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응웬 티 꾸잉안(Nguyen Thi Quynh Anh)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연구물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및 한국과 베트남의 언어 연구 측면에서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향후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연구의 방향과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베트남과 한국에서 발표된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 논문 수의 총 390편을 선정하여 일반 기준(논문유형별, 연도별)과 영역별(한국어 교육일반, 한국어 교육내용, 교수학습, 대조연구, 통·번역)의 두 가지 분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시사점으로 정리한다. 첫째,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가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최근 3년 안에(2017년, 2018년, 2019년) 발표한 논문 수는 176편으로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전체 연구물의 45%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들이 연구 영역이 다양화되었지만 질적으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이 남아 있다. 분석 대상인 전체 390편에 중에 박사학위 논문은 단 24편에 그쳐 베트남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가 보다 전문적이며, 심도 있는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영역별 동향 분석을 통해 보면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의 대부분은 개별어휘나, 한자어 대조 분석연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적 대조를 이룬 연구들이다. 그리고 한국(어)학을 전문으로 교육하고 있는 베트남 내 대학기관의 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나 전문적인 교재개발에 대한 연구가 보다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앞서 연역적인 접근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or Vietnamese learners and summarize its results to point out the problems and propose further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390 studies published from 1995 to August 2019. Then, researcher classified them into two categories of yearly trends and research types with five genres including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Korean education Content,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ontrastive Study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Vietnam has a quantitative growth. In specific, there were 176 papers published during the last 3 years(2017, 2018, 2019), accounting for 45% of the total published works from 1995 to present. However, although the number of research has risen sharply since 2005, many problems still need to be solved. Among 390 studies analyzed, there are only 24 doctoral thesis. This mean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Vietnam needs to be discussed deeply and professionally. Third, most of the Vietnam-rel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contrast between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language, either individual vocabulary or Phonological contrast. The lack of study related to Korean curriculum or Korean textbook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is pointed out as a probl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Lastly, to confirm that results, we analyzed and made the key-words network.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고찰

        정명혜(Jung Myung Hy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7

        As the national and social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expanded and its status as a national policy has been ra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for a short period of time. Despite this fact, it still has, however, many quality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too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agencies such 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Ministry of Justice are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grounds for the agencies’ participation in that education and their major projects, and analy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laws pertaining to each agency. Based on thi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suggested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 policies. Firs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reoverlapping and confusing because several agencies conduct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different laws. So, there is a need for an agency that can be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vary according to the target of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brandsthat represent Korean language education.Third,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is uniform without reflecting socio-cultural differencesby countr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for target countries. Fou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diversity in education cont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ational standardized curriculum and standard textbooks. Fifth, when it com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s, there is sufficient suppor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whereasthere exists an educational blind spot for foreign work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for foreign workers. 한국어교육은 국가 사회적 기능이 확대되고 국가정책으로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짧은 시간 동안 양적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양적 성장만큼 질적 내실화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한국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부처별 사업 참여 근거 및 주요 사업 내용을 살피고 각 부처별 한국어교육 정책과 법령을 분석, 이를 토대로 한국어교육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모색했다. 첫째, 한국어교육 정책은 여러 부처가 각기 다른 법에 근거하여 한국어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중복과 혼선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부처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교육은 교육 대상에 따라 교육기관도 다양한데 한국어교육의 대표 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 셋째, 현행 한국어교육 지원정책은 국가별 사회문화적 차이를 반영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국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한국어교육은 외연에 비하여 교육 콘텐츠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국가 수준의 표준교육과정 및 표준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내 한국어교육 대상자 중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원은 많으나 상대적으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사각 지대이다.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한국어교육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국어기본법과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제언

        서영애(Seo, Young-a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세계 속에서 경제 강국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은 국력과 더불어 그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정부의 노력과 한류 열풍 또한 한국을 세계 여러 나라 속에서 부각시키는 데 한몫하고 있다. 그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왔다. 한국어를 세계에 보급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한국어 교육의 확대로 이어지면서 국어기본법 제정 및 한국어 교육 운영지침,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 등을 제정하고 정비하는 성과를 가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기관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해외로까지 확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교원의 자격과 처우에 대한 제도는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어기본법 제정과 2000년대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는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교원자격제도 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미비한 점에 대한 보완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South Korea, which is rapidly growing into an economic powerhouse in the world, clearly shows the presence of various aspects along with its national strength. The institutional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the increase in global popularity of Korean Wave are also contributing to highlighting Korea. Due to this phenomenon, foreigners who have tried to learn Korean since the 2000s have been expanding quantitatively. The government s efforts to spread Korean language to the world have led to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System, etc. In spite of such as policy improvements, and also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ntinually expanding overseas, however, the qualifications and treat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surroun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teache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viewpoint of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education after 2000 s, and to suggest supplementary and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후보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안

        황은영(Eun-young Hw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학습자들에게 어휘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교육에서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문법 교육에 비해서 어휘 교육은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그러나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하는 요즘, 어휘교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급단계의 의사소통 활동에서는 어휘가 출발점이며, 고급단계에서는 한국어 사용의 정확성을 위해 어휘가 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체계적인 어휘교육의 지침서도 없고, 이에 대한 연구 역시 부족하다. 중·고급 학습자들도 어휘 학습 과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들 사이에서도 어휘 능력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수준이 제각각이어서 변수가 많은데 이러한 부분은 교사의 지속적인 연구와 어휘에 대한 단계적인 접근을 통해 달라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어휘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 특성을 체계적인 구조, 구조적인 구조, 의미적인 구조, 사회언어학적인 구조로 살펴보았다. 각각의 특징과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어휘 교육의 방안으로는 교수법 차원의 제시, 매체 활용 차원의 제시, 어휘 제시상의 유의점을 가지고 각 등급별로 지도하는 것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어휘 게임을 활용해서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vocabulary education methods to foreign Korean learn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was neglected compared to speaking, listening, writing, reading, and grammar education. However, nowadays vocabulary education, which values communication skills,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Vocabulary is the starting point for beginner-level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vocabulary is important enough to be the last step for the accuracy of Korean language use in the advanced stage. However, there is no guidance for systematic vocabulary education in the field of practical education, and there is also a lack of research on it. Middle and high-level learners are having a hard time in the vocabulary learning process, and foreign students are also suffering from a lack of vocabulary skills. In addition, there are many variables because the level of learners is different, and this part should be chang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by teachers and step-by-step access to vocabulary. In this paper, we conducted the following studies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First, we looked 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vocabulary in a systematic structure, structural structure, semantic structure, and sociolinguistic structure. As a way to teach vocabulary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and level of learners, it was proposed to guide each grade with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method-level presentation, media-use-level presentation, and vocabulary presentation. Finally, through vocabulary games, effectiv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measures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육 효율성 향상을 위한 연구

        편윤희(Pyon Yoon H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어교육연구 Vol.1 No.-

        한국 사회는 '다문화 사회'이다. 다문화사회를 이루는 중요요소는 '결혼이민'이다. 그래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안으로 '협동학습'을 제안한다. 협동학습은 학습자간 유대관계와 한국문화 적응에 효과적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협동학습'은 언어교육 보다 문화적응과 생활적응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협동학습에서 언어교육은 다양하게 시도했다. 이 연구에서는 "ㄹ" 발음에 한해서 다 국가 결혼이민자와 비교했다. 대상자들은 필리핀, 베트남, 네팔, 캄보디아 출신 여성이었다. 그리고 예외로 유학생은 중국인 학습자를 포함하여 'ㄹ' 발음에 대해서 비교했다. "ㄹ" 발음 비교에서 네팔과 캄보디아 결혼이민자들이 쉽게 발음했다. 그리고 베트남, 필리핀, 중국의 순이었다. 각국 학습자가 언어 습득에서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 "모어간섭현상"이라 파악했다. 중국과 필리핀은 권설음으로 정확한 "ㄹ" 발음이 되지 않은 것으로 살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을 매우 강조한다. 그 이유는 교사의 언어 교수 능력과 함께 교사가 학습자인 결혼이민자의 생활과 정서적인 부분까지 돌보고 지도해야 하는 특별한 신뢰관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한국어 교사의 역할은 "친정엄마"로 제안한다. 엄마처럼 제2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돌봄 속에서 한국어를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Korea is a multi-cultural society. But it become slower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Then it steady progress marriage immigrants. It has gotten to the point that many immigrants of marriage have reached important positions in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educate a marriage immigrants in Korean language. An unified community must be achiev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is study is a suggestion, for a marriage immigrants. Here Propose a cooperative learning, because it is a worthy of education. A cooperative learning is a language education more then a culture and life of adaption in Korea. But this study try language education, and had been many cases. This study report "ㄹ" pronunciation with multi country. They are Philippi, Vietnam, Nepal, Cambodia, China. Then China is not immigrants but for students. A comparison of pronunciation "ㄹ" get to divide each country. This study a report, " ㄹ" pronunciation the best active Nepal and Cambodia, second Vietnam, third China and Phlippi. Because it is the mother language interference, which is the most interference retroflex in China and English pronunciation [r] in Philippi. And this study emphasis to role a teacher for Korean language. Because a teacher work not only for Korean language, but care and guide at all life for her. The conclusion, a role of the teacher of Korean language get as mommy for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 KCI등재후보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 분류 제안

        편윤희(Pyon Yoon H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효율성을 위해서 학습자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습자를 바르게 이해하여, 학습자에게 적당한 방법과 수준으로 한국어를 교육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학문 목적’과 ‘취업 목적’으로 분류를 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어 교육의 수요자들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변화된 수요자를 대상으로 교육은 하고 있는데, 과거의 분류에 의해서 교사의 재량으로 교육하는 형편이다. 수요자에 맞는 교육 체계가 부족한 형편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대한민국의 각 관청에서 시행하고 있다. 또 각 관청은 각자의 특징을 가지고 각자의 기준으로 한국어를 교육하려고 한다. 그래서 한국어 교사를 채용하고 한국어 교육을 실시할 때에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국내 학습자’와 ‘국외 학습자’로 분류하였다. ‘국내 한국어 학습자’는 ‘결혼이민자’, ‘중도입국 자녀’, ‘다문화 자녀’로 구분하였다. ‘국외 한국어 학습자’는 ‘국내에 입국한 유학생’, ‘교양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습득하는 외국인’,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국내에 입국하는 난민’, ‘국외 해외동포 자녀’까지 포함시켰다. 한국어 학습자를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재 확충과 교사 양성을 이룰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단 여기에서는 학습자의 국가별 언어와 문화 특징 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The subject of our study is to present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ify the learner to the efficiency of the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correctly the learner, teacher have to know the suitable way and approach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whe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It is that various government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ent. Also they do in each other by a himself criteria. So when they conduct to overlap and repeat for the recruitment and training of Korean teachers. In this study, the Korean students were classified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domestic Korean language learners divide marriage immigrants, immigration midway children, multicultural children.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divid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Korea, the culture, the work. This study include a refugees in Korea and Korea diaspora children at overseas. Korean students classify proposed to be achieved by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er training. Korean language classify, that just two, ‘student’ and ‘working’. This subject insist ‘Korean students’ and ‘Foreigner student’ from studying purpose. The former purpose to get Korea citizenship, the latter just foreign language for self-purpose. ‘Korean students’ is ‘marriage immigrants’, ‘multicultural children’. ‘Foreigner student’ is ‘student studying abroad’, ‘foreign workers’, ‘culture student’, etc.

      • KCI등재후보

        결혼 이민자를 위한 문학 교육 방법

        조윤경(Cho Yun Ky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어교육연구 Vol.1 No.-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은 문화교육을 위한 제재의 형태로 문학 작품의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될수록 문학작품에 대한 가치가 높음을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어 문학교육은 목적과 교수자 및 학습자의 변인, 연구자와 현장의 실제성, 작품의 선택 기준 및 정전에 대한 논의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자들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아쉬움은 해결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제성을 해결하고자 외국인 유학생 및 재외동포가 아닌 여성결혼이민자를 연구 대상 학습자로 선정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학교육의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초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으로 강력한 동기 부여를 위하여 실제적인 구어를 활용할 수 있는 희곡을 각색해 언어적 기능을 고려한 듣기말하기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기초적인 문법과 어휘를 활용함에 있어서 문화적인 요소를 교육하는 문학작품을 도입해 제시하며, 수업에 활용되는 문학은 단계적인 구성으로 이야기가 완성될 수 있도록 소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으로 초 중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문학작품을 통해 자녀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육하며, 비문법적인 문학적 표현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기법 및 맥락을 통해 어려운 어휘와 표현을 이해하도록 교육한다. 셋째, 고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으로 한국의 문학과 모국의 문학을 비교하여 번역을 통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며 문화적 이해 및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 자료를 만드는 과정에 학습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방안과 문학사적으로 의미 있는 작품과 베스트셀러, 세계명작 등 학습자 스스로가 습관적인 '독서'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 analyze the results of two surveys with regard to an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literature. These surveys follow needs analysis fashion. It is widely acknowledged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tha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an help them understand Korean culture/ tradition/ history inevitably encod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can also facilitate their acquisition of Korean. I attempt to address important contents of the current study as follows. Chapter I provides the purpose/necessity of the current study, Previous research, and a specific methodology for the study. Chapter II is devoted to a methodology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onsidering those survey results. The methodology proposed reflects not on1y leamers' needs but also various factors such as learning objectives, literary themes, proficiency levels (beginning to advanced). In the final Chapter, Chapter III , I end with the current study with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온라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 : 모의수업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조정림(Cho Jeong Rim)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3

        본 논문의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최근 급격히 증가한 한국어교원의 수요 증가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한국어교원의 배출도 그 숫자가 대폭 늘고 있어 관련 학계의 우려가 높다. 해당 온라인 양성기관인 학점은행제 원격평생교육원의 교과과정 및 운영의 특성을 파악하여 한국어교육실습 교과목 실천 여부를 파악해 보려 한다. 이어 교과목 가운데 강의참관 및 강의실습의 진행 과정에 대한 부실의 우려를 지적하기에 앞서 모의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각 요소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에 주목할 계획이다. 관련 학계나 연구자들의 지적처럼, 한국어교육실습 교과목을 운영 중인 기관에 대해 교과목의 실천 여부를 더욱 강화하고 철저히 관리하는 일을 중시하는 것은 맞다. 그러나 일선 현장을 책임지고 운영해 나가는 담당자의 의견도 반영해야 한다는 점이 또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모의수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실습수업이란 발표 수행과정이다. 그것은 모의 수업의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실제적인 모의 수업의 발표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recently the demand of Korean teachers has been increased rapidly,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line has been increased too, This raises concerns in related academic circles. We will try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nd operation of the Remot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of the Credit Bank System, which is an online training institution, to determine whether korean language training courses are practiced or not. In addition, before pointing out the concerns of the insolvency of the course of lecture syllabus and lecture practice, we firstly plan to pay attention to how each element of the mock lesson should be specifically applied for the internalization. As the academics and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it is very important to strengthen and thoroughly manage whether the subject is practiced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subject is being taught or not. However, it should also be emphasized that the opinion of the person in charge and operation of the front-line site must also be reflected. In conclusion,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suggest the efficiency of mock lessons. Practice class is the process of performing presentation. It is all about the mock clas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concrete measures for conducting presentations of the practical mock lessons.

      • KCI등재후보

        1920년대 소설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기성진(SungJin Ki)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3

        본 연구는 1920년대 한국 문학 작품을 교재로 하여 외국인 인력 지원 센터 소속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에게 한국 문화와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그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먼저, 1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자의 내용을 살펴보며 연구의 방향을 모색한다. 2장에서는 문학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를 바탕으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한다. 3장에서는 한국 문학 교육에 활용할 문학 작품 선정과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고찰한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이 향상되기를 바란다. In this stud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revealed in Chapter 1, and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were discussed, The research is to be explored and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is sought. In chapter 2,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literature education are examined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y is examined through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In chapter 3,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to be used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as made and the actual teaching plan was considered. Chapter 4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described,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I hope that learners will improve their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Korean literature.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박경자(Kyung-ja Park)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결혼이주여성에게 한국문화 교육을 할 때는 전통문화와 일상문화 중 어느 것을 먼저 택하느냐는 과제가 남는다. 이 경우, 전통문화에 앞서 일상문화부터 다루어 일상생활에 무리 없이 적응하며 한국어를 익히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전통문화와 일상문화를 동시에 익힐 수 있는 텍스트들이 있다. 또한 사용하는 어휘는 쉽고 편한 일상의 언어이기 때문에 한국어를 배우는데도 도움이 된다. 동화는 전래동화와 창작동화로 나눌 수 있다. 전래동화는 대부분 작자 미상의 형태로, 민간의 입을 통해 전해 내려온 민담·민화 성격의 구전동화가 대부분이다. 전래동화 속에는 민족 고유의 사고와 전통윤리, 가치관이 면면히 숨 쉬고 있다. 반면, 창작동화는 전래동화가 지닌 주제와 형식의 제한적 틀에서 벗어나 광범위하고도 일상적인 창작환경 속에서 다양한 세계를 추구한다. 전래동화는 문학적 가치보다도 사회적 담론과 메시지 전달에 주력하지만 창작동화는 기본적으로 문학적 작품성을 바탕삼아 사회적 교훈이나 메시지를 제시한다. 한국의 문학 작품 중 한국의 문화를 다룬 책들은 많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에게 맞는 책을 구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초급학습자들에게 읽힐 책들은 흔치 않다. 이 부분에서 동화는 그 대안으로 제시된다. 그 중 초급 학습자에게는 저학년 동화가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안수자의 『단자요!』는 이러한 요건을 고루 갖추고 있다. 현재의 일상어로 한국의 전통문화를 다룬 저학년 창작 동화로 쉽고 간결하면서도 어휘 선택과 문법 등 어법에 충실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의 전통문화와 일상문화, 한국어를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게 한다. 또한 소재는 전통 문화지만 현재의 시점에서 전통문화를 주제로 친구와 가족들의 관계를 조명하고 있기에 전통문화뿐 아니라 현재의 일상 문화도 함께 익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국어 학습 측면에서 보면 저학년용 창작동화의 쉽고 간결한 문장과 구성은 결혼이주여성에게 적합한 텍스트다. 본 연구는 이 부분에 역점을 두고 실제 책 속의 예문을 활용해 교수-학습 요목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how to educat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to marriage migrant women. In educating Korean culture to marriage migrant women, it is a very important task which to choose first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every day culture. In this case, it is very effective to educate them every day culture prior to traditional culture, making them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adjust themselves to every day life naturally. There are many texts which help to learn traditional culture and every day culture simultaneously. Also, the vocabulary used in the texts is easy, and belongs to every day life language. So it is very helpful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Fairy tales can be divided into traditional fairy tales and creative fairy tales. Most of traditional fairy tales are anonymous, and are handed down orally. The tales include people’s inherent thinking, traditional ethics, and values. On the contrary, creative fairy tales tend to escape the limited pattern of traditional fairy tales’ theme and form, and pursue various worlds in the environment of comprehensive and every day life. Traditional fairy tales concentrate on social discourse and message communication more than on cultural values. while creative fairy tales basically present social lessons and messages on the basis of literary value. Many Korean literary works treat Korean culture.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suitable books to marriage migrant women, especially to beginning level learners. Here, fairy tales can be an alternative, and low level fairy tales are suitable to beginning level learners. Ahn Sooja’s Danjayo! has all the above mentioned requirements. The book is low level creative fairy tales which deal with traditional culture, and which is easy and faithful in vocabulary and grammar. Using the book, marriage migrant women can learn easily and interestingly Korean traditional culture, every day life culture, and Korean language at the same time. The materials of the book are those of traditional culture. However, the book casts ligh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and family members from the point of present, so it has merits to learn both traditional culture and current every day culture together. From side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he book is a very suitable text for marriage migrant women, because it belongs to a creative fairy tales composed of easy and brief sentences for low level learners. This study concentrates put emphasis on this point, and presented a teaching-learning plan using the sample sentences from the 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