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에서의 한국춤 사유구조 읽기

        김지원 ( Ji-won Kim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6 No.-

        춤사위의 연속된 동작은 동작소(動作素, kineme)1)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소가 춤예술이라는 생명적 기호를 생성한다. 춤이 예술이자 의미를 생산하는 기호라는 전제하에 한국춤 예술에 드러난 독창적인 미적현상을 기호학적 방법으로 분석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특히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은 구조주의 의미론을 펼치는데 유용한 방법론으로, 한국춤 동작과 호흡구조의 2항적 대립과 모순 속에 심층적인 의미를 찾아가는 분석법은 또 다른 한국춤의 독창적인 사유구조를 읽는데 도움이 된다. 우선 한국춤의 독창적 사유구조인 3원론적 인식의 구조, 즉 정중동(靜中動)과 정한론(情恨論), 삼재(三才)사상 등 핵심적인 미적현상을 결과론적으로 예측하면서도, 표층과 심층의 구조론적 의미의 분석은 예술기호로서 한국춤의 사유구조를 읽기에 그레마스 기호학은 유용하다. 즉 한국춤의 호흡과 동작을 이어나가는 2항 구조로서 의미소는 언어학적 분절과 같이 의미의 대립과 모순으로 지속적인 흐름을 이어나가면서 예술기호로서 의미작용 해석의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 여기에 또 다른 의미생산을 위한 의미의 공간을 지속적으로 놓아두고 있는데, 이는 한국춤의 3원구조가 차이와 구분이 없는 아우름을 지향하는 독창적인 사유구조에서 비롯됨을 의미의 분절과 구조적인 논의로 밝힐 수 있다. 따라서 한국춤에서는 천지인(天地人)의 조화와 일심(一心)의 미학,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계를 허물며 윤회적 삶을 실천하고 권고하는 한국문화예술의 특수성이 자리한다. Continuous movements in dances create life signs called artistic dances by an episememe that gives a meaning to a kineme. It would be meaningful to perform semiotic analysis of unique aesthetic features in Korean dance assuming that dances are artistic signs that create meanings. In particular, the semiotic square by Greimas is a useful methodology to develop structuralism based semantics and the analysis to find out in-depth meanings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between two elements of movements and constituents in Korean dance was useful as an alternative in interpreting unique thinking structure of Korean dance. First, the Greimas semiotics was useful in understanding the thinking structure of Korean dance by resultative prediction of essential aesthetic activities by the perceptional structure of 3 principles which is a unique thinking structure of Korean dance that covers rest in motion, resentment and three-function theories while analyzing structural meanings of surface and deep layers. It means that the episememe in Korean dance as a two-element structure in which constituents and movements continue has continued its stream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of meanings just like linguistic constituents while extending the scope of interpretation in signification as artistic signals. In addition to this, there was a space to create another meaning on a continued basis and it allowed me to reveal that the 3-element structure in Korean dance was derived from its unique thinking structure that aims at harmony without differences and divisions among elements by means of discussions on meaningful constituents and structures. Thus, Korean dance ha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and art that practices and recommends the life of an eternal cycle which breaks down the boundary among theocosmoanthric harmony, one mind aesthetics and union of self and things.

      • KCI등재

        기호학 연구의 경향성 분석 - 1995년∼2023년 한국기호학회 학술지 『기호학연구』를 중심으로

        권지혁 ( Kwon Ji-hyuk ),태지호 ( Tae Ji-ho ) 한국기호학회 2024 기호학연구 Vol.77 No.0

        본 논문은 30여 년간 이루어진 『기호학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기호학의 성취와 발자취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향성 분석의 연구 대상은 『기호학연구』 1권부터 75권까지 30년간 게재된 768편이다. 분석 항목은 게재연도, 연구자, 방향성, 연구 대상, 세부연구대상 등으로 설정하였다. 경향성 분석은 개별 항목 분석과 항목별 교차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기호학연구』의 논문 편수는 1995년 첫 발간 이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2010∼2014년을 정점으로 줄어들고 있다. 연구 방향성은 전체 768편 중 이론(386편)과 분석(382편)에 초점을 둔 논문이 주를 이루었으며, 실용적인 논문은 21편으로 매우 미미했다. 『기호학연구』에서 자주 거론된 학자로는 퍼스,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바르트, 그레마스, 에코, 로트만 등이다. 특히, 소쉬르와 퍼스의 빈도가 높아 그들이 기호학연구에서 중요한 인식론적 토대가 되고 있다. 기호학연구의 주요 연구 대상은 사상, 문학, 영상미디어, 뉴미디어, 언어, 이미지 등으로 나타났다. 교차 분석 결과, 연도별 연구 방향은 첫 발간 이후 10년 동안 이론 논문이 분석 논문보다 2배 이상 많았고, 2015년 이후로는 분석 논문의 편수가 이론 논문보다 많이 연구되었다. 연도별 연구 대상의 경향성은 초창기 『기호학연구』에서 문학 등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2000년 이후 영화, 방송, 게임, 광고, 뉴미디어 등으로 연구 대상이 확대되었다. 다음으로 연구 방향별 연구 대상의 경향성은 분석 논문의 경우에는 문학, 영상미디어, 뉴미디어, 이미지 등을 주로 다루었으며, 이론 논문은 사상, 언어, 문학 등을 주요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실용논문은 그 편수가 미미하지만 일상문화, 뉴미디어를 주로 다루었다. 연구 대상별 경향성은 사상은 학자이론을 가장 많이 다루었으며, 문학은 소설과 설화를 주로 다루었고, 영상미디어는 영화, 영상 광고, 드라마 등을 논의하였고, 뉴미디어는 뉴미디어 일반, 게임, SNS 등을 세부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연구자 논문 편수는 1세대∼1.5세대 기호학자들의 논문 편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20년 이상 『기호학연구』에서 논문을 게재하였다. 2010년 이후 2세대 기호학자들이 학회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며 그들의 논문 편수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기호학연구』의 주요 연구 성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호학회의 30년간 이루어진 연구 성과인 『기호학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국내에서 기호학의 과거와 현재를 탐색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기호학회의 미래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achievements and footprints of Korean semiotics by analyzing the trends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over the past 30 years. The subject of the trend analysis is 768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from volume 1 to volume 75 over the 30-year period. The analysis items are set to publication year, researcher, direction, research subject, and detailed research subject. The trend analysis consists of individual item analysis and cross-analysis of each item. As a result, the number of papers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has shown an increasing trend every year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1995 but has been declining since peaking between 2010 and 2014. The research direction was mainly focused on theory (386 papers) and analysis (382 papers), with only 21 practical papers, which is very minimal. The scholars frequently mentioned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include Peirce, Saussure, Levi-Strauss, Barthes, Greimas, Eco, and Lotman. In particular, Saussure and Peirce were frequently mentioned, indicating that they are an important epistemological foundation in semiotic research. The main research subjects of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were thoughts, literature, visual media, new media, language, and images. Cross-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oretical papers were more than twice as numerous as analytical papers during the first ten years after the initial publication, but since 2015, analytical papers have been more frequently published than theoretical papers. The trend in research subjects by year was initially focused on literature in the early days of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but has expanded to films, broadcasting, games, advertisements, and new media since 2000. Next, the trend in research subjects by research direction shows that analytical papers mainly dealt with literature, visual media, new media, and images, while theoretical papers mainly focused on thoughts, language, and literature. Although the number of practical papers is minimal, they mainly dealt with everyday culture and new media. The trend in research subjects shows that thoughts mainly dealt with scholar theories, literature mainly dealt with novels and folktales, visual media discussed films, video advertisements, and dramas, and new media focused on general new media, games, and SNS as detailed research subjects. Lastly, the number of papers by researchers per year showed that the first and 1.5 generation semiologist had a high number of papers and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for an average of over 20 years. Since 2010, the second-generation semiologist have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ociety, and the number of their papers has been increasing.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article was able to confirm the major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Through the meta-analysis of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which is the result of 30 years of research achievements by the Korean Semiotics Society, this article was able to explore the past and present of semiotics in Korea.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 KCI등재

        한국기호학회 30년, 한국 설화 연구의 성과와 의의

        김신정 ( Kim Sin-jeong ) 한국기호학회 2024 기호학연구 Vol.77 No.0

        이 글은 올해로 창간 30주년을 맞이한 한국기호학회(1994년 창간)의 『기호학 연구』지에 게재된 한국 구비 문학(이하 설화)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논문들을 검토하고, 그 내용을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기호학 연구』지에 첫 설화 연구 논문이 게재된 2000년부터 2023년까지의 한국 설화 연구 논문 28편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 설화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를 대상으로 삼아 이를 하나의 흐름과 결과로서 검토 및 정리하고자 한 데 의의가 있다. 2장에서는 연구 초기 단계라 할 수 있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된 논의들의 동향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한국 설화의 기호학적 분석들을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설화를 구성하는 ‘구술성’이라는 기표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소개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해 설화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은 설화 연구의 기원 지향성에서 벗어나 탈 기원적 혹은 기원 해체적 시도를 행하는 작업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semiotic research papers on Korean oral literature published in the journal 『Semiotic Inquiry』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which celebrated its 30th anniversary this year (founded in 1994), and to summarize the flow and results. Specifically, this paper looked at the contents of 28 Korean oral literature research papers from 2000 to 2023, when the first research paper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Semiotic Inquiry』, and summarized the results. Through this, this paper attempted to organize the meaning of semiotics and semiotic research, which was difficult and not clearly understood, in my own way. Chapter 2 examines the trends led by discussions published from 2000 to 2010, which can be considered the early stage of research. Chapter 3 summarizes the semiotic analysis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its meanings, which were carried out in earnest thanks to early-stage studies. Chapter 4 introduces various perspectives on the function of the signifier ‘orality’. In conclusion, the semiotic approach to folk tales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attempt to break away from the origin orientation of not only fairy tales but also folk tale research and attempt to de-originate or deconstruct the origin.

      • KCI등재

        한국춤의 공간 기호적 해석 연구

        김지원 ( Ji Won Kim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2 No.-

        춤사위의 연속된 동작은 몸이 공간이자 공간은 또 하나의 몸이 되면서 동작소(動作素, kineme)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소가 춤예술이라는 생명적 기호를 생성한다. 무대라는 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에 흐르는 예술의 현상학적 차원은, 춤이 기호라는 명백한전제하에서 한국춤만의 독창적인 공간을 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유용하였다. 즉 이 문제는 춤과 동작이 생성하는 공간 기호가 의미생산을 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어떻게 의미를 전달하는가라는 상징적인 기호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시공간에서 춤동작이라는 역동적인 흐름이 어떻게 공간학적으로 인지되며, 공간의 배치에서 어떻게 또 하나의 예술적 공간을 형성하는지에 대해 바르뜨의 ``외연``과 ``함의``의 신화적 속성은 유용한 방법론이 되었다. 한국춤은 외적 공간상에서 의도된 형식의 차이를 두고, 삼태극(三太極)의 공간, 오행(五行)의 공간, 좌(左)지향의 공간, 원형(圓形)의 공간, 여백(餘白)의 공간이라는 문화적 특수성을 드러낸다. 이는 한국춤의 동작소 하나하나의 차이가 의미소와 같은 언어학적 분절과 같이 자의적인 약호로 작용되며, 공간기호로서 의미작용의 해석의 범위를 확대해 나아가는 의미생산의 연속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카오스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범주의 구분 또는 차이를 통한 기호학적 재단처럼, 춤 동작소의 시공간적 연속된 기호는 의도된 형태에서 의도되지 않는 수많은 공간기호로써 공간학적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국춤에서는 주로 어떠한 선을 공간에 그리는가,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행하는 주된 동작군은 무엇인가? 공간을 분할하는데 중점을 두는 요소는 무엇인가? 하는 의미전달적 기호작용이라기 보다는, 예술적 공간에서 해석되어지는 탈코드화(de-codification)의 공간기호론적 해석에서 한국춤만의 이미지를 생성한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춤이 공간상에 드러내는 신화적 속성이자 문화적 특수성임을 알 수 있다. Differences in the movements of the dancing exist depending on the culture. On the explicit premise that the dance is the symbol, the analysis of the spaces was done in that the dancing has an artistic significance in the Phenomenological dimension of the combination of the space of stage and flow of time. In other words, focus needs to be on the symbolic codes that conveys the meaning on the assumption that the dancing is the semiology. Therefore, as the result of reviewing the dancing movements expressed on the exterior spaces, the application of meaning analysis expands and systemized according to Sam Taeguk, the five-element theory, left-oriented, circular and blank spaces. The discussion has become the focuses on the steps of the de-codification in that the psychological codes of the korean dance does the aesthetic interpretation. There is meaning that after the stage, all boundaries are collapsed like the semiology through the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for analysing the world of chaos. Therefore, Korean dancing is worthy of notice in that there is only the image of Korean dance in terms of the space interpretation of de-codification interpreted in the artistic space, rather than semiotic process of the meaning conveyance like “what lines are drawn in certain spaces?”, “what is the main group of the movements in spaces?” and “what elements are focused on the space division?”

      • KCI등재

        움베르토 에코의 기호학과 ‘구조’ 개념에 대한 비판과 활용

        김휘택 ( Kim Hui-teak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9 No.-

        본 논문의 목적은 움베르토 에코의 기호학과 구조 개념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는 데 있다. 에코의 연구는 이 일반 기호학의 특성들을 찾으려는 긴 과정이었다. 에코는 퍼스의 기호 구성 모델의 해석체 개념을 도입하여 일반 기호학에서 내세울 세미오시스의 전형으로 삼는다. 에코는 이 세미오시스의 기제로 자의성을, 완전한 무연성(無緣性)을 바탕으로 하는 언어 기호의 개별적 특성 넘어, 일반 기호학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주목한다. 에코는 해석이라는 관점에서 의미의 생성 과정과 존재 양상을 기술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이런 에코의 노력은 자신의 ‘해석’ 개념의 유동성과 ‘의미’개념의 불확정성 사이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는 종합적인 자세로 드러난다. 완전히 무한한 의미의 발생으로 인한 확정된 진리의 부재를 주창했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속에서, 에코가 ‘과해석’을 경계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들을 제공했다는 것도, 그가 평가받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에코가 구조의 개념과 완전히 결별했다거나 활용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이러한 모호한 관계 설정이 구조 개념 자체에 대해서도, 주체의 해석에 대해서도 더 심화하여 연구할 것을 남겨두는 결과를 초래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semiotics and structural concepts of Umberto Eco. Eco’s research was a lengthy process to discover the properties of this general semiotics. He introduced the notion of interpretant in the sign construction model advocated by Peirce and uses it as the epitome of semiosis to be put forward in general semiotics. Eco paid attention to arbitrariness a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general semiotics beyond the characteristic of linguistic signs based on complete unmotivated relationship. This semiosis makes arbitrariness a characteristic of general semiotics beyo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signs based on complete unmotivated relationship. Eco made various attempts to describe the creation process of meaning and its mode of 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pretation. These efforts are revealed in a comprehensive attitude that does not make an extreme choice between the fluidity of his concept of ‘interpretation’ and the uncertainty of the concept of ‘meaning’.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which advocated the absence of definite truth due to the occurrence of completely infinite meanings, it is probably one of the reasons why Eco is appreciated for providing theoretical discussions that can guard against ‘overinterpretation’.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Eco completely broke with the concept of structure or utilized it. Rather, such an ambiguous relationship setting makes it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structure concept itself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

      • KCI등재

        들뢰즈와 퍼스 - 이미지와 기호의 분류에 대한 수기

        최용호 ( Choi Yong-ho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9 No.-

        들뢰즈는 영화 연구에 할애된 두 권의 저서에서 미국의 기호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의 기호학적 유형학을 참조하여 이미지와 기호에 대한 분류 작업에 착수한다. 주지하다시피 들뢰즈는 철학사와의 대결을 통해 자신의 철학적 사상을 구축한 철학자다. 그는 때론 스피노자주의자로, 때론 라이프니츠주의자로, 때론 니체주의자로 간주된다. 이런 사상사적 맥락에서 우리가 이 논문에서 제기하고자 하는 문제는 ‘들뢰즈가 퍼스주의자인가?’ 라는 질문이다. 들뢰즈는 존재동사 ‘이다’와 등위접속사 ‘와’ 사이의 투쟁의 역사가 존재한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그의 논지에 따라 위의 질문을 등위접속사를 사용하여 ‘들뢰즈와 퍼스’로 다시 쓴 다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는 것이 우리작업의 커다란 줄기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우리가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크게 기호모델과 기호 유형학이다. 이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들뢰즈와 퍼스를 번갈아 가며 마치 교차편집하듯이 이들 사이에 벌어지는 투쟁의 역사를 기술하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논의는 퍼스가 구상한 순수한 문법, 순수한 논리학, 순수한 수사학으로서의 기호학적 기획이 들뢰즈가 제시한 순수한 기호학과 맺고 있는 동음이의어적 관계의 구조를 드러내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이다. It is well known that Deleuze elaborates his philosophical thought confronting himself with the history of philosophy. He is said to be a Spinozian or a Leibnizian or fundamentally a Nietzchean. In the two volumes consecrated to the study of the cinema, he reveals himself as a Bergsonist. In the preface of those monumental works he clarifies the fact that his intellectual adventure is greatly indebted to the semiotic works done by Charles Sanders Peirce. In this regards, a question deserves to be raised: is Deleuze a Peircean? In this paper I attempt to replace the verb ‘is’ - in French ‘est’ - with the coordinate conjuncture ‘and’ - in French ‘et’ - to produce a phrase like ‘Deleuze and Peirce’. According to Deleuze, there is a conflict in the history of the thought between the verb ‘est’ and the conjunction ‘et’. So the replacement I have proposed will be focused on conflicts, contradictions, tensions between Deleuze and Peirce at the very moment when Deleuze seems to come close to the depth of Peirce’s semiotic thought. The issues that I’d like to tackle in this paper is threefold: i) the semiotic model ii) the typology of signs iii) the ‘pure’ semiotic project. Dealing with those issues, my claim is that the thesis “Deleuze is a Peircean’ becomes more and more problematic.

      • KCI등재

        소셜 미디어의 매체 기호학적 함의 -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조창연 ( Chang Yeon Jo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9 No.-

        이 논문의 목적은 미디어와 기호, 그리고 기표와의 관계를 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의 기호작용(Semiosis)을 파악하는 것이다. 기호작용을 파악한다는 것은 기호생성과 의미생성, 그리고 의미전달(커뮤니케이션)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식될 수 있는 구체적인 기호를 생성하려면 추상적이든 구체적이든 간에 그것을 구현하는 매개물(미디어)이 필요한데, 매개물로서 미디어는 기호학적 시각에서 보면 어떤 특정한 물리적인 형태로 기호의 의미를 재생산하고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종의 기표(표현체)로 볼 수 있다. 기표로서 소셜 미디어는 여러 다양성을 융합하며 상호작용을 통하여 집단 혹은 공동체 인식을 형성함으로써 기호의 생성에 관여한다. 소셜 미디어의 이런 속성에 의해서 소셜 기호가 생성된다. 이 소셜 미디어의 의미생성 차원은 개인적인 차원과 사회적인 차원으로 구분되며, 전자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매개적 기능이 강조되고 의미생성에서 해석체가 중심역할을 한다. 반면에 후자의 경우에는 소셜 미디어의 재매개적 기능이 강조되고 집단지성(집단인식)이 의미생성의 토대가 된다. 이 같은 이중적인 의미생성 과정을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의 의미소통(커뮤니케이션)이 진행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emiosis of social media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media, signs, and signifiers, or representamen in a Piercian sense. To understand this semiosis means to grasp syntagmatically the total process of sign and meaning creation, and of communication. A number of findings resulted from this study. First, to create a sign that can be concretely perceived, we need a medium or vehicle, whether it be concrete or abstract. The medium could be semiotically regarded as a sort of signifier that is physically shaped to re-create meanings of a sign and transmit recreated sign meanings. The signifier of social media functions as a unit which represents diversity and is involved in creating signs; it is characterized by a flickering interactive virtual signifier based on pattern and voluntariness. Social media form a social sign, the level of meaning creation of which is into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In the former category, the mediation function of social media is emphasized and the interpretant plays a key role in meaning creation. In the latter the re-mediation function of social media is stressed, and is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that we might call a collective interpretant. Based on this double process of meaning creation,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works to convey meaning.

      • KCI등재
      • KCI등재

        김유신 설화의 영웅성과 신화담론 구축의 기호학적 상징 질서 연구

        표정옥 ( Pyo Jung-ok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9 No.-

        본고는 김유신 설화 전반을 대상으로 상징적인 신화 담론의 기호체계를 읽고자 했다. 김유신을 둘러싼 이야기에는 영웅성과 관련해서 일정한 신화 담론이 상징적 질서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김유신 이야기에 세 가지의 상징적 질서가 기호체계를 보이면서 등장한다고 보았다. 첫째, 김유신의 이야기에는 유독 ‘꿈’이라는 상징을 활용해서 시간 초월의 환상성을 획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김유신 서사에서 꿈은 전생과 현생과 내세를 이어주는 시간 초월의 기능을 담당하는 기호체계이다. 꿈을 통해 탄생의 신비가 고구려와 가야와 신라에 걸쳐져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김유신이 후에 삼국을 통일하는 데 막대한 공을 세우게 된다는 의미의 기호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둘째, 김유신 이야기들에 등장하는 ‘말’의 상징성에 주목해 보았다. 꿈이 시간을 초월하는 상징적 기호체계를 가진다면 말은 공간을 초월하는 상징적 기호체계를 가진다. 말은 공간을 초월하는 속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김유신의 의지적 서사를 구축하는 상징적 질서를 구축했다. 말은 김유신의 의지를 드러내는 상징적 의미로 작용했다. 김유신은 명장이었기 때문에 말은 늘 동반되는 용맹함의 상징체이자 의지적 인물의 상징체로도 활용되었다. 따라서 김유신의 말 서사는 의지적 기계를 더 강조하는 상징적 기호로 쓰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셋째, 김유신 이야기에는 유독 별과 빛의 상징이 많이 등장한다. 이는 33천의 한 신이 된 김유신을 상징화시키는 기호적 상징장치로 보인다. 천신의 현현으로서 김유신은 유독 빛과 별과 연결되는 부분이 많다. 김서현과 만명 부인의 태몽에서부터 산신에게서 보검을 받은 부분, 비담의 난 때 별과 관련된 소문, 만파식적 이야기 속에서 33천의 등장 등 많은 이야기를 살펴보게 한다. 본 논문은 각 문헌 속 설화들에 등장하는 이야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피면서 어떻게 김유신의 영웅 서사 담론이 병렬적으로 상징적 기호체계를 획득해 가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This paper tried to read the semiotic system of mythical discourse symbolically for the entire story of Kim Yu-shin. The mythical discourses regarding heroism form a symbolic order in the story surrounding Kim Yu-shin. This study saw that three symbolic orders appear in the story of Kim Yu-shin, showing a symbolic system. First, it can be seen that in Kim Yu-shin's story, the symbol of "dream" is used to acquire fantasy beyond time. In Kim Yu-shin's narrative, the dream is a symbolic system that plays a role in transcending time that connects past and present and afterlife. Through the dream, it was confirmed that the mystery of birth spans Goguryeo, Gaya, and Silla. It also forms a symbolic system that Kim Yu-shin will later make a huge contribution to unifying the three kingdoms. Second, we paid attention to the symbolism of 'horse' appearing in the stories of Kim Yu-shin. If dreams have a symbolic system that transcends time, horse have a symbolic system that transcends space. Horse have properties that transcend space and at the same time have established a symbolic order that builds Kim Yu-shin's willful narrative. Horse acted as a symbolic sacrifice that revealed Kim Yu-shin's will. Since Kim Yu-shin was a master, horses were always used as symbols of bravery and willful character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Kim Yu-shin's narratives of horses are used as a symbol that further emphasizes his willful machine. Third, many symbols of stars and light appear in the story of Kim Yu-shin. It seems to be a symbolic device that symbolizes Kim Yu-shin, who has become a god of 33 heavens. As the manifestation of heaven, Kim Yu-shin has many parts that are connected to light and stars. From the conception dream of Kim Seo-hyun and Mrs. Manmyeong to the part of receiving a complementary examination from the mountain god, rumors related to the stars during the tragedy, and the appearance of 33 heavens was seen in the Magic flute Manpasikjuk story.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y in the stories in each literature, and attempts to examine how Kim Yu-shin's hero narrative discourse acquires a semiotic system.

      • KCI등재

        셔레이드에서의 비언어 기호와 서사적 변형의 상관성 연구 - 영화 <캐롤>에서 나타나는 주체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조은진 ( Jo Eun Jin ),송치만 ( Song Chi Man ) 한국기호학회 2018 기호학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셔레이드에서 발견되는 비언어 기호의 서사적 상관성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셔레이드는 비언어 기호들을 사용해 인물의 심리 변화, 타인과의 관계, 인물이 머무는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셔레이드에 관한 연구는 비언어 기호를 통한 메시지의 전달뿐만 아니라 의미작용 또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 캐롤(Carol) >(2015)에 대한 서사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주체의 행동을 촉발시키는 주체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때 여성의 지위는 미장센을 통해 드러난다는 점에서, 미장센 영역에 속하는 셔레이드를 통해 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토대로 하여 셔레이드에서 사용되는 비언어 기호들을 도출하였다. 이에 근거해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특히 여성 주체들의 지위를 표현하는 과정에서는 실내 장식의 활용이 돋보였다. 여성 주체들의 권력의 획득을 나타내는 과정에서는 응시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그 외에도 액세서리, 영역, 제스처와 같은 비언어 기호의 사용도 주목할 만한 것이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비언어 기호들은 주체의 형성과 서사적 변형을 구상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rrative correlation of nonverbal signs found in Charade. Charade, by using nonverbal signs,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change, his or her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places where they stay. The study of Charade, then, has to be approached considering not only the transmission of messages through nonverbal signs but also its signification. This study has analyzed the narrative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subject that triggers the subject’s activity by taking narrative semiotics to the film Carol (2015). As the status of women is represented by the mise-en-scène at this time, this study aims to examine such a fact through Charade, which belongs to the realm of mise-en-scène. In this study, nonverbal signs that are used in Charade are drawn based o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theor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exts showed that the use of interior decoration was outstanding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status of female subjects. The use of gaze was noticeable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acquisition of female subjects’ power. Besid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use of nonverbal signs such as accessories, territoriality, or gesture, was worthy of at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such nonverbal sig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subjects and configuration of narrative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