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번역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남지만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as led many translation projects of Korean classics and it has accumulated a lot of achievements, but the limits of these achievements have been revealed. This research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of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as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of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ill make the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by means of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academic research of Korean society related to classical translation. Most of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was related to the lack of preparation of basic researches such as classical theories on the translations of classics. That is why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as discussed as a suppl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hich was suggested in this project, will play a major role in activating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into academic field. Korean Chinese-written Classics is the key chain that inheri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s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it is at a limit that could not be fully utilized due to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ill build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develop various cultural contents of Korean classics by connecting education and field in research and education. If the establish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is complemented with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concrete connection of education and the working field will be realized. It would be a collaborative research system between classical translator and graduate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plan and prepare the establishment the network among the related institute such as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and other universities. This network will provide graduate students with various research and training opportunities through research networking with academic institutions in and outside of Korea. 근대 이전 시기의 우리 민족공동체의 기록물은 대부분 한문이다. 현대에 이르러 이 기록들이 현대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으면 민족공동체의 기억이 단절될 수도 있다. 국고지원으로 고전번역사업을 진행하는 까닭은 이 일이 민족공동체의 기억을 이어가는 행위라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고전번역작업은 다양한 경로로 고전번역자가 양성되었기 가능하였다. 본고는 고전번역이 이어지기 위한 필요조건인 고전번역자 양성문제에 대하여, 특히 최상급의 학술과정인 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검토하려 한다. 우리나라에서 학문적 축적은 학과형태의 학술적 연속성에 기초하기에 협동과정 형태의 운영으로는 번역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한계를 피할 수가 없다. 독립된 학과형태의 고전번역학 과정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러한 학과 과정은 한학(漢學)이 갖는 학문체계의 통합성을 복원하여, 번역학의 기반에서 학문적으로 재구성해야 하는 학문적 요구에 부응하는 명실상부한 ‘고전번역학’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고전번역사업을 주도하는 한국고전번역원을 중심으로 독립적인 고전번역대학원을 설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현실적으로 독립적인 학문기구로서 고전번역대학원의 설립이 어렵다면, 공동학위제도를 바탕으로 하는 통합적인 협동과정 형태를 상정할 수 있다. 대학의 기존 고전번역협동과정과 한국고전번역원이 ‘한국고전번역학 공동학위과정’을 만들어 고전번역자 자격취득에 관한 부분은 한국고전번역원이 주로 담당하고, 연구를 통한 학위 취득에 관한 부분은 대학에서 주로 담당하는 형태로 고전번역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것이다. 서울과 지방에 있는 대학의 고전번역협동과정을 하나로 연계하여 공동학위과정 혹은 복수학위과정으로 운영하고 거기에 고전번역원의 번역교육과정을 공통과정으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의 고전번역원은 다음과 같은 변화가 요청된다. 첫째, 현재의 연수과정과 연구과정은 학점인정제를 바탕으로 하여 학점교류가 가능한 형태로 변화하여 정규 교육제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2018년 처음 도입되어 직업교육에 가까운 형태로 운용되는 교감표점전문가 양성과정, 편집전문가 양성과정을 온전한 직업교육훈련 과정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물론 고용노동부 등의 충분한 정부지원을 얻어서 내실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고전번역대학원 과정에 대해서는 국가의 정체성확인과 그것을 기초로 국가의 정신문화를 창달하는 기반사업이기에 국가주도의 투자가 요청된다.

      • KCI등재

        한국 한문고전서사 작품의 존재와 번역의 제문제

        신상필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grew by sharing its stylistic characteristics under the influence of the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 Kim Si-seup the 15th century university symbolize the dawn of a narrative open <Geumo Sinhwa> peaking at ‘Chuan-qi’(傳奇) form is a typical case. However, Han-documentary styles such as ‘mongyurok’(夢遊錄), ‘an unofficial version of historical tale’(野談), and ‘the novel of the bedchamber’(閨房小說), which began to appear afterwards, are themselves achievements made in our unique sociocultural context. However, as such epic literature is recorded in Chinese,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the rite of passage called translation.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many issues to consider in the translation process as the way Han- documentary literature exists is different from ordinary literary works. First of all, there are a lot of e-books of individual works. Yvonne each has the same differences as misalignment, elimination, abbreviation, and extra pl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best version prior to the translation, and based on this, the process of regularizing through a communion needs to be carried out. The following is the question of how far to recognize the boundaries of epic literature. Yadam, which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 case in point. This is because while Yadam has a collection of works that are highly epic, only some of them are recognized as epic. There is also the question of how to distinguish between works that tend to be novelized and those that exist on the boundary that are not. Lastly, there are many epic literature works that individual researchers and publishers have already translated. With regard to the essay of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 quite a number of classical epic literature have been translated, and there are a lot of translated works in the interest of individual researchers. There are also cases where a piece has different styles and translations as it is repeatedly translated.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 of translating works of Korean Chinese classics, such as the Korea Institute of Classical Translation is needed, among other If a central institution is established to translate the Chinese classics, we hope that the translation project with consistent policies and long-term prospects can proceed based on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aforementioned issues. 한국 고전서사문학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영향 아래 그 양식적 특징을 공유하며 성장하였다. 서사문학사의 서막을 열어 15세기 김시습의 金鰲新話 로 정점을 이룬 傳奇 양식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이후 등장하기 시작한 夢遊錄, 野談, 閨房小說과 같은 한문서사양식은 그 자체로 우리의 고유한 생활의식과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이룬 성과이다. 그럼에도 이와 같은 서사문학들은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어 번역이라는 통과의례를 거칠 필요가 있다. 문제는 한문서사문학의 존재 양상이 일반 문집들과는 달라 번역 과정에 고려해야 할 사안들이 많다는 것이다. 먼저 개별 작품들의 이본이 많다는 점이다. 이본들은 저마다 오탈자, 탈락, 축약, 부연, 개작과 같은 상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 때문에 번역에 앞서 善本을 선정해야만 하며, 이를 기준으로 삼은 교감과 정본화 과정이 필요하다. 다음은 서사문학의 경계를 어디까지 인정하느냐의 문제이다. 조선후기 등장한 야담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야담에는 서사성이 강한 작품집이 있는 반면, 일부 작품에만 서사성이 인정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물전의 경우에도 燕巖 朴趾源의 ‘九傳’과 같이 소설화 경향이 강한 작품과 경향성이 약해 그 경계선에 존재하는 작품들을 어떻게 구분하느냐는 문제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미 개별 연구자들과 출판사들이 번역한 한문고전서사 작품들이 상당히 많다는 점이다. 현재 대학 입학시험의 논술과 관련하여 수많은 고전서사문학이 번역 소개되었고, 개별 연구자들의 관심 속에 번역된 작품들이 상당하다. 또한 하나의 작품이 반복적으로 번역되면서 서로 상이한 문체와 번역 내용을 갖는 경우들 역시 국가 차원의 번역사업에는 하나의 걸림돌로 작용하고는 한다. 이와 같은 한국 한문고전서사 작품의 번역에 관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고전번역원과 같이 장기적인 기획 속에 번역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담당 기관이 필요하다. 한문고전서사를 번역하기 위한 중심 기관이 마련된다면 앞서 언급한 문제들에 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일관된 정책과 장기적 전망을 갖는 번역 사업이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문학 영어번역 양상 멀리서 읽기(2)-고전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전기화,김지윤,유건수,전세진,정기인,정성훈,Seth Chandler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한국 고전문학의 영어번역양상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1889년부터 2023년까지 번역된 1868개의 고전문학 작품과 206권의 단행본의 목록을 만들고, 그 서지 사항을 근거로 하여 시기별 발간량 추이, 여성 작가의 비율 추이, 장르별 번역 추이, 작가와 산출 연대별 번역 추이, 번역가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고전문학 분야의 연간 발간량은 지난 60년 동안 일관된 증가나 감소 추세를 보이지 않았으며, 특정한 고전문학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재번역 및 재출간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성 작가의 비율은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 특히 2011년부터 2020년 사이에 데이터 수집 기간 중 가장 높은 16.8%를 기록했다. 이러한 여성 작가 비율의 증가는 번역자 개인의 관심과 영미 학계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장르별 추이를 살펴보면, 한글문학, 한문학, 구비문학 순으로 비중이 높으나, 이 비중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1960년대 이전까지는 구비문학이 중심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기록문학 중심으로 전환되었고, 2000년대 이후 한문학 및 산문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작품이 가장 많은 횟수에 걸쳐 번역된 작가들은 鄭澈, 黃眞伊, 尹善道 등 고전시가 작가들로 확인되며, 번역 작품의 가중치를 고려할 경우 상위 작가 명단은 金萬重과 惠慶宮 洪氏 등 고전산문 작가들로 나타난다. 번역된 작품에서는 조선시대 작품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16세기와 17세기 작품이 다수 번역되었다. 한편 번역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볼 경우, 초기 선교사 번역가들과 20세기 중후반 한국학 개발 시기의 번역가들의 작품이 여전히 주요 비중을 차지하며, 이들의 개인적 취향과 환경이 번역 양상에 영향을 끼쳤다. 현재로서는 고전문학의 실제적 다양성을 영어번역에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최근 연구자들의 문제의식이 번역 양상에까지 충분히 반영되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다. This preliminary study offers a comprehensive view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 Using bibliographic data from 206 books and 1868 works of translation published between 1889 and 2023, it analyzes trends in the number of translations published over time, the proportions of female authorship, literary genre, and historical era among source texts, and the translators of classical literature. This analysis indicates no consistent increase or decrease in publishing over the past 60 years, and finds a tendency for specific works to be retranslated or republished. Female authorship of source texts gradually increases over time, reaching a maximum of 16.8 percent in 2011-2020. This increase may reflect individual interests of specific translators and the influence of English-language academia. In terms of genre, Hangul literature makes up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hen oral literature. However, this changes over time, shifting from oral literature prior to 1960 to written literature in the 1970s. From the 2000s, prose and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grew. Authors with the most translated works include classical poets like Jeong Cheol, Hwang Jin-i, and Yun Seon-do, while a weighted measure of translated works results in prose writers like Kim Man-jung, Lady Hyegyeong, and Il-yeon. Joseon-era source texts are predominant, particularly from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Early missionary translators and those activ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from the mid-to-late twentieth century remain the largest overall contributors, with their personal tastes and available resources influencing overall trends. This suggests that the concerns of recent researchers, who argue for a fuller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of classical works, are not yet sufficiently reflected in English translation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s a whole.

      • KCI등재

        한국 한문 고전의 영어 번역에서 중국 고전 인용 텍스트 번역에 관한 문제 -번역과 주석 사이, 『Suksunyŏm 숙수념』 영역 과정을 한 예로-

        이라나 한국고전번역학회 2022 고전번역연구 Vol.13 No.-

        This thesis examines how to reflect Chinese quoted texts in translating Korean Chinese classics into English. The discussion of the translation of Korean Chinese classics obliges us to consider the problem of double-translation and also raises the question of to what degree are annotations needed in the text in order to allow for comprehension without detracting from the readability of the translated texts. This report suggests considering previous translations of relevant Chinese classics, how they should be incorporated into our translated work, and what kinds of prior study to use of English translation texts of Chinese classics, especially conceptual terms. The cases of translations of the original Chinese text in 『Suksunyŏm』 translation in English will be helpful in considering how to balance translated texts and annotation, and what study to need for using previous translations. 이 논문은 한국 한문 고전을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 중에 중국 인용 텍스트를 어떻게 번역에 반영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이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 먼저 한국 한문 고전이 번역 원문 텍스로서 가지는 특징과 이로 인해 한국어로 번역할 때 제기되는 문제를 확인하고, 한문 고전을 영어로 번역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이중 번역의 함의와 아울러 개념어의 번역어 연구가 가지는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숙수념』 영역의 실례를 통해 다시 실질적으로 검토하면서, 영어 번역 텍스트 안에서 중국 인용 텍스트를 수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번역’과 ‘해설’의 균형을 고민하였다. 인용 고전 텍스트 번역을 위해 개념어의 번역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전화하는 과제가 앞에 놓여있음을 확인하고, 한문 고전을 영역할 때 수반되는 이중역의 불가피성을 오히려 번역의 중요한 특징으로 수용하여 하나의 개성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번역문화를 제안한다.

      • KCI등재

        고전번역사업의 전망과 과제

        장유승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지난 60년간 고전번역사업은 한국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산업 구조 및 인구 구조 변화에 따라 향후 한국학의 전망은 불투명하다. 한국학의 소외는 고전번역사업의 소외로 이어질 것이다. 한국학은 기존 개념과 범주를 재정의함으로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고전번역사업 역시 한국학의 쇄신에 동참하는 한편, 한국학의 범주를 벗어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 고전번역사업의 쇄신은 고전, 번역, 사업의 개념과 범주를 재정의하는 것부터 시작될 것이다. 우선 분과 학문의 논리를 벗어나 문학, 사학, 철학에 치우친 사업 대상을 여러 분야로 다양화하고, 문헌의 국적, 형태, 시기, 가치의 경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업과 교육의 연계를 통해 고전번역 인력 및 한국학 연구자 양성에 기여하는 것도 고전번역사업의 해묵은 과제이다. 이것이 한국학의 경계 허물기에 부응하는 고전번역사업의 경계 허물기이다. For the past 60 years, classical translation Korean classic translation projects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However, the future prospects of Korean studies are unclear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population structure. The decline of Korean studies will lead to the decline of the Korean classic translation projects. Korean Studies is seeking a way out by redefining existing concepts and categories. Korean classic translation projects should also participate in the reform of Korean studies, while seeking a way out of the scope of Korean studies. The renovation of the Korean classic translation projects will begin with redefining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classics, translations, and businesse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project targets that are biased toward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beyond the branch studies into various fields. First of all, the project targets that are biased toward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should be diversified into various field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boundaries of nationality, form, timing, and values of the literature. It is also an old task to contribute to the training of classical translation human resources and Korean studies researcher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business and education. This is the breaking down of the boundaries of the Korean classic translation projects that meets the breaking down of the boundaries of Korean studies.

      • KCI등재후보

        한국고전-經部叢刊의 편찬 및 번역을 위하여

        최석기 한국고전번역학회 2018 고전번역연구 Vol.9 No.-

        It is utterly critical for us to preoccupy information and data, not to lose the research leadership, and take an academic position of advantage in order to lead East Asian studies. If we do not arrange, translate, and investigate our classics actively, there is a risk of our spiritual culture being distorted by foreigners.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Neo-Confucianism, and Yehak are part of the global spiritual culture heritage that was made to blossom to a higher level by us in the universal ideas of East Asia. It is thus urgent to publish a collection of Korean classics. Combined with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was our eager wish to compile and publish, make a database, and translate Gyeongbuchonggan. This paper thus estimated its directions. The Daedong Culture Research Institute of Sungkyunkwan University published 146 volumes of Collection of Korea's Study of Chinese Classics in 1998, but the collection had many missing materials and several problems. There is a need to do a reexamination at the national level, collect data, and publish Classics of Korea -Gyeongbuchoseo. It is also needed to review again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scope of recording befor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and make a database of the resulting books. Raising a need to translate the entire Gyeongbuchonggan and discussing the scope of what should be translated, the paper highlighted a need to translate Small Learning and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based on the actual circumstances of Joseon and also Geunsarok and Simgyeong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ir standard translations. The methods of translation should be oriented toward common translation in principle. Translation teams should be formed by the Chinese classics and data, and an institutional device should be introduced to ensure the joint participation of expert researchers, translators, and follow-up generation research translators. Transl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consideration into Haeje works and publication of biographical dictionaries and glossaries. In conclusion, the paper maintained that we should compile and publish Gyeongbu, Sabu, Jabu, Jipbu, Yehak, and Neo-Confucian Chongseo in the collection of Korean classics and distribute them home and abroad, make a database of the materials to give easy access to researchers, and translate them so that any modern people can read them in order to establish them as a collection of classics in East Asian studies and lead East Asian studies. 이 글은 우리가 동아시아학을 선도하려면 정보와 자료를 선점하고 연구의 주도권을 잃지 아니하여 학문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우리가 우리의 고전을 적극적으로 정리하고 번역하고 연구하지 않으면 외국인들에 의해 정신문화가 왜곡될 우려가 있으며, 경학․성리학․예학 등은 동아시아의 보편적 사상 속에서 우리가 보다 높은 수준으로 꽃피운 세계적인 정신문화유산이기 때문에 한국고전총서의 발간이 시급하다는 문제의식으로 경부총간에 국한해 편찬간행하고, DB화하고, 번역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 향방을 가늠해 본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1998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한국경학자료집성 146책을 간행하였지만, 빠진 자료가 많고 몇 가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재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해 한국고전-경부총서를 편찬할 필요성이 있으며, 편찬 간행할 적에 분류체계 및 수록범위를 재검토해야 하며, 책으로 간행을 하고 DB화할 필요도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 다음으로, 경부총간 전체를 번역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번역대상의 범위를 논의하면서 조선시대 실제의 사정에 입각하여 『소학』 및 사서오경의 번역, 그리고 나아가 『근사록』과 『심경』까지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번역을 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또한 번역의 방법으로는, 원칙적으로 공동번역을 지향하여 경서별, 자료별로 번역팀을 구성하되 전문연구자, 번역자, 후속세대 연구번역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번역을 하면서 함께 고려해야 할 일로, 해제작업 및 인명사전과 용어사전 편찬 등을 거론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동아시아학을 주도하려면 한국고전총서에 經部叢刊․史部叢刊․子部叢刊․集部叢刊 및 禮學叢刊․性理學叢刊 등을 편찬 간행하여 대내외에 반포하고, 또 그 자료를 DB화하여 연구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그것을 번역하여 현대인들이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하여 동아시학의 고전총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漢文 古典飜譯의 一問題

        윤재민 한국고전번역학회 2017 고전번역연구 Vol.8 No.-

        Celebrating the 15th Conference of The Society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main theme was "Major Issues Concerning Translating Sino-Korean Classical Anthologies," which raise the old question: What is translation? We can say translation is a special kind of dialogue via translator. While usual dialogue involves two counterparts, dialogue in translation has basically multiple characteristic because it has triple participants of author, reader and translator. There are humble translators who just try to mediate author and reader while making him/herself invisible. Those passive ones have been regarded as ideal model of translator, and this tendency results in underestimating works of translation compared to academic writing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roud translators who arrange conversations between author and reader without losing his/her voice. We can call those active translators as skillful negotiators, who sometimes demand author to accept reader's interest and vice versa. When the mediation succeeds, it is not only good for author and reader, but for the negotiator him/herself. Dialogue is something originally mutual. It is not something one-sided or monologue. So is and should be in the relation among author, reader, and translator. 어느덧 한국고전번역학회의 학술대회가 제15차를 기록하게 되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문집 번역의 제문제(4)’를 기획 주제로 하였다. 이 기획 주제와 관련하여 ‘飜譯’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았다. 飜譯은 飜譯者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특별한 대화이다. 對話가 상정하는 相對方은 통상 雙方 사이에서 나타나기 십상이다. 그러나 번역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는 본질적으로 多重的이다. 作家와 讀者가 직접 만나 나누는 兩者對話가 아니라 작가와 독자가 번역자와 함께 만나는 三者對話라는 점이 번역이 가지는 대화의 특징적 성격이다. 저자와 독자의 대화를 주선해 주면서 자신은 透明한 존재로 슬쩍 뒤로 빠지려고 하는 謙遜한 飜譯者는 消極的 번역자이다. 그 동안 우리는 이러한 소극적 번역자를 理想的인 번역자라고 생각해 오지 않았던가? 번역의 성과를 제대로 인정해 주지 않고 그저 학술 저술의 반쯤만 인정해 주려고 하는 태도도 이런 생각과 같은 맥락에 있는 것이다. 저자와 독자의 대화를 주선해 주면서 대화의 현장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분명히 하는 傲慢한 飜譯者는 積極的 번역자이다. 적극적 번역자는 때로는 독자의 관점을 저자에게 요구하면서 독자를 대변하고 때로는 저자의 관점을 독자에게 요구하면서 저자를 대변하는 노련한 중재자이자 협상가이다. 그 협상이 성공하면 저자도 이익을 보고 독자도 이익을 볼 뿐만 아니라 중개자인 번역가 또한 응분의 보상을 받는다. 對話는 기본적으로 상호적인 것이며 일방적이거나 독백적인 것이 아니다. 번역자가 저자와 가지는 관계 및 독자와 가지는 관계 또한 이와 마찬가지이며 마찬가지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중국에서의 중한 고전 번역 현황과 향후 과제

        채미화,한계호,권미화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본고에서는 1949년 이후 중국의 고전이 한국어(조선어)로 번역된 양상과, 한국의 고전이 중국어로 번역된 양상에 대한 고찰을 그 목적으로 한다. 중국에서 이미 출판된 중국 고전문학 관련의 韓譯本, 한국 고전문학의 中譯本 가운데서 대표적인 작품을 선택하여 역문을 검토하고, 나아가서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번역자와 번역사업 지원 프로젝트에 관한 고찰과 중한 번역연구 이론을 검토함으로써 현재 진행되고 있는 중한 고전 번역양상과 현황을 파악함과 아울러 향후 중한 고전번역의 과제와 그 전망에 대해 탐구해 보려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aspects of Chinese classics translated into Korean (Korean) after 1949 and the aspects of Korean classics translated into Chinese.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review the translation by selecting representative works from Korean texts related to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at have already been published mainly in China, and further find solutions to problems that exist in Chinese classical translation.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translator and project to support the translation business and the theory of translation research in China and Korea, we will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lassical translation and explore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of China and Korea’s classical transl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북한의 한문고전번역 현황과 한문고전번역 원칙

        권경순 한국고전번역학회 2018 고전번역연구 Vol.9 No.-

        North Korea's transl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started in 1950. The first translation was Dongguk Sesam in the 1950s and 1960s.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collec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literature collection was carried out by the three countries, and the literature collection was supported by many people. In 1970, it translated the "Riju-Silok" program, and in the 1990s, it created the National Classical Society to select the subjects of the translation and carry out the translation business. After a short period of absence, the translation was active again in the 2010s. North Korea's research on translating Chinese classics was conducted in the 2000s. Many studies are focused on the principles of translation. The basic principles of North Korea's translation of the Hanmun High School are 'historical principles' and 'the principles of modernity.' Under the two basic principles, the detailed principles of each book are set up and translated. It is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maintaining consistency in transl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alternative translation, and using medical services to communicate contents accurately and efficiently. 북한의 한문고전번역은 1950년부터 시작되었다. 최초의 번역서는 『동국병감』으로 1950~60년대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 등의 국가고전은 물론이고 『박지원작품선집』, 『정약용작품선집』 등 다수의 문집도 선역하여 출판하였다. 1970년에는 『리조실록』을 번역하였고 1990년대에는 민족고전학회를 창설하여 번역 대상을 선별하고 번역사업을 진행해나갔다. 이후 잠시 소강상태였던 한문고전번역은 2010년대에 다시 활발히 진행되어 『비변사등록』과 『증보문헌비고』를 완역하였고, 현재 『팔만대장경』과 『일성록』을 번역하고 있다. 북한의 한문고전번역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다수의 연구가 번역원칙에 집중되어있다. 북한의 한문고전번역의 기본 원칙은 ‘역사주의적 원칙’과 ‘현대성의 원칙’이다. 두 기본 원칙 하에 서목별로 세부 원칙을 세워 번역을 진행하고 있다. 교감을 진행하고 번역 대안 등을 통해 번역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내용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의역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 KCI등재

        小學 飜譯의 추이와 특징-조선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호훈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The history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Sohak has a long tradition.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Bunyeuk Sohak(飜譯小學) in the early 16th century,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Sohak Unhae(小學諺解), (Revised) Sohak Unhae(修訂 小學諺解), Uje Sohak Unhae(御製小學諺解) were published. As translation took place several time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Sohak was renewed and deepened, and the format and principles of translation were established. Over time, translators changed the way they translate from liberal to literal translation. The content of the translation also changed based on the commentary, referring to it. In modern Korea, the translation of Sohak was used as a textbook to learn Sohak and as a resource for education from Sohak. The textbook as a Tutorial seems to have been prepared through some modifications, mostly on the tradition of the Sohak Unhae. Putting the current academic capacity and preparing a new translation of Sohak will be an important task in the future. 한국의 소학 번역사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조선 정부에서는 16세기 초 飜譯小學 을 간행한 이래로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小學諺解 , (수정본)소학언해 , 御製小學諺解 등 여러 종류의 번역본을 만들어 활용하였다. 근ㆍ현대에 들어와서도 이 성과들은 힘을 발휘하며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선의 번역 경험은 소학 독자층의 저변 확장에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번역 자체의 변화를 이끌었다. 번역이 여러 차례 이루어지면서 소학 의 내용에 대한 이해가 새로워지고 깊어졌으며, 번역의 형식과 원칙이 틀 잡혔다. 구결문과 번역문의 일치가 시도되었고, 意譯을 지양하여 直譯을 추구했다. 번역문의 내용 또한 참고하는 주석서에 따라 변화했다. 조선의 소학 주석서는 15ㆍ6세기에는 소학집성 , 소학집설 이, 17세기와 18세기에는 소학집설 과 소학집주 , 소학훈의 가 널리 이용되었다. 번역소학 과 소학집성 및 소학집설 , 소학언해 와 소학집설 , 어제소학언해 와 소학집주 , 소학훈의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근ㆍ현대 한국에서 소학 번역서는 소학 을 익히기 위한 교재로서, 그리고 소학 으로부터 교양을 얻기 위한 자원으로써 활용되었다. 교재로서의 번역서는 대체로 (어제)소학언해 의 전통 위에서, 약간의 변형을 거치며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21세기 현실을 반영한 새로운 번역서의 간행은 현 학술계의 역량을 키우는 주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