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김영석(Kim, Young Sek) 한국노년교육학회 2021 노년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노년교육학(Educational Gerontology)이 수립한 학문적 정체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보다 공고한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노력이 무엇인 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학문적 정체성을 내적 정체성(과학적 정체성, 경계 정체성)과 외적 정체성으로 구분하였다. 노년교육학의 내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년교육연구」과 「한국노년학」에 최근 6년 간 게재된 논문 98 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노년교육학회의 주요 활동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정체성 영역에서 노년교육학은 고유한 탐구 대상과 다양한 연구방법을 갖고있지만, 고유한 이론체계 구축이 미흡하였다. 경계 정체성과 관련해서는 타 국가의 노년교육학과 차별점을 갖기 위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었으며, 한국적 이론화 시도는부족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외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 비록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노년교육학회가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노년교육학이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공고히 자리매김하기 위해 개별 연구자 및 학술단체 차원에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academic identity established by Educational Gerontology as a new discipline, and to reveal what effort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solid academic identity in the field of Educational Gerontology. To this end, disciplinary identity was divided into internal identity (scientific and boundary identity) and external identity. In order to analyze the inner identi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98 research published in the last 6 years were analyz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and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In addition, the main activities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analyzed in order to ascertain the external identity. For the scientific identity, Educational Gerontology had its own subject of inquiry and used various research methods, but the establishment of its own theoretical system was insufficient. Regarding boundary identity, it was revealed that attempts to have own theoretical system developed by Korean researchers were insufficient.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has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to form an external identity, even though it has a short history. Lastly, this study suggested what kind of efforts are need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researchers and academic organiza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position as a new academic disciplinary.

      • KCI등재

        노년기 교육요구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로서 McClusky 노년교육요구의 적용 타당성 탐구

        최수연(Soo Yeon Choi),최일선(Ilseon Choi) 한국노년교육학회 2022 노년교육연구 Vol.8 No.2

        노인 인구 구성이 양적, 질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노년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확대와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교육요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서 McClusky의 노년교육요구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McClusky는 노년기 교육요구를 대처의 요구, 표현의 요구, 공헌의 요구, 영향력의 요구, 초월의 요구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요구들은 전생애 발달에 기초한 교육학적 관점으로, 노년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요구를 포괄적으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있는 준거 틀로서의 의미가 있으며, 대만 및 다른 국가들의 노년교육 실천현장에서 이론적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McClusky의 노년교육요구를 노년기 담론과 노년기에 대한 사회적 접근방식의 변화 측면에서 평가한 결과, 현 노년교육프로그램의 주요 관심인 대처와 표현의 요구뿐 아니라 공헌, 영향력, 초월의 요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다섯 가지 교육요구의 균형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공헌, 영향력, 초월의 요구를 노년기에 대한 사회의 관점과 노인의 역할 변화를 반영하여 재평가하였다. As the elderly population grows and its dynamics chang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expanding the diversity of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old adult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older adults, the applicability of McClusky's Educational Needs of the Ageing was examined. McClusky identified five educational needs: coping needs, expressive needs, contributive needs, influence needs, the need for transcendence. McClusky’s Educational Needs of the Ageing is an educational perspective based on life-span development, and it is a meaningful reference frame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comprehensiveness of an elderly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evaluation of McClusky’s Educational Needs in terms of ageing discourse and changes in social approaches to old age, it was confirmed that while coping and expressive needs are the main focus of current old adult education programs, contributive, influence, and transcendence needs are equally important. Therefore, we argue that a balanced approach to the five Educational Needs is necessary. In addition, we re-evaluated the contributive, influence, and transcendence needs by reflecting on the evolution of societal perceptions on old age and role of the older adults.

      • KCI등재후보

        한국 노인민주시민교육 활성화 필요성과 과제

        신미식(Shin, Mee Shik) 한국노년교육학회 2019 노년교육연구 Vol.5 No.2

        한국 사회가 빠르게 고령화되면서 노인의 사회적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지만, 이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하는데 필요한 민주시민교육은 활성화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촛불시민혁명이후 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지만 아직 국회에서 민주시민교육지원법은 통과되지 않고 있다. 대신 여러 지자체에서 민주시민교육조례를 제정하고 있으나, 아직 그 어디에서도 구체적으로 노인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지는 않다. 한국에서도 노인의 사회적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노인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한국에서 노인민주시민교육의 실상은 어떠한지를 짚어보고, 한국보다 노인민주시민교육이 활성화된 유럽에서는 어떠한 배경에서 노인민주시민교육이 시작되었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유럽 노인민주시민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토대로 한국에서 노인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 방향과 이에 따른 과제를 탐색한다. As Korea has been rapidly aged, older adults are asked to play more vital roles in the society as important social members and accordingly, the need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has increased. However,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general is not well implemented in Korea and in specific,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has not been promoted yet. On the contrary, in European countries, active ageing and active citizenship for older adults have been adopted as the national policies and put into practice eagerly. As a result, various democratic civic educa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them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more effectively. Like European countries, Korea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social roles of older adults as active citizens and provides them with appropriat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o that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every aspect of the society. In the study, the author trie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Korea and to benchmark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the European countries and draw some suggestions from their experiences. Further, based on them, the author attempts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s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and the tasks laid to lead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at direction in Korea.

      • KCI등재

        중국 노인교육의 발달과정 분석과 한국과 중국 간 노인교육 비교연구

        우려연(Li Juan Ou),박성희(Seong Hie Park) 한국노년교육학회 2024 노년교육연구 Vol.10 No.1

        2022년 중국의 노인 인구수는 약 2억 97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9%를 차지하며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이에 국가는 적극적인 고령화 대응 전략을 마련하며 노인교육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소개된 중국의 노인교육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노인교육 발달과정을 한국에 소개하고 노인교육에 대한 양국 간의 이해를 높이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 첫째, 중국의 노인교육 발달과정을 분석하고, 둘째, 한국과 중국 노인교육의 발달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노인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한·중 간 노인교육 비교연구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 결과, 한국은 2023년「평생교육법 제20조 3」에 노인평생교육시설의 설치 규정을 명시하여 본격적인 노인 평생교육의 확장기에 진입했다. 중국 노인교육의 강점은 국가노인대학이 중심이 되어 농촌의 노인교육을 진흥해가는 것과 노인직업교육의 강화에 역점을 두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향후 노인교육의 발전 방향은 민·관 협동 체계를 통해 노인교육의 기회보장 체계를 구축, 이상적인 노인교육의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국립대학을 기반으로 하는 노인교육 모델 육성, 지역 특색 기반 노인교육 과정을 개발, 고품질 온라인 교육의 개발과 확산을 제언했다. In 2022, Chinese elderly population reached 297.8 million, accounting for 14.9% of the total population, indicating that China has entered an aging society. In response, the country has been actively developing strategies to cope with the aging population and expanding elderly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enior education in China in Korea. In view of this n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elderly education to Korea an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elderly educ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elderly education in China, and second, to compare the development process of elderly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and suggest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elderly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s used were literature survey and comparative study of elderly edu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Korea has entered a period of full-scale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with Article 20(3)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of 2023 stipulating the establishment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strength of Chinese elderly education is its emphasis on promoting rural elderly education, centered on the National University for the third Age, and strengthening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conclusion,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elderly education is to establish a system of guaranteeing opportunities for elderly education through a cooperative system of public and private citizens, foster a model of elderly education based on national universities to discover an ideal model of elderly education, develop courses for elderly education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 and spread high-quality onlin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여성 고령자의 평생학습 양상과 노년기 학습의 의미- 학습생애사를 중심으로 -

        김지영(Kim, Ji Young) 한국노년교육학회 2019 노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노년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여성 고령자들의 지속적이고 열정적인 교육참여 동기는 무엇이며 어디에서 기인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여성 고령자의 전생애 학습경험을 분석하여 평생학습 양상과 노년기 학습의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평생교육 연구방법의 다양성과 노년 평생교육의 실천적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생애사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여성 고령자 세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생애사를 통한 평생학습 양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겪은 세 할머니들은 어린 시절, 남녀유별교육을 통해 여자로서의 삶을 강요받았고, 청소년기에는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가난으로 가장의 역할을 배웠다. 성인기에는 불안정한 결혼생활로 인해 인내와 경제력을 키웠으며 노년기에 안정된 생활환경과 웰다잉교육을 통해 비로소 ‘자아’를 찾고 성공적 노화의 길로 들어섰다. 어린 시절 학습자의 자세는 수동적이지만 순응하면서 성실하게 임했고, 노년기에는 자기주도적 학습자로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세 할머니 삶을 통해 본 학습의 의미는 ‘역할을 알려주는 지침서, 다음으로 나아갈 수 있는 디딤돌, 안정과 치유를 주는 나만의 안식처’이며, 노년기 학습의 의미는 자신의 삶에 위안과 위로가 되며,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었으며, 자아통합을 이루게 하였으며, 조화와 지혜를 주는 것이었다. 노년기에 지속적 학습참여 동기는 긍정적 정서 유발과 주변으로부터의 인정이다. 이러한 결과가 노인 평생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을 복지 수혜자나 소외계층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평생학습의 가장 큰 수요자로서 보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둘째, 노년기 발달과업인 자아통합과 마무리를 위한 다양한 수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과 내용이 필요하며, 셋째, 노인평생교육 연구에서 학습자중심, 사람중심의 연구방법이 확대되어 전생애 단계에서 필요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sense of problem about the motivation of the elderly women who participate actively and constantly in aged education and where it originated.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diversity methods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lifelong learning experiences of elderly women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and old age learning. Three elderly women were interviewed in depth by applying the study method of life history. As a result, first, lifelong learning patterns through life history were as follow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the three grandmothers were forced to live as girls through childhood education, learned the role of the father in poverty due to the absence of father. In adulthood, unstable marriage brought patience and economic power, Through the stable living environment and well-being education in old age, they found ego and entered the path of successful aging. The childhood attitude of the child was passive but conform and faithful. In the old age, they showed an active attitude as a self-directed learner. Second, the meanings of learning through the life of three grandmothers are a guide to the role , stepping stone to the next , ‘my own haven for stability and healing’. The meanings of old age learning are comfort and consolation for their life, process of finding a true self, achieving self-integration and giving harmony and wisdom.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ontinuous learning in old age is positive emotional inducement and recognition from the surrounding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elderly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o change the point of looking at the elderly from as beneficiaries or marginalized class to the largest consumer of lifelong education is needed. Second, for the integration of the self and the completion of the elderly development task various level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planning and content are needed. Third, through narr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learning life history a learner, person centered research approach rather than a policy or program centered research should be enlarged.

      • 인천금빛평생교육봉사단의 현황과 전망

        김형수 한국노년교육학회 2017 한국노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Vol.2017 No.1

        노인인적자원 개념_특성 노인인적자원개념 노인인적자원–노인이지닌개인, 사회, 국가발전에필요한지식, 기술, 태도등능력과품성 노인인적자원개발–노인인적자원을향성, 배분, 활용하기위해국가, 지방자치단체, 교육기관, 연구기관, 기업등이행하는모든활동 노인인적자원특성 개인다양성-인생단계중에서가장개인간의차이가극대화된시기 삶의통합성–노인자원봉사활동의참여가노년기삶의영역전반으로확산 풍부한인생경험-노년의소중한지혜화경험을교육적으로활용하는일은매우중요하다

      • KCI등재

        노년기교육 참여 동기 및 만족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김미란(Kim, Mi Ran),한정란(Han, Jung Ran) 한국노년교육학회 2015 노년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교육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산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노년기교육에 참여하는 150명을 대상으로 노년기교육 참여 동기 및 만족도, 생활만족도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교육 참여 동기를 분석한 결과, 참여 동기 중 건강의 동기가 가장 높고, 사회적 동기, 안정의 동기, 지 적 동기, 휴식적 동기, 창의적 동기, 인정의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년기교육 참여 만족도 분석 결과, 안정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 지적 만족, 건강의 만족, 창의적 만족, 인정 만족의 순이었다. 셋째, 노년기 생활만족도는 평 균 3.44로 보통 이상이었다. 넷째,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 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참여 동기 요인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고, 교육 참여 만족 요인 중 지적 만족도만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으며, 25.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향 후 노년기교육을 통하여 노년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고 성공적 노화로 이끌기 위한 방안을 제언을 덧붙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lderly'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in elderly education on their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50 students of the Senior Academy of Social Welfare Center in Seosan-si.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① In participation motivation, health motivation is the highest, followed by social, stability, intellectual, relaxational, creative, and recognition motivation. ② In satisfaction on participation, stability satisfaction is the highest, followed by social, relaxational, intellectual, health, creative, recognition satisfaction. ③ The life satisfaction is 3.44 above the average level. ④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in senesce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s in education are not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The only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 of life satisfaction. Some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above research.

      • KCI등재후보

        지식의 맥락성과 노년교육

        최일선(Choi, Il Seon) 한국노년교육학회 2019 노년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지식의 맥락성이 노년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기 위하여 Berger & Luckmann의 객관화 개념, Wenger의 객체화 개념, Engeström의 매개 개념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기초로 지식의 맥락성이 내포한 세 가지 속성, 즉 인간의 활동 과정에서 형성된 지식이 개별 지식의 가능 조건이 된다는 점, 지식이란 집단적인 실천과 거시적 사회구조와 관련된 개념이라는 점, 그리고 맥락적 지식은 암묵적이고 비가시적 도구의 속성을 지닌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집단적 활동으로서의 노년기 학습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노년 담론에서 강조하는 노년기 사회적 참여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concepts of Berger & Luckmann s objectification, Wenger s reification, and Engeström s mediation to explore what the contextuality of knowledge suggests for the theory of educational gerontology. Based on this analysis, I found that the contextuality of knowledge means that knowledge created during human activities works as a condition of individual knowledge, that knowledge must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ollective practice and social structures, and that contextual knowledge has the nature of implicit and invisible tool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e necessity to approach elderly learning as a collective activity and that of pedagogical understanding of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 emphasized in the discourse on aging.

      • KCI등재

        유럽 U3A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형 노인 대학평생교육 모형 제언

        이로미(Romee Lee),박성희(Seong-Hie Park) 한국노년교육학회 2022 노년교육연구 Vol.8 No.2

        우리나라는 2026년 65세 이상 인구가 천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인구로 편입되면서‘인생 100세 시대 자기계발’ 이란 개인적 요구가 커지고 사회적으로는 양극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민주적인 공동체 건설과 유지를 위한 노인의 역할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노인평생교육도 그간여가와 복지 중심의 노인학습 패러다임에서 노인의 의식화와 성장 및 사회참여를 지원하는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커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리나라 노인 대학평생교육 체제 구축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문헌분석을 통해 영국형과 대륙형으로 대별되는 영국과 독일의‘제3기 인생대학(U3A)’의 설립 역사를 파악하고 각각의교육목표, 운영체계, 참여자 및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대륙형U3A 적용, 한국형 플랫폼 제공방식, 한국형 전문가 제공방식 및 영국형 U3A 적용의 네 가지 모형이 제시되었다. 또한 각 모형의 적용과 운영에 있어 필요한 제언과 함께 변화하는사회와 노인세대의 요구에 맞는 역량개발 및 사회적 자본의 확대를 위해 고등교육기관인대학이 참여하는 노인 대학평생교육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As the baby-boomer generation of Korea is incorporated into the elderly population, personal needs for self-development and the demands for building a democratic community are growing. Lifelong education for seniors needs to be shifted from the paradigm of leisure and welfare to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led by universities or equivalent educational organizations, that supports the awareness, growth,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senior citizen. Considering this issue, this study is to present possible models for establishing university-led lifelong education system for seniors in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 on the history of U3A development, educational goals, operating system, learner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contents on the UK and Germany and to present a Korean university-led lifelong education model for seniors and suggestions for its implementation. As a result, the Korean model was presented in four different models: Continental U3A model application, university platform provision, expert provision, and British U3A model application. The suggested directions of Korean U3A are: first, universities and other organizations need to be involved and offer learners quality education and certificates afterwards. Second, the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of education need to be structured for the expansion of social capital of seniors and therefore communit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