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육군의 군사교리 정의와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 - 미국 육군교리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천민권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3 한국군사 Vol.13 No.-

        군사교리 연구에 있어 “군사교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은 중요하고 또 기본적이다. 정체성은 여러 면에서 설명되는데, 본 연구는 그중에 정의와 위상을 다루었다. 현재 한국 육군에 있어 이러한 군사교리의 정의와 위상이 모호하여 이것을 제대로 정립할 필요가 있고, 그래서 “군사교리의 정의가 무엇인가?” 그리고 “군사교리의 위상이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육군에 있어 군사교리의 정의와 군사교리의 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성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범위와 방법은 한국 육군교리에 많은 영향을 미친 미군 교리 특히 육군교리의 문헌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때 분석결과의 시사점 중에서 궁극적으로 한국 육군교리 발전을 위해 합리적으로 수용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를 식별하여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두 가지이다. 먼저 정의에 대해서는 <군사작전의 근본원리에 집중하는 지식체>로 정립함으로써 군사교리의 대상이 군사작전이며, 전술·전기·절차보다 근본원리에 집중케 하고, 군사작전의 계층구조를 원리의 계층구조로 설명하며, 무엇보다 공개된 지식으로 연구와 토론을 가능케 하였다는 것이다. 다음 위상에 대해서는 군사교리를 군사교리가 아닌 다른 지식체와 구분하고, 특히 군사교리의 출처와 교리 자체 그리고 교리의 적용을 각각 구분하고 연계를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시사점은 모두 타당하며 한국 육군교리 발전을 위해서도 수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한국 육군에게 있어 연구목적 달성 외에 나름의 의의가 있다. 그것은 첫째 군사학의 학문체계와 지식체계를 더욱더 구조화하였다는 것이며, 둘째 군사교리 발전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발전을 위한 논쟁의 장을 마련케 하였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군에서 지식존중의 문화를 정착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군 해외파병 50년 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박동순(Park, Dong-sun)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8 No.-

        한국군의 해외파병은 50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다. 한국은 1960년대 후반 베트남전쟁에 전투부대를 파병하였고, 탈냉전을 맞은 1991년 7월, UN가입을 계기로 ‘국제평화활동’에 파병하게 되었다. 한국의 국제평화활동은1990년대는 UN PKO에 참여하였고, 2000년대 초, 9・11사건 이후에는 ‘테러와의 전쟁’에 동참하여 다국적군 평화활동 위주로 파병하였다. 2010년대 이후 해외파병은 ‘포괄적 안보’ 개념으로 ‘국방교류협력활동’ 등으로 다양화되었다. 한국은 지난 50여 년 간 해외파병을 통해 안보·경제·군사적인 면에서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다. 해외파병의 환경과 요구는 끊임없이 변화해 왔고 또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러므로 과거의 파병사례를 분석하여 평가하고 미래의 파병 가치와 방향을 찾는 연구는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50년 간 한국의 해외파병 활동을 시대별로 회고하고 파병의 환경과 특수성을 규명할 것이다. 그리고 최근 국제사회의 파병 요구와 추세를 바탕으로 향후 해외파병에 대한 방향과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국의 해외파병은 국제 평화에 대한 기여는 물론 국가 위상 제고와 군사적 발전의 유용한 전략이다. 해외파병활동은 지구촌의 평화와 행복을 공존하게 하는 관심사이자, 한반도의 통일을 대비하기 위한 ‘블루오션’으로 장기적인 국가전략과 대비가 절실한 과제이다. The Republic of Korea military"s overseas dispatch has a history that stretches back over 50 years. Korea dispatched combat troops to the Vietnam War in the late 1960s, as part of the Post Cold-War, Korea joined the United Nations in July 1991, and this led to continuo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Peace Operations.” For examples, in the 1990s Korea mainly took part in the “UN Peacekeeping Operations” and in the early 2000s, especially during the 9/11 incident, it entered the “war on terrorism” and conducted peacekeeping operations as being part of “Multinational Forces Peacekeeping Operations”. Since the 2010s, Korea has diversified its dispatch of troops oversea through the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with other countries under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ecurity.’ Korea has achieved various achievements in politics, economy, security, and military terms through overseas dispatch for the last 50 years. The overseas dispatch environment and demands for dispatching troops overseas have changed and will continue to do so.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appraise and review the past accurately and estimate a future value and direction of overseas dispat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first review and evaluate overseas dispatch activities over the past 50 years per period, and examine the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ROK military"s overseas dispatch.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cent international community"s demands for, and trends in sending troops oversea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and policy suggestions for overseas dispatch of Korea military. The overseas dispatch of the ROK military has not only contributed to international peace and stability, but has also become a fruitful tradition that enhances its position on the world stage and military development. Given that overseas dispatch of armed forces is an issue considered to promote coexisting peace and happiness in the global village and create "Blue Ocean" that promotes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reparation of a long-term national strategy should be done and the military"s preemptive measures should be taken immediately.

      • KCI등재

        비군사적 위협 증가에 따른 중국의 군사적 대응태세 변화

        라미경(Ra, Mi-kyoung)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18 한국군사 Vol.4 No.-

        본 연구는 비군사적 위협 증가에 따른 중국군의 대응태세 변화에 대한 분석이다. 전통적 안보에 대한 중국군의 인식이 비군사적 안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1949년 신중국 건설이후 중국의 안보관과 군사전략의 변화를 통해 전통적, 군사적 안보위협에서 포괄적, 비군사적 안보위협으로 전환되는 배경과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최근 비군사적 위협은 그 위협의 정도나 내용 면에 있어서 더욱 증대되고 있으므로 국제안보환경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국 시진핑 정부는 2015년 중국의 군사전략에 관한 국방백서를 발간하면서 군사적 위협과 비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중국군의 전략적 임무를 명시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과의 경쟁관계 속에서 세계 G2의 시대를 열어가고 있으며,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고 중국의 부상은 한국의 안보전략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ina`s response to the increase in non-military security threats in the G2 era. China"s perception of traditional security is changing to emphasize non-military security. In this study, we will look into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ransition from traditional and military security threats to comprehensive and non-military security threats through examining the changes in China`s security and military strategies after the creation of the New China in 1949. Recently, the degree and content of non-military security threats are increasing and as a result the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are also increasing. The Xi Jinping`s China, therefore, published defense white paper for its military strategy in 2015, stating that the key Chinese military"s strategic missions was to respond to military as well as non-military security threats. The U.S. and China are in a competitive relation and yet are the important pillars of the G2 World. Given that China is growing steadily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fields, the rise of China is now becoming a far more important factor in Korea"s security strategy.

      • KCI등재후보

        병역자원 감소에 따른 한국군 병력구조 개편 발전방향 연구

        고시성(Ko, Si-Seong)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8 No.-

        현재 한국군은 인구 절벽시대 도래에 따라 병역자원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군의 병력구조 개편과 관련한 주요 쟁점을 논의하고 미래 한국군의 적정 병력 규모에 대한 예측과 그에 따른 발전방향 및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는 151개 국가 중 GDP상위 50개국 표본 국가를 선정하여 인구, 국방비, GDP, 분쟁여부 등 5가지 변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치로 한국군의 적정 병력규모를 예측하였으며, 2022년부터 2050년 이후 까지 중·장기 가용 병력자원 수급 전망에 따른 상비병력 규모를 판단하였다. 2022년도 국방개혁에서 목표로 하는 상비병력 50만 명 유지에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연구결과 미래 한국군 상비병력은 예비전력 정예화와 국방민간인력 활용, 4차산업혁명기술을 적용한 첨단과학기술군을 전제로 하여 최대 45만 명에서 최소 35만 명이라고 예측되었다. 이와 같은 급격한 병력규모 감축은 많은 혼란과 반론이 예상됨에 따라 미래 한국군의 상비병력은 북한과 주변국의 위협을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하되 단계별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감축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불어 한국군 병력구조 개편 발전방향으로 국방 인력구조 조정 및 배합, 상비병력의 질적 구조 개선, 전문화·효율화된 병력구조로 개편, 예비전력 정예화 달성, 전쟁수행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병력감축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major issues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military force structure of the ROK military, and to present a predic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appropriate size of the military force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uture standing troops of the ROK military were predicted to be at least 450,000 to at least 350,000 on the premise of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rmy that appli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s well as the use of elite reserve forces and the use of defense civilians. As such rapid reduction in the size of the troops is expected to result in a lot of confusion and opposition, it was judged that the standing troops of the future ROK military will remain stable in consideration of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but can be reduced when the conditions for each stage are met. In addition, the restructuring of the ROK military force structure was reorganized and combined with the defense manpower structure, improved the qualitative structure of the standing troops, reorganized into a specialized and efficient troop structure, achieved an elite reserve force, and suggested alternatives for troop reduction follow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paradigm of warfare.

      • KCI등재후보

        9.19 남북군사합의 이행평가와 향후 한반도 군비통제 추진방향

        김재철(Kim, Jae-chul)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7 No.-

        ‘9.19 남북군사합의’는 한반도 군비통제의 가능성을 보여준 담대한 출발이었다. 2018년 10월부터 진행된 ‘상호 적대행위 중지’를 비롯한 ‘JSA 비무장화 조치’, ‘DMZ 내 GP 시범적 철수’ 등 초기 이행들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획기적 조치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2019년 2월 하노이 핵협상이 실패로 끝난 이후부터 북한은 소극적 태도로 돌변하였으며, 이후 ‘9.19 남북군사합의’ 이행은 더 이상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 ‘9.19 남북군사합의’ 이행의 재개를 위해서는 ‘남북 간 군비통제’와 ‘북미 간 비핵화 회담’ 사이에 선순환 관계가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정지되어 있는 남북 간 군비통제의 재가동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는 남북군사공동위원회 구성이다. 아울러 ‘9.19 군사합의’ 성과를 확대해 나가기 위해서는 교류와 접촉을 통한 ‘군사적 신뢰구축 방안’과 접경지역의 군사위협을 실질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운용적 군비통제 방안’을 새롭게 모색해 나가야 한다. The ‘9.19 South-North Korea’s Military Agreement’ was a bold step that tested the possibility of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 The initial performances that took place in October 2018 were “the cessation of military hostility,” “the disarmament of the JSA,” and “the demonstrational withdrawal of Guard Posts within the DMZ,” and they have been evaluated as innovative actions for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North Korea has become reluctant to move forward since the U.S.-North Korea nuclear negotiation in Hanoi in February 2019 ended in failure, and the two Koreas have not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implementing their 9.19 Military Agreement. In order to resume the implementation of the 9.19 Military Agreement, there should a good circulation relationship beetween the ‘South-North Korea’s arms control’ and ‘the U.S.-North Korea denuclearization talk’. Also, the two Koreas’ most urgent task is to organize the inter-Korea military council to restart their arms control. To expand the accomplishments of the ‘9.19 Military Agreement,’ it is necessary to explore ‘military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through ‘exchange and contact’ and ‘optional arms control’ to lift military threats along the South-North Korean border areas.

      • KCI등재후보

        체계이론(System Theory)을 적용한 한미연합방위체계 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정형희(Jung, Hyoung-Hee),김주찬(Kim, Ju-Chan)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8 No.-

        비대칭 군사동맹으로 형성된 한미연합방위체계는 1954년 미군 의존적 통합형 구조로 형성된 이후 한국의 정치적 자주성과 방위역량이 향상되면서 협력적 통합형, 협력적 절충형 구조로 진화, 발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만, 현재 구조가 자주 가치와 한국방위라는 군사적 목표를 구현하는 최적의 구조인가? 라는 점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체계이론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한미연합방위체계 구조변화에 대해 군사적 목표, 행위요소, 구조 간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정책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한미연합방위체계 구조변화는 한국의 국가가치인 자주 가치 향상이라는 지향성을 가지고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한미연합방위체계의 구조는 의존적 통합형에서 협력적 절충형으로 한국군 군사력 운용의 자율성은 제고되었으나, 핵무기를 포함한 WMD 등 비대칭 위협 대응능력의 제한으로 군사적 목표, 행위요소, 구조 간 불균형과 복잡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자주 가치구현을 위한 한미연합방위체계 구조변화 시 구성요소인 군사적 목표와 행위요소, 구조 간 균형성과 상호연결성에 세밀한 관심이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ructural changes from a new perspective of system theory in order to derive policy meaning by focusing on correlation between component elements and structure. Through research,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ROK-US combined defense system have been driven by the direction and pattern of ROK pursuing autonomy, while the US maintaining strategic flexibility and influence. In addition, as Republic of Korea’s national power and defense capabilities were enhanced while its autonomy was highlighted, the autho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xpanded despite its relatively inferior capabilities. Which caused complexity and friction points by overlooking correlation and balance of the structure between military goals and action elements in the combined defense system that values military efficiency and integration. Therefore, when the structure of the ROK-US combined defense system should change for the sake of realizing the Republic of Korea’s autonomy, detailed attention is required on the correlation and balance between component elements such as military goals and action elements.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국방혁신의 과제

        김강녕(Kim, Kang-nyeong)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7 No.-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국방혁신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특징, 선진국의 국방과학기술 개발동향과 군사혁신모델, 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의 국방혁신의 향후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각종 무기체계에 반영되어 전쟁을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전장은 사이버·우주로까지 확대되고, 전투는 로봇이 인간을 대신하는 무인 로봇전으로 진화하고 있다. 국방부가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단’의 구성·운영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향후 추진단은 4차 산업혁명이 군사·국방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통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미래전 대응방향을 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의 국방혁신 향후 주요과제로 ① 선택과 집중에 의한 게임체인저 핵심능력의 강화, ② 기술격차의 극복과 민관군산학연의 협력, ③ 한국형 상쇄전략의 모색·추진, ④ 미래전 대비 인재양성 등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OK’s defense innovation tasks.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After an introduction,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adv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hird chapter explains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in advanced countries and their military innovation models. The fourth chapter explores future tasks of ROK’s national defense innov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fifth chapter provides a conclus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are now being reflected in various weapons systems, transforming war into a completely new one. This new war has expanded from traditional battlefields to include to cyber and space, and the nature of warfare is evolving into unmanned robot warfare in which robots replace humans. It is encouraging th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Smart Defense Innovation Promotion Group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uture, the Group will have to make a practical and effective response to future wars through analyzing the impa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military and national defense. The ROK’s major tasks for defense innovation in the future include ① strengthening the core capabilities of game changers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② overcoming the technological gap and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the private, military, and academia; ③ seeking and promoting Korean-style offset strategies; and ④ fostering talent in preparation for future battles.

      • KCI등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1년이 한반도 미래전에 주는 함의 - 군중 속의 전쟁과 다영역(Multi-Domain) 유·무인 복합전 -

        허광환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3 한국군사 Vol.13 No.-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강대국과 약소국의 비대칭 전쟁, 미국 중심의 서방측을 대표하는 대리전, 우방국의 군사적 지원을 토대로 하는 국제 협력전, 러시아의 제한전, 우크라이나의 총력전 등 그 성격도 복잡하다. 그렇다 보니 이 전쟁을 바라보는 관점도 다양하고 평가도 제각각이다. 이 연구는 공격적 현실주의 입장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1년을 분석하였다. 이번 전쟁은 구소련이 붕괴하고 테러와의 전쟁이 군사작전의 전형이 되어왔던 기존의 인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쟁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이 담고 있는 함의를 분석하고 교훈을 얻고자 하는 노력은 한반도의 안보와 미래전 연구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함의 분석은 군사전략, 군사력 운용, 군사력 건설의 관점에서 전쟁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쟁 수행방식을 규정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현 전선 교착상태의 결과는 러시아의 군사전략 및 군사력 운용의 실패, 우크라이나의 창의적 군사력 운용에 있음을 식별할 수 있었다. 이번 전쟁이 한반도의 안보와 미래전에 주는 함의는 한국은 중국의 북한지역 무력 침공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비의 방향은 첫째, 한반도 주변국인 인도, 베트남, 필리핀, 호주 등과 군사협력 강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둘째, 중국의 무력 침공을 거부할 수 있는 비대칭적 대응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폐쇄된 북한 사회를 개방하기 위한 인지전(Cognitive Warfare)을 시작해야 한다. 넷째, 한국이 주도하는 한·미 연합방위체제를 발전시켜야 한다. 다섯째, 국민의 정신 무장 확립정책으로 호국정신 함양 교육을 제도화할 필요성 검토 등이다. 근본적으로 미래전은 전쟁과 평화 사이의 중간 영역인 회색지대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적과 아군의 구분이 어렵고, 군사적 위협과 비군사적 위협이 혼재하며, 보이지 않는 영역에서 국가 간의 의지와 능력이 복잡하게 충돌할 수밖에 없다. 즉 군중 속에서 유·무인 복합전이 시행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전쟁방식에 대비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동북아 국가의 한국에 대한 회색지대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반길주(Ban, Kil-Joo)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7 No.-

        모호성, 전략적 점진주의로 가동되는 회색지대전략이 동북아에서 구사되고 있지만 이런 역학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특히 한국은 북한, 중국, 일본의 회색지대 강압의 타겟이 된 지 오래지만, 상쇄전략은 아직 없는 상태다. 이들 국가는 전쟁과 같은 고강도 군사적 충돌은 피하면서 우회적 주권개입과 점진적 위협투사를 통해 현상변경을 시도해왔다. 북한은 회색지대 강압을 통해 NLL 무실화를 시도해왔고, 전략적 점진주의로 핵무장을 완료한 후 이제 핵보유국 지위 기정사실화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사드 경제보복이라는 회색지대전략을 통해 한국경제뿐 아니라 사회 내부 갈등을 유발하며 주권적 결정을 침해했고, 해양공간, 방공식별구역 등 영역에서 회색지대 강압을 이어오고 있다. 일본은 강제징용 피해보상 관련 한국 대법원의 판결에 반발하며 반도체 등 주요원료에 대한 수출규제를 통해 주권을 훼손시키는 회대지대전략을 구사하였고, 전략적 점진주의로 집단적 자위권 행사가 가능한 국가가 되었다. 동북아 국가들의 회색지대전략을 상쇄하기 위해 흑백지대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적 억지와 별개로 회색지대 억지 개념이 만들어져야 하고 회색지대 갈등이 군사적 대응의 우선순위에서 밀리지 않도록 군사문화의 혁신도 필요하다. In Northeast Asia, gray zone coercion, characterized by ambiguity and strategic gradualism, has been underway over the past decades. The riddle of the gray zone in the region, however, remains understudied and inexplicable. South Korea is ill-equipped to wrestle with the gray zone strategy of North Korea, China and Japan. The gray zone strategy is intended to change the status-quo not only by intervening in the areas of sovereignty but also by posing a gradually bigger threat while reducing the risk of outbreak of war. North Korea has engaged in gray zone coercion to neutralize the Northern Limit Line. North Korea also has become a nuclear-armed state by strategic gradualism and is currently seeking a fait accompli to make itself a nuclear power. China sought to intervene in South Korea’s sovereign decisions through its economic retaliation in the context of the deployment of the U.S. THAAD in South Korea. China continues to employ gray zone coercion in areas of waters and maritime airspace. Japan vowed to challenge South Korea’s sovereignty on the ground of the latter’s Supreme Court’s order to pay compensation while restricting the shipments of key materials to South Korea. In addition, strategic gradualism allowed Japan to exercise its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approaching a “normal nation.” Under these challenges, South Korea needs to design a “black and white” strategy to cast aside rampant gray zone. To that e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outh Korea to roll out gray zone deterrence and to dramatically revamp its military.

      • KCI등재후보

        러일전쟁 지상전의 군사전략적 분석

        전갑기(Jeon, Gab-ki)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7 No.-

        러일전쟁은 기관총, 전신과 철도가 사용되어 살상력이 커지고 통신과 이동 속도가 증가하고 대규모 부대가 최장 150㎞의 전선에서 수주일간 전투를 수행한 최초의 현대전이다. 이 전쟁에서는 전투력의 우열보다는 군사전략개념, 지휘관의 전쟁수행 방안에 따라 주요 전투나 작전의 결과가 달라졌다. 또한 전투에서 승리한 측이 더 많은 전투력을 잃은 사례가 수차례 발생했다. 한국에서는 이 전쟁의 정치적 배경, 한국과 관련된 군사적 사건, 러시아와 일본의 전쟁 대비 및 군사전략 자체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위의 현상들이 나타난 지상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그래서 이번 연구는 군사목표 달성을 위한 전투의 효율적 운용, 군사전략의 운용적 관점과 지휘관의 작전적 사고에 중점을 두고 만주 지역에서 벌어진 지상전 및 군사행동 위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지형 및 전투력 손실을 시간과 교환하는 군사전략도 적에게 손실을 강요하는 공세행동이 병행되어야 효율적이며, 반복적인 군사행동은 적에게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여 적이 창의적으로 대응하게 만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지휘관이 무기체계, 부대의 특성 등을 이해하고 전투를 창의적으로 운용해야 군사작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Russo-Japanese War could be regarded as the first modern warfare. This war had many characteristics of modern warfare, such as using machine guns, telegraphy and railroads. In this war the destructive power of weapons grew and the speed of communication and movement became faster, and massive troops were able to operate for several weeks on the front line of 150 km. One notable point in this war is that the result of the main combats or operations was greatly influenced by commands’ military strategic concept or ways of war fighting rather than the superiority of combat power. Also, there were cases where the victor suffered heavier damage than the loser. The majority of studies on this war in Korea focus on the political backgrounds of the war, military incidents related to Korea, Russia and Japan’s war preparations, or military strategy itself.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formerly-mentioned phenomena of this war. This research, therefore, focuses on analyzing both Russia and Japan’s military activities in the operational aspect of military strategy. That is, it aims to analyze the ground warfare and military actions in Manchuria while focusing on the effective use of combats for achievement of military goals and the operational viewpoint of military strategy and commands’ operational thinking. This research has resulted in two findings. First, a military strategy of exchanging territory and force for time is efficient only when it is accompanied by military actions which inflict serious damage on the enemy. Second, repetitive and patterned actions give the enemy an opportunity to learn from and react to them in a creative way. In conclusion, the commanding officers could have carried out military actions more and efficiently if they had commanded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ansformation of weapons and the change in the size of armed forces, and the creative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