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국방연구개발 방향

        류태규,지태영 한국국방연구원 2019 국방정책연구 Vol.35 No.2

        Si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not only the legacy industrial system but ways of social life, it is expected to change the present system of the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very rapidly. The wester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France, U.K, including Australia, are preparing the rapid change of the defense R&D and acquisition systems through the defense innovation opening to the civil disruptive technologies. The Korean MOD and DAPA launched the new defense R&D system, “the Future Challenging Technology Development”, which is a “open R&D platform” for applying civil disruptive technologies easily to military systems. The detail of the Future Challenging Technology Development system is discussed. 4차 산업혁명이 기존의 산업 체계만이 아니라 생활 방식까지 변화시키고 있으므로 국방 연구개발 체계도 매우 빠르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를 포함한 미국, 영국, 프랑스와 같은 서방 선진국들도 민간의 와해적 기술들에 개방적인 국방혁신을 통해 국방 연구개발의 빠른 변화에 대비하고 있다. 한국 국방부와 방위사업청도 민간의 와해적 기술을 국방에 손쉽게 적용하기 위한 열린 연구개발체계로 미래도전기술개발이라는 새로운 국방 연구개발 체계를 시작하였으며, 이것에 대한 세부적 방안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미동맹체제의 발전방향과 국방개혁의 추진

        이규열 한국국방연구원 2006 국방정책연구 Vol.22 No.2

        본 논문은 향후 한미동맹관계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가름하여 이로부터 국방개혁의 추진에 반영해야 할 조건적 요소들을 식별하여 보는 데 기본적인 목적을 두고 작성되었다. 한미동맹관계에 대한 진보적인 논의들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제반 국내외 전략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를 통해 한국의 장기적인 생존전략의 핵심적 축으로서 한미동맹관계의 불가피성과 강화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기본적으로 한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국방개혁 역시 주한미군을 포함하여 미국으로부터의 지원전력을 대체하는 방향에서가 아니라 변화될 한미연합방위체제 내에서 한국군이 담당하게 될 새로운 군사적 역할을 기준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한편, 한미동맹관계의 변화나 국방개혁 모두 향후 전개될 관련 여건의 변화에 따라 그 추진의 과정이 면밀하게 조정되어 나가야 한다는 점 역시 강조되었다. 한미동맹관계의 미래와 국방개혁이라는 두 가지 거대한 주제 간의 연계영역에 분석의 초점을 두고 있는 만큼 제한된 지면 내에서 구체적이며 세부적인 논의를 진행하지는 못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국방예산 획득 환경 전망

        박주현 한국국방연구원 2020 국방정책연구 Vol.3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New-Normal and examined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acquiring defense budget after COVID-19. When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judges the size of the government budget, it looks at what the major variables are considered, and what changes the major variables cause after COVID-19. In other words, as a security threat, we examined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inter-Korean relations. We have looked at the economic and financial environment, and it is predicted that our economy will be seriously hit by the accelerated de-globalization of COVID-19. The expansionary fiscal expenditures such as additional budgets worsen the fiscal soundness and the defense financial conditions are not good, and the changes in the internal conditions of the defense due to COVID-19 were examined. As a resolution, the paradigm shift in defense operations and policy alternatives to defense finance operations were presented. 본고는 코로나 이후의 새로운 세계(New-Normal)를 살펴보고 코로나 19 이후 국방예산 획득 환경 변화를 살펴보았다. 기획재정부가 정부예산 규모를 판단할 경우 주요 고려변수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주요 변수들이 코로나 19 이후 어떤 변화를 초래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안보위협으로서 비전통적 안보위협이 더욱 확대되며, 주변국 및 남북관계가 불안정한 상황이 내년까지 지속될 것이다. 경제적으로는 코로나 19 영향으로 탈세계화가 가속되는 가운데 우리 경제도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측된다. 추경 등 확장적 재정지출은 재정건정성을 악화시키며 국방재정여건도 좋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코로나로 인한 국방내부 여건 변화를 살펴보고 결언으로서 국방운영 패러다임 변화와 국방재정운영에 대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북한의 우주개발 위협 현황 분석과 한국군의 대응 방안에 대한 제언 연구

        송근호 한국국방연구원 2021 국방정책연구 Vol.37 No.1

        This paper analyzes North Korea’s space programs that influence recent North Korea ICBM and missile tests such as the Hwasong-14/15. This paper researches North Korean news reports, foreign scientist papers and Korean studies to provide objective and scientific point of views. It intends to analyze North Korean space capability and intention of space development, and threats. North Korea started a space program to develop long-range missiles to deliver nuclear bombs. North Korea insists on the right of peaceful space development based on the UN Treaty. Because the outcome of the space program influences successful ICBM development, South Korea needs to set up countermeasures to defeat North Korean provocation with ICBM. First, South Korea understands the intent of North Korea’s space development and enhances space surveillance capability. Second, it builds up military protection measures against North Korea space threats. Third, South Korea enhances national space power to maintain space priority over North Korea. This paper will provide an objective and scientific perspective on North Korea space development, threats and consensus for this study area. 본 논문은 2017년 화성 14, 15형 등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성공에 우주개발이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시도이다. 북한 우주개발 현황, 목적 및 우주 정책기구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북한의 우주전략 현황을 평가하고 한국군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북한은 주변국의 위협으로부터 북한 체제를 수호하고 재래식 및 핵탄두 투발용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 발전을 위해 우주개발을 시작했으며 모든 국가에 부여된 우주의 평화적 이용 보장이라는 유엔조약을 악용하고 있다. 북한의 우주개발은 한국의 평화적 우주개발과 달리 대륙간탄도미사일 능력의 고도화와 우주 군사화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한국은 첫째, 북한의 우주개발 의도와 위협을 분석하여 북한 우주 활동에 대한 우주위협 감시를 강화하고, 둘째, 북한의 위성 및 미사일 기술 발전에 따른 군사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우주자산 보호 대책을 강구하고 국제사회의 공조를 통한 북한 우주의 군사화를 예방하며, 셋째, 한국은 북한과의 우주개발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우주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의 우주력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북한의 우주개발 과정과 한국과 주변국에 미치는 위협을 분석하고 한국군의 대응방안을 연구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북한의 위성운영을 통한 위성영상 공개 등 결과물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어 북한 위성능력에 대한 세부 분석에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향후 북한 우주개발에 대한 심층 연구 추진에 대한 공감대를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국방과학기술 육성과 지역혁신체제 구축방향: 대전, 충청권의 국방클러스터 특성화를 중심으로

        길병옥,최병학 한국국방연구원 2007 국방정책연구 Vol.23 No.2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 regional governance network to promote national defense R&D and defense industries founded on the viable model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It is a vital task for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to develop the hard-ware, soft-ware and human-ware utilized defense clients of defense institutions and industries in the Daejeon·Choongchung areas. Particularly, this inquiry provides ways of promoting an integrated, cooperative system among policy innovation actors in the civil society, government and military, academy, research institute, and media. To initiate “a space for the civil-military cooperation,” it suggests a networked model of military headquarters, educational institutes,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ies. It contends that partnership, integration and networking among the policy innovation actors are the essential ingredient for the effective national defense science governance network formed by the national defense-science inter-locks. 본 연구는 국방과학기술 분야의 지역혁신체제를 통한 “자생(自生)모델”(viable model)에 입각하여 국방산업과 국방과학 R&D 육성을 위한 지역단위의 거버넌스 네트워크(governance network) 형성과 그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전 및 충청지역에 분포, 산재되어 있는 국방관련 정부 및 교육기관, 기업체 등을 비롯한 국방 클라이언트(clients)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hard-ware)는 물론 소프트웨어(soft-ware) 및 휴먼웨어(human-ware)의 개발과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지역혁신 국방클러스터와 혁신체제 구축은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 및 충청권역에 개별화되어 있는 국방과학기술 관련 다양한 지역 클러스터를 유기적인 협력・통합시스템으로 만들고 민・관・군・산・학・연・언(民・官・軍・産・學・硏・言)이 연계된 정책혁신 거버넌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국방중추인 3군본부 계룡대, 군전문 교육기관인 자운대 및 주변 도시와의 특장(特長)을 십분 활용하여 “민・군화합공간”(民軍和合空間)의 새로운 모델 설정방안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가장 큰 메리트는 국내 유일의 국방­과학 연계모델 구축을 위한 국방과학기술 거버넌스 네트워크(national defense science governance network)를 효율적으로 형성,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중국 시진핑 시대의 국방정책과 한국의 안보 전략

        양갑용 한국국방연구원 2014 국방정책연구 Vol.30 No.1

        최근 중국은 ‘랴오닝’ 항공모함을 출역하고 ‘강군건설’을 공론화하는 등 군사대국화와 국방정책에 일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두 개의 100년을 준비하는 ‘전략적 기회기’에 처해 있는 시진핑 시대는 그 토대를 다지는 시기라는 점에서 공세적 군사대국화와 국방정책의 변화가 예상된다. 중국은 강한 군대 건설을국방정책과 군 현대화 사업의 중심으로 생각하고 있다. 중국의 최근 군사대국화추세 등 국방정책 변화에 따른 관련 정책 분석 및 향후 전망은 중장기적으로한국의 생존과 대응전략 마련에 매우 시급한 일이다. 중국의 부상은 분명한 사실이다. 적어도 10년 동안 중국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제 우리도 중국의 부상에 우려의 시선보다는 중국의 성장을 우리의 전략적자산으로 활용하는 지혜가 요구된다. Especially during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when China is in the middle of its“strategic opportunity period” and needs to prepare for the 100th anniversary of theChinese Communisty Party an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People’s Republic ofChina, a firm bottom for military power would be built and shift in China’s nationaldefense policy could be expected. China views the build-up of a strong military asthe kernel of its national defense policy and military modernization. It is urgent toanalyze the consequent changes in and the prospect of its national defense policyfollowing the progress of China’s goal of becoming a strong military power since itis crucial in the medium and long term to South Korea’s survival and the built of acorresponding strategy. It is true as steel that China is rising. Dominant analyses believethat China will maintain its sustainable economic growth for at least another 10years. Now, what we need is the wisdom that could utilize China’s growth as ourstrategic asset, rather than anxiety about China’s rise.

      • KCI등재

        국방환경 전망과 주요 국방정책 과제 및 발전 방향

        권태영 한국국방연구원 2009 국방정책연구 Vol.24 No.4

        This study analyzed various security factors such as the ROK president Leeʼs ʻglobal korea diplomacyʼ, the vision of ʻadvanced strong militaryʼ, Defense Reform Plan 2020, current economic crisis originated from Wall Street, the new US president Obamaʼs policy toward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ʼs nuclear issues at now and future. Then, it selected 6 defense tasks and 25 projects that the ROK Military should put itʼs best efforts on in the year 2009. The proposed 6 tasks for national defense are (1) rebuilding military legitimacy, (2) preparing for existing threats from the North, (3) responding to regional and international security challenges, (4) strengthening the ROK-US alliance, (5) pushing forward the ʻadvanced strong militaryʼ and Defense Reform Plan 2020, and (6) improving defense management efficiency with pragmatism. Lastly, task 1 and 6 are strongly recommended to be taken precedence of others. 이 연구는 이명박 신정부의 선진 국가 및 선진 정예강군 비전, 2008년도의 국방경영의 성과, 금융위기에서 비롯된 경제의 심각성, 오바마 미 신정부의 정책 방향, 북핵 문제 및 남북관계의 이중성, 주변국의 해양이익 경쟁양상 등의 안보상황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2009년도 우리 국방이 추진해 나가야 할 6대 국방과업과 25개 국방과제를 식별, 선정하고 과제별로 정책발전방향을 개념적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선정된 6대 과업은 (1) 군 기본 재정비, (2) 현존 북한 위협 대비, (3) 주변 및 국제 안보 도전 대비, (4) 한미동맹의 강화, (5) ‘선진 정예 강군’/‘첨단 정보 기술군’ 창출, 그리고 (6) 국방경영의 실용적 비용절감-성과 최대화로서, 이 중에서도 제1과업과 제6과업에 주목할 것을 제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유비쿼터스(u-Denfense) 추진방안

        손태종,서민우 한국국방연구원 2005 국방정책연구 Vol.21 No.2

        최근 우리나라는 국가 정보화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어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방 분야에서도 정보통신 분야의 중요성을 인식, 국방에 신기술을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발전 추세 중에서도 요즈음 우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혹은 유비쿼터스 사회 등과 같이 ʻ유비쿼터스(ubiquitous)ʼ란 개념을 자주 접하게 된다. 유비쿼터스란 언제 어디서나 동시에 존재 한다라는 뜻의 라틴어로서 유・무선을 가리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몇 년 전부터 부분적으로 소개가 되어오다가 정부에서 2004년 6월에 유비쿼터스를 중장기 IT정책비전으로 채택하고, 삶의 질 향상 및 정보 선진국을 위한 u-Korea(유비쿼터스 한국) 건설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삼성SDS 등 국내 대기업과 IT 벤처 기업들도 유비쿼터스 실현을 위해 기술개발에 앞장서고 있는 상태이다. 우리는 이러한 유비쿼터스라는 차세대 패러다임을 우리 국방 부문에 도입하여 협력적 자주국방을 위한 첨단화・과학화된 국방 건설을 추진하는 데 적극 활용하여, 국방 분야 전반의 전력 강화를 도모하는데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세계적 또한 국내적으로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현재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여 적용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개념 및 적용을 소개하고, 유비쿼터스의 국내・외 동향, 기반기술의 종류와 실태 등을 살펴보며, 이를 국방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국방(u-Defense) 추진전략과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방위비분담 현황과 과제 분석: 이론과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박휘락 한국국방연구원 2014 국방정책연구 Vol.30 No.1

        한국에서는 미국과 방위비분담 협상을 실시할 때마다 상당한 비판여론이 대두되었지만, 한국이 미군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는 어느 정도의 방위비분담은 불가피하다. 북한이 핵미사일을 개발하여 한국은 언제든지 공격할 수 있는 현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국민들은 이러한 필요성부터 정확하게이해할 필요가 있고, 정치지도자들은 그 필요성에 관하여 확신을 갖고 국민들을설득 및 선도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한국은 방위비분담에 관한 제반 제도를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번제9차 방위비협상에서도 한국은 나름대로 상당한 제도적 개선에 합의하였는데,합의에 그치지 말고 실제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한국이 제공하는 방위비분담액은 모두 한국이 직접 집행하도록 하여 현금으로 미국에게제공되는 것이 없도록 할 필요가 있고, 총액제를 유지하면서도 분야별로 실무선에서 충분히 협의하도록 하여 상향식으로 방위비분담액이 결정되도록 협상의주체를 분권화시킬 필요가 있다. “한미연합 감사팀”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도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Whenever South Korea negotiates on the amount of cost sharing with the U.S,there occur serious criticisms in Korea. However, South Korea should take the shareas long as it needs U.S. support in time of war. It may need to take more costsharing in light of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South Korean people should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alliance and the political leaders should be confidentenough to persuade the people regarding the necessity.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should try to improve some parts of the systemssurrounding the cost sharing. It should implement the agreement with the U.S. at the9th negotiation. Furthermore, It should discuss with the U.S. to execute the moneyby itself in order not to provide cash to the U.S. It should also try to adopt bottom-up approach in deciding the amount of cost sharing. South Korea may coulduse a combined organization with the U.S. to inspect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the cost sharing.

      • KCI등재

        국방혁신 4.0과 연계된 육군의 혁신전략

        이강경,김금률 한국국방연구원 2024 국방정책연구 Vol.39 No.4

        최근 한국군은 국방환경의 도전요인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국방혁신 4.0을 추진하고 있으며, 육군도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중심으로 Army TIGER 4.0 체계 전환 추진을 가속화하고 있다. 향후 한미동맹의 강화와 함께 한국군의 군사적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韓 육군은 다영역작전 교리와 현대화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美 육군의 군사혁신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상호운용성을 강화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복합위기의 안보상황 속에서 국방환경의 도전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국방혁신 4.0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육군의 대응전략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한반도 작전환경을 평가하였고, 한미동맹의 강화 추세와 연계하여 美 육군 군사혁신 사례의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내・외적 환경분석을 통해 기회・위협요인과 장・단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韓 육군의 대응전략을 도출하였다. Recently, the ROK military is promoting Defense Innovation 4.0 to effectively overcome the challenges of the defense environment, and the Army is accelerating the transition to the Army TIGER system centering on the Manned UnManned Teaming(MUM-T) systems. As the ROK-U.S. alliance is expected to strengthen in the future, the military role of the ROK Army is expected to be strengthened as well.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ROK Army to develop interoperability by benchmarking the military innovation cases of the U.S. Army, which is pursuing Multi-Domain Operations and Modernization Strategie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ROK Army's response strategy was derived to effectively implement Defense Innovation 4.0, which is being promoted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the defense environment in the recent security situation of complex crises. To this end, recent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and the operational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evaluated, and in connection with the trend of strengthening the ROK-U.S. alliance, cases of military innovation by the U.S. Army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consider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pportunities and threats and strengths and weaknesses were identified, and based on this, the ROK Army's response strategy was deri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