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 현황 및 과제

        김성수 한국기록관리학회 2005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ur records and documentary heritage in Korea that is in the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The study analyzes their problems and corresponding solutions in digitizing those world records heritages. This study also reviews additional four documentary books in Korea that are in the wish list to add to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This study is organized as the following: Chapter 2 examines the value and meanings of world records and documentary heritage in Korea. The registry requirements and procedures of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are examined. The currently registered records of Korea include Hunmin-Chongum,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and Buljo- Jikji-Simche-Yojeol (vol. Ⅱ). These records heritage's worth and significance are carefully analyzed. For example, Hunmin-Chongum(「訓民正音」) is consisted of unique and systematic letters. Letters were delicately explained with examples in its original manual at the time of letter's creation, which is an unparalleled case in the world documentary history.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re the most comprehensive historic documents that contain the longest period of time in history. Their truthfulness and reliability in describing history give credits to the annals. The Royal Secretariat Diary (called Seungjeongwon-Ilgi(「承政院日記」)) is the most voluminous primary resources in history, superior to the Annals of Choson Dynasty and Twenty Five Histories in China. Jikji(「直指」) is the oldest existing book published by movable metal print sets in the world. It evidences the beginning of metal printing in the world printing history and is worthy of being as world heritage. The review of the four registered records confirms that they are valuable world documentary heritage that transfers culture of mankind to next generations and should be preserved carefully and safely without deterioration or loss. Chapter 3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ree repositories that store the four registered records in Korea. The repositories include Kyujanggak Archiv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Pusan Records and Information Center of National Records and Archives Service, and Gansong Art Museum. The quality of thei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re excellent in all of three institutions by the following aspects: 1) detailed security measures are close to perfection 2) archiving practices are very careful by using a special stack room in steady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depositing it in stack or archival box made of paulownia tree and 3) fire prevention, lighting, and fumigation are thoroughly prepared. Chapter 4 summarizes the status quo of digitization projects of records heritage in Korea. The most important issue related to digitization and database construction on Korean records heritage is likely to set up the standardization of digitization processes and facilitie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comprehensive standard systems for digitization. Two institutions are closely interested in these tasks: 1) the National Records and Archives Service experienced in developing government records management systems; and 2)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terested in digitization of Korean old documents. In collaboration of these two institutions, a new standard system will be designed for digitizing records heritage on Korean Studies. Chapter 5 deals with additional Korean records heritage in the wish list for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including: 1) Wooden Printing Blocks(經板) of Koryo-Taejangkyong(高麗大藏經) in Haein Temple(海印寺); 2) Dongui-Bogam(「東醫寶鑑」) 3) Samguk-Yusa(「三國遺事」) and 4) Mugujeonggwangdaedaranigyeong(「無垢淨光大다羅尼經」). Their world value and importance are exa... 이 논문은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하여 먼저 그 의미와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들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보존·관리 및 그 현황을 조사하며, 한국의 기록유산을 디지털화 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하고, 추후 한국의 기록유산 중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기를 희망하는 4종의 기록물들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고찰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상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장에서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세계기록유산의 선정기준과 절차 등을 먼저 파악하고,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인 「훈민정음」·「조선왕조실록」·「승정원일기」·「직지(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에 대하여 각각 그 가치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둘째, 제3장에서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관리 현황'에서는 세계기록유산을 보존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국가기록원 부산기록정보센터>·<간송미술관>의 기관별로 그 보존·관리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 3기관 모두 세계기록유산 보존·관리 현황은 '매우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즉, 1)그 세부적인 보안대책이 완벽하다. 2)그 보존방법에 있어서도 항온·항습의 특별한 서고를 별도로 마련하고, 이 서고 내에서 다시 '오동나무 상자·서장(書欌)'을 설치한 후, 이들 상자와 서장 속에 세계기록유산을 납입하여 보존하고 있다. 3)방화장치와 서고조명 및 소독 등에도 철저를 기하고 있음 등을 파악하였다. 셋째, 제4장에서는 '한국의 기록유산 디지털화 과제'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작업 및 DB구축에서 '디지털화 표준'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디지털화(Digitization)에 대한 총체적이고 표준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국가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 <국가기록원>과 한국학 고기록물의 디지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진 <문화재청>이 공동으로 노력하여, 한국학 관련 기록유산의 디지타이제이션(Digitization)에 대한 총체적이고 표준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됨을 파악하였다. 넷째, 제5장 '세계기록유산 등록을 추후 희망하는 한국의 기록유산'에서는 한민족의 기록유산 중에서 차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를 희망하는 4종 즉, 1)<해인사 고려대장경 경판>, 2)「동의보감」, 3)「삼국유사」, 4)「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다羅尼經)」의 기록물에 국한하여, 그 어떤 의미에서 세계적인 가치와 의의가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 KCI등재

        한국정부 수립 이후 행정체제의 변동과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편(1948년~64년)

        이상훈 한국기록학회 2009 기록학연구 Vol.0 No.21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began to be reformed as a system with a new feature during the quick transition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during the early 1960s. Particularly this new system hold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began to cope with the mass production system of records and was established on the government level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Also this was a basic framework that defined the records management pattern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later 40 yea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origin and the meaning of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established during the early 1960s. At the time of establishing the government,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Korean Government was not completely free from the framework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Chosen General Government. This was mainly because the Korean Government had no capability to renovate the administrative system. This was not an exception also for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other words, the forms and preparation methods of official document, an official document management process, and the classification and appraisal system used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the Chosen General Government without any alteration. Main factors that brought about the reform of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the change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system during the early 1960s, were being created in Korean society, starting from the mid 1950s. This resulted from the growth of Korean Army, public officers, and students of administrative science as being the intrinsic elites of Korean society through their respective experience of the US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the reform of the creation, classification, filing, transfer, and preservation system shown during the introduction of a scientific management system of the US Army in the Korean Army was a meaningful change given the historic developing process of Korean records management system history. This change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reform of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during the early 1960s. As the Korean Army, public officers, and students of administrative science, who had posted growth beginning in the mid-1950s, emerged as administrative elites during the early 1960s,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Korean Government brought about a chang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ast in terms of its quality, and the modernization work of documentary administration pursued during the period, became extended to the reform of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Then, the direction of reform was ‘the efficient and effective control’ over records based on scientific management, which was advanced through the medium of the work that accommodate the US office management system and a decimal filing system to Korean administrative circumstances. Consequently, Various official document forms, standards, and the gist of process were improved and standardized, and the appraisal system based on the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were unified on the government level by introducing a decimal filing system. 본 논문은 한국행정체제의 변동과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편에 관한 연구로 정부수립부터 1960년대 초반 새롭게 국가기록관리체제가 구축될 때까지를 그 범위로 다루었다. 여기서 1960년대 초반이란 당시 국가기록관리체제를 규정한 「정부공문서규정(1961.9.13)」, 「정부공문서분류표(1963.1.1)」, 「공문서보관․보존규정(1963.12.16)」, 「공문서보존기간종별책정기준에관한건(1964.4.22)」 등이 제정되기까지를 일컫는다. 또한 본 연구의 범위는 한국행정체제의 변동을 중심으로 하여 정부수립 초, 한국전쟁 이후, 군사정부가 등장하는 1960년대 초반 등의 시기로 나누었고, 각 시기별로 행정체제와의 상호관련 속에서 기록관리체제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1960년대 초반에 구축된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근원과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정부수립 당시 한국정부의 행정체제는 조선총독부 행정체제의 틀로부터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한국정부가 행정체제를 쇄신할 역량을 갖고 있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점은 당시 기록관리체제도 마찬가지였다. 즉 공문서의 서식 및 작성방법, 공문서관리프로세스, 분류․평가체계는 조선총독부의 기록관리체제를 그대로 원용하였다. 1960년대 초반 한국행정체제의 변동과 기록관리체제의 개편을 초래했던 주요 요인들은 195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한국사회에서 형성되고 있었다. 이는 한국육군, 공무원, 행정학도들이 각각 미국의 행정기법과 지식을 경험하면서 한국사회의 내재적 엘리트로 성장한 결과였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 한국육군에서 나타난 미 육군 사무관리제도와 십진파일링시스템의 도입은 한국기록관리제도사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비추어 보았을 때 의미 있는 변화였다. 이는 1960년대 초반 한국정부의 기록관리체제 개편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5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성장한 한국육군, 공무원, 행정학도들이 1960년대 초반 행정주체 및 행정개혁의 추진주체로 등장하면서 한국정부의 행정체제는 전면 재편되었고, 그 과정에서 추진된 문서행정의 현대화작업은 기록관리체제의 개편으로까지 이어졌다. 이때 개편방향은 과학적 관리법을 기반으로 한 기록물의 ‘효율적․능률적 통제’였으며, 이는 미국 사무관리제도와 십진파일링시스템을 한국 실정에 맞추는 작업을 통해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각종 공문서 서식과 규격 및 처리요령을 개선하고 표준화하였으며, 또한 업무기능에 기반을 둔 평가․분류체계를 전 정부차원에서 일원화하였다.

      • KCI등재후보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

        강순애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8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four aspects of the acquisition,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modern and post-modern document DB in the NAK, NIKH, and AKS. First, The concept of Korean regional history includes provincial history, local history and regional history and as far as modern and post-modern history is concerned, the concept of regional history is on expansion. Seco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been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in compliance to Public Institutes Records Management Law, enacted in 1999 and currently is in charge of handling public records of 373 central government administration offices, 514 regional government offices, Office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of other public a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s working on a ten year project from 2004 to collect the scattered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to classify them regionally and thematicall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been collect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collection was initiated by Modern History Research. Those records that are collected from 1997 and 2005 are mainly from the liberation period. Third, characteristics of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and of The AKS’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are elaborated. Fourth, establish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ouncil’ 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Committee is recommended, NAK leading the council and promoting further cooperation. In this section, an emphasis on allotted tasks of three institutes in order to achieve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gitalized resource sharing, to improve on contents and to promote public and international use is placed as well. 본 연구는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방안의 네 가지 측면을 다루었다. 첫째, 한국 지역사의 개념은 향토사, 지방사, 지역사 등으로 쓰이는데 근․현대사와 관련해서는 지역사의 개념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국가기록원은 1999년에 제정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근․현대 지역사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대학, 기타 공공기관의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10개년 계획으로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근․현대 지역사료를 시군별 자료수집과 더불어 주제별 자료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초기에는 현대사연구소를 중심으로 근․현대사 사료를 수집하였다. 1997년부터 2005년까지는 수집된 사료는 해방기를 전후한 자료들이다. 셋째, 국가기록원의 중앙기록관리시스템 및 나라기록포털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향토문화대전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다. 넷째, 세 기관 사이의 공동협의회의 구성은 국가기록물관리위원회 산하에 ‘근․현대 지역사료 협의회’를 두고, 국가기록원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각 기관과 연대해 나가며, 근․현대 사료의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콘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분담된 역할이 있어야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한국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 과정 기록

        정경희(Kyoung Hee Joung) 한국기록관리학회 2020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0 No.4

        이 논문은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상용DB업체와 학회, 공공DB운영기관 사이에서 벌어진 저작권을 중심으로 한 갈등과 업체와 도서관 사이의 학술DB 가격에 대한 갈등문제를 설명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의 문헌정보학 분야와 인문사회분야 학회들의 오픈액세스 선언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부딪힌 출판비 문제, 논문 유통의 문제, 학술지 출판과 관련한 제도의 변경 등 학술지 출판사로서 실무적인 사안들을 처리한 방법과 과정을 기록하고 문제점들도 드러내고자 했다. 또한 이 논문은 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전환을 학술논문의 지식커먼즈를 실현하려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This paper is a record of the transitioning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to open access. To understand this process, this paper explains the meaning of the conflict over the copyright among commercial journal aggregators, scholarly societies and public sector aggregators. In addition, this paper explains the declarations for open access transition in scholarly societies in the fiel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other humanities & social sciences in Korea. This paper records the practices and problems that the scholarly society as a publisher has faced in related to securing the journal publication cost, expanding the channels of distribution, and reforming the regulation of the journal. This paper also attempts to understand this transition process as making a knowledge commons.

      • KCI등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논문의 연구 주제 분석 - 2001년부터 2017년까지 -

        김희섭,강보라 한국기록관리학회 201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기록관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당 학회지의 창간호(2001년)부터 최근(2017년)까지 발표된 논문 390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부여한 한글 키워드 875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키워드는 NetMiner V.4를 이용하여 이들 연구 주제의 양적측면, 영향력 측면, 그리고 확장성 측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기록정보서비스’, ‘전자기록물’, ‘역사기록물’, ‘아키비스트’, ‘국가기록원’ 순으로 나타났고, 영향력 측면에서는 ‘기록정보서비스’, ‘전자기록물’, ‘평가’, ‘지역기록물’, ‘검색시스템'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확장성 측면에서는 ‘기록정보서비스’, ‘아키비스트’, ‘전자기록물’, ‘아카이브’, ‘메타데이터’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opic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hich is one of the main academic journals of archival research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875 author-assigned Korean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390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i.e., 2001) to the current issue (i.e., 2017) in the target journal. The collected keywords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V.4 to discover their frequency,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Results showed tha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Electronic Records,” “Historical Archives,” “Archivists,” a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wed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research topics; wherea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Electronic Records,” “Evaluation,” “Locality Archives,” and “Retrieval System” were the most influencing research topics. On the other han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rchivists,” “Electronic Records,” “Archive,” and “Metadata” showed the most widely intervening research topics in this research.

      • KCI등재

        조선말과 대한제국 시기 사진기록물의 성격과 생산, 유통 과정

        박주석 한국기록학회 2019 기록학연구 Vol.0 No.62

        Since the opening of Joseon in 1876, the photographic record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exist more than expected, considering the technological level and the social situations at that time. Photographs related to Korea can be distributed in various forms, such as illustrations of books printed to introduce Korea to Western society, plates of graphic journalism like newspapers or magazines, vintage prints, photo-postcards, stereo-photographs, card-type photographs, and lantern slides. There are still a great deal left in various archives of the Europe, America, Japan and Korea. According to related researchers, Korean-related photographs taken between 1863 and 1910, since Koreans were first photographed, were at least 3,000 to 4,000 cuts and the photo postcards issued was 25,000. It is said that most of them exist. This paper categorizes two ways of producing and distributing photographic records related to Korea, which were early modern times. The subjects of the photographs are clearly Korea or Koreans, but most of the producers of these photographs were Westerners and Japanese, who were imperial servants of imperialism. In the case of photography,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of distortion of the facts depending on the needs or perspectives of the producers. In order to correct the distortion, not only the contents of the photograph but also the intention of the producer, the production and the communication status should be grasped. This is because the problem of reading photograph records accurately and fairly in an age where there is no real experience is the cornerstone for understanding modern Korea correctly and broadly studying the Modern History of Korea. 조선의 개항 이후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 시대를 찍은 사진기록물은 당시의 기술적 수준이나 대외 개방의 정도를 감안하면 생각보다 많이 존재한다. 한국 관련 사진기록은 서구 사회에 한국을 소개하기 위해 인쇄한 서적의 삽화, 화보 신문이나 잡지의 도판, 빈티지 프린트, 사진엽서, 스테레오 사진, 카드형 사진, 랜턴슬라이드(Lantern Slide) 등 다양한 형태로 보급되었고, 현재도 상당량이 남아 있다. 관련 연구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조선 사람이 처음 사진에 찍힌 1863년부터 1910년 이전에 촬영된 한국 관련 사진은 최소 3,000점에서 4,000점 이상이고, 같은 사진이 중복되기는 하지만 발행된 사진엽서의 수는 25,000점 이상이며, 그중 대부분이 현존하고 있다고 한다. 본 논문은 근대 초기인 구한말 한국 관련 사진기록이 생산되고 유통되는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전형적인 사진가 또는 기관의 활동 사례를 들어 분석했다. 사진에 찍힌 대상은 분명 한국 또는 한국인의 모습이지만, 사진의 생산 주체는 거의 대부분 제국주의의 부역자들인 서양인들과 일본인들이었다. 사진의 경우 생산 주체의 필요나 관점에 따라 사실 관계의 왜곡 가능성이 무척 크다. 그 왜곡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사진의 내용뿐만 아니라 생산자의 의도와 생산 및 소통 경위가 파악되어야 한다. 세월이 많이 흘러 실제 경험자가 없는 시대의 사진기록을 정확하고 공정하게 판독하는 문제는 근대 한국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한국의 근현대사를 폭넓게 연구하기 위한 초석이기 때문이다.

      •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 기록관리학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정연경 한국기록관리학회 2005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5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and analyze archival curriculum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aspects of specializations, changes, relationships between archival science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umbers of the courses and their proportions, and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the revised archival curriculum. Archival Science in Korea needs to prepare a more systematic and firm foundation by opening commonly required or prerequisite courses according to each component of the archival body of knowledge. Based upon the reinforcement of the methods of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integrated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effectiveness of archival management should be approached in curriculum. And strengthening of research skill through providing of systematic practicum and internship, seminar, workshops and writing thesis will prepare problem solving skills in complicated archival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기록관리학 교과과정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교과과정의 특성과 변화,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관련성, 기록관리학의 각 지식범주별 교과목의 수와 분포를 분석하고 앞으로 기록관리 교과과정의 개편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기록관리학과 비교하여 한국의 기록관리학은 지식범주별 공통필수 교과목이나 선수 과목 설정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기록관리의 탄탄한 토대를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함께 통합된 환경 안에서 정보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과 비판적 사고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둔 교과과정의 강화로 기록관리의 효율성을 높여야한다. 또한 체계적인 실습과 인턴쉽의 제공, 세미나와 특강, 논문 작성을 통한 연구 능력의 강화가 복잡해지는 기록관리 업무에서의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게 할 것이다.

      • KCI등재

        주제기록관 운영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김은지,한승희 한국기록관리학회 2022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2 No.1

        Special subject archives in different fields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stantly made so far, but no evaluation index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ves has yet been developed. Thus,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draft of the special subject archive operation evaluation index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opose the special subject archive operation evaluation index through a Delphi surve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ice, with 10 persons in charge of archiving thematic archives in 5 fields. Finally, a special subject archive operation evaluation index consisting of 4 evaluation categories, 10 evaluation items, and 28 detailed items was propo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was the first in Korea to develop and propose an operation evaluation index for special subject archives. 현재까지 여러 분야의 주제기록관이 설립 및 운영되고 관련 연구들도 꾸준히 진행되어왔으나, 주제기록관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지표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주제기록관 운영평가 지표(안)을 개발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주제기록관 운영평가 지표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제기록관 설립과 운영에 대한 연구와 국내⋅외 기록관리 평가지표 및 국내 유사기관 평가지표를 분석하여 주제기록관 운영평가 지표(안)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5개 분야 주제기록관 기록관리 업무 담당자 10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주제기록관 운영’, ‘자원관리’, ‘주제기록물 관리’, ‘기록정보서비스’의 4개 평가범주와 10개 평가항목, 28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주제기록관 운영평가 지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주제기록관의 운영평가 지표를 개발 및 제안하였으며, 본 지표는 주제기록관의 운영에 대한 평가 및 환류를 통해 주제기록관 업무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주제기록관의 기록관리 환경을 개선하며, 운영 및 업무 수행 시 도달하여야 하는 표준적이고 일관적인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심성보,Shim, Sungbo 한국기록학회 2007 기록학연구 Vol.0 No.16

        최근 국가기록원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등 한국의 주요 아카이브즈와 매뉴스크립트 보존소는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기록정보 서비스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에, 영국의 TNA와 미국의 NARA 및 LC에서 제공하고 있는 학생과 교사 대상의 기록정보 서비스 선진사례에 대한 분석과, 한국의 기록관리 현실 및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기록정보 서비스의 개발과정에서 발생할 주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생과 교사 대상의 기록정보 서비스는 '서비스 개발을 통한 이용 활성화'와 '기록관리 품질의 점진적 향상'이라는 목적하에 진행되어야 한다. 고객군은 '한국사 교수 학습 당사자로서의 학생과 교사'로 세분화하여 식별할 수 있다.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을 분석한 결과, 기록정보는 교수 학습자료용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록정보를 콘텐츠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비스의 성격은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로 개념화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를 개념화하고 구성한 후 실제로 개발하는 전 과정에서는 다음의 사항이 핵심적이다. 첫째, 고객 중심의 서비스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기록관리의 체계화와 전통적인 기록관리 서비스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용 서비스 담당자를 중심으로 한 협업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기록정보와 주제별 교수 학습활동이 연계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다섯째, 콘텐츠의 수량보다 콘텐츠의 품질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 여섯째, 다른 기관과의 서비스 제휴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한편, 초 중 고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2011년에는 모든 국사 교과서가 새로운 내용으로 보급될 예정이고, 서책형 교과서뿐만 아니라 디지털 교과서도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 비추어볼 때, 이 시기에 학생 교사 대상의 서비스가 획기적으로 발전된다면, 기록문화의 창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시기를 적극 활용하여, 한국사를 교수 학습하는 430만명의 학생과 1만 4천명의 교사가 한 학기에 한 번 이상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로 교수 학습하게 한다는 비전을 수립하고,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개발 보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진할 것을 제언한다. 첫째, '고객 중심의 서비스' 개념을 확립하고 체계화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심도 깊게 분석해야 한다. 셋째, 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기록관리 전문가집단과 교사집단의 전략적 협력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다섯째, 2011년까지의 단계별 추진 과제와 추진 일정을 수립해야 한다. 기록문화의 창달을 위한 알찬 씨앗이 초 중 고등학교에도 하루빨리 뿌려지기를 기대한다. Nowadays Korean main archives and manuscript repositories are planning to develop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their web sites. This study is aimed at discovering main issues of develop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finding a solution. The goal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r students and teachers is the promotion of use through launching service and the gradual growth of archival management program. The customer group is segmented into the students and teachers who are learning and teaching Korean history in classroom. As a result of analyz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archival information must be developed into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processing archival information into archival content is needed. Consequently the character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r students and teachers is conceptualized as archival content service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At every step of developing archival content service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next main points are considered and achieved. First, the strategy of customer-focused service must be the same from beginning to end. Second, the growth of traditional archival management(e.g. classification, description and finding aids) must be contributed. Third, the collaboration system leading by professional education staff must be organized. Fourth, the archival information must be related with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ifth, the quality of conte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quantity of it. Sixth, the networking with another agencies for cooperation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육군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전문직성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박민열,김기영 한국기록관리학회 2020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0 No.2

        공공기록물법 제정 20년이 넘었으나, 기록 외의 업무 등으로 기록관리 전문인력이 기록물관리에 몰입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기록관리 非 전문인력이 주류인 조직, 특히 개별 행위보다 부서장 중심 행위에 대한 몰입을 강조하는 육군에선, 기록물관리에 대한 몰입 및 전문성 발휘가 더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육군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전문직몰입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전문직성이 전문직과 조직에 대한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육군의 공식 승인을 받아 야전에서 기록물관리 임무 수행 중인 135명 중 104명(77.0%)으로부터 응답을 회수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평행모델을 접근법으로 채택하였다. 분석결과, 1) 전문직몰입과 조직몰입은 상호 보완적 관계로 이중몰입이 가능하며, 2) 자율성의 전문직성 강화가 오히려 조직몰입 향상에 기여한다. 3) 전문직성 중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전문직몰입은 높아지지만 조직몰입은 낮아졌으며, 가치관에 의한 갈등은 전문직몰입과 조직몰입 모두를 떨어뜨리는 이중몰입의 공통결정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非 전문인력이 주류인 조직에서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이 갖는 전문직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몰입 향상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the profess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the effe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he dual commitments to the organization and the profession. After establishing concep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study designed a questionnaire survey in which 104 out of 135 (77.0%) record management field officials responded. This study provides a firm basis for urging the army to change its perception toward record management professionals’ specialty and their commitment to the profession. Furthermore, this change will ultimately lead to a higher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