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職業訓練과 工業敎育의 槪念 比較硏究

        金振淳 충남대학교 공업교육대학 기술교육과 1983 技術誌 Vol.1 No.-

        이 연구는 직업훈련과 공업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들간에 상화 유사성과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직업훈련이란 산업분야의 직업에 처음 취업코자 하는 자 또는 이미 취업한 자에게 그들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능 관계지식, 바람직한 작업습관과 태도를 길러줌과 동시에 자아표현능력, 환경의 적응력 및 품성을 개발시켜 주는 것이며 학교에서 실시하는 훈련 또는 일의 현장에서 실시하는 훈련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공업교육이란 협의의 실업교육으로서 개인의 공업분야에 종사할 수 있또록 학교, 일의 현장 또는 실험실을 통하여 일의 세계를 탐구하고 자기의 적성, 흥미, 능력에 알맞은 일을 택하고 그 일에 필요한 지식, 기능, 이해, 판단력, 태도, 일의 습관등을 개발하고 전체 교육의 일부이다. 이 양자의 개념을 그대상, 내용, 실시 장소에 있어서 표현만 다를 뿐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개념상은 양자가 일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현재 직업훈련과 공업교육을 구분하고 있으므로 그 시행상의 차이점을 목적, 내용, 방법 및 시설면에서 밝혀 보았으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강조점의 차이에서 고찰된 것으로 공업교육은 이론적, 정적, 포괄적인데 비하여, 직업훈련은 실천적, 동적, 부분적인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결론적으로는 직업훈련이나 공업교육이 모두 건전하고 유능한 기능공양성을 목적으로 하느니 만큼 양자는 뚜렷이 구별되는 것이 아니며 상호 보완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技術科의 敎育課程 理論에 따른 技術科 敎育內容을 構成하기 위한 한가지 模型

        盧泰天 충남대학교 공업교육대학 기술교육과 1983 技術誌 Vol.1 No.-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model for organizing contents of Industrial Arts according to the Industrial Arts curriculum theory. The basic rules for organizing contents for industrial arts was figured out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industrial arts could be organized by means of interaction model of the technological domain, industrial domain and evolution of the technology and industry. 2. The industrial domain in the model is composed by the agricultural, manufacturing, commercial, and fisheries industry. 3. The technological domain in the model is consisted by the management technology and production technology. 4. The evolution element in the model is divided in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echnology and industry.

      • 生涯敎育모델 設定

        柳彰烈 충남대학교 공업교육대학 기술교육과 1983 技術誌 Vol.1 N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education model in order to define the scope and depth of education oriented the world of work. The various concepts of career education can be characterized, on their degree of comprehensiveness, into five categories or levels : (1) initial job-entry skills, with little, if any,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2) initial job-entry skills plus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essential for successful employment in an occupational cluster. (3) initial job-entry skill,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plus consideration of life as a worker and as a citizen. (4) initial job-entry skill,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plus competencies needed for family living,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aesthetic appreciations. It is education for now in a future society. (5) whole individuals in relation to their physical, soc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Career developmental stages are divided into five stage : (1) Career awareness stage (elementary school) (2) career exploration stage (middle school) (3) career preparatory stage(1)(high school) (4) career preparatory stage(Ⅱ) (college or junior college) (5) maintenance and developmental stage (Adult). Five domains of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are : (1) concept of self (2) comprehension of the world of work (3) decision-making (4) cooperative social activities (5) work attitudes and values. Career education model illustrates as follow: 1. Career educ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continous process developmental stages and career developmental behavior. 2. Career development stages are developed by the interaction of the f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3. Career development stages are influenced by educational environment of all levels. 4. Career development should be focused on th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in public school, and next steps in another educational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