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어린이집 교사와 유아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동자,이효신 한국교류분석학회 2010 교류분석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교사들에게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에 교사 자신의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성장 동기의 향상으로 교사-유아 간의 의사소통의 영향이 교육과정 운영의 기본단위인 학급전체유아에게 미치는 효과가 향상되었음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는 통제집단의 교사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 되는가? 2.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는 통제집단의 교사보다 스트로크에 효과를 주는가? 3. 교류분석 프로그램 중 스트로크를 경험한 교사는 통제집단 교사보다 교사-유 아 간 의사소통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이 해하고 프로그램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대구시내 북구에 있는 두 어린이집의 교사 16명으로 선정하였다. 어린이집 교사 8명은 실험집단으로 선출하였고 다른 8명은 통제집 단으로 선출하였다. 두 집단은 같은 경력과 교육수준, 유아관과 교육관의 소재가 비슷한 이들로 구성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 전병제(1974)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교류분석협회의 스트로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동등한지 확인하기 위해 자아존 중감 검사와 표준편차에 의한 통계자료를 구하였다. 9회기의 교류분석 프로그램 이후에 는 사후검사를 하였고 t검사를 통해 사후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12.0 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이론을 바탕으로 한 프로 그램이 교사 자신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분석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 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류분석이론을 바탕으로 한 스트로크 훈련 프로그램의 경험으로 교사-유아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효과가 있음이 분석을 통 해 나타났다. 셋째, 교류분석 프로그램 중 대화분석과 스트로크 훈련, 자기변혁 1주일 과 제를 통하여 교사 자신이 일상생활에서 주고받는 말, 행동, 태도가 자신과 타인의 존재를 인정하고 긍정적 스트로크가 유아들에게는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유아의 성장 발달에 긍정적 힘을 받아들이는 것을 배우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접한 어린이집 교사는 자아존준감과 어린이와의 의사소통을 크게 향상시키게 한다는

      • 교류분석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상태와 생활자세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미현,김민호,이영호 한국교류분석학회 2009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들을 대상으로 자아상태의 변화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생활자세의 변화를 분석하여 교류분석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 상태를 활성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교류분석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생활 자세를 자기긍정-타인긍정의 자세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보성군 B병원에서 DSM-Ⅳ 진단기준에 의하여 알코올의존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성인 알코올중독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8명)과 비교집단(8명)을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6월 26일부터 8월 25일까지 사전면담을 걸쳐 매주 2회씩 총 11회기에 걸쳐 자아상태 활성화와 자기긍정-타인긍정의 생활자세 변화를 목적으로 교류분석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에 사용된 도구로 자아 상태는 J. Dusay가 개발한 이고그램을 기초로 우재현이 제작한 표준화된 한국형 이고그램을 생활자세 검사지는 한국교류분석협회에서 사용하는 한국형 오케이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분석은 SPSS/WIN 10.0을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은 소표본(16사례)에 이용되는 비모수통계방법인 Wilcoxon sign 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실험집단의 자아상태 사전-사후 검사결과에서 교류분석 프로그램은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생활 자세는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류분석 프로그램은 알코올중독자의 자아 상태를 활성화시키며 생활 자세를 자기긍정-타인긍정(I’m OK-You’re OK)의 자세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류분석과 실존주의 맥락에서 도박중독자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 분석에 관한 연구

        팽혜숙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8 교류분석상담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도박중독자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를 교류분석과 실존주의 맥락에서 이해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인천, 울산과 경기도에 있는 도박관련 상담 기관에서 상담하고 있는 내담자 88명을 대상으로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의 TACA형 자아상태와 인생태도 검사지를 활용한 검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박중독자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를 분석했다. 이 분석 과정에서 교류분석의 틀을 적용했으며, 그 틀을 실존주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교류분석이 임상심리학에서 출발한 인간행동에 대한 분석 체계 또는 심리체계 이론이라면, 실존주의는 형이상학에서 출발한 철학이다. 교류분석의 이론적 기초와 실존주의 철학은 상보적이다. 분석 결과, 첫째, 도박중독자들을 교류분석과 실존주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 유효했다. 둘째, 도박중독자들의 자아상태는 주도성 면에서 볼 때,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NP가 높았으나, 일반인과의 차이에 주목해 보면, A가 낮고 FC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도박중독자들의 인생태도는 자기부정-타인긍정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그들의 자기중심성과 폐쇄성이 일반인에 비해 강하다는 특성이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gambling addict s ego-state and life position in the context of TA(Transactional Analysis) and existentialism. For this purpose, 88 clients who were counseled by gambling counseling agencies in Incheon, Ulsan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using the TACA type Egogram Checklist and OKgram Checklist. Based on the results, we analyzed gambling addict s ego state and life position. In this analysis, we applied the framework of TA and tried to understand the framework in the context of existentialism. Existentialism is the philosophy that started from metaphysics, if TA is a analysis system or psychological system theory of human behavior based on clinical psychology. The theoretical basis of TA and the existentialism are complement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ffective to understand gambling addicts in the context of TA and existentialism. Second, ego-state of gambling addicts showed NP as high as ordinary people, but in contrast, A was lower, FC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people. Third, the life position of gambling addicts was shown to be I m not OK, you re OK. In this life position, the egocentrism and self-closure of gambling addicts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that of ordinary people.

      • 유아교육기관장이 인식하는 부모교육 방법으로서의 TA 탐색

        전우경 한국교류분석학회 2011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을 통한 부모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장(유치원, 어린이집)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유아교육기관에서 교류분석을 통한 부모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기관장 10명을 대상으로 총 3차례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류분석을 통한 부모교육의 동기, 실제, 그리고 특성에 관련된 개방형 질문을 만들어 참가자들에게 미리 발송한 후 계획된 절차에 따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의 내용을 전사한 후 개방형 코딩을 통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부모교육에 대한 회의와 바람직한 부모교육에 대한 기대가 유아교육기관장으로 하여금 교류분석을 통한 부모교육을 하게 된 동기로 작용하였으며 둘째, 교류분석을 통한 부모교육의 실제는 교류분석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적용하면서 방법적인 측면에서 더 많은 다양성을 확보하며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장들은 부모교육 방법으로서 교류분석을 매우 효과적인 이론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고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많이 알고 있지 못하다는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류분석을 통한 부모교육을 심화,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류분석 재결단을 활용한 생명존중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살 생각, 자아상태 및 인생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경자(kyoung ja, kim),김장회(Jang hoi, Kim)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0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교류분석 재결단을 활용한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살 생각, 자아상태 및 인생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소재 중학교 1학년 중 생명존중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20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중 10명은 실험집단에 배치하고 나머지 1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교류분석 재결단을 활용한 생명존중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자살 생각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교류분석 재결단을 활용한 생명존중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자아상태는 유의하지 않았고, 인생태도는 통제집단에 비해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교류분석 재결단을 활용한 생명존중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살생각, 인생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자아상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류분석 재결단을 활용한 생명존중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 및 제한점 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Life-respect program using Transactional Analysis Re-decision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uicidal ideation, ego-state, and life position. To this end, among the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in Gyeongsangnam-do, 20 students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life respect program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en of them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10 were composed of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s of the study, suicidal ideation in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ing in Life-respect program using Transactional Analysis Re-decision was meaningfully decreased against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elf-status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life-respect program using the exchange analysis decision was not significant, and the attitude of life was partial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 life-respect program using the exchange analysis deci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icidal ideation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 self-status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limitations on life-respect programs using the re-decision of Transactional analysis were presented.

      • KCI등재

        마음챙김 교류분석 단일 상담사례 연구 -중학생 자기조절 향상을 중심으로-

        이상심(Sang Shim, Lee),박연규(Yeoun Gyu, Park)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1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중학생 단일대상으로 자기조절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과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병행하고 적용․실시하는 상담사례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했고 측정 도구는 내적 및 외적 경험을 즉각적인 탈중심적 주의, 자각과 집중 및 비 판단적 수용 정도에 대한 측정을 위해서 박성현(2006)이 개발하고 타당화 된 마음챙김 척도를 사용했다. 자기 조절력 척도는 Kendall과 Wilcox(1979)에 의해서 개발된 자기 통제력 평정표(Self Control-Rating Scale: SCRS를 이순규(1995)가 수정 보완하여 표준화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질적인 분석과정으로서 연구대상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연구대상자의 활동내용 및 소감문과 연구보조자의 관찰기록, 연구자의 소감문을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연구자와 연구보조자 및 교류분석 전문가와의 합의에 의한 결과를 도출하려고 노력했다. 연구결과는 교류분석의 Ego Ok Gram 검사결과, 마음챙김 척도, 자기 조절력 척도를 사전․사후 비교측정 및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자기조절 향상을 위한 중학생을 단일대상으로 마음챙김과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병행하고 적용․실시하여 자기조절 점수의 결과에 대한 변화 패턴을 고려함에 긍정적인 변화의 결과일 수 있다. 그리하여 기존의 마음챙김 연구와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적용․실시하는 상담사례연구를 확장 시킬 수 있고 마음챙김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인생 태도의 변화를 나타내면서 자기조절 향상의 긍정적인 변화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counseling case study that applies and implements an Transactional analysis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theory to improve self-regulation for a single target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earch metho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nd the mindfulness scal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Park Seong-hyeon (2006) to measure the degree of immediate decentralized attention, awareness, concentration. non-judgmental acceptance of internal and external experiences a standardized mindfulness scale was used. For the self-regulation scale, the Self Control-Rating Scale (SCRS) developed by Kendall and Wilcox (1979) was standardiz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SCRS by Lee (1995). The analysis process is a qualitative analysis process. In order to find out the change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activity contents and impression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observation records of the research assistants and the impressions of the researchers are used as basic data and agreement between the researcher the research assistants results by transactional analysis experts tried to derive. As for the study results, comparative measurement and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results of the Ego Ok Gram test, the mindfulness scale, and the self-regulation scale of the transactional analysi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the result of positive change in considering the change pattern of self-regulation result score by concurrently applying and implementing mindfulness and transactional analysis program to middle school students to improve self-regulation as a single target. Thus, it was possible to expand the counseling case study that applied and implemented the existing mindfulness research and transactional analysis program and confirmed the positive change pattern of self-regulation improvement and the mindful transactional analysis program showed changes in life attitude.

      • KCI등재후보

        TA수련감독 과정 중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김옥희(Ok Hee Kim),이영호(Young Ho Lee)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9 교류분석상담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상담영역 수련감독과정 중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이다. 수련기간 동안 가장 큰 이슈는 수련과제인 학회지 논문 게재와 박사학위논문을 쓰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었다. 본 연구는 자기성찰을 통해 두려움의 원인을 교류분석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심리내적 변화 과정을 자문화기술지로 기술하였다. 연구자는 ‘존재하지 마라’라는 금지명령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적 결정으로 ‘열심히 해라, 서둘러라, 완벽해라’라는 부모명령을 따르기로 복합결정 하였고 결국 내면의 드라이버로 채택되어 이에 ?i기며 힘들게 살아왔음을 명확히 자각하였다. 논문을 쓰는 것에 대한 부담과 드라이버에 쫓길수록 축소각본에 반복적으로 빠져들었고 무기력과 회피만을 반복하며 우울한 시간을 보냈다. 이후 TA수련감독과정에서 자기성찰 훈련을 하면서 어린 시절에 결정했던 ‘존재하지 마라’라는 금지명령을 가지게 된 원인을 알게 되었다. 그 원인은 어머니의 돌봄 부재 외에도 공포감을 느낄 만큼 권위적이었던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이 연결, 재연되면서 TA수련감독자로서 성장을 방해하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TA이론을 중심으로 자기성찰 과정을 명확히 설명하고, 둘째, 연구자의 심층적 변화를 도출해 나가는 과정을 자문화기술지로 기술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TA수련감독자로서 잘 기능하기 위해서는 TA를 중심으로 한 자기성찰 훈련이 지속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is an auto-ethnography of the self-reflection experience during the training supervision course in a counseling area of the Korean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Association. The biggest issue during this training period was the fear of writing an essay and a doctoral dissertation which were the assignments for training.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 of fear through self-reflection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psychological-internal change centered on the theory of transactional analysis. The researcher realized that she had to made composite decision to follow her parent’s orders such as “work hard”, “hurry up”, and “be perfect” as an alternative decision to escape the prohibition order like “do not exist”, which eventually became an internal driver to make her live a tough life. The more she was pressed for the burden of writing a paper and the driver, the more she repeatedly fell into the reduction scenario and spent a depressed time repeating only helplessness and avoidance. However, she got to know during self-reflection that the reason she got an interdict(prohibition order) like “don’t exist” hindered him/her growth as a TA training supervisor, by being connected with the life that she couldn’t expect her mother’s love because of the absence of mother’s caring, and the fear of her father who was too boossy enough to make her feel a sensation of fear, and by being reena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based on TA theory, and the process of deriving the in-depth change of researcher as a self-cultural technology.

      • KCI등재

        교류분석 집단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지요석(Yo-Seok, Ji),이은희(Eun Hee, Lee),홍수현(Su Hyun, Hong)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0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류분석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 상담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알코올중독자를 선정하여 2019년 7월 22일부터 9월 30일까지 주 1회를 기준으로 10회기에 걸쳐 매 회기 120분씩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대상자는 10명이며, 통제집단 대상자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대상자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알코올중독자의 교류분석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단일통제 집단 전후측정을 실시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알코올중독자의 대인관계 형성에서 개방성 요인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셋째,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상태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자신의 자아 상태를 자각하고 타인을 이해하는 수준의 향상으로 현재 상황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행동을 선택하고 실천하며 타인을 받아들이고 교류함에 있어 자기긍정-타인긍정의 모습으로 변화와 성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류분석 집단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program to improve th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alcoholics. Subjects hoping to solve the problems of themselves were selected by preliminary counseling and were analyzed 120minutes over 10 sessions on a weekly basis from July 22 to September 30, 2019.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10 people,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10 people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lcoholic’s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program, a single control group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and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self-esteem has changed in a positive direction for the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program. Second, through the Transaction Analysis group program, the level of openness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alcoholics. Finally,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hange in the self-state of alcoholics, positive change and growth of the self-state appeared due to self-awareness and proper distribution of psychological energy utilization in interaction with ot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program contributed to the self-esteem and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alcoholic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류 분석 단일상담 사례연구

        조경숙(Kyung Sook Cho)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2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목적을 두고 교류 분석 상담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S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남학생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주 1회 50분으로 총 8회기를 진행하였다. 측정 도구로서 자아존중감 척도는 강종구(1986)가 번역한 것을 사전․사후 검사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사전․사후 검사 점수 결과의 변화 패턴을 비교 분석하고 참여자, 연구자 또는 연구보조자의 소감문 및 관찰기록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단일 상담사례연구로서 미술 활동을 접목하여 참여자에게 상담 과정에서 감정을 탐색하고 정서적 이완과 표출 작업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해소하는 것을 돕고 교류 분석을 통해서 충분한 지지 및 격려의 치료 적인 개입으로 인한 정서적인 안정감을 경험하게 했다. 이에 교류 분석을 통하여 자신의 대화 패턴을 알게 하고 상보 교류와 이면 교류에서의 감정과 상황을 인식하면서 긍정적 수용으로 자신의 긍정적 감정과 자아상 재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류 분석 상담프로그램이 정서적인 긴장해소 및 이완을 도왔으며 부정적인 CP 감정과 표현하지 못하는 속마음을 AC의 언어표현에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인생 태도의 재결정 경험과 긍정적인 자기 이해 및 자기표현 경험의 기회를 얻어봄으로써 자아존중감 향상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program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year middle school male students residing in S-city, Gyeonggi-do. A total of 8 sessions were conducted for 50 minutes once a week, including pre- and post-tests. As a measuring tool, the self-esteem scale translated by Kang Jong-gu (1986) was used as a pre- and post-test. For data analysis, the pattern of changes i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was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testimonials and observation records of the participants, researchers, or research assistan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single counseling case study for improving self-esteem of adolescents. By combining art activities, participants can explore their emotions in the counseling process, express and resolve negative emotions through emotional relaxation and expression work, and through exchange analysis, They experienced emotional stability due to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of sufficient support and encouragement. Therefore, it influenced positive emotions and self-image reformation by identifying one's conversational patterns through exchange analysis and allowing them to positively accept and express emotions and situations through complementary exchange and reverse exchange. In conclusion, the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elf-esteem helped relieve emotional tension and relax, and by showing changes in the verbal expression of negative CP emotions and inexpressible inner emotions in AC, it was a chance to experience life re-determination and experience self-expression. Changes in attitude, positive self-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self-esteem were confirmed by acquiring.

      • KCI등재후보

        교류분석 상담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금선미(Sun Mi Keum),심혜진(Hye Jin Shim)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9 교류분석상담연구 Vol.9 No.1

        다양한 상담이론 중에서 개인의 성장과 변화를 위한 체계적 심리치료 기법인 교류분석 상담은 현대사회에서 주요한 상담이론 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교류분석 상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교류분석 상담과 관련하여 1982년부터 2018년까지 총 90편의 학위논문과 8편의 학술지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를 발행연도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발행연도는 1982년 학위논문 1편 발행을 시작으로 2000년부터 매해 학위논문이 발행되었고, 학위논문 91.8%, 학술지는 8.2%로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주제별로는 상담성과연구가 48.0%, 성격특성 및 적응연구가 24.5%,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연구 15.3%로 나타났다. 연구대상별로는 청소년 33.0%, 성인 30.3%, 아동 24.8%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가 83.8%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앞으로 교류분석 상담의 치료적 요인들을 밝히고 상담과정 및 성과연구, 상담자 대상의 연구, 질적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Among the various counseling theories, the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which is a counseling technique for individual’s growth and change is noticed as the important theory in this da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issues in the research about the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in Korea up to date,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From 1982 to 2018, 90 journals and 8 dissertations on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have been published and are analyzed by categories of dates, research topics, subjects of study, research methods in this research. First journal was in 1982 and each journal was published every year from 2000. Journals account for 91.8% and dissertations for less proportion, 8.2%. In categories of research topics, counseling result studies account for 48%,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24.5%, program development and performance for 15.3%. In categories of study subjects, 33.0% were adolescents, 30.3% were adults, 24.8% were children. In categorie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study account for 83.8%. To conclude, it is suggested that therapeutic factors should be proved and counseling process and performance study, counselor subject, qualitative study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