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곽진숙(Jin-Sook K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공학과 경영학을 사례로 하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을 분석하고 그 발전 과제를 논의한 연구다. 연구문제는 평가인증제의 도입 배경,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 결과 및 효과, 발전 과제로 범주화하였다. 우선 도입 배경을 ‘교육에의 관심 촉구’, ‘professional school에 걸맞는 견고한 커리큘럼으로의 재편’, ‘self-regulation을 통한 교육의 질 관리와 구조조정’, ‘교육에 관한 systematic approach’로 나눠보았다.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과정은 공통적으로 ‘해외 인증기준의 벤치마킹과 한국형 인증기준의 수립’으로 요약되었다. 인증제의 결과 및 효과로는 ‘교육장면에서의 긴장감 요구’와 ‘지속적 수업 개선 유도’, ‘교수들 간의 의사소통 활성화 및 공동체 의식 증대’, ‘교육공동체로서의 협동 체제 구축’, ‘전문가로 단련시키고 훈련한다는 면에서 학생들에게도 의미 있음’을 들었다. 또한 특히 경영학에서는 교수 충원 유도를 통한 교육여건의 개선을 가져왔다. 향후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의 발전 과제로는 먼저 대학 차원에서 ‘인증받은 대학교육 시스템이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이 작동하고 움직여 나갈 수 있도록 활성화시키는 것’, ‘교육에 관한 관심과 평가 필요’, 다음으로 인증원 차원에서 ‘각각 평가자와 피평가자인 인증원 운영주체와 해당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이분화 방지’, ‘인증기준 작성시 stage를 고려하고, 각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의견수렴 절차를 적절하게 밟는 것’, 마지막으로 대학을 넘어선 사회적 차원에서 ‘산업계와 대학의 지속적 networking과 공생’으로 분류해 보았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introduction and steering of Education Accreditation, concentrated on the cas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nd discuss a few tasks for its improvement. The subjects of our research are categorized a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Accreditation,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results and effects, and tasks for improvement.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re classified as ‘stimulating the interest in education’, ‘reorganization into a solid curriculum well-matched with professional school’,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self-regulation’, ‘systematic approach to education’. The procedure of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can be summarized commonly as the bench-marking of the foreign accreditation criteria. The results and effects are listed as ‘formation of the tens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requirement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lectures’, ‘active communication of professors and community spirit’, ‘cooperation system as educational community’, ‘training of the students as specialists’. In particula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enable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condition by inducing supplement of professors. As for the tasks for further improvement, the following list is suggested. For the universities, ‘activation of the already accredite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and ‘interes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for the Association of Accreditation, ‘prevention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the accredit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stages in framing the accreditation criteria by collecting opinions of education subjects of each discipline’, finally for the society level, ‘continuous networking and coexistence of the industrial society and the university’.

      • KCI등재

        생성형 AI 시대,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의 향방

        성태제(Tae-Je Seong),시기자(Kija Si),최윤정(Youn-Jeng Choi) 한국교육평가학회 2024 교육평가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생성형 AI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과 기술의 접점에서 교육평가 패러다임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미래 교육평가의 향방을 조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생성형 AI 시대에 대응한 교육과정, 교수⋅ 학습, 교육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동향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성형 AI가 보편화 됨에 따라 교사의 역할은 지식 전달자보다는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촉진하는 안내자, 상담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AI와의 협업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교사의 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의 적성과 흥미, 진로⋅직업과 관련된 개인화 교육 과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모든 구성원이 교육과정 설계의 주체가 되는 다중심성 교육과정 생성ㆍ공유 체제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AI 디지털 교과서 및 AI 디지털 교과 서와 연계한 AI 맞춤형 교수학습 플랫폼 구축 등 디지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에듀테크 기반 교수⋅ 학습 방법의 교육적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교육 현장과의 소통 및 지속적 연구와 지원 이 필요하다. 넷째, 디지털 기술의 혁신적 발전으로 학습분석의 적용 범위가 확장되고 개인 맞춤형 평 가의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개별 학생의 전인적 성장 지원을 위한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 등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실제적 맥락에 기반한 수행평가와 게임이 재조명되고 있어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AI 기반 평가 체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생성형 AI 등장에 따른 교육평가의 패러다임 변화와 교수학습 및 학생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살펴 봄으로써, 교육 현장에 평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trends and future challenges in response to the era of generative AI for education,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al assessment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as generative AI becomes more prevalent, the role of teachers is poised to shift from being mere knowledge transmitters to becoming guides and counselors, actively fostering the holistic development of students.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is anticipated to witness a substantial rise. Second, as the demand for personalized education-based on individual aptitude, interests, career paths, and vocational relevance grow,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and shared system for creating and sharing a multi-perspective curriculum that involve all stakeholders in the school curriculum. Third, the digitiz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such as AI digital textbooks and AI-integrated personalized teaching platforms, is accelerating. Therefore, ongoing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continuous research, and support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technolog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urth,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there has been a renewed focus on ability-referenced assessments, growth-referenced assessments, and performance assessments and games based on real-world contexts. This requires research into AI-based assessment system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al assessment and its influence on instructional methods and student evaluations in the era of generative AI,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new perspectives and insights into assess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언론보도 분석

        노혜림(Hye Rim Noh),이현숙(Hyun Sook Yi)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대한 이해당사자 및 대중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뉴스에 대해 LDA 토픽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단어 간의 관계를 통해 평가 자체에 대한 인식과 이해당사자별 인식을 확인하고자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뉴스기사에 포함된 댓글에 대해 주제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토픽분석 결과, (1)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확대에 대한 시·도교육감들의 상반된 반응, (2) 자율평가의 참여 유도로 인한 교육청과 교원단체 간의 갈등, (3)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시행, (4) 학력 신장을 위한 보수성향 교육감의 평가 확대, (5)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대상 확대, (6)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7)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시행과 사교육 총 7개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댓글 분석에서는 자율평가 시행의 필요성 및 이에 대한 우려가 주로 등장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자율평가를 통해 서열화와 사교육이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과 일제고사 형식의 평가는 지양하지만 자율평가 도입을 통한 학력 진단은 필요하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이해당사자 및 대중의 인식을 바탕으로, 맞춤형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takeholders and the public on the Customiz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CAEA) proposed to ensure the basic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news articles and online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major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tations using web-crawling method. The LD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news articles, while keywor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news articles and comments. Seven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LDA analysis: (1) conflicting responses from superintendents for expansion of the CAEA, (2) conflicts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 organizations over participation in the CAEA, (3)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plan to ensure that every student meets the basic level of academic standards, (4) expansion of the CAEA for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by conservative superintendents, (5) expansion of CAEA’s target grades, (6) the 2021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result, and (7) implementation of the CAEA and private education. In addition, the need for the national or state-level customized assessment and concerns about polarization in education associated with mandatory administration were found in the analysis of comments on news articles. Finall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and the public explored through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ly-sound applications of the CAEA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 2주기 평가 모형 분석과 과제

        권순달(Soon-Dal, Kw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2

        교원양성기관들은 2010년 시행 예정인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교원양성기관 중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대학원이 2주기 평가 결과와 함께 향후 도입될 3주기 평가에 관심이 높다. 그 이유는 특히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를 통해 교원양성 기능을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2주기 평가를 분석하고, 향후 시행될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주기 교육대학원 평가를 일반적인 평가 설계에 따라 평가 방향, 평가 영역(준거), 평가 방법 및 절차, 평가 결과 및 활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틀을 가지고 30문항으로 된 설문지를 제작하여 전국 134개 교육대학원에 배부하였으며, 이 중 52개 교육대학원에서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대학원의 평가 방향 즉 평가 목적은 교육대학원 질 향상과 책무성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원칙에서 피 평가기관의 업무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내용에서는 교육여건보다 교육과정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평가 영역과 항목에서 대해서는 정량적 평가 지표보다 정성적 평가 지표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평가 기준을 지나치게 높게 설정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 영역에서 시설보다 교육의 내용과 과정 중심으로 평가 지표를 개발할 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가 방법 및 절차에서 평가 주기는 4년 또는 5년을 선호하고 있으며, 평가단은 상시 전문 인력의 구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결과 및 활용에서도 새로 도입하려는 ‘인정’보다 현재의 4단계를 선호하고 있으며, ‘인정’을 받을 경우 혜택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model for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e have experienced th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wo times for 10 years. Through reviewing the second cycle of the evaluation o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analyzed critics and the issues. By making an analysis, 30-item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elivered to the 134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n was collected 90 questionnaires. The conclusions based up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goals and principles of the evaluation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s and accountability. Second,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are very important as evidences in program evaluation. Third, methods and procedures of evaluation are made a revision according as characteristic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urth, outputs of evaluation are opened. And if evaluation standards are satisfied, feedback must be provided powerfully. It is appeared that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want to make profound study for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on and indicators in order to improve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 KCI등재

        사범대학 평가준거 타당성 분석

        황영준(Hwang Young-Jun)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사범대학 평가에 적합한 평가준거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1차로 교육전문가를 상대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2차로 40개 사범대학별 자체평가위원과 한국교육개발원 선정 사범대학 평가지표 개발 전문가 및 교육인적자원부 선정 사범대학 평가위원 31명을 통해서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내용타당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3차 구인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사범대학 교수 및 행정요원, 시ㆍ도별 교육청 교육전문직(중등담당 장학관 또는 장학사) 3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사범대학 평가에 있어 타당한 평가 영역은 ‘교육과정 관련 영역’, ‘수업 관련 영역’, ‘교수 및 학생 관련 영역’, ‘교육여건 및 지원체제 관련 영역’ 등 4개영역 9개의 평가지표 그리고 40개의 평가요소로 구성된 사범대학 평가준거를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eacher's colleges and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educational experts, three round of Delphi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and conduc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urvey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three-round Delphi surveys with 31 panelists, the items which the averages were higher than 3.70 and the contents validity were higher than 0.35 were selected. Compar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round, the third round had smaller standard deviation and higher consensus of the experts. Second, the valid domains of evaluation criteria of teachers' colleges were ‘curriculum’, ‘instruction’, ‘professor & student’, and ‘educational conditions & support system’.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 evaluation indices and factors were 9 indices and 40 factors. Third, the evaluation domains, indices, and factors which were suggested by this study were verified as valid b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ducational specialists also perceived these evaluation criteria to be valid.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son tests for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criteria of teacher's colleges, professors and educational specialists who have more than 11 years' working experiences perceived these evaluation criteria to be valid much highly than educational specialists who work in regional education office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professors who have less than 10 years' working experiences. Further tasks for the evaluation criteria of teacher's colleges, depending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hich has some study limit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o develop more rational evaluation criteria, the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developed through more sufficient theoretical bases and educational specialists' studies. Second, to develop more rational evaluation criteria, the evaluated colleges should give up their evasive attitudes towards evaluation and positively participate on evaluation. Lastly, since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on criteria(domains, indices, items),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to explore score allotment of evaluation criteria.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can not be maintained if the score allotments of the evaluation criteria vary every year and if the score criteria of evaluation committee vary each person.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과 중등교사 양성과정

        김신영(Kim Shinyo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1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교육의 개혁은 교사들에게 수준 높은 학생평가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교사의 평가전문성이 중요한 이유는 교사는 학생의 학업성취수준을 파악해 학습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해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교사가 학생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 요구되는 평가지식과 기술을 중심으로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기준을 개발하고 이에 기초한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계발 및 질 관리를 제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의 조건과 교직의 비전문화 현상을 살펴보고 현재 중등교원 양성과정에서 학생평가전문성 계발을 위해 어떤 교육경험이 제공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현장교사와 예비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수준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개발한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진단도구로 진단해 보았다. 이는 중등교사양성과정에서 제공되어야 할 평가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경험의 구성과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신장방안의 모색에 의미있는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ent educational reform implemented nationwide requires that teachers possess a high level of student-assessment competency. Teachers’ competency of student assessment is important since it helps teachers to be prepared to monitor student learning and evaluate student achievement. However, most teachers frequently report that they are not fully prepared to undertake assessment-related activities. This may be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eachers receive little or no formal assessment training in the existing pre-service program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teacher assessment competency by reviewing the current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and quantifying the level of teacher preparation in student assess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of the current educational evaluation courses do not provide adequate coverage for the assessment competency required of teachers. Even if they had, they were not compulsory. Based on the diagnostic tools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the level of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of pre-service, as well as in-service teachers, were shown to be moderate. These findings indicate a significance for exploring and provid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s necessary to enhance the overall student-assessment competency levels of teachers.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 타당화

        김석우,이대용,이승배,서문효진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1차년도 개발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에 개발된 평가지표들의 타당화를 위하여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의 대상은 통합창원시에 근무하는 중학교 교사 200명이었고, 본 조사는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에 근무하는 중학교 교사 227명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평가지표에 대한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이 수행되었다. 예비조사에서 수행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차년도에 개발된 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평가지표들 중 '학부모와 지역인사 등과의 긴밀한 협조 체제 유지'와 '교육성과 점검 및 공유' 등 2개가 삭제되었다. 이러한 요인구조를 가지고 본 조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행한 결과, 최종적으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들은 4개의 평가준거에 29개의 평가지표들로 구성되었다. 둘째, 개발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신뢰도 계수 중 알파계수를 확인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교육과정 평가지표는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by applied CIPP evaluation mode. This study carried out factor analysis to validate them. A pilot and main survey were preformed on middle teachers in Gyeongsang Nam-do and Busan Metropolitan city for their validation. Following are as results: First of all,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done to examine construct validity of theoretically constructed evaluation indicators of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uring the pilot survey, two indicators were deleted and left with 4 criterions and 27 indicators. Anothe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uring the main survey confirmed 4criterions and 27 indicators for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Second, for examining reli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of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alpha coefficient shows a high level of reli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of teaching competency.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PISA 2009(PRA와 DRA) 연계를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 성취 특성 분석

        옥현진,송미영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와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연계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이 읽기 영역에서 보이는 성취 특성을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읽기교육개선과 읽기교육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PISA의 경우에는 인쇄매체 읽기 평가(PRA)와 디지털 읽기 평가(DRA)의 결과를 둘 다 활용하여 NAEA와의 관련성을 살핌으로써 매체 변화에 따른 국어과 읽기 교육과정의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점검해 보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NAEA와 PISA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이 보인 성취수준에 따라 두 개의 동질집단과 두 개의 이질집단을 구성하여 교육맥락변인과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각 평가 간에 대립적으로 작용하는 교육맥락변인들이 두드러지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결과는 서로 다른 평가 간의 연계를 통해 교육맥락변인이 읽기교육에 작용하는 방식을 보다 더 분명하게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읽기 자료의 다양성 지수와 같이 평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작용하는 교육맥락변인도 있는 만큼 이러한 변인이 합의하는 바를 읽기교육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이와 유사한 성격을 보이는 교육맥락변인들을 추가적으로 찾아낼 필요도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educational implication for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research by linking the results of National Assessment for Educational Achievement(NAEA) and OECD PISA and t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achievements. Especially including two different reading assessments of PISA, Print Reading Assessment(PRA) and Digital Reading Assessment(DRA),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NAEA, PISA PRA and PISA DRA.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s and students' achievement by composing two groups (two homeogenous groups and two heterogenous group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achievement and comparing them each other. Even though remarkable variables were not found from this analysis, it could confirm that most of the important educational variables in reading education influence students' reading achievements similarly.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nalysis.

      • KCI등재

        교육성과를 포함한 책무성 중심 학교평가 모형 개발 및 적용

        김주후(Juhu Kim),김주아(Jooah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성과를 포함한 학교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 적용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학교평가를 통한 학교교육의 책무성 증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성과를 포함한 학교평가모형은 기존 학교평가 모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외국사례 분석, 현장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학교교육의 수준과 질을 체계적으로 진단해 줄 수 있는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해 구안되었다. 이 평가모형은 자체평가와 방문평가 결과를 결합하되 각 학교가 산출해 낸 교육 성취를 연계하는 모형으로 평가준비/계획, 평가실시/자료수집, 판단/의사결정, 분석/결과활용 등 4단계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새롭게 제안된 학교평가 모형은 경상북도 실업계고 학교평가에 적용되었으며, 그 적용 결과를 평가기획 및 실시, 실업계 학교교육 성과 정의, 성과지표의 결정, 결과보고 및 후속조치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모형 적용결과를 바탕으로 책무성 중심 학교평가 모형 개발에 주는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rections enhanc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by developing a school evaluation model including educational outcomes, and applying the model to actual school evaluation. The school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critical review of preexisting evaluation models, review of foreign examples, and consensus seeking process from the field. This model 따 4 stages: preparation/planning, conducting/data collection, judgment/decision-making, and analysis/utilization of results. Self-evaluation and site-visiting along with analysis of school outcomes were employed. Through this process, a systematic evaluation model diagnosing quality and status of schools was developed. After applying this model to school evaluation of Kyungsang-bookto province, process and results of the evaluation was analyzed in terms of definement of school outcomes, selection of outcome indexes, process of evaluation execution, and results report with follow-up activities. Based upon the results of school evaluation,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accountability-based school evaluation model and suggestions for future task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교육역량 평가지표의 요인구조와 대학의 군집유형 분석

        서민원(Min-Won, Seo),배성근(Seong Geun, Ba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역량을 평가하는 교육지표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요인부하량이 높은 대학 교육역량 지표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대학들의 설립특성에 따라 교육역량이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도부터 2011년 현재까지 정책적으로 교육역량평가를 위한 핵심지표를 선정하여 순위를 산출하고 포뮬러에 의한 포괄적 재정배분을 해오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첫째로 포뮬러에 적용하는 대학교육역량 평가지표가 대학교육의 질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대학교육지표의 요인구조를 추출하였다. 둘째로, 요인분석을 통해 탐색한 각 구인(construct)별 지표(변인)중에서 요인부하량이 특히 높은 5개 변인을 추출하여 대학의 설립적 특성에 따라 대학들이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가를 군집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9개 지표 중 대입전형 및 등록금 관련 정책유도지표와 국제화, 학사관리 및 교육과정운영 지표는 교육역량을 반영하는 지표로서는 요인부하량이 비교적 낮아 이들을 제외하고, 성과지표로서 취업률 및 재학생충원율 지표와 여건지표로서 전임교수확보율, 학생1인당교육비, 장학금지급률의 5개 교육역량지표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국립대학의 경우에는 4개 군집으로 유형화가 가능하였으며, 사립대학의 경우에는 3개 군집으로 유형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의 경우에는 취업률과 전임교수확보율을 제외한 재학생충원율, 장학금지급률, 학생1인당교육비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유형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특히 대학의 특성에 따라 군집유형이 현저하게 달리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으며, 특히, 사립대학교의 경우에는 총 144개 대학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3개 군집으로 유형화됨으로써 우리나라 사립대학들이 5개 지표상으로 볼 때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validate construct by factor analysis and seek for typology of university by cluster analysis of the educability variables in terms of educational indicator in Korea. Recently, Korean educational policy and law is rapidly changing for opening of educational information to public.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educational indicators of Korean four-year college and university was collected through the Korean educational information center. Now, some major indicators is now being used to evaluate educability of university by Ministry of Eucation, Science & Technology. The research shows these indicators is valid and significant to assess quality and educability of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 five indicators of the current education are valid for evaluating educability. Their factor loadings is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cluster analysis shows three to five clusters based on educational quality in terms of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private universities, and teachers' colleges. In conclusion, the systematic validation of educational indicators as a measure should be implemented continuously and significant educational indicators investigated for overcoming and innovating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