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노년학회 40년간의 학술활동 분석

        정순둘(Chung Soon Dool),한동희(Han Dong Hee),김홍수(Kim Hongsoo)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노년학회의 40년간 주요 학술활동을 한국노인정책의 변화와 세계노년학ㆍ노인의학회(IAGG)의 학술동향에 맞춰 분석해 보고, 향후 노년학회의 학술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한국노년학회의 주요학술활동을 각 연도별 학술대회자료집과 문헌을 중심으로 개괄적으로 살펴본 후 한국노인정책의 변화를 통한 한국노년학회의 학술활동은 조선일보, 한겨레 신문검색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 검색을 통해 찾은 각 제도별 자료를 연도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IAGG의 학술활동을 통한 한국노년학회의 학술활동은 학술대회 개최연도를 중심으로 국제기구의 노인관련 주요 아젠다를 포함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40년간 한국노년학회는 다양한 학술활동을 국내외의 노인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면서 다학제적으로 혹은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진행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노년학회 구성원의 다양성 결여로 다루어지지 못했던 중요한 주제도 있었으며, 하나의 주제를 심도있게 지속적으로 논의하지 못했던 점도 지적될 수 있다. 향후 한국노년학회는 한국의 대표적 노인관련 학회로서 다학제적 학문적 특성을 살려 한국의 노인정책을 선도함은 물론 국제학회 및 기구들과의 연대를 통해 활발한 학술활동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academic activities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KGS) during the last 40 years in comparison to changes in elderly policies in Korea and also academic trends in gerontology worldwide and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aims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the academic progress of the KGS. We examined the major academic activities of the KG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biannual conferences,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irregular seminars and policy meetings, using conference booklets, KGS websites, and literature on KGS history. Second, we analyzed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KGS in comparison to changes in elderly policies in Korea, using databases of major newspapers and also the BigKinds search offer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Third,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KGS were reviewed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IAGG and the major aging policy agendas of ke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KGS has been proactive in conducting diverse multi-disciplinary and international academic activities while promptly responding to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nges in elderly policies. But some issues were not properly addressed due to the lack of diversity in its members, and it also should be noted that some issues were not discussed in depth for a sufficient length of time. Henceforth, as the leading academic organization in gerontology with a multi-disciplinary orientation in Korea, the KGS should continue to lead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ging policies and also actively carry out diverse academic activities in collaboration with international academ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 KCI등재

        한국 사회노년학 연구와 이론적 발전

        구자순 韓國老年學會 1992 한국노년학 Vol.12 No.1

        이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사회노년학 이론들의 핵심적 가정과 쟁점을 살펴보고 한국사회의 노령층 연구에 적용된 이론들을 중심으로 그 타당성을 점검해 보고 앞으로의 한국사회의 노인문제 연구에 적합한 이론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는데 있었다. 사회노년학에 영향을준 주요 사회학적 이론에 따라 분류하여 한국사회 연구에 적용된 이론들을 밝혔다. 12가지 이론들중 근대화이론, 연령계층론, 생애과정관점, 활동이론, 사회현상학이 검증되었으며, 여권론적관점, 교환이론, 정치경제학관점, 사회와해이론은 시론적으로 소개가 되었고, 은퇴이론, 하위문화론, 세계체제론은 간략하게 소개가 되었다. 한국사회노년학의 발전은 아주 짧은 동안에 이루어졌으나 비교적 다양한 이론들이 소개 및 적용되고 있었다. 필자가 1988년에 조사한 바에 의하면 단지 근대화 이론과 활동이론만이 검증을 거쳤었다. 한국사회노년학에 보다 많은 관심과 학문적 발전이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 이론적용 및 개발에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시기가 닥칠 것이다. 이 시점에서 한국사회노년학의 이론적 발전을 위하여 몇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다양한 이론 및 방법들을 정식으로 소개하여 음미하고 비판하는 작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사회의 노령화 경험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다 풍부하고 많은 맥락적 분석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셋째, 다학문적 접근에서 노년에 대한 이론개발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growth in the amount of research in the social gerontology in Korea since 1980. Thus, this is a proper time for an assessment of cur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as well as prospects for future development in the study of aging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current social theories of aging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ory construction. Twelve theories have been assessed in this paper:disengagement thoery, modernization theory of aging, age stratification, life course perspective, exchange theory, activity theory, social break down theory, subculture theory, political economy of aging, world systems perspective of aging, social phenomenology and feminist perspective. Among these, modernazation theory of aging, age stratification, life course perspective, activity theory, and social phenomenology have been applied to the study of aging in Korea. It is found that there have been the greater attention and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ory development in Korea since 1980. We suggest that a more broad and thorough examination of the social context of the aging process should be included in the study of aging in Korea.

      • KCI등재

        노년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김영석(Kim, Young Sek) 한국노년교육학회 2021 노년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노년교육학(Educational Gerontology)이 수립한 학문적 정체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보다 공고한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노력이 무엇인 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학문적 정체성을 내적 정체성(과학적 정체성, 경계 정체성)과 외적 정체성으로 구분하였다. 노년교육학의 내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년교육연구」과 「한국노년학」에 최근 6년 간 게재된 논문 98 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노년교육학회의 주요 활동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정체성 영역에서 노년교육학은 고유한 탐구 대상과 다양한 연구방법을 갖고있지만, 고유한 이론체계 구축이 미흡하였다. 경계 정체성과 관련해서는 타 국가의 노년교육학과 차별점을 갖기 위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었으며, 한국적 이론화 시도는부족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외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 비록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노년교육학회가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노년교육학이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공고히 자리매김하기 위해 개별 연구자 및 학술단체 차원에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academic identity established by Educational Gerontology as a new discipline, and to reveal what effort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solid academic identity in the field of Educational Gerontology. To this end, disciplinary identity was divided into internal identity (scientific and boundary identity) and external identity. In order to analyze the inner identi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98 research published in the last 6 years were analyz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and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In addition, the main activities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analyzed in order to ascertain the external identity. For the scientific identity, Educational Gerontology had its own subject of inquiry and used various research methods, but the establishment of its own theoretical system was insufficient. Regarding boundary identity, it was revealed that attempts to have own theoretical system developed by Korean researchers were insufficient.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has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to form an external identity, even though it has a short history. Lastly, this study suggested what kind of efforts are need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researchers and academic organiza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position as a new academic disciplinary.

      • KCI등재

        한국 노년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윤현숙(Yoon, Hyun-Sook),김영범(Kim, Young-Bum),허소영(Heo, So-Young) 한국노년학회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3

        Through the theory connecting various empirical findings in systematic manner, we can understand and explain the facts. However, the critical reviews of studies on social gerontology insisted that there were short of efforts to integrate empirical findings with theories. Based on these critics, the authors tried to review the typology of theories in social gerontology and to analyze critically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in gerontological studie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four characteristics in theory development in gerontology in Western society. First, the gerontological theories have been affected by social theories. Second, there are a lot of varieties in perspectives and levels of analysis in gerontological theories. Third, the theories try to reflect the changes in society. Forth, the studies based on theories are very rar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gerontological studies in South Korea,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in gerontological studies. First, studies based on theory are very rare. Second, even in studies based on theory, small numbers of theoretical perspectives are dominated. Third, there are short of concerns on theory development. Thus, the gerontological studies in South Korea are in need of the concern on localization of western theories and development of theories based on empirical findings in South Korea. 서구의 노년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연구는 수많은 노년학 관련 연구들이 경험적 자료를 분석하는 것에는 집중하는 반면 이를 이론과 통합하려는 노력이 부재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의 부재라는 이러한 비판에 주목하여 사회노년학의 이론을 유형화를 중심으로 검토한 후 한국에서의 노년학 연구를 그 이론적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구 노년학 이론의 발전과정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사회노년학 이론은 인근 사회과학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둘째, 이론의 유형이 미시-거시의 이론적 수준이나 방법론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다. 셋째, 사회노년학 이론은 그 사회의 현실적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 왔다. 넷째, 다양한 이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연구는 이론적 관점이 부재하다. 한국의 노년학 연구를 이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서구에서의 노년학 연구와 마찬가지로 이론적 관점으로부터 출발한 연구가 매우 적다는 점, 이론에 기반 한 연구의 경우도 관점이 몇 가지 특정 이론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 최근의 이론적 관점에 대한 관심이 부재하다는 점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론은 경험적 연구를 체계적인 지식으로 묶어 줌으로써 연구자로 하여금 대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노년학 연구도 서구 이론의 토착화와 한국적 이론의 개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건강ㆍ간호 분야 연구동향

        김신미(Kim, Shinmi),김순이(Kim, Soon Yi),이윤정(Lee, Yunjung),최정실(Choi, Jeong Sil),이미옥(Lee, Miok)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4

        본 연구는 한국노년학회지 창간호부터 2008년 현재까지 30년간 게재된 논문 중 건강ㆍ간호 분야의 논문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동향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한국노년학 연구의 다학문적 특성과 관련하여 건강ㆍ간호 부분이 나아갈 방향을 조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한국노년학 통권 1호부터 통권 62호까지 논문 중 건강ㆍ간호 분야의 논문 135편(전체의 18.3%)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별 분포는 양적연구 110편(81.5%), 질적연구 10편(7.4%), 기타 15편(11.1%)의 순이었고, 연구유형별 분석 결과 일반논문 96편(71.0%), 연구비수혜논문 39편(29.0%)이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는 주로 남녀 노인 모두, 도시의 재가에 거주하면서 질병이 있거나(55.2%), 건강한 노인(44.8%)을 포함하였다. 셋째, 양적연구는 조사연구가 대부분(82.7%)으로 실험연구가 연도별로 점차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연구대상자 수와 측정변수가 사용되었다. 넷째, 질적연구는 90년대부터 게재되기 시작 하였고, 수는 매우 적었으며 대상자 수 15명 이상인 경우가 5편(50%)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노년학회에서 건강ㆍ간호 분야 연구의 특성과 동향을 확인 보고하였으며, 장차 수행될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the trend of health and nursing research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for 30 years. Total 62 issues of the journal were reviewed and 135 articles(18.3%) were determined as health and nursing research. Among those 135 articles, studies with quantitative methodology were 110(81.5%) and ones with qualitative methodology were 10(7.4%). Less study adopt age criteria as elderly of 65 years old or older and most studies included community dwelling elderly in urban area. Among those quantitative researches survey was the most popular method(82.7%) compared to other types of studies including experimental studies. Experimental studies has been increased since the journal issued for the first time in the year of 1980, yet has occupied only minor portion in the journal until now. Qualitative studies appeared in the journal in the 90' for the first time. The findings of this review suggest that adequate amount of the studies has been published in the field of health and nursing, however more qualified researches are needed to be performed in terms of larger and more diverse subject groups, clearer and more objective criteria of elderly definition and health status, utilizing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instrument. Instruments of Korean culture oriented and phenomena sensitive are needed to be developed as well.

      • KCI등재

        노모부양과 재산상속에 대한 한국인과 재미교포의 비교

        조병은(Byung Eun Cho)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3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고 노모를 부양하는 167쌍의 여성자녀(며느리/딸)와 노모 그리고 미국의 대도시에 있는 158쌍의 노모와 여성자녀를 대상으로 부양의 동기, 부양기대감, 상속과 유언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모가 느끼는 자녀의 부모에 대한 부양의무감과 애정적 동기에 대한 지각은 한국노모와 교포노모의 차이가 없으나 교포자녀들이 국내자녀에 비해 애정적 동기가 높다. 둘째, 노후의 부양기대는 한국의 노모와 자녀세대 모두 교포 노모와 자녀세대에 비해 높으며 노후에 사람을 고용해서 도움을 받으려는 경향은 교포노모와 자녀 모두 한국노모와 자녀에 비해 높다. 셋째, 상속에 대한 태도는 한국노모와 자녀들이 교포노모와 자녀들보다 전통적인 성향을 보인다. 부모는 자식에게 유산을 남겨야 한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한국자녀들이 교포자녀보다 높고 한국자녀들이 노모부양자녀나 장자우대 상속을 많이 지지하는 반면, 교포자녀들은 균분상속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다. 가상적 부양상황에서도 교포자녀들은 자녀균분상속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고 한국자녀는 장남우대상속이나, 아들들을 우대상속을 지지하는 경향이 크다. 넷째, 과거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은 한국노모와 교포노모가 비슷한 비율로 주어 차이가 없으나 한국자녀가 교포자녀보다 노모로부터의 지원을 받은 비율이 높다. 미래의 지원계획에 있어서도 한국노모와 교포노모의 응답율은 차이가 없으나 노모로부터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는 비율은 한국자녀가 교포자녀에 비해 높다. 다섯째, 유언장 작성비율은 교포노모와 자녀 모두 한국노모와 자녀에 비해 높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부모자녀는 재미교포보다 의무적인 성격이 강하고, 노후부양기대가 높으며, 시부모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으며, 상속의식이 더 전통적이고, 유언장작성 비율은 낮을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 comparison on the attitudes attained by 167 adult children (daughter-in-law/daughter) taking care of their aged mothers who are living in Seoul, and 158 adult children and aged mothers living in major cities in the US, in relations to their motives of caregiving expectation in caregiving, and inheritance and wills. First, the perception undertaken by the aged mothers on the caregving expectation and motive in affection that the children have were found that,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d mothers in Korea and Korean American aged mothers, the Korean American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have their motives in affection than the adult children in Korea. Second, the expectation of careping in old age by the aged mothers and adult children in Korea was higher than the Korean American aged mothers and adult children, and the tendency to utilize paid caregiving was stronger in the Korean American aged mothers and adult children than those in Korea. Third, the attitude towards inheritance held by Korean ag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and Korean American aged mothers and adult children were both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Even in a hypothetical caregiving situation, Korean American children would uphold equal inheritance while the Korean children upheld primogeniture or preferred inheritance by male children. Fourth, although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financial support given to children by the Korean aged mothers and Korean American mothers in the past, the percentage to be expecting financial support from aged mothers was higher for the Korean children than Korean American children. Fifth, the prcentage to be preparing a will was found to be much higher for the Korean American aged mothers and children than the Korean aged mothers and children. As a whole, the study supported the assumption that the parent and child relationship of Korea was more normative and obligatory than that of the Korean Americans, where they had high expectations in caregiving in old age, their financial dependancy on their in-laws is high, their perception in inheritance is more traditional, and the percentage to prepare a will is much lower.

      • KCI등재

        『한국노년학』의 교육 분야 연구동향

        한정란(Han Jungran),김영석(Kim Young Sek)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본 연구는 한국노년학의 30년(1980년-2008년)간의 노년교육 분야 논문을 분석한 한정란(2008) 이후 최근 10년간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노년교육 관련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노년교육학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미래에 노년교육학이 나아가야 할 바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년학’ 28권 3호(2008년 8월)부터 27권 4호(2017년 11월)까지 게재된 총 655편중에서 노년교육 관련 논문 70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 연구 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10년간 노년교육 관련 연구는 『한국노년학』에 전체 게재된 연구 중 10.7%에 불과하였으며, 연구대상은 (60세 이상)일반노인(52.9%)이, 연구유형은 실험연구(41.4%)가, 자료수집방법은 설문조사(42.9%)가, 자료분석방법은 처치-실험집단 간 차이검증(22.9%)이,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는 노인을 위한 교육(72.9%)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향후 노년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비형식 교육을 넘어서 삶의 경험과 무형식 학습을 통한 교육과 관련한 연구 진행, 노인 집단 내 다양성을 고려한 연구 진행, 비판적 시각을 통해 노년교육에 대한 새로운 견해 제공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review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2008-2017). The 70 articles on the field of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collected from the journal. Research subjects, types of research, data collection methods, data analysis methods, and topics of research were analyzed. For recent ten years, the proportion of articles about educational gerontology took only 10.7%. Normal older adults(52.9%) for research subjects, experimental research(41.4%) for types of research, using questionnaires(42.9%) for data collection methods,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22.9%) for data analysis methods, and education for older adults(72.9%) for topics of research were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Future research on educational gerontology needs to investigate informal educational experiences, consider diversity of older adults, and have more critical opinions on educational gerontology.

      • KCI등재

        한국노년학의 복지 분야 연구동향

        김미혜(Kim, Mee Hye)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 한국노년학 창간 이래 2008년 현재까지 한국노년학에 실린 복지 분야의 논문들을 분석하여 노인복지 분야의 연구동향을 살핌으로써 추후 한국노년학에서 복지 분야 연구가 담당할 역할과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0년부터 2008년까지 출간된 복지 분야의 논문 215편을 분석하였으며, 시기상의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동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1980년대는 한국사회의 노인복지 분야가 도입기에 접어드는 시점이므로 연구 수 자체가 매우 한정된 가운데 주로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정책의 실태를 밝히거나 국내외의 제도를 소개하는데 주력한 시기였다. 둘째, 1990년대는 노인복지사업이 다양화한 시기로서 연구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연구주제나 연구방법상의 발전이 있었고, 제도와 정책 외에 사회서비스 및 실천(방법론)에 관한 논의도 크게 증가한 시기였다. 셋째, 2000년~2004년에는 연구 수, 연구 주제, 및 연구방법이 더욱 세분화하고 질적으로 풍부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노인학대와 노인장기요양제도가 새로운 주제로 부상하였다. 마지막으로 2005년 이후 현재까지의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고려하기 시작하여 성공적 노후, 삶의 질, 심리적 안녕감, 복지감 등의 주제가 큰 관심을 받고 연구되었다. 하지만 한국노년학에서 복지 분야의 연구는 노인복지의 제도도입과 정책의 형성에 시기적절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서구의 이론과 모델을 적용하거나 단순 소개한 연구가 많았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향후 노인복지 연구가 명확한 학문적 정체성을 갖고 한국적인 노년학 연구를 확립하려면 고령사회에 대한 체계적인 사회과학 지식과 이론 연구에 박차를 가해 장기적인 노인복지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cademic roles and direction of the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For this purpose the trends of research on the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were analyzed by means of reviewing articles published from 1980 to 2008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Out of all published articles, 215 article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unanimity among 3 reviewers including this author. First, in 1980s there were very limited numbers of articles. It had been mainly introduced foreign and domestic institutions of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and focused on the serious issues for the elderly in aging society. Secondly, in 1990s, there were explosive increases of research in elder welfare studies. The subjects of the articles were diversified and research methods were sophisticated in this period. Thirdly, it showed that the numbers,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of the articles concerning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were enriched and differentiated during 2000-2004. Lastly, the research trends have focused on the issues of successful aging,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sideration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up to now since 2005. But the research trends have had some limitations in showing only application of theories and models or in simply introducing the knowledge in Western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have clear academic identity which can be faithful to Korean Gerontological studies.

      • KCI등재

        한국노년학의 보건ㆍ의료ㆍ건강영역 연구동향

        김현숙(Kim Hyun Sook),박연환(Park Yeon Hwan),김영선(Kim Young Su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In this study we review the selected articles on elderly health and medical ca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JKGS) in the last 40 years, and mak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gerontological health and medical care issues. Of all the 40 year publications from volume 1 (1980) to 38 (2017), we first examined the 30th anniversary review on the subject of gerontological nursing care and healthcare policies published in JKGS from 1980 (vol. 1, No. 1) to 2008 (vol. 28, No. 2), and reviewed recent 237 researches of this decade (out of all 655 articles from 2008, vol. 28, No. 3 to 2017, vol. 38, No. 4). We could find the following trend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primary authors in the past 10 years revealed that those in public health, nursing and other health-related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areas have dealt the subjects focusing on physical health while those in social welfare mostly on mental health. That is, physical health has been the prime subject of researches in the health and medical care area. Secondly, in the same perio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accounted for 89.9%, which is similar to the trend of the first 30 years 81.5 %. On the other hand, qualitative studies were only 11 case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comprising 33.3% among them. Thirdly, the non-experimental researches in the past 10 years comprise 65.4%, which was 82.7% in 1980 2008 period, indicating the increasing trend in experimental researches to deal with the issues in medical and healthcare fields. Lastl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es were mostly the elders who are healthy, residents of city areas, or home dwellers, and 60% of them were over 65 years old in the past 10 years while the proportion was 42.7% in the previous review period. 81.6 % of the researches in the past 10 years was dealing both genders, slightly decreased trend compared to 88.5% of the previous review period. This study reveals that the researches in non-experimental physical health remains the main stream of JKGS despite the efforts by some researchers to diversify the methods and subjects. Systematic and in-depth researches employing multidisciplinary, qualitative, longitudinal and meta-analytical approaches are called for to guide the gerontolgical health issues with preventive and proactive perspec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노년학」 학회지에 40년간 게재된 보건ㆍ의료ㆍ건강분야 연구의 동향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한국노년학」 연구의 다학문적 특성과 관련하여 보건ㆍ의료ㆍ건강 부분이 나아갈 방향을 조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노년학 창간호부터 2017년 12월 말까지 40년간 게재된 논문 중 2008년 30주년에 「한국노년학」 1권(1980년)부터 28권(2008년) 2호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건강 간호분야 및 노인보건정책 논문 분석 연구를 검토하고, 최근 10년간 게재된 논문(2008년 3호~ 2017년 4호) 총 655편 중 237편(전체의 36.2%)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동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최근 10년간의 연구 주제를 대표저자의 전공별로 분석한 결과 보건, 의료, 간호, 체육 분야 저자들은 주로 신체적 건강 주제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복지분야 저자들은 정신적 건강 주제의 연구를 주로 다뤘다. 즉, 전반적으로 보건ㆍ의료ㆍ건강 영역에서는 신체적 건강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둘째, 연구방법 분석결과, 최근 10년간 연구에서는 양적연구가 89.9%를 차지하고 있었고, 지난 30년간(1980-2008)의 연구에서도 양적연구가 81.5%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수행 된 질적연구는 총 11편으로 나타나 양적연구에 비해 비중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커스그룹 인터뷰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33.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은 지난 30년간의 분석에서는 비실험연구가 82.7%였지만, 최근 10년간의 연구에서는 비실험연구가 65.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건ㆍ의료ㆍ건강영역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실험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은 최근 10년간의 연구에서 건강한 노인, 도시거주 노인, 재가 노인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대상노인의 연령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60.0%로 지난 30년간의 연구에서의 42.7%보다 그 비중이 증가하였다. 대상노인의 성별에 따라 연구동향은 최근 10년간의 연구에서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81.6%로 나타나 지난 30년 연구의 88.5%에 비해 조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최근 10년간 보다 다양한 연구 접근이 시도되긴 하였으나 여전히 신체건강을 주제로 비실험연구설계를 적용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향후 노인 건강증진연구에서 통합적ㆍ다학제적 접근 및 예방적ㆍ사전적 관점의 필요성과 함께 급속한 고령화를 경험하고 초고령화가 임박한 한국적 상황을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종단 연구, 질적 연구,메타 분석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설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노년학 30년을 통해 본 노년교육 관련 연구

        한정란(Han, Jungran)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30년 동안 <한국노년학>에 게재되었던 노년교육 관련 연구논문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왜 아직까지 노년교육학이 우리 사회에서 그리고 노년학 안에서 제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지 그 원인을 분석해보고, 앞으로의 노년교육학이 독립적인 학문분야로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 어떤 변화가 요구되는지에 대하여 전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년학」 1권(1980년)부터 28권 3호(2008년 8월)까지에 게재된 논문 770편 중 노년교육 관련 논문 55편을 대상으로 게재시기, 연구비 지원기관, 저자들의 소속기관,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방법, 연구 주제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난 30년간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논문 770편 중 노년교육 관련 논문은 단 55편뿐이었다. 그 중 대학에 소속된 연구자가 단독으로, 연구비를 지원받지 않고,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두 가지 이상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노인을 위한 교육을 주제로 행한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향후 노년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노년교육 전문학자 양성을 위한 전공 및 교과목 설치, 노년교육에 대한 연구지원 확대, 다양한 연구방법과 다주제, 대상을 지향하는 연구노력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노력들 이전에 우리 사회 전반에서 노인들의 학습자로서의 역량 및 노년교육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1980-2008). For this purpose, the 55 articles on the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collected from the Journal. The published time, the number of authors, the author's positions, subjects, type of the researches, methods, the statistical techniques, topics of the educational gerontology, and so on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The articles regarding on the educational gerontology took 7.14% in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② The case of the quantitative researches for the elderly done by single author, performed without fun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with more than two statistical techniques were the most common. Based on this researches, the organization of the major field or some courses on the educational gerontology, more research funds for the educational gerontology, and the efforts on the various research methods of themes and objects are recommended for better researches on the educational gerontology. Finally, we must expand our interests for the elderly's empowerment as a learner and the educational geront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