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2011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윤옥한 ( Okhan Y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정 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과정연구 논문을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330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10년 전(2000-2010) 연구 동향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경우 총 59편(18%), 교육과정 이론은 총 65편(20%), 둘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문헌 또는 이론연구가 총 209편(63%)으로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총 85편(26%), 양적 연구가 총 36편(11%)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과거 10년(2000년~2010년)과 현재 10년(2011년~2020년)을 비교한 연구 동향은 전체 논문 편수는 10년 전총 365편에서 10년 후(2011-2020) 총 330편으로 35편(10%) 감소하였다. 연구주제별로 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분야가 총 64편(52%) 감소하였다. 문헌 및 이론연구의 경우 총 34편(14%)이 감소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경우 총 12편(50%)이 증가하였고, 질적연구의 경우 총 12편(12%) 감소하였다. 향후 교육과정연구 학회지뿐만 아니라 한국통합 교육과정학회, 교육학회 등 인접 학회지와 비교 연구와 더불어 단행본, 석·박사학위논문 등도 함께 살펴볼 필요도 있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330 curriculum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and compare these with research trends 10 years ago to study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rends by subject for 10 years were 59 articles (18%)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 and 65 articles on (20%). Second, in the same 10-year period of the curriculum journal research trends relating to methodology were most frequently identified with 209 articles (63%) on the literature and theoretical studies, 85 articles (26%) involving qualitative studies, and 36 quantitative studies (11%). Third, another research trend emerged when comparing the past 10 years and the current 10 years of the curriculum journal. In the first decade examined, 365 articles were published, whereas 10 years later 330 were, indicating a decrease of 35 (10%).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not only journals for curriculum research, but also books,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s well as comparative studies with adjoining journals such as that of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의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SBCD) 유형특징의 연구 : "재량활동"에 있어서의 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을 중심으로 A Point of Teacher`s Curriculum Activity in the Optional Activities

        정영근 한국교육과정학회 2002 교육과정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을 국가 교육과정 기준완화에서 보여지는 한국의 SBCD의 유형특징을 제7차 '교육과정'의 '재량활동'에 따른 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에 주목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데 있다. SBCD의 실천에 따라 교사의 여러 가지 교육과정 활동을 지적할 수 있지만, 본 고에서는 특히 교육과정 요소와 관련한 활동을 나타낸다. 또한 SBCD는 그 실천에 있어서 국가 및 학교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되는데, 본 고에서는 한국의 경우는 어떠한가를 검토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한국의 사정을 생각하면서 갖게 되는 다음 2가지 의문에 주목하고 있다. 하나는 국가 교육과정 틀 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SBCD는 어떤 유형으로 파악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한국적 SBCD에 따라 교사들은 교육과정 활동을 행하고 있으며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고에서는 다음의 4가지 사항을 다루고 있다. 첫째, 논의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 SBCD의 아이디어와 유형에 대해서 고찰한다. 둘째, Coodlad의 교육과정 공통요소에 기반을 두고 다룬 Brady의 교육과정 요소에 따른 모형을 검토하여 교사의 교육과정활동을 검토한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의 기준완화에서 보여지는 한국적 SBCD의 동향을 검토하여 그 특징을 구명한다 넷째, '재량활동'의 계획수준에서 교사들이 행하는 교육과정 요소에 따른 교육과정 활동의 특징을 학교자료 및 질문지 조사를 통해서 밝힌다. 위와 같은 사항에 따라 검토한 결과 다음의 사항이 밝혀졌다. 첫째, 국가 교육과정에 의해서 도입되고 있는 한국적 SBCD에서 그 기본적인 틀을 중앙에서 연구·개발되어 마련되고 있고, 그 틀 내에서 교사는 교육과정 활동을 행하고 있다. 재량활동에서 보면 재량활동의 기본적 영역까지는 중앙에서 결정하고 그 영역에서 무엇을 어떻게 행할 것인가는 각 학교가 정하고 있는 이분화(二分化)의 특징이 보여졌다. 둘째, 한국적 SBCD의 실천에 따라 교사가 정말로 교육과정을 다루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교과영역에 대해서는 이직 논의의 여지가 있고, 재량활동에 대해서는 제한적이긴 하지만 교사 스스로 교육과정 활동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셋째, 재량활동 계획에서 볼 수 있는 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에는 상당히 목표지향의 경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BCD(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eacher's curriculum activity during the Optional Activities in Korea where the criteria of national curriculum is loosening. Teacher plays diverse roles based on the practice of the SBCD. This study focuses on teacher's activity relating curriculum elements. The major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dea and type of the SBCD have been reviewed. Second, the trend of the SBCD after 6th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 in Korea has been reviewed. Third, teachers'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plan level of the Optional Activities have been analyzed to find how the SBCD has been applied in each in Korea. For this study, annual education plan for the Optional Activities has been collected form 33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analyzed. And 169 teachers in 25 elementary school in Busan have been surveyed using the scale that is revised from Brady's CMQ to match with plan situation of the Optional Activities, and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Traditionally, school curriculum has been decided by the Course of Stud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because the Ministry of education carries legal restrictive force. The Course of Study has been revised seven times according to strengthening and loosening curriculum. The idea of the SBCD has been included into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6th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 and it is strengthened at th 7th revision. The Optional Activities becomes an area of the Course of Study, in which schools construct and implement their curricula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The Optional Activities was introduced to 3rd, 4th, 5th, and 6th grades in the 6th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 and expanded to 1st, 2nd, and 7th thru 12th grades in the 7th revision. Conclusions based on the purposes and research questions of this are as follows: The idea of the SBCD is consider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curriculum, and it has been developed under the slogan of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in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The terms, `curriculum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in school level, have been used from the 7th revision of Course of Study, and now it is easy to find teachers' curriculum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BCD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framework of the SBCD is provided by nation in Korea because the SBCD is introduced by national curriculum. Teachers perform curriculum activities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curriculum. Korean government decides the basic area of the Optional Activities, and each school decides sub-areas, contents and methods.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teachers perform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Optional Activities in Korea. However, it is still under discussion whether or not teachers perform curriculum activities in subject areas. Third, as a result of the facto analysis, there was goal-oriented tendency in the plan of the Optional Activities as teachers' curriculum activity.

      •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과 교육과정 잠재력

        백남진 ( Nam Jin Pai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3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는 교육과정 문해(curriculum literacy)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의 의미를 규명하고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기반인 교육과정 문서의 방향 탐색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과정 잠재력으로서의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의 의미를 알아보고, 둘째,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과 관련된 교육과정 문서 해석의 차원을 검토하고, 셋째, 국가 교육과정 내에서의 교사 해석의 의미와 교육과정 잠재력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문서의 조건을 탐색하였다. 교사의 해석은 교육과정 개발자의 의도와 목적에 기반한 재현으로서의 객관적 차원과 교사의 개인적 지식과 경험에 기반한 창의성으로서의 주관적 차원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은 국가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한편, 교사의 창의적 전문성이 발휘되는 해석으로서, 학생의 창의성을 이끌며 교육내용과 방법의 다양화를 위해 내러티브적, 비판적, 생성적 사고가 필요한 해석으로 보았고, 또한 교육과정 문서는 교사에게 교육과정에 대한 발생적 맥락의 지식, 구조화된 교과 내용 지식, 교수학적 내용 지식,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지식 및 개발자로서의 지식을 주고 교사가 유연성과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지를 주도록 설계된 것이어야 한다고 보았다. 교육 과정 문서는 교사의 재구성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참조되고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교사의 전문적 재구성을 돕는 ‘조력’ 내지 ‘지원’의 역할을 하는 교육과정 잠재력 실현의 기반으로 여겨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of teachers` interpretations of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ways to develop curriculum documents as the foundation of teachers`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A teacher`s interpretation of curriculum consists of two dimensions: the objective dimension, which addresses the ‘reproduction’ of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curriculum developers` intentions; and the subjective dimension, which deals with ‘creativity’, based on the teacher`s own knowledge and experience. An individual teacher`s 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documents might be limited. Nevertheless, teachers need to have narrative, critical, and constructive thinking in process of interpretation, which may help to promote students` creativity. With curriculum documents, teachers are better able to understand the historic background of the curriculum and to be informed of structured subject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Moreover, curriculum documents should be designed to allow teachers to have flexibility and autonomy in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which leads to practical use of the curriculum documents.

      • KCI등재

        한국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과제: Speculative Essay Inquiry

        강현석 ( Hyeon Suk K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한국 학교교육의 수준에서 논의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현실의 문제를 논의해보고, 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과제들을 사변적 에세이 접근을 통하여 알아본 것이다. 논의의 주제가 광범위한 만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의 문제에 한정하여 주요 이슈들을 다루었다. 그 결과 교육과정 개발 현실의 양성에서는 성취기준의 부재, 내용의 양과 난이도 및 적정화의 문제, 총론과 각론의 괴리, 교과서 획일화 문제,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의 취약성 등이 바로 그것이다. 두 번째로 운영의 문제로서 배워야 할 내용과 배우는 내용과의 괴리, 내용 획일화에서 오는 수준별 내용 부재 문제, 교사 배제 교육과정,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환경의 취약 문제, 수업과 평가와 괴리되는 문제, 실행 체제의 경직성, 학교 교육과정의 비활성화 문제를 들었다.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정적인 과제로 크게 4가지를 제시하였다. 국가 교육과정 개발 체제의 혁신, 교과서와 평가의 변화, 교실 수업과 학습의 변화, 교육과정 운영 체제의 과제를 들었다. 이상의 과제들이 실질적으로 해결되기 위해서는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교육적 입장에서 교육과 교육과정의 본질과 가치에 주목하는 혁신적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e key issues of schooling at secondary level can be discussed from a variety of curriculum lens and the commonplaces. This study intends to speculate the current state and the task of the Korea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focusing on secondary curriculum, I try to limit this article to the domai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First, the aspects and problems of curriculum development, seven problems are identified: lack of performance standard, content adequacy, the generals separated from the particles, vulnerability of democratic decision making system etc. Second, the problems of curriculum management, six problems are identified: the gap between content ought to be learned and to be learned, lack of differentiated content resulted from unifying content, teacher-proof curriculum, mal-alignment with curriculum-instruction evaluation, con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ty, inflexibility of implementation system, etc. To solve these problems, four tasks are suggested: reform of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change of textbook and evaluation, innovative change of classroom and learning, restructuring curriculum management system, etc. We should try to rethink the nature of schooling and to reform tasks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view of authentic understanding and UbD.

      • KCI등재

        오바마 이후 미국 교육과정 정책의 동향과 쟁점: 국가 교육과정을 향한 긴 여정과 불확실한 결과

        홍원표 ( Won Py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오바마 정부 취임 이후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배경과 주체, 개발 과정, 내용 구성, 향후 일정 등을 살펴보고, 국가 교육과정 도입에 비판적인 의견들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가 교육과정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주지사협의회 현장개선 센터(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와 각주 교육대표자 협의회(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의 각종 자료들을 분석하였으며, 오바마 정부의 교육과정 정책에 비판적인 의견들을 크게 네 가지로 요약·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자율성과 일관성, 다양성과 공통성 사이의 균형과 절충을 모색하는 것이 향후 교육과정 연구나 정책의 주요과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한쪽에서는 다양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다른 쪽에서는 공통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미국은 상반되는 두 가치가 학교 교육과 정에서 어떻게 절충되어 나가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bama administration`s policy efforts to develop and adopt a national curriculum. Reviewing related documents from the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 and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it examines who have led the process of developing a national curriculum, what have achieved so far, and what are remaining challenges and issues. Major results show that, despite of the expectation that the nationally coherent curriculum would increase U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is expectation. Rather, there is a growing concern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would have harmful effects on developing students`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such a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This is because the nationally standardized curriculum would simplify the school curriculum, encouraging teachers to narrow down the scope and methods of their teach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seeking balance between uniformity and diversity in school curriculum would be the major policy target in Korea.

      • KCI등재

        `학생맞춤형` 고교교육과정 실현 가능성 탐색: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박나실 ( Nashil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4

        학생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학생맞춤형`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최근 일반고에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인 경기도 지역의 `교육과정 클러스터`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학생맞춤형` 교육과정의 실현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교육과정 클러스터를 운영 중인 세 고등학교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클러스터에 대한 교육청 관계자, 교사, 학생의 기대와 반응이 어떠한지, 운영상 문제와 한계는 무엇이고 향후 학생맞춤형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청 관계자, 교사, 학생의 클러스터에 대한 서로 다른 기대는 복합적으로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와 학생들은 교육과정 클러스터를 통해 학교의 경계를 넘어 제시되는 새로운 학습경험을 체험하고 있었으며, 학교 전체에도 새로운 자극이 된다는 긍정적인 측면에 주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긍정적인 부분에도 불구하고, 클러스터가 있는 “+1 교과”체제에 수반된 한계점과 우려 역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생맞춤형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향후 과제로서 교과목의 다양화보다는 학생들의 학습경험 다양화에 대한 중요성 인식, 공동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학교 간 연계 체제 구축의 필요성, 이를 위한 적절한 지원체제 등을 제시하고 있다.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alize a curriculum tailored to individual students` interests and aptitudes in general high schools.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iculum cluster of Kyeonggi-Do as an example of an effort to implement a tailored curriculum, and explo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is tailored high school curriculum. Three high schools(or cluster schools) in Kyeonggi-Do were used as case studies to determine the expectations of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curriculum cluster, how they have responded to the cluster, what kinds of problems and limitations have arisen, and what further efforts are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cluster.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xpectations of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teachers, and students are complex. Moreover, the cluster has enabled the teachers and students to experience new and diverse learning beyond the school boundaries, and they are most concerned about the positive effects resulting from the challenges that the curriculum cluster has posed for the schools. Notwithstanding the positive effects, maintaining the “+1 course” system has presented limitations and raised concerns about the cluster. Thu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lement a tailored curriculum in high schools, the variety of learning experiences should be emphasized, rather than just initiating various courses, and an appropriate networking system among the schools is required.

      • KCI등재

        교육과정 지역화의 문제와 개선 방향

        한진호 ( Jinho Han ),임유나 ( Yoona Lim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2

        6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교육과정의 의사결정 권한은 중앙에서 지역과 학교로 분권화되고, 이러한 추세는 교육감 직선제 이후 지속·강화되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적인 편성·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과정 지역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교육과정 지역화의 근거와 특징을 살펴보고, 지역화 과정에서 생긴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이후 관련 전문가 8인의 심층면담을 거쳐 교육현장의 실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추후 방향 제시를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이끌어 낸 교육과정 지역화의 문제점으로는 교육과정적 기회비용의 발생, 고비용·저효율·행정력의 낭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저해, 시·도교육청 업무의 비효율성과 비효과성 초래, 교육과정 지역화 수혜 대상자의 전도(顚倒)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문제에 대응하는 개선 방향으로 지역성과 지역의 실정에 대한 재개념화, 국가와 시·도교육청 간의 적절한 의사결정 권한 분배와 지역 교육과정 문서의 실사구시형 개발, 지역 교육과정의 대강화,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지원청의 역할 및 기능 재구조화, 학교와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따른 지역사회와의 쌍방식 협업 등으로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지역화는 결국 단위학교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 환경 조성으로 건강한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는 과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단위학교를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w and problems of curriculum localization in Korea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curriculum localization to promote autonomous organizations and operations of school curricula. The problems of curriculum localization discove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include causing curricular opportunity cost, high-cost and low-efficiency waste of administrative power, hindering autonomous organization and operations of school curriculum, causing inefficiency and ineffectiveness in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reversed beneficiaries of curriculum localization.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s in response to each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e reconceptualization of locality and the actual state of regions; proper distribution of decision-making authority between state,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mpirical development of local curriculum documents; simplification of local curricula; restructuralization of roles and functions of local,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bottom-up collaboration with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needs of schools and students. Curriculum localization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healthy educational ecosystem by building up the environment for autonomous and creative organization operations of curricula in unit school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support to unit schools.

      • KCI등재

        Ken Wilber의 4상한이론(AQAL)을 활용한 통합교육과정 모색

        김복영 ( Bok Young Kim ),이루다 ( Roo Da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1

        이 연구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이른바 통섭과 통합을 주장하고 있는 시점에서, 자아초월심리학 분야의 대가로 인정받고 있는 Ken Wilber의 4상한이론(AQAL)을 활용하여 통합교육과정의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Wilber의 사상적 배경과 4상한이론(AQAL)을 살펴보고, 전통적으로 통합교육과정 분야의 네 가지 양태인 학문분야중심 교육과정, 언어와 문학중심 교육과정, 주제중심 교육과정, 쟁점중심 교육과정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통합교육과정의 양태를 Wilber의 4상한이론(AQAL)에 적용하여 그림으로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 환경이라는 주제로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접근법을 표로 제시하였고, 새로운 통합교육과정의 접근법을 그림으로 나타냈다. 결론으로 전통적 통합교육과정은 Wilber의 4상한 모두에 고른 분포양상을 보이지 않고 좌-상 상한, 즉 인간의 내면적인 측면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앞으로 통합교육과정에서는 내면적 측면인 직관, 영성, 배려, 자비, 지혜 등의 부분이 보완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발달의 모든 수준을 고려해야 전일적(holistic)인 진정한 의미의 통합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At a time when almost all fields of disciplines pursue consilience, fusion, and so forth, this study investigated integral philosopher Ken Wilber`s AQAL theory to find out a new approach to integrated curriculum. In order to do this, Wilber`s philosophical backgrounds and his AQAL (All Quadrants, All Levels) approach was described in detail. After that, four traditional approaches to integrated curriculum were delineated as follows: disciplines, language and literature, themes, and issues. On the basis of Wilber`s AQAL approach, the traditional approaches were shown in each quadrant in figures. In addition, an approach to integrated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level focused on the topic of "Environment" was presented in a table. Lastly, a new approach to integrated curriculum was provided in figure form.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raditional integrated curriculum lacks intuition, spirituality, wisdom, compassion which are included in the upper-left quadrant. Authentic integrated curriculum needs to consider those aspects and all levels of development as well.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각론간 연계 양상에 대한 반성적 논의: 국가교육과정 각론조정을 중심으로

        이광우 ( Kwangwoo Lee ),정영근 ( Youngkewn Je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3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으로 특징적인 점은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유기적 연계 강화 체제를 구축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국가교육과정각론조정위원회`를 설치·운영하였으며, 교과 교육과정의 시안 연구·개발에서 각 교과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조정역할과 기능을 하는 `국가교육과정 각론조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교육과정 고시 이후 총론과 각론 간 연계가 성공적이었는가에 대해서는 반성적 논의들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총론과 각론의 연계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총론과 각론의 연계 양상을 검토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총론·각론의 연계를 위한 각론조정 과정을 반성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각론조정 과정에서 각론조정 조직내 소통의 미흡, 쌍방향적 각론조정 소통 체계의 미흡, 쟁점 중심의 각론조정 미흡, 범교과 차원의 각론조정의 한계 등이 문제로 분석되었다. 각론조정 과정을 추진해오면서 노정된 문제점에 근거하여 향후 개선되어야 사항으로 `각론조정 체제의 유기적 연계`, `쟁점 중심의 논의 체제 구축`, `각론조정위원회의 성격 재정립`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view critically the context of connection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First, the paper investigated the contex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in curriculum revision. Second, the paper critically reviewed the process for connection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paper found some problems in the process of mediating the subject curriculum, insufficient communication in the organizations of mediating the subject curriculum, absence of a mutual communication system for subject curriculum mediation, inadequate mediation of subject curriculum focused on issues, and limitation in subject curriculum mediation in a cross-curricular. In conclusion, the paper proposed the following three approaches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in future tasks: the systematic connection of a mediation system for the subject curriculum, the establishment of an argument system based on various issues, and the reformation of property of national curriculum specialized guidelines mediation committee.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조 관련 쟁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 탐색

        한혜정 ( Hye-chong Ha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설계와 관련하여 의사결정이 필요한 쟁점들을 정리하고 각 쟁점별로 관련 국내외 사례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설계를 위하여 의사결정이 필요한 쟁점은 진로 및 직업교육의 관점에서 중학교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연계 체제 구축,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학교 급 간 연계 체제 구축, 진학 준비 계열과 취업 준비 계열 간 연계 체제 구축, 진로 과정 설치, 교과군 및 교과 영역 설정, 교과 및 과목 개설 방식 등 여섯 가지이다. 분석 결과, 진로 과정 설치, 교과군 및 교과 영역 설정, 교과 및 과목 개설 방식과 관련해서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지만, 해외 사례와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중학교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연계 체제 구축,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학교 급 간 연계 체제 구축, 진학 준비 계열과 취업 준비 계열 간 연계 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하여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구조화하기 위해서는 향후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학교 급 간 교육과정 연계 체제 구축을 위한 연구, 대학진학 계열과 취업 계열 간 연계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교육과정 연구, 진로 과정 설치, 교과군 및 교과 영역 설정, 교과 및 과목 개설 방식과 관련하여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 등이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omestic and foreign exemplar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high school curriculum in terms of the six issues as followed: the articulated system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articulated system between school levels for basic education guarantee system, the articulated system between academic pathway and employment pathway, the establishment of course according to pathway, the setting of subject cluster and subject area, and the way to open subjects and optional As a result, the Korean high school curriculum has undergone a lot of changes in the last three, but there are few attempts at change in relation to the previous three.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three studies needed to be done as followed: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articulated system between school levels for basic education guarantee system,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articulated system between academic and employment pathway, and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fforts to have been done for the improvement of high school curriculum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