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논문의 글쓰기 사례 연구

        한재영 ( Jaeyoung Ha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과학교육 논문의 글쓰기 실태를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의 측면에서 조사하고 그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과학교육 연구는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특성을 모두 나타내며 양적 연구를 더 많이 하는 특징이 있어 논문 글쓰기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번역투는 순수한 한국어가 아닌 외국어에서 유래한 상투적 표현을 말한다. 한국어 기초 문법은 호응의 문제, 맞춤법·띄어쓰기·문장 부호의 문제, 사동 표현의 문제, 무분별한 영어 사용의 문제로 정리하였고, 번역투는 영어번역의 문제, 일본어 번역의 문제, 영어와 일본어 번역의 문제로 구분 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한 호에 실린 논문 9편의 글쓰기 중에서 한국어 기초 문법에 어긋나는 사례와 번역투에 해당하는 사례를 찾아 문제를 논의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빈도가 높은 문제사례는 ``~적``, ``영어 사용``, ``복수 표현``, ``하다류 피동``, ``~고 있는``, ``~을 통하여``, ``~에 대하여``, ``가지다``, ``관형격조사 ~의``, ``사물주어 수동태``, ``사동(시키다)`` 등이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과학교육 소 논문의 글쓰기 특징을 ``양적 연구의 글쓰기``, ``학술 연구의 객관적 글쓰기``, ``외국에서 유래한 연구의 글쓰기``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과학교육 논문 글쓰기에 나타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과학교육 연구자는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에 관심을 기울이고, 구체적인 사례와 내용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글쓰기 교육과 문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riting in research papers of science education with focus on the translationese and basic Korean grammar, and found a way of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have characteristics of both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nd of having more quantitative than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uld influence the writing of the research paper. The translationese means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riginated from foreign language other than Korean. The basic Korean grammar includes ``agreement,`` ``spelling, word spacing, punctuation mark,`` ``causative suffix,`` ``use of English or loanword,`` and the translationese is divided in ``English,`` ``Japanese,`` and ``English and Japanese.`` The sentences in nine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atic sentences were discussed and provided with alternatives. The cases with high frequency include ``-jeok,`` ``use of English,`` ``expression of the plural,`` ``passive voice of the verb with -hada,`` ``-go inneun,`` ``-eul tonghayeo,`` ``-e daehayeo,`` ``gajida,`` ``genitive case marker -eui,`` ``passive voice with subject of thing,`` and ``causative suffix, -sikida.``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papers were described as ``writing of quantitative research,`` ``objective writing of academic research,`` and ``writing of research of foreign origin.`` In order to improve the writing of research paper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should pay attention to basic Korean grammar and the translationese, and be familiar with the concrete examples of problematic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education of writing and grammar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 내용 비교 연구

        간치멕 ( Ganchimeg Gantumur ),곽영순 ( Youngsun Kwak ),차희영 ( Heeyong C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6

        이 연구는 몽골과 한국의 중등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지구과학과 교육 내용을 점검하고 향후 지구과학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의 변천 및 현행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다른 국외 사례와 비교 분석하며, 둘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중학교는 TIMSS 평가틀을 활용하였고, 고등학교는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 표준(NGSS)과 한국의 고등학교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혼합하여 전문가의 타당도 분석을 거쳐서 분석틀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 몽골과 같이 러시아식 교육 체제를 따르고 있는 국가들에서는 지구과학을 독립적인 과학과목으로 편성·운영하지 않았고, 지리교과의 자연지리 영역에서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몽골과 한국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구과학 내용을 분석한 결과 TIMSS 내용분석틀의 27개 내용 요소 중에서 몽골은 18개가 일치했고, 한국은 20개가 일치했다. 한국의 몽골의 고등학교 지구과학 관련 내용은 한국보다 매우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었고, 다루지 않는 내용이 많았다. 특히, 몽골 지리 교과과정에서는 환경 관련 내용을 많이 다루었다. 몽골의 지구과학 교육과정 운영 방식과 환경 관련 내용의 강조는 한국의 과학과 사회 교과의 간학문적 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시 참고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secondary earth science curriculum in Mongolia and South Korea to check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and to prepare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earth science curriculum revision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current operating conditions of earth science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o compare and analyze with other foreign cases, and seco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and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he TIMSS evaluation framework i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arth science-related contents included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high school, the contents of NGS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contents of high schools in South Korea were mixed and the analysis frameworks were created and validated by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countries that follow the Russian-style education system did not organize and operate earth science as an independent science subject, and deal with earth science-related content in the natural geography area of the geography subject. The earth science contents covered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18 of the 27 content elements of the TIMSS content analysis framework were matched in Mongolia and 20 in South Korea. In high school curriculum,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in Mongolia were described more briefly and not covered than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Mongolian geography curriculum dealt with many environmental issues. The emphasis 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in Mongolia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nvironmen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of science and social studies in South Korea.

      • KCI등재

        고등학교급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에서 수행되는 연구윤리교육과 연구환경 조성에 대한 멘토 과학자와 교사의 인식비교

        이지원,이범진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3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scientists and teachers engaged in mentoring program are conducting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how they are creating an ethical educational environment. A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32 scientists and 44 teachers conducting mentoring programs for gifte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ontent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opined that they should teach against falsification, plagiarism, and fabrication. Teachers were most likely to teach ethical decision-making in each step of the research process. Most of the scientists said that they should teach how to write research note. For the difficulties, the teachers pointed out the challenging system that focuses only on college entrance exams while the scientists answered that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research ethics as the problem of the students themselves. For the teachers, the most affective factor in creating an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is the amount of time to teach research ethics while for the scientists, it is the ethics of the mentors. For creating an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the teachers responded with making an atmosphere wherein failure is tolerated, and the scientists responded with increasing the degrees of freedom in results. For the difficulties of creating an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the teachers were constrained by research time while the scientists were pressured about the results.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ways to teach research ethics and for ways to create an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in the mentoring program for science-gifted students. 이 연구에서는 사사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과학자와 교사는 연구윤 리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사사교육에서 윤리적 교육환경을 어떻게 조성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급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사사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과학자 32명과 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윤리교육의 내용에 대하여 과학자와 교사 모두 위조, 변조, 표절하지 않기를 가장 우선적으로 가르 쳐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윤리교육의 수준에 대해서 과학자와 교사 모두 고등학교급 과학영재에게 대학생 수준의 연구윤리를 가르쳐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육방법에 대해 교사는 연구수행 중 각 단계별로 필요한 윤리적 의사결정의 개별 교육, 과학자는 연구노트 작성법 지도가 가장 순위가 높았다. 연구윤리교육의 어려움에 대해 교사는 입시 위주의 교육풍토를 들었고, 과학자는 연구윤리가 학생 스스로의 문제라고 인식시키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과학영재가 윤리적 으로 연구를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교사는 연구지도에 주어진 시간, 과학자는 멘토의 윤리성이라고 보았다. 윤리적 연구 환경의 조성 방법에 대해 교사는 실패가 용인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 과학자는 결과에 대한 자유도를 늘리는 것이라고 하였다. 윤리적 연구환경 조성의 주요 어려움으로 교사는 연구시간의 제약, 과학자는 결과에 대한 압박을 들었다. 이 결과는 과학영재 학생들을 위한 사사 교육 중 어떻게 연구윤리를 교육하여야 하는지와 어떻게 윤리적 연구 환경을 만들어나갈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과 그 실현 방안으로서 Nature-Study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박다혜 ( Dahye Park ),박종석 ( Jongseok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Nature-Study 사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성교육 관련 문헌을 수집·분 석하고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으며 과학교육 전문가 2인과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박사과정생 4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또 Nature-Study가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인지 문헌을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은 첫째, 인성의 가치 영역 확장을 통해 인성교육에서 과학교육의 역할을 확립하고, 둘째,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을 실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확장된 인성의 가치 영역 모델’과 ‘실천 중심의 인성 발현 메커니즘’으로 구체화하였다. ‘확장된 인성의 가치 영역 모델’은 지금까지 ‘자신, 주변인, 대중’이 중심이었던 ‘관계맺음’의 대상을 ‘생명과 환경, 영적대상’으로까지 확대한 것이고, ‘실천 중심의 인성 발현 메커니즘’은 ‘가치-판단-실행’의 인성 발현 과정에서 ‘관계맺음, 실제 상황, 실천 의지’의 단계 이행 매개와 ‘공감’을 강조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강조하는 Nature-Study를 제시하였다. Nature-Study는 교육 목적에도 인성교육의 요소가 나타날 정도로 인성이 강조되었던 과학교육 방법이었을 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관계맺음과 실천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에서 도출한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과도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과학교육은 인성의 가치 영역 확장을 통해 인성교육에서의 역할을 확립하고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을 실현해야 하며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과학교육의 방법은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실현하는 Nature-Study이 된다. 따라서 Nature-Study는 학교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실행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to analyze Nature-Study theoretically as one of the ways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ferences for character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then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expert workshops composed of 2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4 PhD student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eferences for Nature-Study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we supposed to confirm that Nature-Study is an efficient way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ed in the following: First, science education should establish it’s own role in character education by expanding the domains of value and realizing practi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ly, ‘Expanded model of character education (The domains of the valu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nature & environment, spiritual object’ and ‘The practice-centered character manifested mechanism’ empathized ‘formation of relationships’ and ‘practice’ was also diagramed. Second, Nature-Study empathized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can be one of the efficient ways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Nature-Study corresponds with the direct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because Nature-Study aims for character education in it’s educational purpose and emphasizes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nature & environment’ and ‘practice’ in the real world. In conclusion, science education should establish it’s own role in character education by expanding the domains of value and realizing the practi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and Nature-Study is efficient ways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A Study on Science Education Courses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reparation

        박성재 한국과학교육학회 198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 No.2

        중등 과학교사 양성에 있어서 기초 교양 과목과 교육 일반론 및 과학 과목은 중요한 부분이지만 가장 핵심적이고 특유해야할 과목은 과학교육 관계 과목이다. 많은 경우 2∼3학점의 한 과목을 필수로 제시되는 "물리교육", "화학교재", "생물교수법" 등의 분야별 과목이 안이하고 무의미하게 제시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직관적 판단으로부터 우선 한국의 실태를 조사하고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연구 개발의 기본적 모형을 구안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한 단계로 전국 사범대학 과학교육 관계과나 전공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법과 면담을 통해 학사 학위 및 중등 과학 교사 자격을 위한 최소 이수 학점 그리고 일반 및 과학 교육 관계 과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별히 과학 교육 관계 과목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필수 및 선택 과목 수와 학점, 대상 학생과 교수, 과목의 목표, 내용, 교육 자료와 평가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의 두 번째 범주인 과학 교육 과목 담당 교수의 중등 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과 과학 교육 과목에 대한 구체적 의견을 종합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태 조사와 의견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 교육 과목의 총 이수 학점에 대한 비율, 과목수와 명칭 그리고 교육 내용의 기본적 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자료개발과 실제 지도를 위한 모형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과학 관련 특목고에 진학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 부모들의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인식 및 과학교육참여에 대한 분석

        신희선,김선자,박종욱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0 과학영재교육 Vol.2 No.1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 중 과학 분야 특수 목적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자녀의 과학교육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 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29명의 학부모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실시 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과학 관련 특목고 진학에 과학영재교육원의 새롭고 다양한 교육활동과 우수한 동료들과의 교류가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였다. 학부모들은 자녀의 다독 습관, 높은 문제해결력 등을 과학영재 특성이라고 생각하였고, 자녀 대부분은 초, 중학교 시절 친구 들과의 문제로 힘든 시기를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녀들을 위해 심리적으로 많은 배려와 지원을 하였고, 다양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학부모들은 자녀가 현재 원하는 진로 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고, 자녀의 희망을 지지하였으며, 항상 과학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정 분위 기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o analyze how the parents of students who entered science-related special high school after graduating from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SGEC) for the Gifted view the SGEC and how the parents understand the SGEC and participate in their children’s science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survey and interview was carried out on 29 parents, and the resulting are as follows: Parents thought that curriculums of SGEC, various programs that are uncommonly experienced,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from SGEC mostly influenced their children's entrance into science-related special high school. It was discovered that the parents consider that their children’s habits on heavy reading, high abilities on solving the given problems and other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On the other hand, it was shown as the most of children have had their hard times due to the problems with the peer groups in thei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years. All of the parents psychologically payed much attention and offered supply to their children's science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 in their actual participation. It was evaluated that the parents were precisely understanding the courses their children wish to proceed, supporting them and leading their family atmosphere for the children to be always exposed to the science.

      • KCI등재

        천체 전시물 비교 연구 -전시특성 및 지구과학 교육과정의 반영 정도를 중심으로-

        김수경 ( Soo Kyung Kim ),박은지 ( Eun Ji Park ),김찬종 ( Chan Jong Kim ),최승언 ( Seung Urn Cho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천문학은 학생들의 호기심과 탐구하고자하는 욕구가 매우 높은 분야이나 교실 수업이라는 제약이 있어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과학관은 교실 수업과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과학관은 학습자에게 글로 된 설명이나 삽화가 제공하는 그 이상의 경험을 줄 수 있으므로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천체 관련전시물의 교육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체전시물의 효과적인 전시특성을 살펴보고 그 내용이 형식교육기관과 어떻게 상호보완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미국, 일본 세 나라의 유명 과학관을 선정한 뒤 천문학 관련 전시물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때 전시의 특징으로는 전시 기술과 매체, 전시 표현, 활동유형 등을 고려하였다. 또한 각 전시 내용에서 과학교육과정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분석 기준으로 사용한 교육과정분석틀은 한국, 일본의 국가 수준의 과학교육과정과 미국의 국가과학교육기준(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을 근거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미국과 일본의 과학관은 국내에 비해 빅뱅우주 전시 등 천체와 관련된 전시 콘텐츠를 다수 확보하고 있었으며 체험형 전시물이 주를 이루었다. 이를 통해 국내 과학관에도 우주의 원리와 같은 내용을 관람객이 보다 실감나게 체험해볼 수 있는 체험형 전시물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세 나라 천체전시물의 내용은 모두 과학교육과정과 잘 연계되어 있었다. 다만 교육과정 상에서, 빅뱅우주와 같은 내용은 선택교육과정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건대, 대다수 학생들은 이를 학습할 기회가 부족할 것이다. 따라서 공통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을 과학관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천체전시에 있어서 충실한 교육과정의 고려가 필요하다. For students, astronomy is not only interesting but also difficult to learn. However, there is a limit in learning astronomy in a school science setting since astronomy is vast subject. Fortunately, science museums can be helpful in overcoming this limitation. Experiences in science museum provide something that any descriptions or illustrations cannot give. Therefore,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it is necessary to look at astronomical exhibits regarding the educational aspects and complement them. For these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s related to astronomy and how much the exhibitions reflect the contents of their science curricula. We selected famous science museums in Korea, America, and Japan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ir astronomy exhibition. We analyze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aspects of exhibition technology & media, presentation method and activity types. Also, this study figures out how content of exhibitions are connected to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ience Museums of America and Japan utilize interactive exhibits to raise participation. It implies that Science Museum of Korea needs Interactive Exhibits that provide a realistic experience of the universe. Second, the astronomy exhibits reflect some of the learning elements of their science curricula concerned with astronomy. However, these astronomical contents are included selectively and not according to their required curriculum. It means that many students lack the opportunity to study Astronomy in their schools. Therefore, the astronomy museum must reflect learning elements of science curricula concerned with astronomy in the exhibits.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최정인 ( Jung In Choi ),백성혜 ( Seoung Hye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2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인 만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과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성취기준이 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우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아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에서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의 유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NGSS와 비교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에서 특정 범주의 인지과정이나 지식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과정이나 ‘메타인지 지식’과 같은 지식의 유형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음을 비교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천명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일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분명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다양한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을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int for improvemen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7 &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compared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has expanded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which promote a higher level thinking. However,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has been biased to the type of specific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knowledge dimension as compared to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such as ‘analyze,’ ‘evaluate,’ ‘create,’ and the type of knowledge such as ‘meta-cognitive knowledge’ have been treated inattentively. In addi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that were neg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 dealt with in the learning objective of teachers` guides, either.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curriculum to reflect better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various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by improving the method of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구성 방안 탐색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김현종 ( Hyun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지구과학 내용 영역과 핵심개념의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국내외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천문 영역 학습 요소 비교·분석을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구성(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전환하면서 지구과학 교과목에 도입된 내용 영역 및 핵심개념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4명의 지구과학교육 전문가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캐나다 British Columbia(BC)주, 일본, 국제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BDP) 교육과정에 제시된 천문 영역학습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지구과학 내용 영역중 학생들이 가장 큰 매력을 느끼는 내용은 천문 영역으로 나타났다. 천문 관련 핵심개념에 가장 큰 흥미를 느낀다고 응답한 고등학생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천체관측 관련 내용이 삭제된 것에 대해 많은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국내외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와 IBDP 교육과정이 가장 많은 양의 천문 영역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캐나다 BC주와 IBDP의 경우, 천문 영역을 독립된 과목으로 개설하며,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일본의 교육과정은 지구과학 과목에서 천문 영역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천문교육강화를 위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학습 요소와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천문 관련 내용으로 지구과학 일반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영역은 다양한 학문의 배경지식이 요구되며 교과 연계 학습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천문학의 지식체계를 따라 진로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천문교육을 통한 과학소양교육 실현에 초점을 두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mposition of contents on the area of astronomy for high school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hanges in Earth Science core concepts over the curriculum revisions, and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in the area of astronomy for domestic and foreign Earth Science curriculum. Four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ts compared and analyzed the astronomy contents presented in Korea, the US, British Columbia (BC) in Canada, Japan, an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IBDP)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the core concepts of astronomy expressed a lot of regret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 were elimina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Korea and IBDP curriculum dealt with the largest amount of learning elements in astronomy. In the case of BC in Canada and IBDP, astronomy wa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curriculums of Japan and Korea dealt with astronomy in the Earth Science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eral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with astronomy-related contents with high discriminating power in order to strengthen astronomy education. Since astronomy requires background knowledge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inter-disciplinary learning wa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areer-related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so that astronomy can be dealt with according to the knowledge structure of general Astronom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organize astronomy contents for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were suggested.

      • KCI등재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용어 사용 연계성 분석

        윤은정 ( Eun Jeong Yun ),박윤배 ( Yune Ba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7

        과학 학습에서 과학 용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어학 및 심리학적 측면에서 학생들이 과학 용어를 처음 접할 때의 상황과 맥락은 매우 중요하며, 처음에 제대로 인지되지 못하면 오개념 등으로 이어져서 후속 학습에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본 연구는 과학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을 담은 용어들을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얼마나 주의 깊게 제시하고 있는지,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잘 연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짚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2009 개정교육과정의 단원별 성취기준에 제시된 과학 용어들 가운데 교과서에서 먼저 사용되고 있는 것들을 조사한 뒤, 이 용어들의 교육적 필요성, 과학학습에의 중요성, 적절한 교육 시기, 난이도 등을 교사와 학생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사용된 과학 용어의 25%정도만이 교육과정에 언급되고 있었으며, 약 10%정도는 교육과정에 언급되기 이전에 교과서에서 먼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서보다 교과서에서 먼저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을 대상으로 과학교사와 학생 설문조사 결과 상당수의 용어가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서 가르쳐야할 개념이나 사용 용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교과서를 집필할 때 이를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입장에서 과학 용어를 위계적이고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전체 학년의 교과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It is important to know science terminology when learning science. In terms of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the context of encountering a terminology for the first time is critical. If a student has not learned the terminology properly the first time, it might cause misconceptions or be a barrier in following learn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careful science terminology are used in science textbooks, and the relationship of using science terminology between science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educational need, the importance of science learning, proper time for teaching, & difficulty of the terminologies have been surveyed among teachers and students. As results of study show, only 25% of terminologies in science textbooks have appeared in the curriculum, and about 10% have been used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prior to science curriculum.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that many of those terminologies could cause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e solution for them have been divided into the following: avoiding usage in textbook prior to curriculum, using earlier in textbooks, using earlier in curriculum, and reflecting curriculum precisely in the textbook. In general, the curriculum needs to state performing objectives concretely. And it is needed to examine science terminology advertently when writing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