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라위 농촌지도사업의 현재와 미래

        실리로누후쿠잘리라마고메로 ( Siliro Nkhukuzalira Magomeroa ),박덕병 ( Duk Byeong Park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2

        말라위 농촌지도사업은 최근 농업개발에서의 부족한 기여와 소농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 측면에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촌지도사업은 농촌생활과 농촌빈곤 문제 개선을 위해서 중시되고 있다. 말라위 농촌지도사업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이러한 도전에 분명하고적극적인 대응은 모든 농가들에게 편익을 제공하고 정부정책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농촌지도사업의 미래의 모습을 만드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말라위 농촌지도사업의 당면과제는 민주주의, 시장자유화, 분권화, 에이즈, 공공자원부족,공공부문개혁, 협력 등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말라위 농촌지도사업은 복합적인 지도사업수요를 제공해야 하고, 식량문제와 빈곤문제해결을 위하여 협력을 촉진해야 한다. 또한 지도사업은 모델빌리지접근법(Model-village approaches)을 기초한 지역농촌지도사업 시스템을 통하여 모든 농가들이 접근할 수 있고 질높은지도사업 서비스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Malawi``s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has been subjected to a number ofcriticisms in recent times for failing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agriculturaldevelopment and for not responding to the needs of the smallholder farmers. Despite this, extension is still seen as key to improving poverty and rurallivelihoods.There is a number of challenges facing extension that require aresponse from the public sector and other stakeholders. A clear and positiveresponse to these challenges will help shape the future of agricultural extensionin Malawi for the benefit of all farmers and the attainment of the broad policyobjectives of government: democratization, market liberalization, decentralization, HIV/AIDS crisis, shrinking public sector resources, public sector reform, andco-ordination, etc. The mission is to provide pluralistic demand drivenextensions services and promote equalisation and co-ordination in serviceprovision in order to achieve food security at household level, there-byreducing poverty. On the other hand the vision is that ``All farmers`` demandand access high quality extension services from those best able to providethem``. DAES implements its extension policy through the District AgriculturalExtension Services System (DAESS), based on Model Village Approach.

      • KCI등재

        군 농촌지도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김성수,대니얼마틴스 한국농촌지도학회 1999 농촌지도와 개발 Vol.6 No.2

        미네소타의 농촌지도에 대한 법률적 지원은 1909년에 실시되었고 1912년에는 최초의 농촌지도 요원이 임용됨과 동시에 미네소타주 의회에 의해 군단위농촌지도위원회 (Country Extension Committees; 이하 CEC로 표기)가 본격적으로 가동되었다. 위원회의 조직은 총 9명이며 1명의 의장과 2명의 이사, 6명의 지역사회주민 그리고 최근에는 1-2명의 학생이 참여하여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하고 있다. CEC의 기본 운영 논리는 교육적 접근, 정책적 접근, 민주적 운영, 그리고 책임감 등이다. CEC 구성요원 선출시에 고려되는 기준은 첫째, 지역사회에 관한 배경요소, 경험요소, 전망에 대하여 폭넓은 부분을 표현할 것, 둘째, 지역사회 내에서 진행되는 일이나 지역사회성원들의 요구를 포착할 수 있는 안목을 배양할 것, 셋째, 지역사회에 관한 자신의관점이나 수집된 정보를 기꺼이 위원회와 공유할 것, 넷째, 지도사업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모임, 회합에 참석할 것, 다섯째, 흥미와 열정을 보이며 긍정적인 사고를 할 것, 여섯째, 묻기 곤란한 질문도 기꺼이 질문할 것, 일곱째, 지역사회 내에 존재하는 다른 시각과 여론을 포괄할 것 등이다. 성공적인 CEC요원의 역할은 지역사회의 자문 및 상담역할이며 모든 지도 사업은 가치와 확신을 기반으로 시행되어진다. 이들의 기본적 역할은 1) CEC의 목적과 의무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제공, 2) 농촌지도사업의 사명과 자원(노력)에 관한 정보전달, 3) 지역사회성원들과 함께 일하며 그들이 대표하는 지역사회에 대한 정보습득, 4) 특수한 농촌지도사업과 관련된 정보를 조사, 5) 개개인의 리더쉽, 조직사업수행능력, 작업간 상호관계를 발전 등이다. 요원들은 자신의 관점이나 수집된 정보를 기꺼이 CEC와 공유하며 흥미와 열정을 가지고 지역사회사업에 참여한다. 이들의 또다른 중요역할은 지역사회의 자문과 전체 회원에 대한 지속적인 양성과정과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요원들과 CEC 구성원간의 상호협력은 매우 중요하며 '열린 마음, 정직, 신뢰, 친근감, 전문성, 흥미'와같은 개념에 기초한다. 군 농촌지도위원회에서는 충분한 정보와 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고 조직원은 지도활동을 활성화하여 농민들에게 지도와 조언을 제공한다. 또한 프로그램이나 활동에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두루 살펴 골고루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조직결속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 모든 활동을 위해서는 정보가 부족한 현실을 보완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정보화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지도요원과 구성원은 일반정책의 발전 및 진행되는 사업 전반에 걸쳐 상호 연대해야 한다. 구성원의 성격, 흥미, 취미 그들이 속해 있는 다른 조직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지도자를 선출하고 신뢰감을 배양한다. 회합은 편리한 시간과 장소에서 실시한다. 때론 모임을 갖지 않는 것이 더 효과적일 때가 있다. 전화회의, 우편, 개별전화, 개별방문 등이 새로이 대두되고 있다. 미국의 대학은 지역사회성원들의 교육적 필요성과 연구목적으로 형성되고 건립되었으며, 이는 지역사회성원들이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도출하고 필요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대학 역시 지역사회의 일부분이며 농촌지도사업 역시 대학교육의 일부라는 개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역사회성원이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서 대학이란 도구를 사용하고 CEC 요원들을 통해 의사를 결정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다.

      • KCI등재

        에티오피아 농촌지도사업의 현재와 미래

        베사다나츄베케레 ( Dagnachew Bekele Besha ),박덕병 ( Duk Byeong Park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1

        에티오피아의 농촌지도사업은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비교하여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접근방법과 모델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농촌지도사업 시슨템은 사업영역, 커뮤니케이션, 제도적인 다원성 측면에서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 농촌지도사업의 초점은 시험연구사업 결과에 대한기술이전, 국가식량안보와 수출증가를 위한 농업생산성 증대에 있다. 최근 농촌지도사업 시스템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른 관점을 통하여보다 지도사업 시스템이 엄밀성을 더해 가고 있다. 최근 에티오피아 농촌지도사업은 공공부문에 의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district 단위에서 분권화된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제한된 수준이지만 NGO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농촌지도사업은 1950년대에 연구개발 및 기술이전, 외국의 새로운 기술도입을 위하여 시작되었다. 초기에 농촌지도사업은 시험장 위주로 이루어졌다. 이후에 에티오피아 농촌지도사업은 다섯 가지 단계로 추진되었다. 대학학장시스템(the land grant extension system), 패키지 프로그램, 최소 팩키지 프로젝트, 농민 농업개발 프로그램, 참여민주주의와 훈련시스템(PADETS). 패키지 지도사업 프로그램은 시범지역에 최초로 수행되었으며, 15-20년 내에 농촌지역의 90%까지 확대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개발기구에 의하여 관리되는 시범포를 사용하였으며, 조직화된 농민들을 훈련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특정한 조그마한 지역에서 운영되어 다른 지역까지 확대되지 못하였다. 참여민주주의와 훈련시스템을 통하여 에티오피아의 농촌지도사업은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많은 논의가 있었으며, 외부의 관점들이 더 정교하게 만들었다.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 시스템은 커뮤니케이션, 제도적인 다원주의적인 측면, 분권화 측면에서 걸음마 단계이다.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in Ethiopia was started in early 1950s with mandate of transferring local research outputs and technologies to farmers, and importing technologies and improved practices from abroad. Extension service provided in this early time was limited to areas surrounding the experiment stations. Since then, Ethiopia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has passed through hat least five stages: the land grant extension system, the Comprehensive Package Programs, the Minimum Package Projects, the Peasant Agricultural Development Program, and the Participatory Demonstration and Training Extension System (PADETS). The comprehensive package extension program was initially implemented in selected pilot areas and eventually to be scaled up to cover about 90% of the farming community within 15-20 years time. The program used demonstration plots managed by development agents and used to train farmers organized through various field days. However, since all of these programs were operational in only small areas, the vast majority of the country was out of their reach. Through Participatory Demonstration and Training Extension System, the extension service in Ethiopia has come under the spotlight and government debates and external reviews are putting additional scrutiny on the system. Despite this long history, the system is still in its infancy in terms of coverage, communication and institutional pluralism. Currently in Ethiopia the Agricultural extension is provided primarily by the public sector, operating in a decentralized manner through which extension is implemented at the district level. Therefore,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Ethiopia.

      • KCI등재

        우간다 농촌지도사업의 현재와 미래

        오우모플로렌스이마이카릿 ( Florence Imaikorit Oumo ),조경래 ( Gyoung Rae Cho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1

        이 연구는 우간다 농촌지도사업의 발전과정을 조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간다에서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많은 접근방법이 사용되었지만, 농업생산성이나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그 동안 너무 많은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개혁사업이 이루어졌지만, 부분적으로 상향식접근방법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접근방법은 하향식 접근방법이었다. 많은 사례에서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이러한 개혁은 농업생산이나 수익성에 영향을 줄 정도로 발전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향후 성공적인 농촌지도사업과 농촌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전문가와 자원의 유용성 증가뿐만 아니라, 농촌지도사업과 농촌개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수행할 때의 농촌지도사업의제도적인 역할정립에 대한 정부의 의지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간다에서 공공 농촌지도사업은 수요자에 필요한적절한 지도사업이 이루어지도록 수요자중심의 농촌지도사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esent and future of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Uganda. Though Uganda has used many approaches in its agricultural extension, very little has been registered in farm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Too many reforms some of them some are top-down while others are bottom -up. In most cases these reforms may not be given a chance to develop to show their impact. Future success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rural development efforts in Uganda will depend not only on the presence of technical expertise and availability of resources but also on each government`s willingness to redefine the role of its institutions and to allow the active participation of rural people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and agricultural extension and rural development programs. As result the public extension systems in Uganda needs to be demand-driven so to make it relevant and important to the beneficiary.

      • KCI등재

        台彎의 農村指導 事業의 現況과 展望

        김재기(Jae Ki Kim) 한국농촌지도학회 1994 농촌지도와 개발 Vol.1 No.2

        The Rural Extension Service of Taiwan is consist of two different system. The one is the public enterprise centered project and the other is government or agricultural cooperative centered project. But, in the long term, the whole Rural Extension Service will eventually develop into two distinctive forms, the diversifed technology oriented one and integrated extension service oriented one.

      • KCI등재

        수단 농촌지도사업의 현재와 미래

        수마야하메드하미드게브라이다 ( Sumaya Ahmed Hamid Geberaldar ),박덕병 ( Duk Byeong Park ),( Gyoung Rae Cho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4

        이 연구는 수단의 농촌지도사업의 시스템과 모델, 당면과제, 정부조직구조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수단의 농촌지도사업은 다양한 정부기구와 사업체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농업 및 관계부 산하의 농촌지도사업청은 2000년에 새로운 시스템을 시작하였다. 이 시스템은 새로운 농민조직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제도적인 정비와 농촌지도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것이다. 지도사업과 농업연구사업체 (ARC) 간의 연계는 오랫동안 수단의 농업 및 관계부 산하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개발도상국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연구와 지도간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점이다. AR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세가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요원이 모든 ARC에 배치되어야 한다. 둘째, ARC는 농업개발전문가 이거나 농업체계연구 전문가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들은 역할은 농민의 요구에 맞게 연구결과를 전달하는 것이다. 셋째, 연구자들은 현지농장에서 더 많은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This paper explores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s, extension challenges, research and extension models, governance structures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advisory services in Suda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Sudan are provided by a variety of governmental department and corporation. The Technology Transfer and Extension Administration und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Irrigation, had been launched during mid 2000’s aims at making extension systems farmer driven and farmer accountable by way of new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technology dissemination in the form of community participation approach at the state level, to make the extension reforms hav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farmers/farmer groups. The main problem facing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developing countries is poor link between extension organization and research. Both extension administration and Agricultural Research Corporation (ARC) are operating as departments of ministry of Agricultural and irrigation for very long time. There are three recommendations to achieve the effectiveness of the Agricultural Research Corporations (ARC) in reaching farmers. Firstly, extension staff members should be assigned to every ARC station. Secondly, the ARC might increase positions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specialist or Farming System Research (FSR) specialist. Their role would be to reflect the needed of farmer and translate them to the researchable topics. Thirdly, researcher should conduct more research on farmer’s fields.

      • KCI등재

        WTP를 이용한 다문화가족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및 기여가치 평가

        양순미 ( Soon Mi Yang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3 농촌지도와 개발 Vol.20 No.3

        농촌의 인구활력화, 지역경제 활성화, 농촌의 문화다양성, 농촌 가족사회의 유지, 그리고 농촌자원의 향상과 같은 다문화가족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여가치에 대한 WTP(Willingness to Pay)를 추정하기 위해, 농촌지역 41개 시·군에서 weibull model에 기초한 이중이선선택법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어추정모형을 개발하고 로지스틱(logistic)을 이용해 WTP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다문화가족의 기여가치 유지를 위해 농촌지역민이 평가한 WTP는 458억원이었고, 이것은 개개 농촌가구가 연간 13,840원을 지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교준거로서 다문화가족 남편이 평가한 WTP는 502억원 이었고 이것은 개개 농촌가구가 연간 15,170원을 지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o estimate the WTP(Willingness to Pay) for consistent maintenance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contribution worth such as vitality of rural population,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cultural diversity of rural, maintenance of rural family society, and diversity of rural resourc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method based on Weibull model in 41 city·county of rural. A estimation models based on Tunball mode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WTP estimation with logistic analysis. WTP estimates for consistent maintenance of multi-cultural contribution worth by rural resident was 458 hundred million won. It means that each rural household can pay 13,840 won per annual. WTP estimates assessed by multi-cultural families` husband as a criteria for comparison was 502 hundred million won. It means that each household can pay 15,170 won per annual.

      • KCI등재

        한국농촌개발정책의 시기별 전개와 구성요소의 변화

        윤원근 ( Won Keun Yoon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0 농촌지도와 개발 Vol.17 No.2

        한국의 농촌개발정책은 지난 50년에 걸쳐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농촌개발정책은 국내외의 정책 환경인자와 관련성을 맺는 가운데, 농업·농촌이 처한 시대별 과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의 결과라고 여겨진다. 농촌개발정책은 1960년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 동안에 4단계의 시기별, 정책구성요소별로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000년을 전후하여 국가발전을 위한 행정이념이 효율성에서 형평성으로 전환됨에 따라 농촌개발정책은 전반적이고 근본적인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농촌지역은 국가발전을 위한 새로운 가치와 자원을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 재인식되고 있다. 농촌은 곧 마을이라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접근되던 정책이 인근의 도시와 연계를 맺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농촌의 소도읍이 새로운 농촌지역의 삶의 공간으로 접근되고 있다. 농촌개발정책은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에서 비농업부문의 개발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지역농업과 공간정책을 통합하여 개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농촌개발과 관련이 있는 중앙정부 부처의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지방정부와 지역주민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수직적·수평적인 분권화와 협치 체제의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지역의 고유성과 지역단위사업의 연계성에 대한 강조는 자연히 지역단위 계획제도의 정착과 이를 현실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예산제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 KCI등재

        농촌지도, 농촌사회교육과 지역사회개발

        정지웅(Ji Woong Cheong) 한국농촌지도학회 1997 농촌지도와 개발 Vol.4 No.2

        This paper attempt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s among agricultural extension, coral adult educ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which has developed as a disciplinary major (ag. extension in 1971, noel adult education in 1990 and community development in 1997) at th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s and observing the practical rural develop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conclusion was made in such a way that agricultural extension - noel adult education - community development be natural series of disciplinary development process as well as practical development in industrializing and urbanizing country like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농촌어메니티자원 정보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관광정보 모바일서비스 이용자 선호도분석

        김상범 ( Sang Bum Kim ),손호기 ( Ho Gi Son ),이동관 ( Dong Gwan Lee ),박미정 ( Mee Jeong Park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2 농촌지도와 개발 Vol.19 No.4

        본 연구는 스마트폰화 된 관광환경이라는 새로운 IT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농촌지역 방문객 및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농촌어메니티자원 정보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관광정보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 600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콘텐츠 항목, 형태 등을 조사, 결과 분석하여 농촌어메니티 자원정보의 콘텐츠, 스마트폰의 활용방법, 서비스 방안 등을 도출하고, 농촌마을 1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기술이 적용된 모바일 콘텐츠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어메니티자원에 대한 서비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국민들에게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농촌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농촌정보 이용자들의 만족도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농촌어메니티자원 정보서비스의 위치기반 모바일 정보서비스 확대를 통한 농촌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aiming to provide information and enhance the satisfaction of real-time smartphones users on Rural Amenity Resources Information Services. For this purpo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scussions and surveys on technology developments and expert analysis smartphone technology were reviewed. And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600 people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smart-phone experience, smartphone usage behavior, the required content, service items, service quality, Through this information, the content of rural amenity resources, how to take advantage of smart phones. Service Plan and developed, and a rural village locations to target mobile phone technology, the content was established.Through the preferenc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 designed the contents of rural amenity resources information based on smart-phone. It will be helpful to enhance the interchange between urban and rural such as farmer`s market and rural tour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