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참여 유망 국방기술분야 선정 방법론 연구

        유형곤 ( Hyunggon Ryu ) 한국국방기술학회 2019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1 No.1

        최근 첨단 국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과학기술분야 출연연 내에 기 구축되어 있는 국가과학기술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다양한 국방과학기술분야 중에서 출연연이 단기간 내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기술분야를 정량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방과학기술표준분류 내 중분류 단위로 세계 최고수준(100%) 대비 출연연의 기술수준(%)과 출연연 내 연구기반지수(0 ~ 1)를 산출하여 선정하는 기준을 제시하였고, 본 기준을 적용하여 7개 기술분야(중분류 단위)가 유망한 것으로 식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식별한 7개 기술분야는 향후 출연연의 국방연구개발 참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re is a consensu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R&D and national defense R&D system in order to develop cutting-edge defense technology.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for quantitatively identifying the technical fields that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can produce visible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among various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and seven fields are selected actually.

      • KCI등재후보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방정책 연구 동향 분석

        이지선 ( Jisun Lee ) 한국국방기술학회 2019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1 No.2

        국내외 안보환경의 변화와 주변국의 전략에 따라 국방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국방기술을 비롯하여 운영분야에서까지 정책의 고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국방정책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LDA분석을 이용하여 방위산업, 조직/구성, 민군/병영을 포함한 14개의 토픽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토픽 주제에 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IDM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국방정책 연구 동향은 국방기술 분야의 이해를 높이고, 국방 분야의 제도적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ational defense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and strategies of neighboring countries. In addition to defense technology policies are being advanced in the field of ope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defense policy research using the topic modeling. Using the LDA analysis, 14 topics including defense industry organization/composition, and civil/military/barracks were derived. The IDM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egree of similarity to the derived topic. The trends in defense policy research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defense technology field and preparing institutional policies in the defense field.

      • KCI등재후보

        지상전술 C4I체계 특허기반 기술 동향분석에 관한 연구

        권지나 ( Jina Kwon ),김각규 ( Gakgyu Kim ),진강균 ( Kangkyun Jin ),조용주 ( Yongju Cho ),원경찬 ( Kyoungchan Won ) 한국국방기술학회 2022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4 No.2

        본 연구는 지상전술 C4I체계 주요기술에 대한 특허 동향을 분석하였다. 지상전술 C4I체계의 주요기술은 데이터융합, 상황도 도시, 상호운용성 기술이다. 한국,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등 주요출원 5개국의 공개 및 및 등록된 특허문서를 1990년부터 2020년 6월까지 검색하여 분석하였다. 지상전술 C4I체계 주요기술의 동향분석을 위해 기술분류도를 작성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검색어를 도출하였다. 검색 실행 후 유효한 데이터를 검출하고 데이터를 정량 및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기술흐름도를 작성하여 기술 수준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주요 출원국의 특허 분석을 통해 지상전술 C4I체계의 기술개발 흐름 및 주요 국가들의 최신개발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지상전술 C4I 체계개발에 필요한 기술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patent trends of core technologies among ATCIS(Army Tactical Command Information System).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C4I System are the information data integrate, COP(Common Operational Picture), system interoperability technology, As for the search country for the key technology trends, the analysis period was limited from 1990 to 2020 for the published and registered patent document in Korea, US, China, Japan, and Europe which are major patent application countries. To analyze the technology trend of the core technology of the ATICS, a technology classification diagram was prepared, and search terms were derived based on this. After the search was executed, valid data was detected, and the data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o draw up a technology plow chart to derive the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y level results of the core technology.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techn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system development of the ATCI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the flow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C4I system and the latest development trends in major countries.

      • KCI등재후보

        정출연의 국방과학기술 발전 협력방안

        장대성 ( Daisung Chang ) 한국국방기술학회 2020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2 No.2

        대표적 공공연구기관으로 국가성장을 위한 혁신성과 창출의 핵심역할을 담당하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정출연)이 최근 4차 산업혁명 기술 등 혁신적인 민간기술의 군 활용을 활성화하여 국방과학기술을 더욱더 발전시켜 나아가기 위한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As a representative public research institute, a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Jung Jeon-yeon), which plays a key role in creating innovative results for national growth, recently promoted the military use of innovative private technologies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promote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A cooperative plan for development was suggested.

      • KCI등재후보

        시스템 통합 관점의 복합 무기체계 기술성숙도 평가 프레임워크 개선에 관한 연구

        구지인,정석재 사단법인 한국국방기술학회 2023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5 No.2

        RA(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quantitatively assesses the current level of domestic technology and is used as a key tool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omestic R&D and risk management. However, since the current TRA utilizes hardware-oriented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 it is suitable for independent assessment of each technologies, but has limitations in evaluation from a system integration perspective. In addition, the checklist-based assessment is highly likely to involve subjective evaluation. This study proposes an enhanced TRA framework by redefining TRA procedures and criteria from the systems integration perspective of system engineering. We focused on developing a framework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TRL/TRA and enables easier and more intuitive assessment. The proposed framework distinguishes between TE(Technology Element) and CTE(Critical Technology Element) in terms of HW, SW and interface and redefines TRL. TRA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RL redefined from the above three points of view, and the lowest evaluation value is used as system maturity level in consideration of risk management. The proposed CTE selection method minimizes the intervention of the evaluator by utilizing the quantitative goal of the key ROC(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development difficulty, and application of COTS(Common Off The Shelf) technology. The effectiveness of this framework was confirmed through a case study of the TSS(Target Surveillance System). It is hoped that starting with this study, research at the framework level will be activated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TRA system.

      • KCI등재후보

        5G MUM-T 운용 시스템 분석

        김병운 사단법인 한국국방기술학회 2023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5 No.2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국방기술과 통신설비 기반 5G MUM-T 체계의 운용개념을 정립하고, 5G MUM-T 체계 및 운영의 선도국인 미국 정부 기술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의 현황을 진단한다. 그리고 5G MUM-T 체계의 운용고도화를 위해서는 무기체계 세부 분류에 전투용 로봇·드론 반영, 저궤도 5G 위성통신 조기 도입, 실증·검증에 5G 특화망 및 도매제공 이용의 확대, 국방 AI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방사법 무기체계의 3분류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는 6G MUM-T, 6G NTN 기술진화에 대응하고 중국, 독일, 영국, 일본 등의 국가별 정책사례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후보

        효율적인 드론봇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Multiplexer 할당모형에 관한 연구

        백승원 사단법인 한국국방기술학회 2023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5 No.2

        In the midst of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OK Army is moving forward with the ARMY TIGER 4.0 system, a ground combat system that combines futur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he system is developing around an AI-based hyper-connected ground combat system, and has mobility, intelligence, and networking as core concepts. Especially, the dronebot combat system is used as a compound word that refers to unmanned combat systems including drones and ground unmanned systems. In future battlefields,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unmanned a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weapon systems will increase. During the transition to a complete unmanned system,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ensure connectivity individual unmanned systems themselves or between manned and unmanned systems on the battlefield. This paper introduces the Multiplexer Allocation Problem (MAP) for effective 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 of UAV/UGV, and proposes a heuristic algorithm.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analyzed by comparing the solutions and computing time. Also, we discuss future research area for the MAP.

      • KCI등재후보

        기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CLI 서비스를 활용한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효율적인 개발 방안

        이동언 ( Dongeon Lee ),김지원 ( Jiwon Kim ),진정훈 ( Junghun Jin ),조규태 ( Kyutae Cho ) 한국국방기술학회 2021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3 No.3

        내장형 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는 범용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환경과 다르게 탑재 하드웨어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내장형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하드웨어 환경에서는 문자를 출력할 수 있는 화면이 없을 수도 있고,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가 없거나 로그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도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경에서 내장형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은 일반 PC나 서버 환경에서 개발하는 소프트웨어에 비해 개발이나 테스팅의 속도와 편의성이 차이가 많이 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본 논문에서는 기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NSFW : Next Software Framework)의 Cross Platform CLI(Command Line Interface) 서비스를 활용하여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보다 효율적인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Since the embedded software is designe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optimizing the hardware to focus on a specific purpos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hardware to be mounted is limited differently from the environment in which general-purpose software operates. In particular, in a hardware environment in which embedded software is operated, there may be no screen to output characters, there are no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or mouse, or storage devices capable of storing logs are often limited. Developing embedded software in such an environment may differ greatly in speed and convenience of development or testing compared to software developed in a general PC or server environment. Due to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more efficient development plan for embedded software by utilizing the Cross Platform CLI(Command Line Interface) service of the NSFW (Next Software Framework).

      • KCI등재후보

        드론전투체계 발전방향 -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전쟁을 중심으로 -

        서강일 ( Seo Kangil ),조상근 ( Cho Sang Kuen ),김종훈 ( Kim Jonghoon ) 한국국방기술학회 2022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4 No.3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전쟁에서 나타난 드론의 활약은 드론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새로운 전쟁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전쟁의 결과를 분석하여 아제르바이잔과 같은 중소국에서도 전쟁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게임체인저로 드론을 광범위하고 공세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드론전투체계를 분석하여 드론에 대한 전장운용개념, 드론으로 편성된 부대구조 발전, 드론 획득체계 개선 및 기타 고려사항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병력감축과 국방개혁의 변화 속에서 드론전투체계의 발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또한, 미래 북한과 주변국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본 연구에서 도출한 발전방향을 조속히 실행으로 옮겨야 할 것이다. The drone's performance in Azerbaijan-Armenia war showed a new aspect of war: drone war.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Azerbaijan-Armenia war to derive implications that even small and medium-sized countries such as Azerbaijan can use drones in a wide range and aggressively as a game changer of battlefield. In addition, the acquisition systems and operation methods for drones of Azerbaijan and the Republic of Korea were compar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drone combat system in the ROK and sugges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operational concept and structure for drones, the improvement of the drone acquisition system, etc. Amid the changes in troop reduction and defense reform, the drone combat system is an inevitable op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threats of Nor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future, drone combat system has to be adopted and its development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행위자 기반 모델링을 이용한 유·무인 복합체계의 전투효과 분석

        김별 ( Byul Kim ),이춘주 ( Choonjoo Lee ) 한국국방기술학회 2022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4 No.4

        본 연구는 유·무인 복합체계에서 유인플랫폼과 무인플랫폼의 조합형태가 전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무인 복합체계의 효과적인 팀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행위자 기반 모델링 프로그램인 AnyLogic을 이용하여 군의 상륙작전표준시나리오에서 유·무인 복합체계를 구성하는 상륙돌격장갑차(KAAV)와 무인지상차량(UGV) 및 무인항공기(UAV)의 구성 비율에 따른 전투 생존률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의 유인체계인 상륙돌격장갑차(KAAV)를 단독으로 활용하는 것에 비해서 무인무기체계인 무인지상차량(UGV) 및 무인항공기(UAV)의 적절한 조합으로 전투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국방혁신4.0이 추구하는 첨단과학기술군 육성을 위해 추진하게 될 유·무인 복합체계의 운용개념을 설정하고 무기체계 획득단계별 M&S 분석을 위한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ffective team composition in the manned-unmanned teaming system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manned and unmanned platforms on the combat effect in the manned-unmanned teaming system. In this study, by changing the ratio of amphibious operation vehicles (KAAV), unmanned ground vehicles (UGV),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the combat survival rate was calculated in a standard operation scenario using AnyLogic, an agent-based modeling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n appropriate combination is possible to optimize the combat efficiency of the unmanned weapon syste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GV)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mpared to the use of the current manned amphibious assault vehicle (KAAV) alone.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a reference for M&S analysis for each stage of weapon system acquisition and establish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manned-unmanned teaming system that will be promoted to foster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forces pursued by Defense Innovation 4.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