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컨설팅의 학문적 정립에 관한 연구

        리상섭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 No.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 정립을 통해 교육컨설팅학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태동과 현황 및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과제를 확인하였다. 국내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은 2012년 3월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 교육컨설팅전공 석사과정이 처음으로 개설되었다. 국내 대학원 3곳의 일반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및 국내 교육대학원 9곳의 석사과정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이 개설되어 있었다. 교육컨설팅학의 독립된 전문학회인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는 2017년 6월 창립되었고,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의 전문학술지인 교육컨설팅코칭연구는 2022년 1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다.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해 교육컨설팅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영역 확립, 이론과 연구 방법 확립, 국내 대학과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설치의 확대, 교육컨설팅학 관련 전문학회와 전문학술지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컨설팅학의 연구 대상, 이론, 연구 방법, 대학원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개설, 전문학회의 설립과 전문학술지의 발행 등을 통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에 관하여 연구한 최초의 논문으로 교육컨설팅학 학문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education consult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s a discipline.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s and current status of education consulting and the challenges for establishing education consulting as a discipline. The Korean graduate schools, domestic academic institutions, were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consulting in the world. In March 2012, the first master's program in education consulting was opened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the Major in Education Consulting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of three Korean graduate schools and in the master's programs of nine Korea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 Consulting and Coaching, a professional society of education consulting, was founded in June 2017, and its professional journal, the Journal of Education Consulting and Coaching, was selected as a KCI accredited journal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January 2022. In order to establish education consulting as an academic discipline, this study proposed to establish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areas of education consulting, establish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exp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departments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and expand professional societies and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education consulting. This study is the first paper to study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through the research objects,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of education consulting, the establishment of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graduate schools,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societies, and the publication of professional journals, and has significance as a basic study for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 KCI등재

        교육컨설팅의 학문적 정립에 관한 연구

        리상섭(Sang 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20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 정립을 통해 교육컨설팅학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태동과 현황 및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과제를 확인하였다. 국내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은 2012년 3월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 교육컨설팅전공 석사과정이 처음으로 개설되었다. 국내 대학원 3곳의 일반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및 국내 교육대학원 9곳의 석사과정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이 개설되어 있었다. 교육컨설팅학의 독립된 전문학회인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는 2017년 6월 창립되었고,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의 전문학술지인 교육컨설팅코칭연구는 2022년 1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다.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해 교육컨설팅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영역 확립, 이론과 연구 방법 확립, 국내 대학과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설치의 확대, 교육컨설팅학 관련 전문학회와 전문학술지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컨설팅학의 연구 대상, 이론, 연구 방법, 대학원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개설, 전문학회의 설립과 전문학술지의 발행 등을 통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에 관하여 연구한 최초의 논문으로 교육컨설팅학 학문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education consult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s a discipline.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s and current status of education consulting and the challenges for establishing education consulting as a discipline. The Korean graduate schools, domestic academic institutions, were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consulting in the world. In March 2012, the first master's program in education consulting was opened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the Major in Education Consulting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of three Korean graduate schools and in the master's programs of nine Korea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 Consulting and Coaching, a professional society of education consulting, was founded in June 2017, and its professional journal, the Journal of Education Consulting and Coaching, was selected as a KCI accredited journal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January 2022. In order to establish education consulting as an academic discipline, this study proposed to establish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areas of education consulting, establish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exp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departments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and expand professional societies and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education consulting. This study is the first paper to study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through the research objects,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of education consulting, the establishment of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graduate schools,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societies, and the publication of professional journals, and has significance as a basic study for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 KCI등재후보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 교육과정 분석

        리상섭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2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the keywords were limited to ‘education consulting’, and data were collected in the order of Daehakalrimi(https://www.academyinfo.go.kr), Naver and Google keyword search, and each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s websi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re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general graduate schools in South Korea, and nine master’s program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outh Korea were in operation, and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were organized based on the faculty members’s major and expertise according to new department and major or name changed department and major.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analysis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and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s disciplin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의 현황과 교과목 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개설 현황과 교육과정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키워드를 ‘교육컨설팅’으로 한정하여 대학의 주요 정보를 제공하는 대학알리미, 네이버와 구글 키워드 검색, 각 대학과 대학원의 홈페이지 확인 순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국내 일반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및 9개의 국내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이 운영되고 있었고, 신설 또는 변경에 따라 해당 교수진의 전공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개설 현황과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써 교육컨설팅학 발전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의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컨설팅, 코칭 분야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김인숙(Insook Kim),양지희(Jihee Ya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20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컨설팅, 코칭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2019년부터 2023년에 발간된 국내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 연구는 지속적으로 전개되었으며, 2020년~2021년에 239편(53.95%)으로 나타났다. 둘째, 게재저널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는 타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해 전개·확장되었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결과, 컨설팅은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코칭은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분야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에서 모두 교육 관련 영역에 대해 주로 논의되었으며, 코칭은 스포츠, 군 코칭에 대한 논의가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주제 분석결과, 컨설팅 분야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진 반면, 코칭은 변인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컨설팅, 코칭 관련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교육 분야의 컨설팅, 코칭 관련 연구 영역별 키워드를 범주화 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2020년~2021년 동안의 사회 환경적 배경, 연구 주제, 방향성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컨설팅과 코칭이 다양한 분야와 연관성을 가지며 상호작용하는 영역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컨설팅과 코칭 분야의 연구에서 연구 방법 차이에 대한 맥락을 확인할 수 있는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컨설팅과 코칭 연구 분야의 지속적 확장과 동시에 학문적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컨설팅, 코칭 분야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컨설팅과 코칭 분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As a result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443 papers were selected. The selected papers were 116 consulting-related papers and 327 coaching-related paper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y research period, journal, research method, research field, research topic.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the following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First of all, in-depth research is needed that categorizes keywords for each research area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in the education field. Second, in-depth research on soci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s, research themes, and directions between 2020 and 2021 is needed. Third,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the process in which consulting and coaching evolve into areas where they are related to and interact with various fields. Fourth,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context of the differences in research methods between consulting and coaching. Fifth, academic establishment is needed at the same time as continuous expansion of consulting and coaching research field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domestic research trends in the consulting and coaching field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 KCI등재

        컨설팅, 코칭 분야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KCI 등재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김인숙,양지희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 No.S

        본 연구의 목적은 컨설팅, 코칭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2019년부터 2023년에 발간된 국내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 연구는 지속적으로 전개되었으며, 2020년~2021년에 239편(53.95%)으로 나타났다. 둘째, 게재저널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는 타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해 전개·확장되었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결과, 컨설팅은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코칭은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분야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에서 모두 교육 관련 영역에 대해 주로 논의되었으며, 코칭은 스포츠, 군 코칭에 대한 논의가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주제 분석결과, 컨설팅 분야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진 반면, 코칭은 변인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컨설팅, 코칭 관련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교육 분야의 컨설팅, 코칭 관련 연구 영역별 키워드를 범주화 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2020년~2021년 동안의 사회 환경적 배경, 연구 주제, 방향성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컨설팅과 코칭이 다양한 분야와 연관성을 가지며 상호작용하는 영역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컨설팅과 코칭 분야의 연구에서 연구 방법 차이에 대한 맥락을 확인할 수 있는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컨설팅과 코칭 연구 분야의 지속적 확장과 동시에 학문적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컨설팅, 코칭 분야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컨설팅과 코칭 분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As a result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443 papers were selected. The selected papers were 116 consulting-related papers and 327 coaching-related paper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y research period, journal, research method, research field, research topic.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the following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First of all, in-depth research is needed that categorizes keywords for each research area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in the education field. Second, in-depth research on soci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s, research themes, and directions between 2020 and 2021 is needed. Third,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the process in which consulting and coaching evolve into areas where they are related to and interact with various fields. Fourth,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context of the differences in research methods between consulting and coaching. Fifth, academic establishment is needed at the same time as continuous expansion of consulting and coaching research field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domestic research trends in the consulting and coaching field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대학 코칭 교양교육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및 요구 분석 : 여대생을 중심으로

        윤희정(Huijeong Yun),김경아(Kyounga Kim),이민신(Minshin Lee),임여진(Yeojin Lim),김지은(Jieun Kim)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대학생 코칭 교육의 개발과 운영을 위하여 대학 코칭 교육의 방향과 요구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대상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 고, 서울 및 경기권 소재 4년제 대학 여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연구의 윤리적 측면 확보를 위하여 소속 대학 기관연구 윤리위원회 심의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였다. 대학생 코칭 교육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양과목으로서 코칭교육의 가능성과 중요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여대생의 요구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전문가들은 대학의 코칭 교육에서 코칭 철학의 실천과, 이를 바탕으로하는 코칭 교육의 방향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코칭문화의 확산을 위하여 다양한 비교과 프로 그램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둘째, 대학 코칭 교육에 대한 여대생들의 교육 요구는 세부 요인 중 코칭리더십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다음으로 코칭 스킬, 코칭 기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가 인터뷰 및 세 부 요인별로 도출된 교육요구 내용을 바탕으로 대학 코칭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세부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demand of coach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aching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survey of 5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secure the ethical aspect of research, approval was obtained from the institutional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the affiliated university.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demands of university student coaching education, the results of expert opinion and demand survey on the possibility and importance of coaching education as a liberal arts course in university are as follows. First, coaching education at universities emphasized by experts emphasizes the practice of coaching philosophy and the direction of coaching education based on it. In addition,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ment were proposed to spread the coaching culture. Second, a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university coaching education, among the detailed factors, the education demand for coaching leadership competency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coaching skills and coaching basis. Third, the proposed applying the detailed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ollege coaching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information obtained by expert interviews and detailed factors.

      • KCI등재

        코칭과 자아초월의 만남을 위한 小考

        이성엽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 No.S

        본 연구는 심리학, 철학, 교육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논의되고 있는 자아초월의 개념과 내용을 살펴보고, 코칭 관련 연구에 접목할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하였다. 자아초월과 관련한 연구는 인간 잠재력 개발이 초기 관심사였다. 이후 인간이 가진 상위단계의 욕구에 대한 탐구로 이어졌다. 코칭의 이론적 관점에서 자아초월의 개념을 접목함에 있어 논의될 수 있는 그간의 연구들을 검토해 본 결과, 자아초월의 다음과 같은 관점을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이론적 측면에서 그간 차아초월에 대한 논의는 첫째, 자기 확대 또는 자기 확장 관점에서의 자아초월, 둘째, 전인적인 관점에서 통합적인 접근, 셋째, 개인의식의 변용적 측면에서의 연구로 확장되고 있다. 코칭을 자아초월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통섭적 접근은 인류의 집단의식 상승을 위한 최고의 기회를 창출한다는 의미에서 더욱 가치가 있다. 코칭의 실천적 측면에서도 자아개념의 확대는 타인을 이해하고, 협업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준다. 개개인이 분리된 존재가 아니라 원래가 하나인 연결된 존재라는 자아초월의 개념을 코칭에 접목하려는 노력은 코칭이 인류의 의식상승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대하는 것이며, 나아가 코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또 다른 연구방향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s and contents of self-transcendence discuss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psychology, philosophy, and pedagogy, and explored direction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coaching-related research. Research related to self-transcendence was an early concern for human potential development. Since then, it has led to an exploration of human needs at a higher level.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at can be discussed in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self-transcendence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of coaching, the following perspectives of self-transcendence can be examined. First,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discussion on the next transition has been about self-trans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lf-expansion or self-expansion. Second, an integrated approach from a holistic perspective. Third, it is expanding to research in terms of transformation of individual consciousness. The coherent approach of looking at coaching from an ego-transcendence perspective is more valuable in the sense that it creates the best opportunity for the rise of human collective consciousness. In terms of coaching practice, the expansion of self-concept also increases the likelihood of understanding others and promoting collaboration. The concept of self-transcendence, in which individuals are not separate beings but connected as one, is discussed as another area applied to coaching, will not only expand the possibility that coaching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raising human consciousness, but also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another research direc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aching.

      • KCI등재후보

        학습자중심 혁신교수법의 협력적 수업코칭 사례연구

        김인숙(Insook Kim)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대학 교수자의 협력적 수업코칭 참여 동기, 참여 과정, 참여 결과 및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협력적 수업코칭 운영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의 운영 과정에 참여한 교수자의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 신청서, 계획서, 설문지, 인터뷰 결과, 결과보고서 및 성찰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협력적 수업코칭에 참여한 교수의 참여동기는 COVID-19로 인한 새로운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적응, 원격교육과 재택학습 지원을 위한 학습자중심 교수법과 에듀테크 활용 기술 습득, 대학내 교수법 개선의 중심이 되는 전공 혁신교수법 적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적 수업코칭의 효과는 수업에 대한 열정과 에너지, 교육철학 및 교육자로서 정체성 강화, 교수학습법, 교수설계방법, 학습자 참여유도, 학습자 이해, 수업 운영 방안, 교육목적, 교수학습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성찰 측면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수업코칭의 운영방안은 목적 및 취지에 대한 공유, 참여자의 그라운드 룰 공유, 프로그램 주요 절차 및 운영 방법 안내, 상호피드백, 제안 및 통찰 내용에 대한 수업적용 여부를 공유하는 후속 프로그램 운영, 성장 마인드셋에 기초한 코칭, 코치, 코치이 및 수업 전문가 컨설턴트의 수평적 관계 유지, 프로그램 결과 공유, 코치, 코치이 및 수업 전문가의 협력적 운영으로 도출되었다. 한편, 후속 연구로는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자의 수업개선 및 교수역량 개선 효과를 검증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와 교수자가 자발적으로 협력적 수업코칭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통한 교수학습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collaborative coaching programs in universities to identify the motivation, participation process, participation results, and effectiveness of professors participation in collaborative coach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pplications, plans, questionnaires, interview results, results reports, and reflections of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coaching progra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rs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coaching was to adapt to the new teaching environment due to Corona 19, acquir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edu-tech skills to support remote and home learning, and apply innovative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ies. Second, collaborative coaching has shown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passion and energy for classes, educational philosophy and strengthening identity as educators, teaching methods, teaching design methods, learner engagement, learner understanding, teaching purposes, teaching courses and outcomes. Third, the operation of collaborative coaching was shared with the purpose and purpose of collaborative coaching, ground rules shared by collaborative coaching participants, program maintenance, follow-up program operations with feedback, suggestions and insigh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by strengthening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s.

      • KCI등재

        성공사례기법을 적용한 경력단절여성 대상 커리어 코칭 사례연구

        임수원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7 No.3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성공사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G 지역 새일센터에서 진행한 <경력단절여성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피코치(참여자) 중 성공사례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피코치 3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코칭 경험 전 – 코칭 중 - 코칭 후의 경험과 코칭의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경력단절여성들은 심리적 불안감을 갖고 우연한 기회에 코칭에 참여하였다. 코칭을 경험하면서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일에 대한 마인드 셋이 변화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구직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코치와의 대화를 통해서 경력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새로운 경력에 도전하게 된 경험을 발견하였다. 또한 코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코치의 전문성, 신뢰,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도울 수 있는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이 확대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ccess stories of participants in a career coaching program designed for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case study by selecting successful examples among the coachees (participants) in the "Career Coaching Program for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held at the Saeil Center in Area G, Seou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coachees, and the analysis identified their experiences before, during, and after coaching, as well a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the coaching.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itially joined the coaching program by chance, often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unease. Through the coaching experience, they established a positive self-identity, underwent a mindset shift concerning work, and ultimately regained confidence in job-seeking activities. Furthermore, conversations with the coach helped them establish a sense of direction in their careers and take on new career challenge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oach's expertise, trust, and social support were instrumental in achieving successful coaching outco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xpanding career coaching programs that can assist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 re-entering the job market.

      • KCI등재

        대학 창업 교과목 운영 사례 : 사회적 기업가정신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김인숙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 정규 창업 교육과정 내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해 창업 교육방법과 창업 교과목의 실천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의 수업전략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업 전과 후에 자기평가식 설문조사, 수업 후 성찰보고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과 중요 사건을 중심으로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설문조사 결과, 기업가정신의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모든 요인에서 창업 교과목 수업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성과 진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친사회성의 공동체의식, 공감, 돕기 모든 요인에서 창업 교과목 수업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체의식과 공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후 성찰보고서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참여 중심의 실천적 교수전략의 긍정적 효과는 팀활동을 통한 기업가정신 발현 활동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학습활동 참여 효과, 진로의 선택지로서 창업에 대한 인식 제고, 교수자의 팀활동 퍼실리테이션과 학습 코칭 효과로 나타났으며, 애로사항으로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철학에 맞는 창업 아이디어 도출 및 개발 과정의 어려움과 팀원 모두의 적극적 참여에 대한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학습자의 협력적 참여 중심 실천적 교수전략을 제안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창업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지원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tart-up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art-up courses through the oper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in the university's regular start-up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operate,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surveys and post-class reflection repor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important events. First,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l factors of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taking in entrepreneurship increased after the start-up course class, and innovation and initiativ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empathy, and help in prosociality increased after the start-up subject clas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empath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in the post-class reflection report, the positive effects of learners' cooperative participation-oriented practical teaching strategies were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results through team activities, raising awareness of start-ups as career options, and difficulties in the start-up idea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 strategy centered on the coopera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vidence for supporting effectiv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