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광고사 시대구분을 위한一硏究

        신기혁,강태중 한국광고홍보학회 200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6 No.1

        As some articles pointed out, studies related to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are scarce. Part of the reason for the lack of such study is due to the relatively short history of Korean advertising itself. Also, the nature of advertising is such that studies are bound to be on the current situation instead of the past. In addition, the number of scholars on advertising is limited in Korea.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subject of how to divide close to 120 year-long modern Korean advertising history into periods has not been seriously discussed. If advertising is a subject taught in universities,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and its development divided into periods need a closer attentio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meet such needs. Therefore, past studies related to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and development have been analyzed and reviewed. Also, a review on similar subjects in the American and Japanese advertising was made. Furthermore, opinion on the division into periods of history in general expressed by a noted history scholar, Cha Ha Soon,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Several studies on the division of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into periods have been found but they are focused on the specific field of the Korean advertising. The only study available on the subject is the History of Korean Advertising(Shin In Sup, Suh Bum Suk, 1998), which provides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divided into periods of development. Comparing the division into periods and the method employed by the two authors, the division found in History of Korean Advertising is quite similar to that of Japan rather than America, and quite reasonable when Cha's opinion is applied except for some description and a marginal difference of a year. In short, it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at Shin and Suh's book is valid as far as its division into periods of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한국광고사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은 여러 연구들에서 지적되고 있다. 이는 아직은 일천한 한국 광고학계의 역사, 학계의 문헌연구에 대한 관심 부족 성향, 제한된 연구 인력 등에 기인하는 것이다. 한국광고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결과, 아직까지 한국광고사의 시대구분에 대한 학계의 구체적인 논의 역시 존재하지 않았다. 광고가 학문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하여 대학에서 전공으로 교육을 하고 있다는 점은 한국광고사에 대한 연구의 필요와 그에 따른 시대구분의 필요성을 낳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학문적 필요성 충족을 위해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광고사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광고사의 시대구분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일본과 미국의 광고사 시대구분과 한국의 것을 비교했고, 광고사 역시 역사의 한 분야이기에 사학계의 의견을 참고했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를 근거로 한국광고사의 시대구분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한국광고사와 관련하여 시대구분을 시도했던 연구들을 분석해 본 결과, 광고의 특정 분야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한국광고사 전체를 다루고 있다하더라도 간략한 약사적인 입장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신인섭(1980, 1986), 신인섭과 서범석(1998, 2001)의 경우 한국광고 전반을 대상으로 시대구분을 시도한 바 있다. 위의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시대구분 접근 방법을 일본과 미국의 광고사 시대구분과 비교했을 때 일본과는 유사성이 많았으며 미국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그런데 시대구분을 위해 참고했던 한국 사학계 차하순(1995)의 의견을 바탕으로 이들 연구 결과들에 적용해본 결과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시대에 대한 표현이나 시대 구분 상에서 1년 차이와 같은 연구자의 견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정도의 문제만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광고사 시대구분에 대한 새로운 주장의 전개보다는 기존의 신인섭과 서범석의 선행연구에 대한 결과를 보완 수정하는 것이 타당하게 보여, 향후 한국광고사 연구에 있어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할 것과 한국 광고학계의 광고사에 대한 관심 촉구를 제안사항으로 남겨 두었다.

      • KCI등재

        상호지향성 모델로 알아본 정부광고에 대한 이해와 오해

        손영곤,김병희 한국광고홍보학회 2022 광고연구 Vol.- No.135

        현재 우리나라 정부광고를 둘러싼 가장 큰 쟁점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총괄 대행과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는 현행 정부광고를 둘러싼 핵심 쟁점에 관한 정부광고 주요 이해관계자, 즉 한국언론진흥재단, 광고/PR회사, 매체사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한국언론진흥재단, 광고/PR회사, 매체사에서 정부광고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정부광고 핵심 쟁점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객관적 일치도의 경우 정부광고 이해관계자 집단 간에는 정부광고 핵심 쟁점에 대해 인식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주관적 일치도와 관련해서 한국언론진흥재단 집단과 광고/PR회사 집단에서 정부광고 핵심 쟁점 중 정부광고 목적/기대효과, 정부광고 질적 수준 제고, 정부광고 대행 쟁점/과제, 정부광고 대행기관으로서의 위상/정체성 강화 측측면에서 인식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정확도와 관련해서도 한국언론진흥재단과 광고/PR회사 집단에서 첨예한 인식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광고/PR회사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역할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인색한 평가를 내리고 있었다. 한편, 매체사 집단의 경우 정부광고 핵심 쟁점에 대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나 광고/PR회사 집단과 인식 차이는 찾아볼 수 없었다.

      • KCI등재

        유럽 광고시장의 변화가 한국의 광고시장에 주는 전망과 전략적 의의

        조창연(Chang Yeon J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91

        한국과 EU간의 교류가 더욱 긴밀해지고 활발해짐에 따라 양 지역 간의 교역에서 제품 및 서비스의 교류에서 첨병 역할을 하는 광고의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선별한 유럽의 나라들을 중심으로 유럽광고시장(특히 2009년도)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광고시장의 변화, 특히 온라인 광고시장의 변화에 대한 전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전략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매체별 광고시장에서 인터넷 광고비의 점유율이 수위가 되었을 때의 광고시장과 선별된 광고 산업의 요소들의 구조적 조건들을 예상할 수 있었는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한국의 광고시장에서 신문과 TV등의 전통매체 광고비와 인터넷 광고비의 비율이 20%대에서 위치하면서 각 매체들 간의 증감률 차이는 2%대에 위치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② 전체 광고시장에서 오프라인 광고시장과 인터넷 광고시장의 구성 비율은 인터넷이 약 1/4(25% 이상), 인쇄매체가 1/3(30%이상), 그리고 방송매체의 비율이 1/3(30% 이상), 그리고 기타매체가 10/1(10%이하)의 구성 비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더불어서 ③ 선별한 국내광고 산업 요소들인 10대 광고주, 10대 광고 대행사, 그리고 10대 매체사의 광고비 지출이 광고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10%, 20%대와 40%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과 선별된 유럽 국가들의 광고시장과 선별된 광고산업의 구조적 요건들이 큰 변화없이 지금과 같은 상황을 유지한다면 독일이나 프랑스보다 한국에서 인터넷을 플랫폼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가 더 일찍 광고시장의 선두주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perspectives and strategic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of advertising Market in korea, examining changes in advertising markets of selected european countries, particularly England, Germany, France in 2009. The results of studies show what structural conditions of advertising markets and selected elements of korean advertising industries is going on when internet advertising expenditure would win first place in korean advertising markets. Firstly, Percentages of the advertising expenditures in traditional media just like newspaper and TV and internet is supposed to be in th range of 20%, whereas the rate of changes between media being about 2%. It also are expected that the percentage of off-line ad markets and the on-line in the whole markets of advertising might share about 25% by internet, about 30% by print media, about 30% by broadcasting media, and under 10% by the rest of the media. Along with these the selected constitutive elements of korean advertising industries, top 10 advertisers, top 10 advertising agencies, and top10 media agencies are expected to share 10%, 20%, and 40% respectively in the whole of advertising expenditures. Considering existed conditions of some selected elements of advertising industries and of advertising markets as mentioned above, internet advertising is, ceteris paribus, expecting to get 1 rank in the advertising markets in Korea earlier than in Germany or France.

      • KCI등재후보

        국내 옥외광고 진흥을 위한 한국옥외광고센터의 역할

        한광석(Kwang Seok Han) 한국OOH광고학회 2014 OOH광고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한국옥외광고센터가 설립된 이후 옥외광고 전문 지원 기관으로서의 진흥 체계가 미약하고 야립광고의 기금조성을 하는 안행부와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산하 기관이 아닌 국내 옥외광고 전반의 컨트롤 타워 역할로 발전하기 위해 ‘한국옥외광고진흥공사(가칭)’로서의 전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옥외광고물의 법령과 분류 체계를 시대의 흐름에 맞는 제도 개선과 규제의 완화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옥외광고센터의 가장 주도적인 사업분야인 기금조성용 옥외광고의 수익 배분 방식과 판매방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 지금처럼 최고가 입찰 방식을 통해 사업자에게 권역에 따라 배분할 경우 광고비의 상승 뿐 아니라 장기적인 광고 계약에 의해 광고주에게 외면당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한국옥외광고센터가 독립적인 기관으로 옥외광고의 전문 기관인 공사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렙 방식에 기초한 전문 위탁사업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국내 옥외광고 진흥을 위한 ‘브레인웨어(Brainware)’, ‘콘텐츠 생산(Software)’, ‘기반시설 인프라(Hard ware)’의 세 가지 차원에서 세부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신유형 매체에 대한 시범 구역제를 운영하여 이에 대한 제도, 정책, 효과 등과 관련된 수용성을 증가시켜야 옥외광고 산업의 발전과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현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옥외광고센터의 존립여부와 같은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와 관련된다. 한국옥외광고센터가 옥외광고 전문 지원기관으로서 옥외광고 문화의 허브역할 뿐 아니라 국내 옥외광고 전반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광고사업자, 매체사, 대행사 등 관련 이해 조직간의 가장 타당한 합의점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weak of billboard advertising and fund-raising as a professional support agencies, despite the many positive changes since the center has been established in Korea Outdoor Advertising Outdoor. Advertising development system regards domestic not local financial Korea agencies. Mutual Fund outdoor advertising throughout the Korea Outdoor Advertising Promotion Agency(tentative name) as ‘transition’ in order to develop the role of the control tower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Concrete measures for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nd of the times to meet the water outdoor advertising laws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system improvement and regulatory relief is required. Second, changes in income distribution and sales way of the most leading business sectors Fun of Center of Korea Outdoor Advertising Outdoor advertising is required. Alloc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al operators like best bidding is likely to result in the exterior by a long-term advertising contracts with advertisers, as well as the rise of the ad. Third, Korea Outdoor Advertising Center is an independent agency specializing in outdoor advertising during the construction system to switch to a discussion on how the media representatives based on professional trust business. Fourth, domestic outdoor advertising for the promotion of ‘brain-ware (Brainware)’, ‘content production’ Software, ‘Infrastructure (Hardware)’ in the three dimensions of the infrastructure. To do this, first, by operating the pilot area for new types of media such as signage, digital signage regarding the need to increase the water-soluble for such institutions, policies, and the effect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와 지각된 효능감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장형여(Zhang, Xinyu),이세진(Lee, Se-Jin) 한국OOH광고학회 2022 OOH광고학연구 Vol.19 No.4

        최근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로 프라이버시 보호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rivacy Calculus)은 개인이 정보공개를 할 때 비용-이익(cost-benefit) 분석을 하고 이익이 위험보다 높을 때만 개인이 정보공개를 한다는 이론으로, 정보공개를 촉진하는 순방향 요인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지각된 위험에 대한 프라이버시 우려에도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광고회피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셜미디어에서 느끼는 프라이버시 우려와 지각된 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효능감이 조절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둘째, 프라이버시 우려, 광고회피, 지각된 효능감의 관계를 한국과 중국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두 국가의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프라이버시 우려의 정도와 광고회피의 정도, 그리고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미디어에서 한국 소비자는 중국 소비자보다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은 높았으며, 광고회피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우려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모두에게서 프라이버시 우려는 광고회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보다 중국 소비자의 경우, 두 변인의 관계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효과는 지각된 효능감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 소비자의 경우,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중국 소비자의 경우, 프라이버시 우려와 광고회피의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의 경우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국은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없기 때문에 광고회피의 정도가 한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와 그들의 광고에 대한 태도 및 그 원인으로 프라이버시 우려와 효능감의 역할을 밝히고, 이를 국가간 비교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Privacy issues are becoming more prominent due to a series of recent personal information leak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based on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in order to explain the advertising avoidance behavior of social media users. In particular, first, this study aimed to confirm whether perceived efficacy moderates the effect of users privacy concerns on advertising avoidance in social media. Second, this study compared social media users in Korea and China on privacy concerns, advertising avoidance and perceived efficac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Korean users in social media had higher perceived efficacy and lower advertising avoidance than Chinese use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ivacy concern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users and Chinese us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 social media. For both Korean and Chinese users, privacy concer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greater for Chinese users than for Korean use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ly Korean user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advertising avoidance decreased as the perceived efficacy increased. Wherea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among Chinese us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advertising,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cross countries.

      • KCI등재

        한국, 중국, 미국의 공익광고에서의 크리에이티브 차이

        장천(Qian Zhang),전종우(Jong Woo Jun),천용석(Yong Seok Che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광고연구 Vol.0 No.99

        본 연구는 한국, 중국, 미국 공익광고의 주제와 크리에이티브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공익광고의 주제에 있어서 한국과 중국, 미국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한국과 중국이 유사하고 미국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미국은 한국과 중국에 비해 국민건강, 봉사, 청소년 보호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를 많이 집행하고 있었다. 한국은 경제와 사회통합에 있어서 많은 공익광고를 집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교육과 가족애와 관련한 공익광고가 많았다. 공익광고 소구 방식에 있어서는 미국이 한국과 중국보다 이성적인 소구를 주로 사용하였다. 반면 한국과 중국이 미국보다 많은 감성 소구를 공익광고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표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미국이 한국과 중국보다 정보, 논증, 심리적 동기, 명령법, 상징적 연상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높은 사용 빈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공익광고의 모델 활용에 있어서는 한국, 중국, 미국의 3개국 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된 환경이라는 주제의 공익광고만을 따로 놓고 보았을 때는 한국과 중국, 그리고 미국 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This study discusses about differences in expressive strategies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SA) according to cultural differences. Using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s reference, it takes a look how these three countries` characteristics of cultures and advertisement systems affect expressive strategies of advertisements. Result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show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about themes of ads in a national unity, an education, a family love, and a youth protection.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a way of advertising appeal. Korean and Chinese approach style are emotional appeal and beside American approach style is rational appeal. Third, there are different expressive strategies in providing information, argument, imperative mood and symbolic associative technique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nd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Lastly, regardless of nation, most of TV public advertisements used ordinary people as advertising models. A ratio of celebrity models appeared in Korean and Chinese TV public advertisement is relatively high; however it did not derive meaningful results. Through analyzing differences of three countries in themes of ads, types of advertising appeals, expressive strategies and advertising models, this research provides various implications to consider in planning and making global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 KCI등재

        우리나라 광고주의 매체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박원기(Won Kee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4 No.1

        지금 방송, 광고 분야에서 최대 현안은 종편PP 및 보도전문PP의 도입, KBS의 수신료인상, 민영미디어렙 도입 등이다. 이러한 현안이 부각되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언론이나 광고업계에서 많이 지적되고 있는 이른바 ``광고재원의 부족``에서 비롯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그동안 광고업계에서 부족하다고 지적되어 온 우리나라의 광고 재원이 국내 경제 규모(즉, GDP)와 대비하여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특히 산업 구조의 변화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분석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2000년 이후 GDP의 성장속도와 총광고비의 성장속도의 차이가 점점 커지고 있다. 만약 이러한 추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국내 경제 규모에 비해 광고산업은 향후점점 더 위축될 수 있고, 광고비를 주요 운영재원으로 하는 국내 기존 매체산업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1998년 이후 GDP성장률과 각 매체별 광고비성장률을 분석한결과 국내 총광고비, 지상파TV광고비, 신문광고비가 플러스 성장을 시작하는 경제성장률 임계점은 각각 3.09%, 3.52%, 4.4% 등임이 확인되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 광고산업 급성장기의 매체별 광고비 구성비를 살펴보면 그 당시 국내 광고산업을 급성장시킨 것은 지상파TV가 아니라 신문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내 광고시장에서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신문광고비가 지상파TV로 전이된 것으로 보이며, 2006년 이후는 전통매체인 지상파TV와 신문 광고비가 그 당시 뉴미디어인 케이블TV와 인터넷으로 전이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그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Major issues surrounding today`s broadcasting and advertising industry in Korea may include new comprehensive channels launch, new news channel launch, raise of subscription rates to KBS TV and legalizing private media reps for terrestial TV. The fundamental reasons these issues draw primary attention from the industries are, as many professionals in the industries pointed out, so called ``the lack of advertising resource``.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with two objectives; how the long lasting claims of the lack of advertising resource in relation to the scale of economy in Korea(named GDP) has been changed past years and what insight would be found particularly in relation to change of industry structure. Study found that the gap between growth rate of GDP and growth rate of total advertising volume has gradually become wider since year 2000. If this pattern continues, the advertising industry would be more subsided in versus GDP and consequently this may possibly cause a negative influence on Korea`s media industry which is heavily dependent on advertising resources. Critical point of domestic economy growth which led total advertising volume, terrestrial TV advertising volume and newspaper advertising a positive growth were 3.09%, 3.52% and 4.4% respectivel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GDP growth rates and advertising growth rates of there advertising volume since 1998. It is also fund that newspaper advertising, not TV advertising, was a major contributor in making advertising booming period emerge from 1990 to 1997 and the role was shifted to TV during the period of 2000 to 2006. Since then, Cable TV and Internet started taking over the role from traditional media and the trend continues by today.

      • KCI등재

        정치 광고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수범(Lee, Soo Bum),문원기(Moon, Won K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8 No.2

        본 연구는 정치 광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에서 발표된 정치 광고 연구에 대해 분석적 메타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에는 1997년에서 2015년 사이에 발표된 50개 논문 358개의 효과 크기가 사용되었다. 메타분석을 통해 정치 광고의 정치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정치 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절 변인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효과 크기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부정적 정치 광고는 광고를 집행한 후보나 정당에 대해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우려와 달리 그 역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것을 밝혀냈다. 광고 메시지 유형에 따라 효과 크기를 비교하는 경우 감성 중심의 광고가 가장 효과적인 메시지 유형이라는 것 또한 검증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정치 광고 연구에 사용된 다양한 변인들을 통합, 비교하여 국내 발표되었던 정치 광고 연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향후 정치 광고 연구를 진행하거나 정치 광고를 집행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olitical advertising on voter, utilizing an analytic meta-analysis of 50 independent studies published in major academic journals in Korea over the twenty-eight years period 1997 to 2015. The method of meta-analysis is used to explain the size of effect between political advertising and political behavior/re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political advertising effects on the voter’s political decision making. Also, negative political advertising influences voter’s support for political candidate or party, related other variables. More specifically, the data demonstrates that emotional political advertis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voter.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political advertising on mobile and online media has medium effect.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meta-analytic review,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국내 광고 심의 체계에 대한 고찰 광고 매체별, 광고 업종별 심의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조재영(Jae Yung Ch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광고산업 중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 왔던 방송광고에 대한 법에 의한 사전심의가 사라진 이후 매체의 다변화 등으로 더욱 혼란스러운 광고심의체계를 광고 매체별, 광고업종별로 고찰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제점은 첫째, 심의위원 선정 및 심의가 비공개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심의과정의 폐쇄 성으로 인해 심의의 정확성 및 신뢰성 결여, 둘째, 이와 같은 폐쇄성으로 인한 심의규정 적용의 일관성 및 형평성에 대한 의문, 셋째, 자율심의는 물론 법에 근거한 사전심의 의무 규정에도 불구하고 심의를 신청한 광고에 대해서만 심의를 실행하고 있는 등 광고심의에 대한 의식 결여, 넷째, 광고심의 결과에 대한 법적 구속력 부재로 인해 심의 후 발견되는 부당성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불명확성, 다섯째,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심의체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심의체계를 개선하는 방향으로는 첫째, 광고심의는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동시에 건전한 경쟁환경을 조성하여 자사 및 경쟁사를 보호하기 위해 실행한다는 광고심의 모토 정립, 둘째, 광고심의를 받아도 되고 안 받아도 그만이라는 식의 무책임한 의식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율규제의 의미 정립, 셋째, 민간주도의 통합적 광고 자율심의 기구의 정립 등이다. 특히, 세 번째 통합적 광고자율심의 기구에 대해서는 미국, 영국, 프랑스 및 일본 등 외국의 사례를 예로 들어 통합된 심의기구에서 합리적이며 효율적인 체제로 심의를 할 것과 함께 광고매체별, 업종별로 공통된 심의 기준에 대해서는 표준화 할 것, 광고업계의 광고심의에 대한 의무적 참여를 촉진할 것, 광고 모니터링제를 활성화할 것, 광고심의 관련 법규를 정비할 것, 광고자율심의와 관련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행할 연구소를 설립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율심의에 대한 보다 책임 있는 자세로 접근하여 정부규제를 최소화하며 진정한 자율규제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advertising review systems by media and industrial classifications and suggest the alternatives to improve them considering the recent more complex and confusing situations after an unconstitutional measure against the precensorship of broadcasting advertising. The problems were found; ① the closed review systems in selecting the members of their committees and reviewing caused the lacks of accuracy and reliability, ② the doubtfulness about the consistency and fairness in applying the related advertising regulations and codes, ③ the lacks of advertisers` consciousness of reviewing by not only self-regulations but law, ④ the indefiniteness of where the responsibility lies if the unfairness found after reviewing, and ⑤ the urgent necessity of appropriate review systems to apply to changeable media environment. The alternatives that could be suggested for improving the systems are establishing: ① the advertising review`s motto, that the system should work for consumers, advertisers and their competitors within the boundary of the sound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② the sincere meaning of self-regulation of advertising with strong sense of duty, and ③ the nongovernmental integrated advertising review organization. The key factors that should be included for the new organization are suggested that are: ① the efficient and fair processing system like foreign country`s such as the US, the UK, France and Japan, ② the enactment of the standard guideline for common codes, ③ consolidating advertisers` duties of review processing, ④ activating advertising monitoring, 5)modifying the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of advertising and 6)establishing the research institute for continuous investigation of the advertising problems and suggestions. This leads the conclusion that the maturer consciousness of self-regulation is, the less intervened the government is.

      • KCI등재

        한국 광고홍보학 연구경향 언어 네트워크 분석

        김수연(Soo Yeon Kim),김대욱(Dae Wook Kim),최명일(Myung Il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1

        이 연구는 한국 광고홍보학 분야의 연구 경향 및 지식 체계를 파악하고자 광고홍보학 대표 저널이라고 할 수 있는 『광고연구』, 『광고학연구』, 『홍보학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에 게재된 1,519편의 논문의 핵심어를 대상으로 언어 네크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총 10회 이상 노출빈도를 보이는 60개의 핵심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광고 효과, 광고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브랜드 태도, 관여도 등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핵심어들 간의 관계도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 연구 경향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어 사이의 관계는 총 8개의 하위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이라는 새로운 시도로 한국광고홍보학 분야의 학문적 특성을 체계적,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s academic trends in the fields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in Korea. To do so,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key words in 1,519 articles published in Advertising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The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and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Critical key words frequently used in the fields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were found to be “advertising effects,”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s toward brands,” and “involvement.” The relationships among all key words consisted of 8 sub-categorical groups. The findings will help identify characteristics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studies in Korea by showing what topics have been examined frequently and how they relate to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