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갱신 방안 연구 -루터·칼빈·웨슬리의 회중찬송을 중심으로-

        정창은 ( Jung Chang Eun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8 기독음악·문화 Vol.3 No.-

        본 논문은 루터와 칼빈과 웨슬리의 회중찬송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바른 정립과 함께 갱신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루터와 칼빈과 웨슬리의 예배음악에 사용된 회중찬송을 신학적, 예배학적, 음악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한국교회 예배음악을 갱신하는데 있어 당시 회중찬송에 사용된 좋은 장점을 찾아내어 한국교회 예배음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현재 한국교회 예배음악에 표출되는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첫째, 현행 찬송가에는 찬양의 대상이신 하나님을 직접 경배하며 찬양하는 곡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기성세대와 신세대들이 각자 선호하는 찬양이 다른데서 오는 괴리감으로 인해 함께 찬양을 온전히 하나님께 드리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상을 들 수 있다. 셋째, 한국교회 예배음악은 교회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데서 오는 찬양선곡의 문제가 드러난다. 넷째, 한국교회 예배음악은 찬양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신학사상이 없는 곡들이 난무하는 문제점이 표출되고 있다. 다섯째, 전문적인 교회 음악인이 부족한 실정 등이다. 현재 한국교회 예배음악은 예배에 어떤 찬양을 부를 것인가에 대한 바른 정립이 없는 상황이기에 예배음악으로 적합하지 않은 찬양곡이 많이 표출되고 있다. 그러므로 루터와 칼빈과 웨슬리의 예배음악에 사용된 회중찬송의 장점을 토대로 하여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바른 정립과 함께 갱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Based on congregational hymns of Martin Luther, Jean Calvin, and John Wesley, this thesis concerns renewal methods of worship music in Korean churches. This study revolved around Luther, Calvin, and Wesley’s life, theology, worship theology and worship music. In this thesis I also analyzed congregational hymns of Luther, Calvin, and Wesley from 3 different angles that are theology, worship theology and worship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rong points used in the congregational hymns of Martin Luther, Jean Calvin, and John Wesley in order to apply to the worship music in the present Korean churches. I pointed out the problems expressed by the Korean Church service music as follows. First, there is lack of worship music which directly worships and praises God, who is the subject of worship. Second, unfortunately it is a difficult problem that all ages sing together to God due to the different preferences of music style. Third, selection songs without church calendar is another issue. Fourth, because of insufficient education, many worship songs without theology are released. Fifth, there are not enough professional church musicians. Now more than ever, it is vital that Korean Church should establish what to sing during the service. Therefore, to provide ways of renewing Korean Church worship music, I studied on congregational hymns based on theology of Martin Luther, Jean Calvin, and John Wesley. And I am sur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some ways for renewing Korean Church worship music.

      • 관계 회복을 위한 도구로서의 교회음악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으로-

        장연희 ( Jang Yeonhee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7 기독음악·문화 Vol.2 No.-

        음악은 인간에게 영향을 끼치고, 인간은 음악을 통해 영향을 받으면서 서로 관련을 맺고 있다. 교회음악 역시 인간과 관계를 맺으며, 인간의 행동 및 환경과 다양한 영역들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교회음악은 또한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의 모습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나님과 인간의 일대일 관계 안에서 작용하는 교회음악의 역할과 교회음악이 지니고 있는 관계성을 심리학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논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대상관계이론의 중간현상과 같은 개념으로서의 교회음악을 살펴보고,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본질적인 관계’를 회복하는 과정에 도구로서 역할을 할 교회음악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교회음악이 관계 회복의 도구로 사용되는 것은 영적 생명을 살리는 일에 동참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논의들은 앞으로 교회음악의 참다운 의미와 가치를 위해 추구해야 할 방향성을 찾는데 기여할 것이다. Music and humans establish a relationship as music affects humans and humans are influenced through music. Church music also relates with humans and affects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human behavior and surroundings. Church music, which has relationship with humans, takes shape in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Go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ole of church music in a one-to-on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God, and the relationships that church music holds are discussed based on the objects relations theory of psychology. In detail, church music is examined as a concept such as a transitional phenomenon of object relations theor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church music that acts as a tool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God through Jesus Christ is discussed. The use of church music as a means of restoring relationships will play a part in saving spiritual lives and also contribute to finding the direction that church music should pursue for its true definition and value in the future.

      • 교회음악의 정체성에 관한 소고

        임현식 ( Hyun Sik Lim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5 기독음악·문화 Vol.1 No.1

        오늘날의 교회음악에 대한 정의들 대부분은 교회음악이 가지고 있는 매우 다양한 내용과 형식을 포괄한다는 면에서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그 내용이 과도하게 포괄적이어서 교회음악의 정체성 확립이나 추구해야 할 방향성을 분명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서로 다른 음악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반목과 대립의 단초가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회음악 정체성 확립의 근본적인 토대가 될 수 있는 교회음악의 정의는 무엇인지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는 다원화된 패러다임이 공존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교회음악의 정체성 부재가 가져온 문제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찬양의 본질적인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교회음악의 정의에 포함되어야 할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논의할 것이다. Most of the definitions of today``s church music seem to have validity in that the definitions embrace a wide variety of diverse contents and forms of church music. However, the contents are so excessively comprehensive that such definitions have a problem resulting from the failure to clearly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church music, or directivity for church music to pursue, and such an aspect works actually as the beginning of enmity and conflict between the people having separate musical backgrounds. Hereupon, this paper is aimed at seeking what the definition of church music, which could become a basic found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church music, really is. For this purpose, first, this paper is going to look into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sence of identity of church music in circumstances of the times when the multi-layered paradigms are co-existent, and discuss ``what is the essential meaning of a praise, and what are the concrete cont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church music`` in order to make realistic alternative ways to cope with the problems.

      • 한국 CCM 록의 수용과 발전

        이윤종 ( Lee Yoon-jong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7 기독음악·문화 Vol.2 No.-

        본 연구는 이론적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록음악이 CCM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하게 되는지 현황을 분석하고, 다양한 대중음악의 CCM 수용과 향후 발전방향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독교계의 부분적인 배척과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CCM 록은 CCM 음악가 및 기독교인들에게 분리적, 통합적, 변혁적으로 수용되어 왔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대중음악의 발전적 수용 방안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첫째, CCM 록 등 대중음악 장르가 지닌 광범위하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특성에 대해 배타적 태도를 보이는 것은 문화적인 다양성에 대한 무시와 무지를 담는 것이다. 둘째, 록 등 다양한 장르별 특성을 활용하여 CCM을 세대별, 문화별로 세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대중친화적인 접근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즉, 교회는 보다 진취적이고 범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위해 열린 태도를 취해야 한다. 넷째, CCM 록의 사회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해야 하듯, 장르의 편식 없이 어떠한 음악장르이건 하나님의 창조물임을 인정해야 한다. 다섯째, CCM 음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록 음악을 비롯해서 다양한 음악과 악기를 배우고 비판적으로 활용하여 예술적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ultural, theological and sociological background of Christian Contemporary Music (CCM)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Rock music in CCM field through the interview of CCM musicians in Korea in order to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n CCM. From a theological point of view, CCM has been criticized for secularity, ungodliness, vulgarity, and commercialism. However, CCM shows a positive aspect as a means of communicating the Word of God, a tool or an art that expresses God. CCM has been influenced by the genre of rock music and has partially or wholly accepted and utilized the rock genre from the beginning. Interviews of ten CCM musicians in Korea in this study proved that CCM in Korea plays a separational, integrational, transformational role in Christian music and Christian life. CCM musicians have agreed that the high quality music itself can contribute to the positive use of CCM. In order for CCM to develop as a whole in Christian culture, it would be a better strategy to culturally expand it than to make unnecessary efforts to exclude popular culture.

      • 수학이론을 적용한 음악분석에 관한 연구

        구태겸 ( Koo Tae-kyeom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8 기독음악·문화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에 활용된 수학이론들을 알아보고, 그것이 어떻게 음악작곡에 연관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음악과 수학의 연관성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피타고라스가 현의 길이와 음정의 관계를 알아낸 것을 시작으로 진동수와 음정과의 관계, 순정율과 평균율 계산에 이르기까지 수학을 이용한 연구가 발전해 왔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사용되는 많은 작곡 기법들이 수학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황금분할, 피보나치수열, 루카수열, 중심축이론, 집합이론, 추계이론 등이 그 이론들이다.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팔레스트리나, 버르토크 등 적지 않은 작곡가들이 이런 이론들에 바탕을 두고 작곡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이론들이 적용되었다고 예상할 수 있는 버르토크의 <루마니아 포크댄스 5악장>을 수학이론에 대응하여 연구함으로써 음악 분석의 수학적 영역을 확장시켰다. 또한 일반적 분석방법은 배제하고 수학적 규칙과 관련된 측면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황금분할, 피보나치수열과 중심축 시스템이 적용되는 부분을 찾아 그것이 어떻게 음악 작곡에 연관되는지를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mathematical theories applied to music and show how they related to the music compos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music and mathematics has been studied by many scholars. Started wit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string and pitch by Pythagoras, the study was advanced from the connection between frequency and interval to the calculation of pure temperament and temperament. Many composition skills, which have been used from ancient times to nowadays, are basically based on mathematics like Golden Section, Fibonacci Sequence, The Axis System, Lucas Sequence, Set Theory, Stochastics and so on. Not a few composers like Bach, Mozart, Beethoven, Palestrina, Bartok are known for using these theories when they compose. I’d like to expand the domain of music analysis by researching and matching the song < Rumanian Folk dances 5th movement > by Bartok, which used these composition skills and mathematics theories. This thesis has been researched with the aspect of mathematical regulations as the center, and excluded the common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I found how Golden Section, Fibonacci Sequence and The Axis System are applied and how they relate to music composition.

      • 우리말의 장단과 강세를 활용한 찬송가 선율작법

        천봉화 ( Cheon Bong-hwa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9 기독음악·문화 Vol.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말 속에 들어 있는 리듬과 선율을 음악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함으로 우리말의 고유한 특성을 살린 한국적인 찬송가를 만들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데 있다. 우리말의 장단(length)과 강세(stress)를 활용하여 한국적인 정서와 느낌을 잘 표현한 많은 찬송들이 나오도록 도우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우리말에서 작곡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운소, 특히 장단과 강세를 응용해 찬송가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리말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선율화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말의 장단, 강세, 말토막, 말마디에 따라 리듬을 만든다. 그 다음 1차 리듬에 강세와 핵억양(unclean tone)의 높낮이를 적용해 2차 선율을 만든다. 이때 가사가 가고자 하는 방향과 선율이 가고자 하는 방향이 서로 상충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두 방향을 서로 절충하여 3차 선율을 만들어 곡을 완성한다. 이렇게 하면 장단과 강세를 적용한 한국적인 찬송가를 만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ncrete method to musicalize the melody and rhythm contained in Korean language and to help Korean hymns to make good us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The purpose is to help making many hymns that express Korean emotion and feeling well by utilizing length and stress of Korean language. In this paper, we will study how to make a hymn by utilizing the prosodeme-especially length and stress- to has a lot of influence on the composition in Korean language. The concrete method for musicalization of melody to exist in Korean language is as follows: First step is making rhythm according to the length, stress, rhythm unit, intonation group of Korean language. Then we make the second melody by applying high and low of stress and unclear tone on the first melody. If we proceed like this, it happens the case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lyrics are going to go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lodies are going to go confli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we make the third melody by making a compromise tow directions, and complete the song. This way, we can make Korean hymns applied to length and stress.

      • 태블릿 PC 가상악기의 찬양대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백기한 ( Baek Gi Han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7 기독음악·문화 Vol.2 No.-

        본 논문은 오늘날의 교회음악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7개의 실제악기(바이올린, 첼로, 트럼펫, 호른,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소리와 일반에 보급되어 있는 대표적인 음악 어플리케이션(개러지밴드, 뮤직스튜디오, 샘플탱크, WI오케스트라)의 가상악기 소리를 비교분석하여 상호간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바이올린, 오보에, 클라리넷 등은 실제악기의 선호도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첼로, 트럼펫, 호른, 플루트, 클라리넷 등은 오히려 가상악기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실제악기와 가상악기의 유사성이 나타났다는 사실은 예배에서의 태블릿 PC 가상악기의 사용은 기능적 적합성 면에서 일정부분 타당성이 있으며,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질수록 그 영역은 더욱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가 교회음악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irtual instruments in tablet PC and the real instruments. The study also tried to suggest a way for virtual instruments to be used in the church choir. Therefore, the sound of frequently used seven real instruments (violin, cello, trumpet, horn, flute, oboe, and clarinet) in churches today and the sound of four music applications (GarageBand, MusicStudio, SampleTank, WIOrchestra) commonly used by the public were analyzed in order to study their and differences. The study method comprised of survey. The surve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sound (dynamics, vibrato, timbre etc.), analyzed the congruence of expected sound to the actual sound, and investigated the participants’ preferred sounds for each instrument by allowing them to hear the instruments in order to weigh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virtual instruments in the church choir.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instruments, such as, violin, cello, oboe, and clarinet, received a greater preference. In contrast, instruments, such as, cello, trumpet, horn, and flute, received a greater preference. In conclusion, the fact that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real instruments and virtual instruments justifies the utilization of tablet PC’s virtual instruments in the church in terms of their functional adequacy. One could observe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in this area as the technology develops in the future and,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virtual instruments in the church.

      • 국악찬양 콘텐츠 개발 연구 -시조 찬양을 중심으로-

        정설주 ( Jung Seol-joo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8 기독음악·문화 Vol.3 No.-

        본 연구는 전통성악곡인 시조를 활용한 새로운 찬양곡의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예배찬양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우리숨소리 문화예술단의 ‘2화4목 예배’의 시조찬양이다. 국악찬양의 콘텐츠로 개발된 시조찬양은 신학적인 관점에서 ‘렉시오 디비나’의 기능을 가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말씀과 묵상, 기도를 통하여 예배찬양으로 개발된 시조찬양은 예배의 경건한 분위기를 높여주고 주제 말씀을 깊이 묵상할 수 있는 기독교한국음악의 한 분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creating new contents of christian praise songs using Korean traditional vocal genre, Jeongga. The subject for the research is Sijo changyang (lit. Korean traditional Jeongga style christian praises written with Korean traditional poetry in three stanzas) currently performed at the “2 hwa 4 mok service (lit. services on the second Tuesday and the forth Thursday of every month)” by Woorisoomsori association, inc., Korean traditional cultural performance group. It could be considered that Jeongga chanyang developed as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christian praise have the same functions as ‘Lection Divina’ has o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y. Therefore, Sijo chanyang could be settled down as Korean christian music genre by boosting reverential mood at the service and helping people meditate on Biblical expression deeply.

      • 제4차 산업혁명시대 음향체제로의 새로운 접근 -무지향 스피커: 오메가 개발을 중심으로-

        김종성 ( Kim Jong-sung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9 기독음악·문화 Vol.4 No.-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사가 되고 있다. 그 이유는 4차 산업혁명의 중요 특징이 융합성과 다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그 혁명의 핵심은 Big data 분석,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무인운송수단, 나노기술과 같은 6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혁신으로 21C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4차 산업혁명에 즈음하여 교회 음향체제 역시 기술혁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이유는 기존 음향체제가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 스피커의 최대의 단점이 지향각도의 한계(통상 60도-120도내) 때문에 실내의 소리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많은 스피커를 설치하여 구동함으로 인하여 소리의 중첩이 생기게 된다. 이 같은 음향체제의 최대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저자는 금속인 동(銅)을 무지향 스피커 제작에 사용하여 소리의 중첩을 막고 국내 최초로 360도 스테레오 포닉을 실현하는 무지향 스피커-민성 6호인 오메가를 개발 하여 특허를 획득하였다.(특허출원 10-2002-0014911) 본 연구의 중요 목적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병행하여 교회음향체제의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360도 스테레오 포닉을 실현하는 무지향스피커(omni-directional speaker) 개발에 중요 목적을 두었으며, 그 구체적인 목적으로 (1) 무지향 스피커 제품개발의 동기를 기술하고, (2) 설계방식과 구조적측면에서 무지향스피커와 기존 스피커의 차이점을 밝히며, (3) 무지향 스피커의 음향 특성을 제시하고, (4) 마지막으로 음향에 무지향스피커를 도입하는 방식과 적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두었다. 본 저자가 개발한 무지향스피커 민성6호, 오메가는 기존 스피커와는 달리 무지향성 음향재생을 통해 실내 연주 소리를 그대로 재생시키는데 크게 기여함과 동시에 오디오는 물론 교회음악 연주에 있어서도 실제 소리와 가장 흡사한 자연스러운 소리를 생성하는 강점을 지니고 있어 앞으로 교회 실내 악기 연주 재생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comes major concern throughout the worl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current and developing environment in which disruptive technologies and trends such as Big data Statistical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 Engineering, Intennet of Things (IoT), Self-driving Cars, neuro-Technologies are changing the way we live and work. It is characterized by a range of new technologies that are fusing the physical, digital and biological worlds. In addition to the rapid changing wave of current society, the innovative technologies are vitally required for the advancement of current acoustic system. Today, most of churchs' acoustic systems are designed by array of speakers. However, the deficiency of the existing speakers is the limitation of the angle of Beam spread (60-120 degree), sound waves travel in approximately straight lines, bouncing off hard surfaces or being absorbed by soft ones. The sound from preaching and church music in a large spaces with hard walls will bounce around a long time before it dies out. Even if churches install a number of speakers in the space, sound bouncing are being raised. This kind of sound bouncing hinders the real sound all the time. In order to solve sound bouncing in church space, the writer of this study developed an omni-direction speaker called Minsung 6: OMEGA using metal cooper, which covers 360 degree of stereo-phonic. The writer recived an official license from the Governmental Licence Authority (10-2002-0014911).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mni-directional speaker :OMEGA which is a new approach to the acustic system.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st, to describe the motivation of developing omni-directional speaker: OMEGA. 2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ing devices of the omni-directional speaker and existing speaker. 3rd, to describ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veloped omnidirectional speaker. Finally, to present adoption methods of the omni-directional speaker, and its application means. It is expected that the omni-directional speaker called Minsung 6 :OMEGA be contributed to raise natural and real sound of the church musical performance or concert.

      • 경배와 찬양 예배 콘텐츠 제작을 위한 효과적인 드럼 설치방법 연구

        김장순 ( Kim Jang-soon ) 한국기독교음악학회 2019 기독음악·문화 Vol.4 No.-

        현대는 한 개인이 과거 방송 매체를 통해 접하는 수동적으로 시청만하는 수동적 콘텐츠 시대가 아니라 이젠 직접 콘텐츠 제작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능동적 콘텐츠 시대라 할 수 있다. 시대를 따라 교회도 콘텐츠 제작 시스템 등을 도입하여 콘텐츠를 소비하기도 하고, 제작해서 배포하기도 한다. 드럼 사운드를 다른 악기와 분리하는 것은 콘텐츠 제작에 있어 중요하다. 드럼은 음압이 크기 때문에 다른 악기와 같이 녹음할 때 다른 악기 마이크에 드럼 사운드가 입력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출, 아크릴 드럼 쉴드, 간이 부스, 고정형 드럼 부스 설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장·단점을 비교하여 현실적으로 좋은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노출 설치를 제외하고 각각의 방법은 드럼 사운드를 다른 악기 사운드와 구분하기에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그 중 고정형 드럼 부스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가장 현실적인 것은 간이 부스로 드럼 사운드의 완벽한 분리는 아니지만 소형 녹음실에 와 있는 것 같은 효과를 저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예배 악기 중 드럼을 효과적으로 콘텐츠화 하는 것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It is now an era of active content that an individual directly and indirectly participates in production of content rather than passively receive the contents which have been produced in the past Churches also join the era of active content. They positively introduce 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then produce, consume, and distribute contents. Among them, the number of churches that produce worship and worship services as content has been on the rise in recent years, which are creating content with great care in video and sound. This is because digital technologies have enabled it easy and affordable to create contents. Drum is a musical instrument that has a high level of sound pressure, and an even sound from a low-pitched area to a high-pitched area. For this reason, drum sounds tend to be captured through the microphones of other instruments when recording with other instruments. If recording works for several instruments are processing in one place, as each instrument has its own microphone, it is immensely difficult to capture the only sound you want owing to the interference of the sound. Therefore, it is highly important to separate drum sounds from other instruments in content production. This paper suggests four possible ways. It explains about exposed installation, acrylic drum shield, isolation drum booth, and fixed drum booth, compar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o find out what realistic methods are. Except for exposed installation, although each method is a good way to distinguish drum sounds from other instrument sounds, the best way is to install a fixed drum booth. On the other hand, what is most realistic is that the isolation drum booth is not the perfect separation of drum sounds, still it can embody the effects like being in a small recording studio at a low cost. Through this study, we will refer to the effective contenting of drums on worship and praise services. Furthermore, an objective method will be provided once again by accumulating data through measu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