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수행에서의 인터뷰 쟁점과 전략

        김경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5 No.1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issues and difficulties i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bout trauma experiences in young age subjects, and tried to suggest some strategies to handle these issues. To this end, several issues were raised and analyz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raised issues include the role divis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ractitioner and the subjects' difficulties in remembering and talking about traumatic experience. The suggested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r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time of occurrence,duration of the incident and the severity of trauma felt by the subjects. Second,to help the child subjects to remember and talk without serious complication, the subjects' developmental stage and the overall environmental context should be considered. Third, step-by-step strategies to promote the subjec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areful exploration were suggested. Lastly, several practical methods to prevent or reduce emotional burden of researchers were suggested,such as writing research journals and formal supervis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s to promote researchers' self reflection and help to conduct qualitative trauma research more safely and ethically. 본 연구의 목적은 트라우마 경험 질적연구 수행 과정에서 연구자가 직면하는 쟁점을 인터뷰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에 대한 대처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에서 참여자의 트라우마 경험과 회상의 문제, 아동 참여자, 연구자와 실천가 사이에서의 역할 갈등과 관련된 주요 쟁점이 논의되었다. 이에 따라 이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적 전략을 제안하였다. 첫째, 참여자의 선정과 트라우마 경험에 따른 연구 초점의 구분, 참여자의 권리 고지 및 연구자의 자기반영적 지침을 제안하였다. 둘째, 아동과의 인터뷰 전략으로서 아동의 발달과정과 환경적 맥락 고려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구체적으로 회고 및 표현을 돕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셋째, 연구 인터뷰에서 탐색을 촉진하고 참여자를 지지할 수 있는 실천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넷째, 연구자의 이차 피해 방지를 위한 지지체계 확충의 필요성과 함께 연구자의 개인 일지 쓰기와 공식적인 슈퍼비전 등의 전략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가 인터뷰 쟁점에 대한 민감성을높이고 이를 준비하게 함으로써 보다 윤리적이고 의미 있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함의가 있다.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 질적 성과의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권지성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logically and empirically the qualitative outcome of social work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searched and reviewe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qualitative outcome of social work practice and collected opinions on the concept of qualitative outcome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for researchers specializing in qualitativ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se analyzes were integrated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qualitative outcome in an inductive way. The concept of qualitative outcome revealed through integrated analysis and discussion includes six elements including contextual outcome, outcome showing qualitative difference, outcome reflecting the perspectives of social work practice, outcome reflecting client's perspective, outcome including various stake-holders, and unexpected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institutional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seizing and presenting the outcome of social work practice a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실천의 질적 성과를 논리적, 실증적으로 개념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사회복지실천의 질적 성과와 관련된 문헌들을 탐색하고 검토하였으며, 질적 평가를 전문으로 하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질적 성과의 개념에 대한의견들을 수렴하였고, 이러한 분석결과들을 통합하여 귀납적으로 사회복지실천 질적 성과의 개념을 재구성하였다. 통합 분석과 논의를 통해 드러난 질적 성과의 개념에는 맥락을 반영한 성과, 바탕이 달라진성과, 사회복지실천 관점을 반영한 성과, 클라이언트 관점을 반영한 성과, 다양한 이해당사자를 포함한성과, 예상하지 않은 성과 등 여섯 가지 요소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실천의 성과를 제대로, 풍부하게 이해하고, 파악하고, 제시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제도적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제1회 세계 질적 건강 연구 학술대회(GCQHR):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Janice M. Morse 질적연구학회 2011 질적연구 Vol.12 No.2

        이 총회 연설에서는 세계 질적 건강 연구 학술대회(Global Congress for Qualitative Health Research)와 그 목적 및 국제적 역할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이와 관련해 저는 질적 건강 연구(qualitative health research)의 기원과 발전, 그 내용 및구성요소, 건강 연구에 기여한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질적 연구가 현상 탐구 및 기술부터 개념 파악, 양적 연구를위한 이론적 토대, 질적 이론 개발, 활용, 실행, 평가에 이르기까지 8단계로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점진적 발전은 의도적으로 계획한 것은 아니지만, 유사한 주제에 관해 여러 질적 연구 접근법과 방법을 이용한 많은 연구를 통해 발전해왔습니다. 하나의 연구로 획기적인 변화가 생기기는 힘듭니다. 오히려 많은 질적 연구가 모여 그 유효성과 영향력을 인정받아야합니다. 세계 질적 건강 연구 학술대회는 질적 건강 연구 발전을 위해 국제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할 것입니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인 질적연구자의 사회복지현장 연구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조소연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3 No.2

        The study aims to delineate the research experience of the qualitative researcher who is a social worker in the field of social work and to identify its implication. I recalled what I experienced during my doctoral dissertation process, and wrote it through an autoethnography.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 collected and rearranged the related data, and then analyzed the data through self-reflection. This result introduces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such as the selection of the research topic, entering the research field, and collecting the data. This study shows the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qualitative research eth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low readers to see how a qualitative researcher entered and adapted the field of social work. Furthermore, some of the principles found in this process can help researchers who feel confuse or have ethical conflicts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research participants while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인 질적연구자의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연구 경험을 기술하고 함의를 알아보는 것이다. 나는 나의 박사학위 논문 수행과정에서 경험한 일을 회고하고 자문화기술지로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재정리하였으며, 이 자료를 자기성찰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주제 선정과 연구현장 진입, 자료수집 등 질적연구 과정을 소개하고,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간 관계 맺기와 질적연구 윤리에 관한 함의를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독자는 한 질적연구자가 어떻게 사회복지현장에 진입하고 적응하며 연구참여자와 관계 맺어 갔는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견된 몇 가지 원리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질적연구를 하면서 연구참여자와의 관계 수립에서 혼란과 윤리적 갈등을 느끼는 연구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뉴럴 메모리의 리콜 기능에 관한 탐구

        김태환(Taehwan Kim),박정호(Jeongho Park),이주원(Juwon Lee),박주영(Jooyoung Park)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최근 들어 딥러닝은 컴퓨팅 기술의 발달과 이론 분야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도화된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뉴럴 메모리(neural memory) 분야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뉴럴 메모리는 고전적인 컴퓨터의 메모리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구글 딥마인드에서 발표한 미분가능 뉴럴 컴퓨터 기술인 DNC를 발표한 이후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DNC 이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응용 목적에 특화된 형태의 현대적 신경망 기반의 메모리 분야는 계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DNC의 주요 특징을 계승하는 동적 카네르바 머신(dynamic Kanerva machine, DKM)의 현대화된 연상 메모리 기능에 주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근 메타-학습(meta-learning) 분야에 메모리를 활용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준 변분 의미론적 메모리(variational semantic memory) 방법론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장기메모리에 대한 저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잡음이 포함된 데이터와 새롭게 목격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도 접근할 수 있고, 스토리지의 메모리 효율 면에서도 가볍고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

      • 질적 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 ‘질’적 자료 확보의 문제

        홍수정 행정언어와 질적연구학회 2012 행정언어와 질적연구 Vol.3 No.1

        이제까지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평가에서 양적 연구방법을 선호해 왔지만, 양적 평가에서 의 한계와 더불어 질적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질적 평가를 하면서도 질적 연구에서의 질 에 관한 논의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평가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질’적인 문제와 ‘질’적 자료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질적 자료 수집방법으로는 인터뷰, 참여관찰, 그리고 현장노트 세 가지를 제시하였으며, 객관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그 내용을 기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둘째, 질적 자 료가 평가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립서울병원 갈등조정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를 분석함으로써 양적 평가가 가질 수 있는 설명 력의 한계와 질적 자료의 확보에 대한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비자기 회귀 음성합성 시스템의 음정 및 길이 예측기 Finetuning 기법

        안성환(Sung Hwan Ahn),김정훈(Jeong Hun Kim),우범준(Beom Jun Woo),김남수(Nam Soo Kim)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은 딥러닝 기반 비자기 회귀 음성합성 시스템 학습시 음정 예측기 및 길이 예측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finetuning 하는 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한 문장 단위로 구성된 데이터셋에 대해 음정 및 길이 예측기를 포함하는 음성합성 시스템을 학습한 후, 음정 및 길이 예측기를 2 분 동안 finetuning 하여 여러 문장을 한 번에 합성할 때도 자연스러운 음정과 길이를 가지도록 음성합성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KCI등재후보

        생애사 관점에서 본 여성도박자들의 중독과정과 내용

        김진숙,백금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생애사 관점에서 여성도박자들의 중독과정과 내용을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여성도박자들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5명의 도박중독경험이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원자료는 Mandelbaum(1973)의 생애사 연구방법론을 원용하여 삶의 차원, 전환점, 적응 세 가지 영역에 따라 분석을 실시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들은 대부분 생애과정에서 지속적인 배제와 차별을 경험하였고 과거 부정적 경험을 벗어나기 위한 방편으로 경제적 부 달성과 사회적 지위향상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경제적 성취 후 곧이어 공허감이 찾아왔고 이를 메우기 위해 도박이라는 일탈적 수단을 선택하게 되었다. 참여자들의 생의 무의미함과 허무가 도박중독을 예인하는 강력한 생의 사건으로 나타났다. 도박을 개시한 후 연구참여자들은 별다른 탐색이나 자기숙고과정 없이 곧바로 도박중독에 진입했고 중독된 이후에도 도박을 끊고 재활을 하겠다는 의지가 드러나지 않았다. 참여자들의 삶의 전환점은 경마장과 게임장, 강원랜드 카지노 출입이었지만 그 근간에는 억눌린 감정을 해소하려는 욕망과 한많은 세월에 대한 보상심리, 삶의 무의미함과 무료함 등이 작동하였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와 논의를 기초로 여성도박자들을 위해서는 성인지 관점과 생애과정 관점을 도입한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언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closely examine female gamblers' addiction process and contents from the viewpoint of life history and to suggest a practical plan for female gamblers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participated by 5 women who have experience of gambling addiction. The data were formed an analytical frame by researchers based on Mandelbaum(1973)’s research method of life history and were carried out analysis according to th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esearch participants mostly experienced continuous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lifetime and aimed to overcome the negative experience in the past with an effort to improve social position through achieving economic wealth. However, a sense of emptiness came following the achievement. To fill up this, a deviant means called gambling was selected. The participants' meaninglessness and futility in life were indicated to be a strong life case that tows gambling addiction. After beginning gamble, the research participants entered the gambling addiction immediately without the special process of exploration or self-deliberation and were not well revealed a will as saying of rehabilitating with cutting off addiction even after being addicted. The researchers suggested a specialized program that introduced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and the life-process viewpoint for female gamblers based on the findings and discussion.

      • KCI등재

        이주민에서 이주민 사회복지사가 되어가는 경험에 관한 연구: 환대받은 자에서 환대하는 자로

        한호진,조소연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이주민이 이주민을 돕는 사회복지사가 되어가는 경험을 탐색하였으며, 그 결과 ‘환대’라는본질적 의미를 발견하였다. 이주민이 사회복지사가 되어가는 경험은 ‘인생 제2막, 결혼과 이주’,‘이주민에서 예비 사회복지사로’,‘예비 사회복지사에서 사회복지사로’,‘인생 제3막, 이주민을 돕는 사회복지사’ 의 4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이주민이 경험한 환대는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였다. 타인의 도움을 받던 이주민에서 이주민을 돕는 사회복지사로 자신의 지위가 전환되면서, 환대의 방향이전환되었고, 이주민들은 한국 사회에서 받은 낯선 이의 환대를 자기에게, 그리고 타인과 지역사회로확장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이주민 지원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immigrants becoming social workers who assist other immigrants, and as a result, discovered the essential meaning of ‘hospitality’. The immigrants' journey to becoming social workers was divided into four main themes: ‘The Second Act of Life: Marriage and Immigration’, ‘From Immigrant to Prospective Social Worker’, ‘From Prospective Social Worker to Social Worker’, and ‘The Third Act of Life: Social Worker Assisting Immigrants’. Throughout this study, the concept of hospitality experienced by immigrants underwent changes influenced by shifts in time and space. As immigrants transitioned from being recipients of assistance to becoming social workers helping others, the direction of hospitality transformed. The immigrants extended the hospitality they received from Korean society to themselves, as well as to others and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researchers proposed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supporting im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