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술치료교육의 개념과 방향에 대한 담론

        김성애(Sung Ae Kim)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1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왜 필요한가? 이 물음을 뒤집어 보면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꼭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 질문에는 에술치료교육이 가야 하는 방향이 이 시대의 한국인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요구도 들어 있다. 최근 들어 한국인은 여러 가지 고통과 충격의 도가니에 휘말려 있다. 세월호 침몰과 같은 각종 안전사고, 가난, 실직 등이 원인이 되어 세상을 등진 사람들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극심한 상실감을 앓고 있다. 또한 인터넷, 게임중독, 각종 통신 기기와의 만남으로 많은 한국인이 실존적 혼자상태에 놓였다. 여기에다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생물학적으로 다르다는 이유로 그들의 사회적인 불이익과 소외감은 항상 있어왔다. 그래서 예술치료교육은 일시적으로든지 만성적으로든지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불편함을 감수하여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 한국인을 건강하게 할 에너지로 작용해야 할 역학을 감당해야 한다.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필요한 또 다른 이유는 그 안에 창의적인 인간을 기를 수 있는 엔지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대는 포스트모던 사회가 주류를 이룬다. 이 사회는 창의적인 인간을 필요로 한다. 예술치료교육은 한국인에게 창의력을 가져다준다. 예술치료교육이 이토록 중요할 진데, 예술치료교육의 개념이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며 그 실행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담론할 필요가 있다. 치료는 교육이어야 하고 교육은 곧 예술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예술치료교육은 예술 그 자체이다. 그 예술은 치료와 교육의 개념적 차원에서의 예술이고, 치료와 교육의 실천 차원에서의 예술이다. 즉, 예술치료교육은 행동을 통한 예술적 표현이요,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교육적 목표를 가지는 것이요, 인간의 가능성을 의학적인 진단과 처방이 아닌 교육으로 치료적 결과를 얻는 것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의학적인 치료가 아니라 예술 그 자체요, 교육적인 본질을 추구한다. 예술치료교육의 대상자들은 의학적인 손상이나 질병 등의 개념 차원으로 이해되고 지원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예술치료교육은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그 철학을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 어떤 방안이 활용되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해답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실제와 소통을 통해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가 당면한 과제가될 것이다. 위의 관점을 가진 예술치료교육과 그 운영자인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Why is the art therapy needed or Korean? Reverse this question, then the question will state that the art therapy is needs for Korean, The question also includes the demand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contain necessary contents for Korean people of the hour. Recently, People in Korea are in shock and racked with pain by a wide range of social problems such as safety concerns like ferry Sewol disaster, poverty and unemployment. The social problems directly-indirectly impact on people`s emotion that would be fallen into extreme sense of loss. In addition, using internet, doing internet game and using othe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isolate people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lready have been isolated from communities and have been faced social disadvantages because of their biological differences. Thus,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take on a role in supporting positive energy for Korean people to overcome social disadvantages and exclusion from their society. One other reason tha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eeded for Korean is, there is energy which can raise creative human beings. This time, post-modern society is the mainstream society. The society needs creative people. The art therapy education develops people`s creativities. How importan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us, the concept and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should be discussed. Therapy must b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ust be art. Accordingly,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art`s self. The art is not only the conceptu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but also the practic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In other world,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e artistic presentation through actions, aims to raise creative human beings, and obtains therapeutic results by educations rather than medical diagnosis and prescription.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ot medical therapy but the art`s self and it pursues educational essentiality. Thus, the subjects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not be neither supported nor understood as medical disease and/or impairment. Then, how to practice the art therapy education? How to put its philosophy into practice? What kinds of methods will be used? Theses questions should be answered in future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art therapy education and these will be the tasks that the society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faced on.

      • KCI등재

        예술치료교육의 개념 정립과 정의

        정현주(Chong, Hyun Ju)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8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5 No.2

        예술치료교육은 예술치료의 하위개념으로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새롭게 개념화 되고 있는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중심의 예술치료교육의 대상, 목표, 예술매체의 치료적 특성을 살펴보고 개념 정립과 정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예술치료교육은 음악, 미술, 그리고 운동/동작 등의 예술매체를 사용하여 아동의 심리․정서적 문제에 대한 치료를 바탕으로 심리사회적 문제를 극복함으로써 교육적 잠재력을 실현시키고 전반적 성장을 돕는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접근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예술치료와 학교라는 현장성, 학교의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이에 따른 치료 목표도 타 임상 현장과는 다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방과 후 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 증가하고 있는 수요에 따라 예술치료교육 전문성 강화 방안과 활성화에 필요한 전략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Arts Therapy Education is an area under major arts therapy field which focuses on the children in school setting who ha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 and the need of it has been increasing as for after-school programs. The study purports to delineate arts therapy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elements that differentiate from the major arts therapy approaches, respectively. Arts therapy education is an integrated approach which focuses on primarily alleviating children s emotional problem through therapeutic experiences of arts, and then secondarily helping them to actualize their potentials in learning and achieve educational outcomes. It is also examined that arts therapists working in school setting who need to acquire knowledge in education related theories and further be able to work with emotional, psychological issues from ecological factors. Also it is needed to seek efficient strategies to promote professionality of arts therapy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 조사

        김정란,Kim, Jeong Ra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1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계획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치료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 지역 교육청별로 특수교육 지원센터를 두어 치료교육 교사를 배치 시행하는 안을 발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보급이 시작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특수교육계획이 시행된 지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음악치료와 관련된 특수교사들과 음악치료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점이나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고, 2005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특수교사 65명과 음악치료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인식도, 기대도 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술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는 초등학교의 음악치료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기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악기 및 음악치료실의 완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국가나 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행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조기교육 현장 등 장애아동이 있는 모든 곳에서 치료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치료와 교육을 접목시킨 음악치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음악치료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t has been passed more than 50 years of the history of music therapy on school aged children since there had been enforced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e' in United states 1975, which had made an important role of music therapist augmented.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rough reforming the law on March 2005 that therapist educator has to be allocated on the special class in general school, at least, patrol teacher is charged on that, which made possible to start music therapy as initial stage was realized in realistic way on the spot of school. This research has primary concerns as following. The one thing is intended that figuring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involved with the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thing is intended that making a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on the spot of existing school, moreover, pinpointing at issue and suggesting the change for the better than now. In order to undertake theses intentions, I examined preceding researches and existing data,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involved the music therapy of elementary school to the people who are composed of special educators-65 persons and music therapists-30 persons from 18th October to second of November, and analyzed colle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it says that special educator and music therapist know well about the necessity of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effectiveness is manifested in positive way. Moreover, in order to systemize and promote a program of music therapy, what is most urgent thing is the completion of instrument and music therapy room and there are needed strong supports at the level of nation and institution. It has become pervasive on the demand of therapy education by parents in all of the places involved with disabled children such as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local welfare community, and early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how therapy and education was connected as music therapy on the spot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music therapy.

      •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치료의 융합적 접근

        편정원(Jeongwon Pyeon),이에스더(Esther Rhee)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2

        현대의 급속한 사회변화에 따른 복잡하고 다양한 면모의 사회 현상 속에서의 인간성 상실은 학교현장에서도 예외가 아니며 해결해야할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의 학생들은 가정, 학교 또는 주변 환경 및 또래집단에서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겪거나 문제행동을 표출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학교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인격적 성장과 심리적 안정을 통한 창의·인성적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시도되고 있으며, 미술교육에서는 미술이라는 매개체를 통한 교육적이며 예방적, 치료적 차원에서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창조적 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자기표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제시되고 있다. 21세기는 테크놀로지의 진화와 세계화를 통해 물질 중심에서 인지 중심 그리고 창조 중심으로의 미래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융합은 이제 현시대의 키워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창의적 사고가 요구되는 하이컨셉의 시대에 맞는 개념과 감성에 능통한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현시점의 학교교육이 안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융합적 접근의 사고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미술치료 매체의 탐색, 특히 재활용 재료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활용을 통해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위한 교육의 접근을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치료적 접근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의 주인이 될 학생들에게 필요한 가치관 교육과 동시에 공동체 의식을 통한 인성함양과 미적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대한다. 미래사회의 책임과 관심을 촉구할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치료적 접근을 통해 미래학교교육에서의 융·복합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고, 치료와 예방적 차원에서 보다 더 의미 있는 가치적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지속되기를 바란다. The fast pace of social change has resulted in a certain loss of humanity throughout the Korean society in a number of complex ways. This loss is in turn creating a number of problems that must be addressed through education. Adolescent teens tend to experienc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flicts at home, school, surrounding environment or peer group. Teens also tend to exhibit problematic behavior. In response to this, schools are engaging in diverse efforts to promot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ersonal growth, in order to fulfill their goal of creative and personal education. Art education in particular is experimenting with art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educational, preventative and therapeutic. Furthermore, schools are studying the value of art as a tool for creative activities and self-expression. The 21st century is marked by technological evolution and globalization, which drive the shift from material-based society to cognition and creativity-oriented society. With this shift, “convergence” has become a major keyword. 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imperative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utilize convergence as a strategy to overcome challenges school education currently faces, so that Korea’s education system can nurture mentally and emotionally intelligent youths who can meet the challenges of today’s creative society. The thesis investigates the therapeutic role of art educ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sustainable life by introducing a new educational approach that utilizes diverse art therapy media, especially recycled materials, in new and different ways. The author believes that such art education will instill ideal values in young students and promote team spirit, which in turn will bolster their artistic intelligence and develop their character. Also, the art therapy strategy aimed at art education to encourage interest in, an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will encourage convergence-oriented education paradigm for the future. The author expects further research on value-driven education for therapeutic and preventative purposes.

      • 한국 초등학교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에 대한 고찰

        박지영(Ji-young Park)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1

        한국의 다문화 음악교육은 다문화주의에 대한 철학적 배경이나 이론적 근거에 관한 진지한 연구 없이 교육 현장에서 실시 되어 왔다. 그리하여 한국적 다문화주의에 대한 풍부한 논의가 선행되지 못하였다. 한국은 다문화 현상이 나타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경험이 짧다고 할 수 있고, 다문화 사회에 대한 담론을 충분히 구축하지 못한 면도 있다. 우리와 역사적 실행이 다른 캐나다, 미국, 유럽 등의 국가들의 사례를 통하여 충분히 배울 수 있겠지만, 교육자들의 고민을 거듭한 결과물들이 나와서 그에 대한 적용을 통한 시행착오를 거쳐 한국만의 다문화 음악교육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선행 연구를 분석해 보고,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살펴보면서 실제로 다문화 음악교육이 제대로 실행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한국의 다문화 음악교육은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감상하고, 노래 부르기 등의 고정된 교육을 벗어나서 우리와 다른 음악, 다른 문화에 대한 교육이 아닌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의 기본 방향이나 철학적인 토대, 기본적인 교육의 설계가 포함되어 있는 교육과정부터 변화해야 한다. 또한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은 학문적 배경과 철학적 토대를 굳건히 세운 다음 시대적 요구와 교육의 현실을 반영하여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만들 때 연구진 및 교과서 집필자 또한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연구를 담아야 한다. In South Korea,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has been provided on the field without any serious research 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r theoretical grounds of multiculturalism, which is why there have been no rich discussions about the Korean-style multiculturalism.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phenomena in the nation, which has a short history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no enough discourse o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country will be able to learn fully from the cases of Canad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European nations whose practice of history has been different from it, but its educators are required to produce results after repeated contemplations, apply them, and establish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nique to the country through trial and error.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previous studies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examine whethe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properly provided in reality by looking into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of South Korea needs to grow out of the old fixed education of appreciating the music of and singing songs of various cultures and inspire the students to have an open mind to the cultural diversity of the world instead of focusing on different music and culture from them. It demands changes starting with the curriculums containing in them the basic directions, philosophical foundations, and basic designs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curriculum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hould first establish academic backgrounds and philosophical grounds in a solid manner and then reflect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reality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s and textbook authors should have enough contemplations and research efforts with regar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hen writing a textbook according to the curriculum.

      • KCI등재

        3-6세 유아의 영역별 발달 촉진을 위한 단계별 음악치료교육 활동 연구

        이수연,Lee, Su yeo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1

        유아기는 발달의 가소성이 높은 시기로써, 이 시기에 적절한 발달 과정을 거쳐서 성장한 유아들은 학령기에서 성인기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을 할 때 발달 특징을 충분히 이해하고, 단계별로 진행되는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유아가 균형적이며 전인적인 발달을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유아를 교육할 때는 신뢰를 형성하고 유용한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즐거움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음악은 즐거운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음악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한 음악 활동은 유아의 각 영역별 발달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음악치료에서는 이러한 음악의 효율적인 사용을 통해서 대상자의 연령별 수준에 맞는 음악 활동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계획하여 대상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성장을 돕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유아는 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과 정서 영역에서 각각 발달의 특징을 보이며, 각 영역의 발달을 위한 음악적 접근 방법이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모색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유아의 영역별 발달 단계를 구분하고, 각 발달 단계에 따른 세부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 달성과 발달 촉진을 위한 음악치료 교육 및 음악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연구,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 조사와 검사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조사는 유아의 영역별 발달 특징과 음악적 접근을 모색한 선행 연구를 파악하는 단계에서 활용 되었으며, 이를 실제 유아의 발달 단계에 적용하여 적합한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의 검토를 받는 검사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활동들은 관련 영역의 전문가 5명으로부터 타당도를 검토 받았으며, 검토 분석 결과, 유아의 영역별 발달 단계와 각 단계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음악 활동의 구성이 적합하고, 현장에서 활용하기에 유용성과 효율성이 있으며, 유아의 영역별 발달 촉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각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수정, 보완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유아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유아의 발달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음악치료를 하는 현장에서는 치료사들이 장애아동을 치료하는데 단계별 수준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arly development of an infant is crucial due to the enormous impact it has throughout an infant's lif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infant and provide a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an infant can progress at an innate pace to learn how to exercise, understand, speak, socialize, and empathize as well as having a balanced growth. When educating an infant, joy is a substantial factor in the formation of trust and development of relationship that makes education efficient. Music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offer a fun atmosphere vto the infant in which it stimulat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fant and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imensions to the infant's development. Also, the purpose of music therapy education is utilizes to plan for the different age groups'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 and allow the infant to have a positive experience and develop proper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o examin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infant' developmental steps thoroughly, to suggest interventions using music therapy education to stimulate development of an infant, to prove that infants age 3 to 6 obtain the necessary ability and skill through the effective educational therapy through music, and finally to create a music program for educating infants or music therapy. This study has examined theories of the music approach targeting infants age 3 to 6 and made character observations of infant' Motor, Cognition, Communication, Socialization, and Emotions. With the basis of the above theory, the different levels of development has been divided, specific goals has been set up according to the levels, and various music therapy education for infants have been created. The music therapy education activity has been approved by five professionals who are renown in their specific field. They made comments that the development levels were properly divided in the paper. They also commented that the music program is adequate for achieving the goal of each developmental level and it stimulates the different levels of an infant's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study reflects that the approach of music therapy education stimulates the different levels of infant development. Music therapists can utilize this music program to help handicapped children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rogress and develop at their own ability.

      • KCI등재후보

        놀이치료자의 내적 경험이 치료적 관계와 놀이치료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이승희 한국교육치료학회 2014 교육치료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효과적인 상담매체로써 놀이의 가치를 조명하고 놀이치료자의 내적인 경험이 내담자와의 치료적 관계와 회기 내 놀이치료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놀이의 치료적 가치와 놀이치료자의 내적경험에 대한 생물에너지학적인 조망이 제시되었으며, 놀이치료자의 내적 경험은 역전이의 형태로 내담자와 놀이치료자간 관계에 영향을 주며, 놀이치료자와 내담자 간의 애착을 토대로 하여 공명된 정서성과 상호조율을 통하여 놀이치료자의 회기내 반응에 영향을 준다는 내용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highlighted the value of play as effective media in counseling and reviewed the effects of inner experiences of play therapist in the session,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s between client and the therapist’s responses toward client. The value of play and the prospection toward play therapist’s inner experiences on bioenergetic view was suggested. In summary, play therapist’s inner experiences affect to the therapist-client relationship as the form of countertransference, and they affect to the therapist’s responses in the session through resonant emotionality and coregulation upon attachment between client-therapist.

      • KCI등재

        말기질환 아동을 위한 환경적 지지모델(The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에 근거한 음악치료사례연구

        전미혜,Jun, Mi Hye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5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2 No.2

        Terminal pediatric patient include congenital metabolic abnormalities, chromosome aberrations, congenital anomalies, neuromuscular diseases and other incurable conditions as well as malignant tumors. One third of these diseases are cancers, and two thirds of cancers are lymphadenoma and leukemia. Terminal pediatric patient may feel fear, anger and frustration against treatment process in hospitals, lose control of themselves and stay in helplessness due to restrictions within controlled hospital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ized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using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a theory stating therapeutic music environments possess three elements of Structure,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and increase childrens active engagement. Focused on these three therapeutic elements, this study analyzed music therapy cases of terminally ill childr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as environmental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This study is on a single case case subject, a 10-year-old girl with acute lymphocytic leukemia. Nine sessions of music therapy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 Focusing on three therapeutic elements of Contextual Support Model, analysis of sessions was made on the basis of activiti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is study. Main music therapy activities included singing while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whi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CD player, making up songs, and searching for song 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in terms of Structure, music therapy suggested a direction for effective musical activities for terminally ill children by providing environments where child can sing,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make up songs; b) in terms of Autonomy support, music therapy encouraged childs voluntary participation by giving her chances to make choice while singing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 in terms of Involvement, child could gain positive approval of the therapist and conduct musical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the therapist. Music therapy serves as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develops spontaneity and self-reliance in emotionally depressed children, and promotes voluntary attitudes in the restricted hospital environment. Based on the positive effects of music therapy,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approach to more various terminal pediatric patients. 아동에게 있어서 말기 질환의 범위는 악성종양을 비롯하여 선천성 대사이상,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신경근육계 질환, 기타 다른 불치의 상태까지 포함한다. 병원환경에서 이러한 말기 질환 아동은 질병의 치료 과정과 관련하여 공포심, 분노,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통제된 병원 환경안에서 자율성을 제한받기 때문에 통제감을 상실하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지 모델(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terapy)을 중심으로 음악치료가 병원환경에 있는 말기질환자들의 정서 및 기능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환경적지지 모델 음악치료는 음악 환경의 구조적인 특성(structure),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그리고 참여(involvement)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음악 환경은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격려하도록 도와준다. 이 세 가지 치료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본 연구는 말기질환 아동과의 음악치료사례를 분석하여 말기 질환 아동의 행동이 환경적 지지 역할을 하는 음악 안에서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0살의 급성 림프성 백혈병 여아로 총 9회의 세션을 통한 음악 치료 활동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내용분석은 환경적 지지모델의 세 가지 치료적 요소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설정한 행동들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환아와의 주 음악 치료 활동은 악기 연주하며 노래부르기, CD플레이어로 노래 들으면서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노래 가사 탐색하기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Structure) 측면에서는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과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음악 만들기 활동을 할 수 있는 준비를 해줌으로써 아동이 성공적으로 음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측면에서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여러 가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Involvement)의 측면에서는 치료사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강화를 제시함으로써 아동이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공유된 활동 안에서 치료사와 상호 협력적으로 음악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음악치료는 환경적으로 지지 역할을 하며 정서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아동에게 자발성과 독립성을 개발시켜주고 병원 환경이라는 제약된 환경 안에서 자율성을 촉진시켜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음악 치료의 효과를 근거로 하여 입원 환경에 있는 아동들을 위한 더 다양한 접근 방법의 음악치료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성악심리치료활동을 통한 자기의식 변화에 관한 연구

        이현주,Lee, Hyun Joo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7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both effects of the vocal psychotherapy on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variety of the self-consciousness on the vocal psychotherapy in return. The research fo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hree subjects who were students of E university, Seoul, ten times for sixty minutes. The subjects were all volunteers for the advertisement on a music-therapy program searching for them on the web site of E university. The vocal psychotherapy program consists of four steps and each of them consists of two to four short terms again. Both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examinations on self-consciousness were done to recognize the change of the subjects' self-consciousness which would be caused by the vocal psychotherapy activity. After every short term, the subjects were asked to write reports to closely analyze the change of self-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terms and the variety of the subjects. The effect of the vocal psychotherapy activity on the changes of scores in the self-consciousness examination is the first thing to point out on this study. There appeared some personal varieties on the total scores of the examination and scores of some sub-categories. Especially, there were different scores on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the social anxiety between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vocal psychotherapy program. Subject A, who had got the best score of all on the scope of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showed the steepest decrease on the very scope. On the contrary, the subject showed decrease of scores of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the social anxiety in the relatively little rate. Subject B, who had got the highest score of the three on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showed the steepest decrease on that of all scopes and showed no difference on the social anxiety scope. In the case of the last one, subject C, who had relatively low scores on the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an the others,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score increased but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the social anxiety scores decreased. The changes of the scores of each questions were examined in order to see possible other changes that had not been exposed on the changes of the total and sub-categories scores. As a result of that, of all twenty-eight questions, there were changes about one to two points. Subject A showed the difference with thirteen questions, subject B with sixteen and subject C with nineteen questions. The rate of change of subject C was relatively small but more questions changed and the change of score was wider than the others. Considering all those results, It can be possibly said that the vocal psychotherapy affects the changes of the scores of sub-categories in self-consciousness examination. The next thing to point out on this study is the change of recognition that was exposed on the subjects' report after every short term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close analyzing, according to the short terms and variety of self-consciousness, recognizing the way express subjects themselves by voice and recognizing their own voices appeared to be different. How much they cared about others and why they did so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lf reports, subject A cared much about her inner thought and emotion and tended to concentrate herself as a social object. There appeared some positive emotional experiments such as emotional abundance and art curiosities on her reports but at the same time some negative emotions such as state-trait anxiety and neuroticism also appeared. Subject B, who showed high scores on the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like subject A, had a similar tendency that concentrates on herself as a social object but she showed more social anxiety than subject A. Subject C got relatively lower points in self-consciousness examination, tended to care about herself, and had less negative emotions such as state-tra 본 연구의 목적은 성악심리치료활동이 자기의식 수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의식 수준의 차이에 따라 자기보고서에 보고하는 내용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E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3명을 대상으로 총 10회로 약 60분간 진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은 음악치료 프로그램 지원자 모집에 자발적으로 지원한 자들이며, 연구에 사용된 성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은 4단계로 구성되었다. 성악심리치료활동을 통한 대상자의 자기의식 수준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에 자기의식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 성악심리치료활동을 마친 후 자기보고서를 작성하여 보고 내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성악심리치료활동이 자기의식검사 점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에 자기의식검사를 실시한 결과, 자기의식검사 전체 점수와 하위개념 점수가 개인별로 다른 변화를 보였다. 자기의식검사의 전체 점수와 하위개념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에는 나타나지 않은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문항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총 28문항 중에서 대상자 A는 13개, 대상자 B는 16개, 대상자 C는 19개의 문항이 1-2점씩 변화하였다. 이는 점수의 변화율에는 나타나지 않은 결과로 위의 내용들을 종합하면, 성악심리치료활동이 자기의식검사의 하위개념 점수의 증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유추할 수 있다. 둘째로는 매 회기를 마친 후 자기보고서에 보고된 내용의 분석을 통해 성악심리치료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자기의식 수준의 차이에 따라 자기보고서에 보고하는 내용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자기의식의 개인차에 따라 자신을 목소리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인식, 자신의 목소리에 대한 인식, 타인이 의식되는 정도와 내용이 회기와 개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분석된 자기보고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적자기의식 점수와 공적자기의식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대상자 A는 자신의 내적 사고와 감정에 대한 측면을 많이 의식하고, 사회적 객체로서의 자신에게 주의를 집중하는 경향이 자기보고서에 많이 나타났다. 또한 감정적 풍부함, 예술적 호기심과 같은 긍정적 정서 경험과 함께 특성, 상태 불안, 신경증적 경향성 등의 부정적 정서도 많이 나타났다. 반면, 대상자 A와 함께 사적자기의식 점수와 공적자기의식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B의 경우 사회적 객체로서의 자신에게 주의를 집중하는 경향은 A와 비슷하나, 다른 사람 앞에서 불안해하고 당황하는 사회불안 관련 경향이 많이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다른 참여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자기의식점수를 보이는 대상자 C는 대상자 A와 B에 비해 자신의 타인을 의식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적게 보고되었으며, 특성, 상태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도 적게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자기의식으로 인해 활성화되는 자기평가과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위한 연구라는 점과 자기(Self)와 밀접하게 연관된 목소리를 주로 사용한다는 점, 그리고 기술적 어려움의 해소를 위해 성악기술훈련을 실시하였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또한 성악심리치료활동을 통해 정신건강과 성격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치매노인에 대한 음악치료 국내 연구동향 분석

        김혜경(Hyekyoung Kim),최재성(Jaesung Choi)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7 예술과 인간 Vol.3 No.2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 대한 음악치료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치매노인 대상 음악치료의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분석대상은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으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치매노인, 음악치료, 음악, 음악활동, 연구동향을 검색하여 나온 국내 논문 자료 중 67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치매노인 음악치료 연도별 연구현황, 음악치료 영역별, 음악치료 활동별로 총 회기 수와 회기 당 시간을 연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 음악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의 연도별 연구추세는 2006년 이후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2006년 정부의 ‘고령사회 기본 계획’ 수립 뒤 2007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치료 영역별 연구 동향은 인지영역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두 가지 이상의 혼합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치료 활동별 연구동향은 노래 부르기 활동이 가장 많았고, 두 가지 이상의 혼합 활동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혼합 활동 연구논문 중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 활동을 혼합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총 회기 수와 회기 당 시간별 연구동향은 11-20회기, 41-50분의 연구가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선행연구들을 연구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의 최근 동향에 근거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studies for the elderly dementia and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of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Research subjects analyzed 67 research trends in their Korean papers that were published by searching for dementia, music therapy, music, music activities and research trends between 2000 and 2017 as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papers. The conclusion of a study analysis on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time per session by research status per year by dementia old person, areas of music therapy, and activities of music therapy are as follows : First, the annual trend of domestic studies on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reased sharply since 2006, and the most research was carried out in 2007 after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basic plan for aging society. Second, the trend of studies by treatment area has shown tha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cognitive domain, and that more than one mixed-use is being conducted. Third, we could see that the study trends by treatment activity had the most singing activity, and more than one mixed-action study was also being conducted. Many of the mixed-action research papers also found that they combined singing with musical instruments. Fourth, the study trends by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time per session were conducted most frequently, with 41-50 minutes of research being done during the 11-20 session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 base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based on recent trends in music therapy studies by analyzing pre-research studies of music therapy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