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자녀를 둔 한부모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적 자원과 가족자원을 중심으로

        김가연,박정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3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7 No.2

        그릿(Grit)은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열정과 인내를 의미하며, 심리적 건강과 적응을 예측하는 성격 특성이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 다양한 어려움 속에서도 자녀양육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할 수 있도록 한부모의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자원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4차년도 패널자료를 활용하 여 총 284명의 한부모를 대상으로 빈도, 평균 등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한부모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개인적 자원(심리자원, 생활시간 및 건강 자원), 가족자원(가족관계 및 자녀 자원, 경제자원)을 탐색하였다. 첫째, 상관관계 분석결과, 한부모의 그릿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연령, 학력, 개인적 자원 중 삶의 만족도, 행복감,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의존도, 운동시간, 아침식사 횟수, 가족자원 중 가구원수, 자녀성 적만족도, 자녀학교생활만족도, 주관적 가정경제수준, 월평균 사교육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을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학력, 개인적 자원 중 자아존중감, 근로 여부, 스마트폰 의존도, 운동시간, 가족자원 중 가구원수, 자녀성적만족도, 주관적 가정경제수준이 한부모의 그릿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 자녀양육을 잘 해낼 수 있도록 한부모의 그릿을 증진시키는 개인 및 가족 자원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한부모가족의 안정적인 자녀양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Grit is a personʼs passion and perseverance that drive them to achieve long-term and meaningful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actical resources that can affect single parentsʼ grit. Using the fourth-year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roduc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284 single par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explore the demographic factors, personal resources(psychological, lifestyle/health), and family resources(family relationships/child, economic) that affect single parentsʼ grit.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ingle parentsʼ gri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education status, life satisfaction, happiness, self-esteem, smartphone dependency, physical activity time, frequency of breakfast consumption, household size, parentʼs satisfaction with childʼs school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subjective family economic statu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ducation status, self-esteem, employment status, smartphone dependency, physical activity time, household size, parentʼs satisfaction with childʼs school achievement, and subjective family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ingle parentsʼ gri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programs and policies to provide a stable environment for single-parent families to raise their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에 관한 연구 : 가족자원 등을 중심으로

        윤나나,박정윤,박연숙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2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sources that influence the choice of drop-out students' reentry to school. A total of five years of panel analysis of 2,553 drop-out teenagers from 2013 to 2017 were utilized. In order to verify the resources that affect the choice of school reentry of teenagers with experiences of suspension of studies to formal middle and high school after July 2012, this study analyzed drop-out teenagers' family resources as well as their psychological, mental, and social-relationship resources. A crossover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jor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mong the resources that affected the choice of reentry for school of teenager children were the type of family and number of moves to a new house. Second, the psychological and sentimental variable that affected the choice of school reentry was a decreasing level of positive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of suspension of studies combined with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perceiving society as one that discriminates based on the level of education. Third, significant family resource variables were the type of family form and parents providing economic support, which is a subfactor of parental attachment. Fourth, the presence of a mentor as a helpful social-relationship resour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al resour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 positive family resources that affect the choice of school reentry of drop-out teenage students were determined, and the positive directivity of supportive family resources is presented for parents with teenage children experiencing a suspension of studies.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에 관해 살펴보고자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총 5차년도 2,553명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2012년 7월 이후 정규 중·고등학교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을 검증하기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의 가족자원을 비롯하여 개인의 심리·정서자원 및 사회관계자원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와 교차분석,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자원 중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이사횟수였다. 둘째, 청소년 자녀들의 학교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정서자원은 우울, 충동성과 함께 학업을 중단한 현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정도가 낮고 우리 사회가 학력에 대한 차별이 심하다고 지각하는 점이 학교복귀 선택에 작용하였다. 셋째, 가족자원으로는 가족형태와 부모애착의 하위요인 중 경제적 지지 측면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움을 주는 사회관계자원으로서 멘토 여부가 사회자원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들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가족자원을 밝혀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지지적인 가족자원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울산시 1인가구의 가족가치관 및 돌봄노동에 대한 사례연구

        권안나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3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인가구의 변화하는 가족가치관과 매일 일상 속에서 이뤄지는 돌봄노동에 주목하여, 가족의 변화나 역동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 및 정책적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령·혼인상태를 고려하여 울산시에 거주하는 1인가구 11명을 선정하였으며, 1인가구의 전반적인 일상생활, 가족가치관, 가사노동 및 돌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울산시 1인가구의 특성은 자신의 삶을 유지하고 살아감에 있어 ʻ단순하지만 불안정함ʼ이 공존하고 있었으며, 가족가치관은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격차를 보이는 양면적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가족생활을 함에 있어 ʻ원가족 돌봄 및 관계ʼ, ʻ경제적 요인ʼ 등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ʻ이중가치체계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인가구는 안정된 삶을 위해 전통적인 가족형성의 방법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닌, 고립·고독감 해소 및 관계 회복을 위해 사회관계망을 형성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ʻ가족인식ʼ, ʻ가족생활ʼ, ʻ가족 및 사회적 관계ʼ의 각 영역에서 변화가 도모되었을 때 가족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연구 결과에 기반한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family changes and dynamics of and to suggest institutional/ policy-level tasks for coping with them, by paying attention to changing family valu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ir caring work performed in everyday life. This study selected 11 single-person households residing in Ulsan by considering their age and marital status, and analyzed their overall daily lives, family val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work and c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ingle-person households in Ulsan, not only showed the coexistence of ʻʻsimplicity, but instabilityʼʼ when maintaining and living their own lives, but also showed the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family values by showing a gap betwee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diversity. In regard to family life,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ʻʻcaring and relationship of family of originʼʼ and the ʻʻeconomic factorsʼʼ, and notably showed the ʻʻdual value systemʼʼ. For a more stable life, the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forming social networks to relieve a sense of isolation and loneliness, and to recover relationships, instead of limiting themselves to only the traditional method of family formation. Thus, it would be possible to respond to family changes when changes are promoted in each area of ʻʻthe perception of lifeʼʼ, ʻʻfamily lifeʼʼ, and the ʻʻfamily & social relationshipʼʼ, and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level task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가족다양성을 고려한 가족센터 사업 운영에 대한 연구 : 가족센터 실무자를 중심으로

        고선강,손서희,서찬란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3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7 No.2

        본 연구는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ʻ가족다양성 인정ʼ이라는 주요 정책 목표 하에 운영되고 있는 가족다양성 관련 사업에 대한 가족센터 실무자의 운영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족서비스 실무경험이 풍부한 시·군·구 가족센터의 센터장 혹은 중간관리자 12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초점집단면접 자료 분석은 중심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가족센터 실무자들은 가족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가족다 양성 개념을 이해하고 가족센터 운영에 여러 형태로 적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가족다양성 적용을 고려한 사업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가족 사업을 위한 자원 부족, 개별 가족서비스 목표와 가족다양성 관련 사업 목표 간의 갈등, 다양한 가족 대상자 발굴의 어려움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향후 가족다양성 관련 서비스 확대를 위해 가족다양성에 대한 종사자 교육, 지역 특성을 반영한 가족 사업 운영, 다양한 가족 이해 및 인식개선 프로그램 확대와 다양한 가족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사업 주제 발굴 등과 같은 운영 방식의 변화, 가족센터 홍보 강화 및 대상자 확대, 가족다양성 사업 운영을 위한 예산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가족다양성 적용과 확장을 위한 가족서비스 개편 근거 및 가족서비스 실무자가 가족다양성 관점을 적용한 가족 사업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mily diversity–related service experiences of Family Center practitioners under the main policy goal of recognizing family diversity set out in the Fourth Master Plan for Healthy Families.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2 Family Center practitioners in multiple cities and districts who had extensive family service experiences. The focus group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analysis found that Family Center practitioners understood the concept of family diversity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family policy environment and applied it in various forms to the administration of their respective centers. However, while administering the family support services considering the aspect of family diversity, they experienced a lack of resources for various family service programs, conflicts between each family service goal and the family diversity-related program goal, and difficulties in identifying the recipients. To expand family diversity-related services in the future, the interviewees emphasized the need for education programs about family diversity targeted at Family Center practitioners, and family support services tha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They also stressed the need for changes in program operation methods, such as expanding family diversity education, and developing family service programs appropriate for diverse families. Lastly, they highlighted the need for mounting a publicity campaign for Family Centers, widening the target recipients of family programs, and expanding the budget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family diversity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restructuring family services for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family diversity practices, and as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family service practitioners to plan and execute family support programs that take family diversity into consid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