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 문화재 용어의 법제도적 개념 정의를 위한 기초 연구

        주상훈 한국건축역사학회 2018 건축역사연구 Vol.27 No.5

        이 연구는 한국건축과 관련된 문화재 용어의 사용 현황과 각 용어의 개념을 현재의 문화재 관련 법제도 및 일반 법제도에서 확인해 보고, 한국건축과 관련된 문화재 전체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어와 그 구체적인 개념을 제시해보고자 한 것이다. 학술적인 연구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연구자의 관점이나 연구 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법제도에서의 용어는 분명하고 구체적인 정의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문화재 법제도에서는 한국건축 관련한 문화재 용어들이 매우 다양하고 모호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용어의 개념도 일반 법제도에서의 정의와는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건축 관련 문화재를 포괄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용어로서 ‘건설 행위에 의한 문화재’로서의 ‘건축문화재’ 용어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건축문화재의 개념적인 적용 대상을 건설 행위와 관련된 ‘기술’ 및 ‘수행자’, 그리고 산물로서의 ‘기록물’과 ‘건축물 등(건축물, 시설물, 공간환경)’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을 검토하여 적용 범위를 확인하였다. 한국건축 연구의 주요 대상인 문화재에 대한 체계적인 용어 정의와 개념의 구체화는 한국건축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와 교육뿐만 아니라, 문화재 보존·관리의 체계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건축문화재가 현재 문화재 법제도에서 독립된 유형이 되어야 하는가는 별도의 논의를 필요로 하며, 다른 문화재 유형에 대한 용어의 구체적인 개념 정의와 함께 고민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gal definition and usage of cultural property term related to the architecture within the cultural property-related legal system and general legal system, and to present proper terminology and specific concepts that can be used for the architecture as cultural properties. In the current cultural property legislative system, terms about the architecture are diverse and obscure, and the definition of each term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in the general legal system.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ed the terminology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 as ‘a cultural property by construction act’ to cover whole cultural properties related to Korean architecture. And the conceptual scope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 is divided into the technology and the performer related to the act, the record and the building related to the product. and Each concept needs to be specifically tailored to its object and scope. Systematic definition of terms for cultural properties related the architecture can positively influence systematization of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and education on Korean architecture.

      • KCI등재

        전통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한국 전통건축의 이론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상현 한국건축역사학회 2015 건축역사연구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scholars and architects in Korea have theorised the tradition in Korean architectur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present. After opening the door to foreign powers, the most important issue to be resolved in Korea architecture has been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successful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depends on successful theorization of the tradition. However, many attempts to theorise the uniqueness of tradition in Korean architecture had not been instrumental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reason why they were not successful lies in the lack of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 upon how to approach the tradition. They were either trapped in ambiguous essentialism without systematic methods and theories, or simply inventing the tradition from the vantage point of the present.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theorise the tradition, one need to translate the tradition into contemporary architectural vocabularies. What is important in translating the tradition is not to directly apply contemporary concepts and perceptual frame of architecture to traditional architecture but to find the gap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s will open hermeneutic spaces to translate the tradition into useful principles and vocabularies of comtemporary architecture.

      • KCI등재

        국내 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의 아카이브 구축 환경 변화

        김정희,한동수 한국건축역사학회 2023 건축역사연구 Vol.32 No.1

        Recently, local studies looking at the 'local(region) as a whole'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study of local architectural history is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specific information that encompasses the local and the entire and clues to three-dimensionalize the time and space in the local. To infer the 'presentness' of each era, reliable data in various fields are needed. Recently, as many databases (DB) and archives,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o other local archives, have been established and publicized, research resources in the local are growing rapidly in quantity and quality.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comprehensively check the data necessary to study the local architectural history(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firmed the trend of changes in the archive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the status and problems of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in places that currently disclose loc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among generalized web-archives.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research on local architectural history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and the data used for Jeju. As a result, local studies, local archives, and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agree with recent changes in local research trends, and the degree of archival construction has reached the same level as the available research resources except core data in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nsity of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s low because the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that can be obtained are fragmented because there are no archives and construction entities specialized in local architecture. As each archive has entered the stabilization and upgrading stage, the construction of new archives needs to be reconsidered, but it is time to find a detailed way to link related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such as private records, to reduce the gap in information needed in terms of research on local architecture and architecture history. 최근 '전체로서의 지역'을 바라보는 지역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서 지역건축역사의 연구는 지역과 전체를 어우르는 구체적인 정보와 지역 내 시공간을 입체화하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에는 각 시대의 ‘현재성’을 유추하기 위해 여러 분야의 신뢰도 높은 자료가 필요하다. 최근 국가기록원부터 지역학 아카이브에 이르기까지 많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이하 DB)와 아카이브(Archive)가 구축되고 공개도가 높아지면서 지역 내 연구자원은 양적·질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지역의 건축역사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자료(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를 총체적으로 확인하는 일은 어렵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재 범용화된 홈페이지 중 지역역사 연구자원을 공개하고 있는 곳을 대상으로 아카이브 구축 환경의 변화 추이와 그 안의 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의 현황 및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지역건축역사 연구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제주를 대상으로 기존 연구와 활용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역 연구와 지역 아카이브, 지역건축역사 연구는 최근의 지역학 연구 경향 변화와 동일선상에 있으며, 아카이브의 구축도는 지금까지 지역 건축역사연구에서 핵심 자료를 제외한 연구자원의 가용치와 동일한 정도에 도달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 지역건축에 특화된 아카이브와 구축 주체가 없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이 파편화되어있어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밀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각 아카이브가 안정화, 고도화 단계에 들어선 만큼 새로운 아카이브의 구축은 재고될 필요가 있으나, 지역건축건축역사 연구의 측면에서 필요한 정보의 공백을 줄여가기위한 민간기록 등 관련 정보의 강화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보 간 연계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모색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몇 개의 전통 건축어휘의 어원과 표기

        오창명,천득염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 건축역사연구 Vol.26 No.6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some of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vocabularies that have to be reconsidered in terms of the problem of decode, the problem of meaning, the meaning of explain meaning, and the problem of form analysis. Especially, correct decode and interpretation of Uigwe’s Korean ancient architecture borrowed character can correct old decode and interpretation. Furthermore, I confirmed that I could correct the Korean ancient architecture vocabulary that was expiscated wrongly. Especially borrowed characters corresponding to 머름[meoreum](paneling) have been known only far away 遠音[meoreum]. In addition, there were also 遠驗[meolheom]·亇乙軒[meolheon]·亇乙險[meolheom]·亇乙音[meoreom], and so on.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decode these notations, it has become possible to assume that the original words of the modern language 머름[meoreum] also came from *멀험[meolheo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kinds of people like 付叱心[bussim]·夫叱心[bussim]·扶叱心[bussim]·富叱心[bussim]·富心[bussim]과 北叱心[bussim]·北心[bussim]. You can also check the Korean ancient architecture vocabulary. However, corresponding words are difficult to find in modern Korean languages. However, in Jeju dialect, we can confirm the corresponding word. This word was used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firmed that it is dead language today. As mentioned above,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any misconceptions about the decode and meaning of the architectural vocabulary made of borrowed character in existing architectural dictionaries, Korean dictionaries, and Korean ancient architecture related papers. Also, although the form is being confirm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are many things that need to be clarified, such as what the decode is, what the meaning is, and the origin I have also confirmed a number of things that need to be properly expomed in the original form, the original word. In the future, those who study Korean ancient architecture vocabulary and traditional architectural vocabulary should also be interested in these things and research it properly. 전통 건축어휘라 하면, 전통적인 건축에 쓰였던 어휘를 이른다. 전통 건축어휘는 우리말로 전하는 것도 있고 한자어로 전하는 것도 있다. 표기상으로 보면, 한글로 쓰인 것도 있고, 한자로 쓰인 것도 있고, 차자 표기로 쓰인 것도 있다. 한자 학습서인 『訓蒙字會』의 ‘中卷’ ‘宮宅’ 條를 보면 몇몇의 어휘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고유어 계통과 한자어 계통, 그리고 고유어와 한자어가 섞인 것이 있다. 한편 조선후기의 儀軌類 가운데 하나인 『寧陵山陵都監儀軌』(1659)의 ‘造成所, 物種’을 보다 보면, 여러 건축어휘들을 확인할 수 있다. 전통 건축어휘 가운데는 현대에 전하는 말과 옛말에 쓰였던 말이 서로 다른 경우가 많은데, 그런 것을 제대로 밝히지 못한 것들이 많다. 가령 현대국어에서 ‘머름’으로 전하는 건축어휘는 18세기 의궤에서 遠音으로 표기되었기 때문에, 이 당시 말도 ‘머름’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遠音[머름]에 대응하는 亇乙軒과 亇乙險, 亇乙音, 彌音 등이 17세기 의궤는 물론 18세기 초반, 중반 의궤류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머름’의 옛말은 ‘*멀헌’이나 ‘*멀험’ 정도로 실현되고 그 뒤에는 ‘*멀엄’ 정도로 실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것은 필자가 미처 읽어보지 못한 책이나 연구 논문 등에 언급되어 있을지 모르겠으나, 아직까지 확인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전하는 전통 건축어휘 가운데 그 어형을 再考해야 하거나 의미상 재고해야 것을, 儀軌類에서 확인된 것들 몇 개를 선정하여 考證學의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그간 무분별하게 사용하였던 전통 건축어휘의 어원을 밝히고 이를 표기하는 준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