문을 서술하였다. 우리는 이 과정을 통하여 니체 정치철학의 공헌은 계승, 발전시키고, 그 한계는 시대의 정치적 맥락에 맞추어 극복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학문적 노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니체철학에 대한 엄밀한 정치철학적 독해를 해야 한다. 본 논문이 니체 정치철학 연구과 현대민주주의 연구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쇼펜하우어의 연민윤리학에 대한 니체의 비판

        이선 한국니체학회 2018 니체연구 Vol.33 No.-

        Unter den philosophischen Debatten über das Mitleid beschäftigt sich diese Arbeit mit Schopenhauer und Nietzsche, die dem Mitleid extrem konfrontativ gegenüberstehen, obwohl sie beide eine auf Emotion, Affekt und Leidenschaft beruhende Ethik bieten. Es geht um Schopenhauers Mitleidsethik und Nietzsches Kritik daran. Schopenhauer sieht das Mitleid als ein natürliches Gefühl unter den Menschen, die das Lebensschmerzen miteinender fühlen, und damit glaubt er, dass eine egoistische Person einen moralischen Grund für unegoistische Verhaltensweise schaffen könnte. Dagegen ist das Mitleid bei Nietzsche kein bloßes moralische Gefühl, sondern eine spezifische Lebensweise, die das moralische Wertesystem von vorherigen Verhaltensweisen angenommen hat. Nietzsche analysierte Schopenhauers Miteildsethik als ein ethisches Wertesystem, das der christlichen Moral folgte und das Wille zum Leben leugnete. Er kritisierte das Mitleid als das Gefühl, das mit der bestehende Sitten und Moral in Übereinstimmung bringt, und entwickelte er Vornehme Werte im Selbst durch Distanz des Pathos. Dieser Nietzsches Versuch ist durch die Philosophie von Übermensch zu vertreten. Nietzsche verbindet schopenhauers Mitleidsethik mit dem Christentums und diagnostiziert sie als die décadence-Moral, das den physiologischen Untergang hemmmt. Im Gegensatz zu Schopenhauers Mitleidsethik steht Nietzsche mit den anti-christlichen Werten von den Dionysischen gegenüber, wandelt sich dadurch das Mitleid in den Rausch, das Christentum in das Anti-Christentum, das moralisches Wertesystem in die Physiologie des Lebens und die Lebensanpassung in das dionysische Spiel. 본 연구는 연민에 대한 철학적 논쟁들 중에서도 서양 철학의 이단아들로서 감정, 정동, 정념에 근간하는 윤리학을 제공하지만 가장 자연적인 도덕 감정이라고보이는 연민에 대하여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쇼펜하우어와 니체를 다룬다. 여기에서 논점이 되는 것은 쇼펜하우어의 연민윤리학과 이에 대한 니체의 비판이다. 쇼펜하우어는 연민을 인간들 간에 삶의 고통을 함께 느끼는 자연적인 감정으로 바라보고, 이 연민을 통해 자기중심적인 한 인간이 다른 사람을 위해서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여겼다. 그러나 니체에게 연민이라는 감정은 자연적 도덕 감정이 아니라 도덕적 가치체계를 그 안에 포함하고있는 특정한 삶의 방식이 발현된 것이다. 니체는 쇼펜하우어의 연민윤리학을 삶에의 의지를 부정하고 기독교 도덕을 답습한 윤리적 가치체계라고 분석하면서, 기존 관습이나 도덕에 동질화하려는 연민의 작용에 대한 비판을 통해 거리의 파토스를 이용하여 개별적 주체의 고귀함의 가치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니체의 시도는 위버멘쉬의 철학으로 나타난다. 또한 니체는 생리학적 비판을 통해 쇼펜하우어의 연민을 기독교의 연민과 연관시키며 삶에의 의지를 부정함으로써 생리학적 도태를 가로막고 있는 데카당스적 도덕으로 진단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니체는 쇼펜하우어의 연민윤리학에 반기독교적 가치인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대립시키면서, 연민을 디오니소스적 도취로, 기독교적인 것을 반기독교적인 것으로, 도덕적 가치 체계를 삶의 유형의 생리학으로, 순응을 디오니소스적 놀이로 변형하고자 시도한다.

      • KCI등재

        매킨타이어의 니체 도덕성 비판에 대한 검토

        엄인주 한국니체학회 2018 니체연구 Vol.33 No.-

        Nietzsche’s 『Geneology of Morality』 and 『Beyond Good and Evil』 shows us philosophical premises on morality of human. MacIntyre who is Aristotelian as he mentioned himself criticizes Nietzsche as liberalistic individualist in the point of view that anti-social and anti- Aritotle’s view. His critiques come from stipulating Nietzsche’s Overman who denies society and history. However morality of Masters does not mean arbitrary wielding power because it is focused on greatness of human. The greatness is from transcendent to the time and reputation from others, not from ignoring the society which MacIntyre already criticized Overman. It can be dangerous morality to criticise society when it lies meaning of getting rid of society. However Nietzsche’s intention is not in emphasizing to ignore society, but in emphasizing self–overcoming to realize morality of human. Examining the morality of Nietzsche from origins of the Greek morality as an excellence has a meaning because self–overcoming towards excellence is the definition of Nietzsche’s morality and methods. This shows us the morality is not just for others but for realizing self–perfection. But Nietzsche’s authenticity still remains as a matter to be discussed further. 니체의『도덕 계보학』이나 『선악의 저편』이라는 저서들은 기존의 도덕에 대한 철학적 실험을 하겠다는 의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매킨타이어는 이러한 니체의 도덕성을 탈사회적, 반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것으로 규정하면서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자로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매킨타이어가 비판하듯이 니체의 도덕은 사회를 망각한 것이 아니며, 단지 사실적 사회를 기준으로 하는 무리도덕에안주하지 말자는 주장이다. 니체는 도덕성의 기원을 인간의 위대함에 두며, 무리도덕보다는 주인도덕을 강조한다. 니체의 도덕성은 사회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논리적 가정으로서의 사회라는 기준마저도 무시한 위험한 윤리학이 될 가능성과 동시에 도덕성의 기준을 타인의 평판이 아닌 자아 완성에 둔다는 점에서인격에 초점을 둔 도덕성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 때 니체가 사랑한 고대 그리스의 도덕성 기준인 탁월성을 중심으로 도덕성을 해석해 내는 일은 니체의 도덕성에 대한 윤리학적 실험의 단초가 된다. 인간의 탁월성을 향한 자기극복이니체의 도덕성의 정의이자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매킨타이어가 주장하는 행위에 초점을 둔 덕윤리학 역시 고대 그리스 윤리학을 보는 하나의 철학적 실험이며, 니체는 그 반대의 방향에서 인격에 초점을 둔 도덕성이라는 해석을 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힘에의 의지와 기운생동의 비교고찰-니체의 예술이론과 중국회화를 중심으로

        홍일희 한국니체학회 2006 니체연구 Vol.9 No.-

        <Abstract> Der Vergleich des Willens zur Macht und des Begriffes ‘기운생동(氣韻生動)’ -Aus der Nietzsches Kunstlehre und der chinesischen Malerei- Hong, Il-Hee(Chonnam National University) Die Gedanken zum Willen zur Macht haben in Denken Nietzsches keinen kleinen Stellenwert. Sie stehen in deutlichem Zusammenhang mit Nietzsches Kunstlehre. Sie beziehen sich stets auf seiner leidenschaftliche Kritik an dem neuzeitlichen Gedanken. Nietzsches Kunstlehre bewegt sich nicht mehr im festen Rahmen des neuzeitlichen Denkens. Seine radikale Kritik an der abenländischen Tradition will diesen Rahmen durchbrechen. Alle Aussagen Nietzsches sind ein Versuch, das dualistische Denken zu überwinden. Sie alle versuchen, über Subjekt und Objekt hinaus zur eigentlichen Ganzheit, d.h. zur Natürlichkeit der Dinge zu gelangen. Und dies bedeutet wohl nichts anderes als das natürliche Lebenssystem. Man kann im Hinblick auf den Willen zur Macht geraden zu von einem chinesischen Bewußtsein gegenüber dem Begriff ‘氣韻生動’ sprechen. Der Begriff ‘氣韻生動’ an der chinesischen Malerei versucht, zur Natürlichkeit der Dinge zu gelangen. Daher versucht der Begriff ‘Der Wille zur Macht’ und ‘氣韻生動’, eins zu werden mit dem kosmischen Lebenssystem als Natur. 이 논문은 니체철학에서 주요 개념인 힘에의 의지와 중국회화에서 주요 개념인 기운생동을 비교하여 그 공통지평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두 개념은 특히 예술과의 연관성 속에서 언급된다. 힘에의 의지는 니체의 근대비판 철학의 집약체라 할 수 있고, 기운생동은 중국회화에서 작품의 미적 가치를 평가하는 제일의 척도라 할 수 있다. 힘에의 의지와 기운생동의 비교가 가능한 것은, 다시 말해 철학과 회화의 비교가 가능한 것은 니체가 자신의 힘에의 의지 개념을 궁극적으로 예술을 통해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고, 더 나아가 두 개념이 지닌 의미가 유사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니체에게서 예술은 근대적 사고의 반대급부로서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근대성이 고스란히 담긴 근대적 예술과는 달리 근대적 형식과 구도로부터 자유롭게 존재자의 존재원리인 힘에의 의지를 가장 잘 실현할 수 있는 장르이다. 여기에서 존재원리로서 설명되는 힘에의 의지는 생명력을 지닌 자연의 의미로서 이해되고 있다. 다시 말해 니체는 근대적 사고와 달리 자연 생명력의 의미를 부각시키고자 하는데 이에 대한 자신의 언어가 힘에의 의지이며, 이 개념은 내용뿐만 아니라 그것을 실현하는 형식에 있어서도 근대성으로부터 가장 자유로운 예술을 통해 설명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니체철학의 대표 개념인 힘에의 의지는 예술로서의 힘에의 의지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사상에 근거한 중국회화에서의 기운생동은 여러 화법과 화론 가운데 가장 중시되는 개념이며,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니체가 힘에의 의지라는 개념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 자연 생명력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시 말해 중국회화는 자연의 생명력, 즉 기운생동을 잘 묘사했을 때 작품의 미적 가치를 높이 평가한다. 따라서 니체철학의 힘에의 의지 개념과 중국회화의 기운생동 개념은 지역과 장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자연 생명력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논의의 공통지평을 마련해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힘에의 의지(Wille zur Macht)와 정치이론

        최순영 한국니체학회 2018 니체연구 Vol.33 No.-

        It is obvious that ‘Wille zur Macht’ is Nietzsche’s philosophical key concept. But Wille zur Macht has diverse meanings and it is also controversial concept. First, in translation Wille zur macht in korean is polemical. Intersect the translations, each of his strengths and weaknesses. Therefore, Wille zur macht should be translated into text in the concret context. To get the more accurate political implications of Wille zur macht, the implications of power(Macht), violence(Gewalt), cruelty(Grausamkeit) and force(Kraft) in Nietzsche’s text, should be scrutinizingly analyzed. Nietzsche has chosen definitely Wille zur Macht, instead of Wille zur kraft. Power, violence, force and cruelty all that could be classified as a subcategory of Wille zur Macht. Nietzsche has written on the political themes in terms of Wille zur Macht; 1. theory of resentiment 2. genealogy of memory 3. power struggle between the strong and the week. Nevertheless, discussions on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Wille zur macht are still under debate. V. Gerhardt said that Nietzsche’s political theory has opened space for political action of promise, and then Nietzsche could be a theorist about the sociality of human beings. On the other hand, U. Marti argues that Nietzsche’s sovereign and anti-conventional individual seems to be dictator of a private builder of ancient greek polis.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o find the political connotations of Wille zur Macht in the text of Nietzsche, isn’t easy.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text of Nietzsche’s Zarathustra helps us solve the problem. His behavior and words are political? or just solitary voice of a Messiah? Images of Zarathustra are tending to the latter, compare to Plato’s speakers in dialogues. Wille zur Macht가 니체철학의 핵심 개념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Wille zur Macht는 다의적이며, 논쟁적인 개념이다. 우선 번역에서 Wille zur Macht를 ‘힘 에의 의지’로 하자는 주장과 ‘권력의지’로 하자는 주장이 있다. 양 번역은 각각 장단점이 교차한다. 그러므로 Wille zur Macht는 텍스트의 맥락에 따라, 때로는 힘 에의 의지로, 때로는 권력의지로 번역되어야 한다. Wille zur Macht의 정치적 함의를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해서 우리는 권력 (Macht), 잔혹함(Grausamkeit) 또는 폭력(Gewalt), 물리적 힘(Kraft)의 개념적 차이를 니체의 텍스트 속에서 분석해야 한다. 니체는 분명히 Wille zur Kraft라 는 개념 대신 Wille zur Macht라는 개념을 선택하였다. 잔혹함 또는 폭력은 Wille zur Macht의 하위범주로 분류될 수 있음을 글쓴이는 본 논문에서 논증하였다. 니체 텍스트에서 구체적 정치이론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쓴이는 1. 원한이론 2. 약속이론 3. 강자와 약자의 권력투쟁이론을 니체의 대표적인 정치이론으로 제시하였다. 힘에의 의지의 정치이론적 함의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예를 들면 게하르트(V. Gerhardt)는 니체의 약속이론 이 정치적 행위의 공간을 열었으며, 니체는 인간실존의 사회성에 대한 이론가라고 주장한다. 반면, 마르티(U. Marti)는 니체의 자율적이며, 초관습적인 개인의 독재성은 계약과는 무관하며 태고적의 국가 건립자와 닮아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글쓴이는 니체의 차라투스트라의 모습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의 행동과 발언은 정치적인가? 아니면 고독한 메시아의 외침인가? 정치철학자로서의 니체와 反 정치적 철학자로서의 니체는 공존한다. 하지만 차라투스트라의 모습은 플라톤대화편의 논자들과 달리, 후자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니체의 형이상학 비판

        윤성진 한국니체학회 2006 니체연구 Vol.9 No.-

        <Abstract> The Critic of Metaphysics in Nietzsche Yoon, Seong-Jin(Chung-Ang University) The thing that is focused on in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the critic of metaphysics is in Nitzsche's thoughts have been done and to expose if the position regard these Nietzsche's critics as anti-metaphysics is reasonable. In other words, I'd like to make out Nietzsche's critic of metaphysics is a springboard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at thing to start to unroll his thoughts by criticizing the traditional metaphysics severel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critic of metaphysics in Nietzsche is not to overpass one point that his critic is not a temporary venture but a sprout go through his thoughts. This paper has tried to interpret the critic of metaphysics going through all his works as two: a. metaphysics as traditional value model. b. equality. the critic Nietzsche recognizes the loss of metaphysical value gladly as replacing metaphysics with science but strongly denies replacing traditional value by science. At this moment to say an outlook on the world as ultimately authority, that replacement from metaphysics to science can be a replacement in an outlook on the world. However Nietzsche never authorizes that substitution as real at all. Then is Nietzsche supposed to build up a new outlook discerns ultimately authority from the very beginning to the end with restriction as relative substitution thrown away? An angle that can be obtained by seeing through the critic of metaphysics in Nietzsche will be a bridgehead of our debate in the future. 니체가 시종일관 그 사상적 영역에서 펼쳐오던 전통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제이다. 또한 그러한 니체의 비판을 과학주의와 실증주의라는 ‘반형이상학’의 입장으로 간주하는 것이 정당한가를 밝히고자 한다. 즉 형이상학에 대한 그의 비판을 단순한 반형이상학적 논박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오히려 전통 형이상학을 비판함으로써 자신만의 형이상학을 전개하기 위한 도약대로서 이해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자면 니체의 후기사상에 있어서 힘에의 의지와 영원회귀라는 형이상학에 의해 대체되는 이른바 순간의 시도가 아니라 그의 사상전체를 꿰뚫고 있는 단초로 보여진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서 니체의 형이상학비판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형이상학에 대한 니체의 비판을 두 가지의 주제로 나누어서 고찰해보고 그의 형이상학비판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물어봄으로써 논의를 맺고자 한다. 과학이 형이상학으로 대체되는 사태를 니체는 과학의 입장에 서있는 것처럼 형이상학적 모든 가치규범의 상실을 흔쾌히 인정하면서도, 그 가치규범에 대한 과학의 대체현상을 강력하게 부정한다. 여기에서 궁극적 근거의 영역을 세계관의 영역이라고 말한다면, 형이상학에서 과학으로 대체된다고 하는 사태는, 형이상학으로부터 과학이라는 세계관의 교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니체는 이 형이상학으로부터 과학이라는 세계관의 교체를, 세계관의 진정한 교체와 전환이라고는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과연 니체 자신은 이 세계관의 상대적인 교체라는 굴레를 벗어던지고 새로운 세계관―궁극적 근거의 영역을 제대로 통찰하려는―을 세웠던 것일까? 니체의 형이상학비판을 고찰함으로써 얻어진 이 관점이 장차 전개될 우리의 논의에 하나의 교두보가 될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 KCI등재

        니체와 ‘위대한 정치’

        이상엽 한국니체학회 2008 니체연구 Vol.14 No.-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ab, die Bedeutungen und Grenze der politischen Philosophie Nietzsches in Bezug auf seinen Entwurf ‘die grosse Politik’ zu erörtern. Nietzsches Nachdenken über das Politische als ein Teil seiner Philosophie wird seit 1945 von manchen Nietzsche-Forschern kritisiert. Doch geht diese Arbeit davon aus, dass Nietzsche politisches Denken von der Voreingenommenheit frei sein muss, dass Nietzsche als Faschist, als Anti-demokrat, als Konservative nicht missverstanden werden darf, Denn es ist tatsächlich wahr, dass Nietzsche unsere moderne Liberal-Demokratie gar nicht verneinen wollte. Nur wollte er wegen der Probleme der modernen Liberal-Demokratie an Liberalismus und Demokratie radikal kritisieren. Nietzsche hatte den historischen Sieg der liberalen Demokratie als politisches System schon vorausgesehen. Aber für ihn war sie kein politisches Ideal. Daher versuchte er die versteckten Probleme der liberalen Demokratie zu enthühlen und dagegen 'die grosse Politik' als eine alternative politische Form zu entwerfen. Wenn wir Nietzsches politisches Denken gerecht sein wollen, sollten wir ernsthaft versuchen, Gründe und Motive von Nietzsches Kritik an die Demokratie und an den Liberalismus zu verstehen und Bedeutungen und Grenze der Idee ‘die grosse Politik' zu begreifen. 본 논문은 니체의 ‘위대한 정치’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정치철학이 지닌 의미 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니체의 철학 중에서 정치에 관한 사유 부분은 1945 년 이후 많은 니체연구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본 논문은 니체가 일면적으로 해석되어 파시스트나 반민주주의자나 전체주의자나 반동보수주의 자 등으로 매도되어서는 안 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니체가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자신의 정치적 이상으로 삼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이에 대해 매우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니체가 자유 주의와 민주주의를 전면 부정했다거나 파시즘과 전체주의를 옹호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사실 니체는 다른 생각을 했다. 그는 자유민주주의 정치시스템이 역사적으로 승리할 것을 예견하고 이것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드러내어 이를 극복할 대안 을 미리 모색하려 했던 것이다. 따라서 니체가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비판하는 이유를 진지하게 살펴보는 것, 다시 말해 니체의 정치철학을 그저 무시하거나 매도하는 것이 아니라 이로부터 우리가 배울 것은 무엇이고 그 한계가 무엇인지 를 살펴보는 것이 니체를 대하는 우리의 보다 바람직한 태도일 것이다.

      • KCI등재

        니체에 대한 탈현대적 해석을 넘어가기

        김진석 한국니체학회 2006 니체연구 Vol.9 No.-

        <Abstract> Overcoming postmodern standpoints about Nietzsche Kim, Jin-Sok(Inha University) Postmodern thoughts are indebted to Nietzsche for its great success, above all other texts. And Nietzsche also owes postmodern thoughts much gratitude. So their relation is very close and interrelated. But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esent, postmodern interpretations about Nietzsche could or should be in some aspects shored up and revised. For example, Derrida and Deleuze have sought to find out some possibility of 'the new politics', but they seem to have over-interpreted the decoding aspects of Nietzschean texts. In my opinion, there are in his texts no less recoding points than decoding lines. He has focused his minds on the hierarchy of values, and that seems to have conservative or ontological character. At this point I find some dislocation between the philosophical and the political. For it is hard to believe that 'the noble strong man' is in reality equal to the dominant. So he cannot open in simple and straight way the new politics. Discovering this dislocation between the philosophical and the political would however be neither harmful nor without benefits. To read Nietzsche today, we need to respect all the perspectives of his texts, how strong or weak they may be. 탈현대사상은 어떤 사상보다 니체의 텍스트에 빚을 많이 졌다. 거꾸로 니체 역시 탈현대 사상의 덕을 크게 봤다. 그만큼 이 둘의 관계는 긴밀하고 호혜적이다. 그러나 오늘의 시점에서 보면 니체 텍스트에 대한 탈현대적 해석은 여러 가지 점에서 보충되거나 내부적으로 수정될 필요가 있다. 데리다나 들뢰즈 등이 니체에게서 ‘새로운 정치’의 가능성을 찾으려고 했지만, 그 모색은 되돌아보면 탈코드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니체 텍스트에는 그 못지않게 가치의 위계질서를 강조하는 보수적 혹은 존재론적 측면도 있으며, 존재론적 힘과 정치적 권력 사이에서도 여러 차원에서 균열과 괴리가 벌어지고 있다. 니체가 강조한 ‘강자’가 새로운 정치를 열어준다고 쉽게 믿기도 힘들다. 그러나 이들 균열과 괴리를 드러내는 것이 무익하거나 해로운 일로 그치지는 않을 것이다. 니체 텍스트를 오늘의 사회의 관점에서 새롭게 읽기 위해서는 그것들을 적극 참조해야 할 터이다.

      • KCI등재

        1930년대 니체사상의 한국적 수용- 김형준의 니체해석을 중심으로 -

        김정현 한국니체학회 2008 니체연구 Vol.14 No.-

        Die Nietzsche-Auslegung in 1930er Koreas bestand auf der einen Seite aus der heftigen Reaktion der koreanischen Intellektuellen gegen den Faschismus und Nazismus und bildete sich auf der anderen Seite durch die Vorstellung von der Poesie und Briefe Nietzsches, oder durch den Litteratur-Diskurs wie Neohumanismus. Darin gab es drei Tendenzen: Erstens, die sozialphilosophische Auslegung Jonghong Parks, der Nietzsches Gedanke für eine praktische Philosophie des Faschismus gehalten hat. Zweitens, die litteraturkritische Auslegung Hyeongjun Kims(Oseong Kims), der den Neohumanusmus verfochten hat. Drittens, die litterarische Vorstellung durch die ausländische Litteratur-Schule wie Jinseop Kim, Hangseok Seo, Huisun Jo. Hier handelt es sich hauptsächlich um die Auslegung Oseong Kims. Unter Berufung auf die Begriffe des Übermenschen und der Geschichte bei Nietzsche hat er ausgelegt, dass in Nietzsches Gedanken ein Charakter der Befreiung versteckt ist, die Bauermassen von den geschichtlichen Fesseln zu entlassen. In Zusammenhang mit der Theorie des Litteratur-Schaffens hat er den Neohumanismus behauptet, also daß durch den Aktiven Willen, das praktische Vermögen oder die Schaffenskraft der neue Menschentypus herausgefunden und eine neue zukünftige Kultur gebildet werden können. In der Tat beruhte seine theoretische Begründung auf dem Gedanken Nietzsches. Der wichtige Humanismus-Diskurs der koreanischen Litteratur in 1930er ist durch den Neohumanismus Oseong Kims zur Welt gekommen, der von Nietzsche beeinflußt worden ist. Nun soll Nietzsche als eine geistige Erzader wiederabgebaut werden, um das Licht der neuen Auslegung in die moderne Litteratur Koreas zu bringen. 1930년대의 니체해석은 파시즘이나 나치즘에 대한 예민한 반응 속에 나오 거나 시나 편지 등의 소개나 네오휴머니즘과 같은 문학 논쟁을 통해 이루어졌 다. 여기에는 니체사상을 파시즘의 실천적 행동철학의 원유(原由)로 해석하는 박종홍의 시류적 사회철학적 해석도 있고, 초인의 창조적 생산성을 대중의 입장 에서 탈환하고 실천적 능동성을 통해 인간타입을 발견해 시대와 역사를 새롭게 하는 네오휴머니즘의 이념적 토대로 해석하는 김형준(김오성) 같은 철학적 문 예비평의 해석도 있으며, 김진섭, 서항석, 조희순 등 해외문학파에 의한 문예운 동 차원의 소개도 있다. 그 중 김형준(김오성)의 해석은 주목할 만한데, 그는 니체의 초인사상이나 역사 관에는 농민대중이 역사적 질곡에서 벗어날 수 있게 만드는 해방의 성격이 있다고 해석했고, 또한 문학창작론과 연관해 네오휴머니즘을 주창하며 니체사상을 그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는데, 이는 현실의 고통을 초극하려는 능동적 의지나 행위의 실천성 혹은 창조성을 통해 새로운 인간타입을 탐구하거나 새로운 문화건설이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30년대 한국문학의 중요한 휴머니즘논쟁은 이러한 니체의 영향을 받은 이러한 김오성의 네오휴머니즘론을 통해 태어났다. 이제 니체는 한국 근대문학에 새로운 해석의 빛을 던져준 정신적 광맥으로 재발굴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