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사례연구

        김경희 ( Kyung Hee Kim ),임맹자 ( Maeng Ja Lim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아동중심놀이치료가 PTSD 아동의 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놀이치료과정을 Ray(2010)의 놀이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남동생과 함께 교통사고를 경험한 만 5세 남아를 대상으로 총 20회기의 아동중심놀이치료를 실시한 결과, PTSD 증상에 대하여 아동중심놀이치료가 치료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놀이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놀이주제는 초기단계(1-4회기)에서 무력함, 혼란, 불안, 절망의 주제, 중기단계(5-16회기)에서 애도, 보상, 보호, 숙달, 양육, 힘/통제, 회복력/탄력성의 주제, 종결단계(17-20회기)에서 관계, 자급자족, 회복력/ 탄성, 통합의 주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의 치료효과와 놀이주제를 분석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ild-centered play therapy was an effective method to treat a child suffering from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to analyze play therapy based on mainly the play themes suggested by Ray(2010). Twenty sessions of the child centered play therapy were carried out with a boy aged six in total who had experienced a car accident with his younger brother, subjects who were quite possibly exhibiting symptoms of PTSD. The change in play themes shown during the sess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Helplessness, Chaos, Anxiety, Hopelessness in the early phase(1-4), Relationship, Grief, Reparation, Protection, Nurturing, Mastery, control in the mid phase(5-16), Self-sufficiency, Resiliency, and Integration in the later phase(17 20).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nalyzes the curative power of client-centered therapy approach on a child experiencing PTSD using play themes.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김연두 ( Kim Yeon Doo ),진미경 ( Jin Mi Kyou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전문아동상담기관, 복지관 내 상담실, 대학부설 놀이치료실, 병원 내 놀이치료실 등에서 종사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21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조절효과가 유의한 경우 이를 그래프로 제시하고 단순 기울기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직무환경 위험요소 하위요인 중 도전을 제외한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업무과다는 심리적 소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마음챙김 하위요인인 현재자각, 주의집중, 비판단적 수용, 탈중심적 주의 모두 심리적 소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총점, 비판단적 수용, 탈중심적 주의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마음챙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에 대해 마음챙김 향상을 위한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between the risk factors of employment environment and burnout amongst play therapists. The subjects comprised of 212 play therapists who have worked in the area of play therapy in Seoul and Gyunggi-do.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use of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which were significant were analyzed graphically and a simple slop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higher levels of the sub-factors of play therapists` risk factors in employment environment(role conflict, role ambiguity, work overload) predicted significantly higher likelihood of burnout. Secondly, higher levels of the sub-factors of play therapists` mindfulness(present awareness, concentration, non-judgemental acceptance, decentralized attention) predic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burnout. Thirdl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otal score of mindfulness and the sub-factors of mindfulness(non-judgemental acceptance, decentralized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therapist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employment environment and burnout was significant. In contras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ub-factors of mindfulness(present awareness, concentration) on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employment environment and burnout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t role of play therapists` mindfulness in decreasing burnou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burnout amongst play therapists arising from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employment environment, mindfulness enhancement programs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 KCI등재

        예비 놀이치료자의 치료 태도에 대한 인식 변화와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통한 치료 진보 및 성과

        이은아김 ( Lee Eunah Kim ),오경미 ( Oh Kyung Mi ),류승민 ( Ryu Seung Min ),박현아 ( Park Hyun Ah ),유미숙 ( Yoo Mee Sook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예비 놀이치료자들이 인식한 치료 태도(일치성, 공감, 무조건성, 존중)의 변화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 치료 태도의 변화와 내담아동의 진보 및 놀이치료 성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놀이치료 실습 과목을 수강한 두 명의 석사 과정생과 그 내담아동들을 선정하여 단일 사례 연구로 진행하였다. 치료 태도의 인식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치료자는 매 회기 후 Barret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Form MO-40(BLRI: MO-40)를 작성하였다.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3회에 걸쳐 내담아동의 모에게 CBCL 6-18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시각적 분석, 선형회귀분석, 질적 분석을 하였다. 치료자들은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면서, 일치성, 공감, 무조건성의 수준과 경향성이 증가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내담아동들은 놀이행동에서 진보를 나타내었고, 주호소 문제와 CBCL 6-18의 수치가 감소되었다. 본 연구는 초심학생단계에 속하는 예비 놀이치료자의 일치성, 공감, 무조건성, 존중이라는 치료 태도의 인식 변화 과정과 내담아동의 치료적 진보 과정을 치료 성과와 연관하여 이해하고자 한 탐색적인 연구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rapeutic attitudes (congruence, empathy, unconditionality, and regard) of play therapists-in-training. Additionally, therapeutic progress and outcomes of child clients in relation to such perceptional changes of therapeutic attitudes were analyzed. A single case design was utilized, and two therapist-child dyads were recruited. Perceptional changes of therapeutic attitudes was assessed with the Barret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Form MO-40 by therapists. The effectiveness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was assessed using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6-18 by parents. Data was analyzed through visu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Over the first play therapy practicum during a graduate course, both play therapists-in-training perceived that the level and trend of congruence, empathy, and unconditionality increased, while the variability of those conditions fluctuated. Clients exhibited progress and showed a reduction in clinical levels of presenting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a number of implications to help promo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lay therapists-in-training.

      • KCI등재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 초등학교-대학교 지역사회 전문자원 연계 상담프로그램

        이은아김 ( Lee Eunah Kim ),한희영 ( Han Hee Young ),서인숙 ( Seo In Sook ),유미숙 ( Yoo Me Sook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파견된 놀이치료자의 경험을 탐색하고, 그 의미과정을 밝히는 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90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의 고군분투`와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협력하는 과정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들의 경험의 과정은 (1)학교기반 놀이치료에 대한 혼란을 경험하는 단계, (2) 수퍼비전과 동료자문을 통해 장애물을 극복해 나가는 단계, (3) 아동과 깊이 있는 관계를 경험하며 치료관계의 의미를 체득하는 단계, (4) 지식, 기술, 개인적 경험을 통합해 가는 단계, (5) 학교기반 놀이치료 경험의 의미를 발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들의 경험을 처음으로 분석하고 그 경험에 대한 의미과정 이론을 구축하려는 시도를 한 탐색적인 연구라는 것과 학교현장에 아동의 발달적 필요에 부응하는 놀이치료를 연계하여 그 치료적 의미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y explaining the experience of play therapists who were sent to an elementary school as a part of community professional resource connection. 8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yielding 90 concepts, 25 sub-categories, 11 categories of major themes. The phenomena were identified as `struggles as play therapists who were sent to a school setting` and `distress in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many significant others of the client.` The process of the play therapists` experience included the following: (1) Experiencing confusion in school-based play therapy, (2) Overcoming challenges through supervision and peer consultation, (3) Experiencing a deep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the personal meaning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4) Moving a step forward through the process of integrating knowledge, skills, and personal experience, and (5) Discovering the meaning of school-based play therapy. These findings suggest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school personnel to promote the further development of school-based play therapy in an effort to support community children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연구동향 - 학회지 창간부터 2017년까지

        채은영 ( Chae Eun-young ),정문주 ( Cheong Moon-joo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에 1998년부터 2017년 9월까지 게재된 총 371편의 논문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논문 발행 현황 및 연구자 특성, 연구 유형, 연구 내용, 연구 대상자, 연구 영역, 놀이치료 사용과 방법, 자료 분석 방법, 기타 인구통계학적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학회지의 영향력 지수는 1.65로 타 치료 관련 학회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 유형은 전체 371편 중 양적 연구가 6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2006년을 기준으로 질적 연구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내용으로는 연구대상의 지각 및 태도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대상으로는 초등학생, 상담자 관련 연구의 순서로 많이 진행되고 있다. 연구 영역은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연구대상자의 인지와 관련된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사용되는 놀이치료 종류와 방법도 특정 기법보다는 놀이치료라는 큰 범주 안에서 연구되고 있었다. 양적 연구의 데이터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변량분석, 매개효과 등의 회귀 분석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질적 연구 분석 방법에서는 사례연구가 반을 차지하였다. 기타 사례연구 중에서는 남아 대상 연구가 많았으며, 2인 저자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연구의 의미와 학회지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371 papers from 1998 to September 2017 in the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More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publishing status, researcher characteristics,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 subject, research area, use and methods of play therapy, the data analysis method, and other methods of demographic analysis. Our result determined the influence index of the journal was 1.65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journals. The quantitative research of the research types was the highest among the 371 items (63.3%), however the amount of qualitative research steadily increased in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s of the research subjects was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Study areas were composed of various areas, and the percentile of the study subjects' perception area was the highest. The types and methods of play therapy have also been studied within the larger category of play therapy rather than as specific techniques. Data analysis methods commonly used in quantitative research were used in the following order of descriptive statistics, variance analysis, and median effects. In term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method, half of the case studies were used. Among the other case studies, there were many studies on boys, and the ratio of two authors was the highest. Through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future research and the implications for this journal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

        권도연 ( Kwon Do Yeon ),진미경 ( Jin Mi Kyou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병원 내 놀이치료실, 대학 부설 놀이치료실, 복지관 내 놀이치료실, 아동상담센터 등에서 종사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169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척도(COSE),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관계(구조화, 성찰적 교육, 안전기반), 심리적 소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관계 하위요인 중 구조화가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 총점과 하위요인(구조화, 성찰적 교육)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특히 수퍼비전 관계의 하위요인 중 구조화와 성찰적 교육이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함으로써 보호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수퍼비전 관계에서 환경적 측면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놀이치료자를 심리적 소진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있어 수퍼비전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experienced play therapi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69 play therapists who have worked in the field of play therap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oth structure and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Second, the total score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its sub-factors (structure, reflective education) had largel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and burnout.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Understanding these relationships will help us verify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aspects which operate within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provided the basis for supervisors to intervene in protecting play therapists from burnout.

      • KCI등재후보

        놀이치료의 사례개념화 내용분석

        전정미 ( Jung Mi Jun ),유미숙 ( Mee Sook Yoo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2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놀이치료 자들이 경험한 사례개념화 구성요소와 사례개념화 촉진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놀이치료학회 놀이치료전문가 자격규정(2005)에 근거하여, 놀이치료자 자격기준 이상이며 상담경력이 5년 이상인 놀이치료자 34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을 하여 그 결과를 내용 분석하였다. 또한 전공교수 2인과 박사수료 이상이며 놀이치료자 자격증을 소지한 놀이치료자 4인의 검토 및 수정을 통해 응답 내용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에 있는 놀이치료 자들이 경험한 사례개념화 구성요소와 촉진전략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례개념화 구성요소는 크게 두 가지 분류체계 즉, (1) ``사례이해``와 (2) ``상담목표수립``으로 나눠지며 그 중 사례이해는 (1) ``아동변인``과 (2) ``가족변인``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여기에서 아동변인은 6개, 가족변인은 3개의 하위분류체계로 나눠지며 각각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아동변인은 (1) ``내담아동의 주호소 문제에 관한 탐색``, (2) ``임상적 평가``, (3) ``내담아동의 관계적 특성 탐색``, (4) ``내담아동의 상담욕구탐색``, (5) ``내담아동의 심리적 특성 탐색``, 그리고 (6) ``내담아동의 사회적 특성 탐색``으로 분류되며, 가족변인은 (1) ``부모 개인에 관한 탐색``, (2) ``부모의 상담욕구탐색``, 그리고 (3) ``가족에 관한 종합적 탐색``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상담목표수립은 (1) ``내담아동의 상담목표수립``과 (2) ``부모의 상담목표수립``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사례개념화 촉진 전략은 (1) ``가설검증``, (2) ``전문적 수련``, (3) ``전문가와의 소통``, (4) ``구체적인 정보 탐색``, (5) ``전문적 상담지식활용``, (6) ``사례관리``, 그리고 (7) ``상담자 자신에 대한 이해``로 7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mponent factors and promotional strategies of case formulation that play therapists have experienced, A study was conducted making use of a survey of 34 play therapists with more than 5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are qualifi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The survey used open-ended questions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sent to two play therapy specialists and four play therapists who have play therapist certification exceeding that of a doctoral program for review, and the results were then classified and labeled. The component factors of case formulation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1) ``case analysis`` and (2) ``counseling goal setting``. Case analysis is composed of (1) ``child variables`` and (2) ``family variables``. Child variables have six factors: (1) ``chief problems experienced by children``, (2) ``clinical assessment``, (3) a ``child``s relational characteristics``, (4) the ``counseling needs of a child``, (5) ``childr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6) ``child``s social characteristics``. Family variables have three factors: (1) ``exploration of parents`` characteristics``, (2) ``counseling needs of parents``, and (3) ``exploration of a family`s influence on a child`s behavior``. And counseling goal setting is composed of (1) ``child`` and (2) ``parents``. The promotional strategies of case formulation a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1) ``hypothesis testing``, (2) ``professional training``, (3) ``communication with experts``, (4) ``exploration of child information``, (5) ``the application of professional counsel knowledge``, (6) ``case management capability``, and (7) ``counselor`s understanding of themselves``.

      • KCI등재후보

        PLATO를 활용한 상담 초기과정에서의 놀이치료자 치료반응 분석 -놀이치료 훈련생을 대상으로-

        천혜숙 ( Hae Suk Cheun ),유미숙 ( Mee Sook Yoo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놀이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놀이치료 훈련생의 치료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놀이치료 훈련생의 치료 반응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1명의 놀이치료 훈련생의 각 사례별 녹취록을 초보 놀이치료자 교육을 위한 아동중심 유형분류체계(PLAT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치료 훈련생들은 PLATO의 4가지 범주 중에서 참여적 반응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놀이치료 훈련생이 많이 보이는 촉진적 반응은 감정반영과 능력반영이었으며, 반대로 놀이치료 훈련생이 많이 보이는 비촉진적 반응은 내용과 트래킹진술을 질문으로 바꾸기와 아동 이끌기였다. 또한 촉진적 반응 중에서 치료적인 제한설정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 이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놀이치료 훈련생의 치료 반응의 양상에 대해 실제적으로 탐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놀이치료 훈련생 및 초보 놀이치료자를 훈련하고 교육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놀이치료자와 수퍼비전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was to prove concretely the aspect of the curing reaction among the trainees of the amusement curing.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has analyzed the deposition on each example of the 21 trainees of the amusement curing by using the PLATO.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trainees were using the most Attend reaction among the four ranges of PLATO. The mostly noticeable Facilitating reaction was the reflection of feeling and of competency. In contrast, the mostly found Nonfacilitating reaction was the changing in reflection of content and tracking statement to a question. At the same time, they were mostly shown to have trouble in the therapeutic limit setting; therefore, we need various approach dealing with the problems. These results are important since the present study has practically explored about the pattern of therapeutic responses of the trainees. In addition, this study may exert an important meaning to play therapists and the education of supervision by suggesting concrete guidelines about the content in the case of training and educating the trainees.

      • KCI등재후보

        국내 놀이치료의 연구동향 -국내학회지 게재논문(2000-2010)을 중심으로

        김예주 ( Ye Ju Kim ),이윤주 ( Yoon Joo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2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국내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국내 놀이치료의 최근 연구 실태와 연구 동향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271편의 게재논문을 대상으로 발표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에 초점을 두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고, 발표연도에서는 놀이치료연구가 게재된 학회지와 관련지어 연구동향을 살펴보았으며,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놀이치료 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편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여러 학회에서 놀이치료에 대한 연구물들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수요자의 증가와 놀이치료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활동이 활발해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연구주제에서는 부모관련(19.6%),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향상(15.5%)으로 나타났고, 주제와 관련된 치료기법은 기타(30.3%)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은 유아(30.3%), 아동(29.9%)이 가장 많았고, 성별은 남자와 여자의 혼합대상(47.6%)이 가장 많았으며, 주로 집단치료로 실시되었고, 연구대상의 특성에서는 부적응(52.7%)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33.6%)와 실험연구(30.6%)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 놀이치료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directions and conditions of play therapy by analyzing published papers in domestic journals. A total of 271 published articl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e studies into the following types: by published years, research content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search subject. The year of publication in the play therapy research journal published in association with all the trends were examined. Percentages and frequencies were used to analyze the tends,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earch trends of play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cation,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number of users has increased and the range of activities of researchers on play therapy has become both wider and more active, Second, the research topics related to parents (19.6%), improved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15.5%), appeared as the subject and treatment techniques related to the U.S. The majority (30.3%) of papers were related to the most common therapeutic techniques. Third, the most common research subjects were infants (30.3%) and children (29.9%) The gender mix of male and female targets (47.6%) were most common, mainly carried out in group therapy, and studies into the nature of maladjustment (52.7%) were also the most common. Fourth, the research methods, in order of frequency of use were the case study (33.6%), and experimental studies (30.6%).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lay therap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국내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채은영 ( Eun Young Chae ),정문주 ( Moon Joo Cheo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집단 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마련하고 그에 따라 실제 임상 현장에서 집단 놀이치료를 실시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요약·정리 할 수 있는 메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최근 10년간의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종합·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30편(효과크기 293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전체 평균 효과크기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전체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분류별 효과크기를 분석해 본 결과 게임놀이, 치료놀이, 놀이 활용, 표현예술놀이, 놀이치료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변인과의 효과 크기를 분석해 본 결과 아동 개인 변인, 양육자 변인, 관계 변인의 순이었다. 중재변인으로서 연구대상을 중·고, 영·유아, 초등학생으로 분류한 후 놀이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효과크기는 중·고등학생, 영·유아, 초등학생의 순이었다. 총 회기 수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크기는 10~20회기, 20~30회기, 10회기 미만의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1회기 당 시간(분)을 범주화하여 각 효과크기와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30분 이상에서 40분미만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마지막으로 출판연도를 연속 변인으로 코딩한 후 각 연도에 따른 효과크기를 회귀 분석하였는데 학술 논문에 있어서 최근 연도일수록 과거에 비해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상승한 것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gathering data, when engaged in group play therapy in the fields, and to also gather empirical data on the effects of group play therapy. For this purpose, we synthesiz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group play therapy programs over the last ten years, using a meta-analysis-a systematic approach, by using summaries and reviews of the previous literature. We analyzed the studies published in major nations, 30 studies(effect size samples n= 293), were chosen, using meta-analysis. Group play therapy program groups showed much more significant effects than control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erms of the effect size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play therapy program type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 sizes in order of the game play, theraplay, using play, expressive-arts play, and play therapy.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s in this group play therapy program and related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 sizes in order of the infants individual variables, rearer variables, and related variables. The intervention variabl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whether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elementary students, or infants, and these intervention variables were then analyzed. The effect size order was as follows; high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fants, and elementary stud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10~20 sessions, 20~30 sessions, under 10 sessions to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total program session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order of whether there were 10~20 members, 20~30 members, under 10 members to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total subject members. Lastly, after coding the published years to integers, inputting variables and then doing th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published years, there were also clear improvements observed on the effect siz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