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의 지역 특성과 지역사회 경험이 거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이선,손명아 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학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individual community experience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society both which affect lif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oretical premise that quality of life is determined by individual factors,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interaction factors of the both. Hierarchical multi-level analysis is applied for vindicating the relations of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environment including demographic structure. As a result, it is verifi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is affected not only by socio-economic status of individual, but also by societal quality of local district such as socio-economic safety, social cohesiveness, social inclusion, social competence and demographic structure. Among these societal factors, it is identifie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trust and satisfaction on social safety system. Sense of local community membership and social empowerment also have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exposits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local society and individual factors. For example, experience of economic crisis has weaker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more cohesive society. Regarding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recommends that local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features of local society and demographic structure when establishes policies for improving life quality of residents and societal soundnes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의 지역 특성과 지역사회 경험이 거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삶의 질이 개인적 요인과 개인이 속한 지역의 환경적 요인 사이의 상호작용 결과로 구성된다는 이론적 관점에 입각하여 이들을 다층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성별, 연령, 소득, 직업, 건강과 같은 개인 수준의 변인을 바탕으로, 사회의 질 요인(사회경제적 안전성, 사회 응집성, 사회 포용성, 사회 역능성)과 지역별 인구 특성이 거주민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안전 시스템에 대한 신뢰와 공공기관, 의료시설, 복지 근린시설 등에 대한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주민의 지역사회 소속감이나 사회참여 의지를 보여주는 사회의 역능성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가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이 밝혀졌다. 사회의 응집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개인의 경제적 위험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하고, 사회자본은 지역사회의 안전성이 뒷받침될 때 더 큰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고연령 지역에서 이웃과의 교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큰 반면 투표의 영향력은 작아진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정부는 각 지역의 특성 및 인구구조를 고려하여 사회의 질과 거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 정책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리더교육의 다층적 효과

        정동일(JUNG Dong-Il),박준식(PARK Joon-Shik) 지역사회학회 2011 지역사회학 Vol.13 No.1

        산업화 과정에서 낙후성이 꾸준히 심화되어 온 농어촌 지역사회에서 발전의 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유능한 지역 인재가 양성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한 지역사회 리더교육은 사람을 통해 지역의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지역과 사람의 핵심적인 사회적 연결고리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더교육의 효과를 개인적 측면, 관계적 측면, 그리고 지역사회 전반에 대한 효과라는 측면 등 세 가지 차원에서 접근하고, 이 효과들을 측정하여 리더 교육과 사회 발전의 연결 고리를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사회적 자본을 개인적 수준, 지역사회 수준을 교차시켜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리더교육의 효과가 개인에게서 주변 인물로, 나아가 지역사회 전체로 파급되는 과정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지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 리더교육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은 개인적 성장과 더불어 지역사회 차원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매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앞으로 지역 리더교육에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축적에 많은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리더교육이 참여자 개인과 지역사회 수준의 사회적 자본과 결합할 때 지역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리더교육과 지역 발전, 그리고 사회적 자본과 지역발전을 매개하는 ‘잃어버린 고리’(missing link)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initiate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the rural areas, the supply of innovative and talented local entrepreneurship is critical. Training of local leader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for rebuilding critical human networks for local change.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ain how educational effects of local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are spreading over local society through their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s, social relations, and local societies. Our research examined the data obtained by survey of participants in local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and tried to find missing links between human resources and social development in local society. We classified types of social capital into four categories and attempted to analyze how they produced different delivery effects of education through bridges of individuals, relations, and local communities. With this, we could find that the education of local leade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local development and accumulation of trusts. However, those effects depend on the nature of social capital built between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communit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e must consider social and relational factors in designing leadership programs for local development. By presenting the multi-level effects of social capital,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designing more effective policy tools for social development and local innovation initiatives.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태영(Park, Tae-You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3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의 문헌과 실천현장의 상황들을 조망하여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을 도출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함으로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복지학상의 지역사회복지 정체성과 현장에서의 지역사회복지 정체성을 동시에 검토하여 그 정체성을 주체성, 지역성, 종합성, 양면성으로 도출한 후, 이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 위한 방향으로 주민참가의 강화, 지역사회복지에서 다루는 이슈의 확대, 지역사회복지로의 실천 프레임워크의 전환, 지역사회복지 실천기술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이라는 큰 흐름을 타고 있는 시점에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지역사회복지의 학문적 기반강화와 더불어 실천현장의 방향성 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terature of community welfare and its conditions of practice fields to yield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and by suggesting directions of community welfare as a way of its reinforcement,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community welfare of the countr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both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in the current literature and that of the fields at the same time to derive subjectivity, locality, integration, and ambidexterity from the identity, and then proposed strengthening of citizen participation, expanding the issues tended by community welfare, the switchover of practice framework to community welfare, development of practice skills for community welfare, etc. as directions to reinforce community welfare. In this moment with a ride on a bid stream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centered by the community, the discussion of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orientation for the practice fields as well as firming up of an academic framework for community welfare.

      • KCI등재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 : 대안적 지역사회발전과 복지의 관점에서

        이해진 지역사회학회 2010 지역사회학 Vol.11 No.2

        이 논문은 사회적 경제를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대안적 지역발전전략과 지역복지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 경로와 방안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전략적 역량과 그것이 지역사회와 복지의 발전에 미치는 의미와 과제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이론적 논의를 통해 사회적 경제가 지역사회발전과 복지와 연관됨을 밝히고,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 개념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는 지역사회와 주민의 필요를 반영하고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사회적 경제조직의 민주적 운영에 기반을 둔 경제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내부의 순환경제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대안적 지역사회발전 전략이 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 취약계층의 고용과 복지 서비스를 제공 한다는 점에서 취약한 지역복지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기제이다. 사회적 경제가 지역화되는 경로와 그것을 구축하는 전략으로 조직과 리더십의 요인에 주목하여 사회적 경제조직의 조직화와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강원도 정선군의 폐광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의 형태와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사례지역의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 경로를 각각 국가 제도적 차원의 경로 의존적 과정, 지역기업이 시장을 제공하고 지원하며 다양한 주체들이 협력하는 네트워크 거버넌스형 과정, 지역주민 교육과 학습으로 역량강화와 참여증대를 꾀하는 학습조직화 과정 등의 세 가지 유형들로 개념화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를 위해 지역자활센터와 같은 지원조직, 하이원리조트와 같은 지역기업, 지역주민조직의 역할이 중요함을 밝혔다. 끝으로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 방안과 지역사회와 복지의 발전과 관련된 전략과 과제들을 지역사회역량과 조직화, 주민참여와 합의, 지역기업, 네트워크, 복지의 다양화의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협력방안

        채현탁(Chae, Hyun-ta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2

        본 연구는 정부의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로 인해 제기된 지역사회복지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가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의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방향성을 지역성, 통합성, 주체성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두 조직의 활동 및 협력실태와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성 측면에서 읍면동 단위에서의 협력 논의는 시기적으로 매우 빠른 감이 있으나 정부의 강한 정책 추진 의지에 따라 새로운 협력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통합적 측면에서는 두 조직 모두 통합성을 구현할 기반이 취약하고, 지역사회의 한정적인 자원으로 인해 자원 확보 경쟁 및 이로 인한 갈등 가능성마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주체성 측면에서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주민참여 활동 경험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의 협력을 위해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중요한 과제로 제시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성(읍면동 단위 등)을 고려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의식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보장적 기능/사회복지협의회는 개발적 기능으로 핵심 기능 정립,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주민생활 중심/사회복지협의회는 복지 중심으로 조직 구성상의 통합성 강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공식적 자원 조직화/사회복지협의회는 비공식적 자원 조직화로 읍면동 단위의 다중 안전망 구축 등을 제안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strategies for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or their adequate functioning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suggested by the government’s reinforcement of the welfare function of eup, myeon, and dong.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derived regionality, integrity and subjectivity as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restructuring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in terms of these directions, examined the activities and coopera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and related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s follows. From the aspect of regionality, it may be too early to discuss cooperation in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but it is required to find new cooper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determined will to promote the policy. In the aspect of integrity, both of the two organizations do not have a solid foundation for implementing integrity, and even the limited resources of community communities may cause competition and conflicts for securing resources. From the aspect of subjectivity, it is an important question how the experience of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will be utilized for its cooperation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suggested conscientizat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in consideration of regionality (the units of eup, myeon, dong, etc.), establishment of welfare function and developmental function as the key functions of, respectivel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reinforcement of the integrit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centering on residents’ life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on welfare for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construction of multi?layered safety net for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through organizing official resources b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unofficial resources by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etc.

      • KCI등재

        지역재생사업 내 사회복지 거시실천 양상 이해를 위한 새뜰마을 민관협력형 주민돌봄사업 사례연구

        정소익(Soik Jung),김은혜(Eunhye Kim),김성미(Sungmi Kim)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재생사업 현장에서 사회복지 거시실천이 추진되고 있는 양상과 그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재생사업에 필요한 사회복지실천의 방향성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지역쇠퇴와 관련한 지역사회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막대한 공공예산을 들여 계속되고 있는 지역재생사업의 대부분은 일회성 건설사업 중심으로 진행되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마중물이라는 사업 기본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원인과 향후 개선 방향을 사회복지 거시실천 관점에서 찾아보고자 안동, 전주, 진안, 평택의 새뜰마을 민관협력형 주민돌봄사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지금의 돌봄사업은 사회복지 거시실천 수준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서비스 전달에 머물고 있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마중물이라는 사업 목적 달성에 유용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사회복지 거시실천 방법론을 정비하고 이를 적극 적용할 수 있도록 사업 체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거시실천이 지역재생사업과 개념적, 방법론적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상호 접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더하여 지역재생사업의 구조적, 실천적 방향성을 재설정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ocial work practice necessary for local regeneration projects by examining the aspects and contexts of the social work macro practice in the work field. Most of the local regeneration projects, which are ongoing with huge public budgets to respond to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issues of the local community related to regional decline, are mainly one-time construction project, so does not meet the basic purpose of the projects to be the priming wate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study, to find the cause and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ork macro practic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private-public partnership based human care projects of Saeddeul Village in Andong, Jeonju, Jinan, and Pyeongtaek. Implicat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1)the current projects do not advance to the level of macro practicing and remain in service delivery, so they are not useful in achieving the project purpose of priming sustainable development, (2)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ocial work macro practice methodology and re-establish the project system so that it can be actively applied in the future.

      • KCI등재

        협력적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구축 방안 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를 중심으로

        한상윤,윤나비,허아름,이선우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81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llaborative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in Korea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diverse social problem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case analysis of the successful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 and Local Council of Social Welfare, which have a local status as a core institute of local welfare governance and network in Korea. Four staff members of two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s and two local councils of social welfare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common strengths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 institutes. Also, several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surrounding them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developing strategies for collaborative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and suggest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환경과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협력적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역할 수행에 있어 우수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받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지역사회복지협의회 4곳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각기관은 공통적으로 참여성, 분권화, 책임성이 확보된 거버넌스 구조에 기반한 강점과 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다양한 외부 환경적 어려움과 향후 개선이필요한 과제들 또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협력적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가 지역사회복지 발전과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에 있어 유의미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의 경향과 향후과제

        조성숙(Cho, Sung-Soo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1

        본 연구는 최근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들을 새롭게 조망하여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역사회복지의 학문적 정체성 및 이론적 체계의 확립을 위한 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약 10년간 한국과 미국에서 출간된 지역사회복지 문헌을 편의표집하여 문헌에 나타난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경향을 파악하였고, 주요 이론들을 상호작용 범위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나아가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들의 한계점을 제시하였고, 지역사회복지의 전문성 향상 및 발전을 위한 향후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raw limitation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by newly examining theories appeared in the recent community welfare literatures and further seek for future tasks toward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nd theoretical systems of community welfare.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explored the recent trend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based on the community welfare literatures publish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pproximately the last ten year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further reclassified these main theories according to the scale of interaction. Finally, this study concluded by presenting the limitation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appeared in the literatures and the future tasks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과제

        안윤숙(An Yun Sook),김흥주(Kim Hung Ju)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4

        최근 들어 한국의 복지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지역사회복지와 사회적경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유는 세가지다. 첫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국가와 시장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들에 혁신적으로 대처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둘째, 지역의 일자리와 소득을 증대시켜 자원이 지역에서 선(善)순환하는 지역순환의 복지체제를 만들어간다. 셋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다중 이해관계자들의 협동과 호혜를 통해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회서비스의 공공성(publicness)을 실천한다.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체 중에서 경제적 가치보다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사례들을 검토하여 지역중심의 사회복지실천에 사회적경제가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공익적 경제활동과 제도적 지원, 그리고 공동체 돌봄 활동을 통해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확보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안산의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의료서비스만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지역사회복지운동을 펼치고 있었다. 지역자활센터가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되면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역량이 강화되고, 탈(脫)빈곤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생협은 조합의 이익을 주민과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협동의 가치를 기반으로 사회적 돌봄을 실천하고 있었다. 울림두레생협은 주민의 참여와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지역이 중심이 되는 복지체계를 만들고 있었다. 한살림 생협은 조합원들을 효과적으로 조직화하여 지역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공동체를 만들고 있었다. 일본의 복지클럽 생협은 마을 중심의 커뮤니티 케어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적경제가 주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실천과제가 남아 있었다. 무엇보다도 제도화를 위한 정치적 의지, 시민사회의 연대,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였다. 사회적경제가 중심이 되는 지역사회복지는 주민의 참여로 시작되고, 연대와 파트너십으로 완성된다. 여기에 실질적인 지방분권, 신뢰와 호혜의 가치, 시민사회의 성숙, 살아있는 지역조직, 실천가의 적극적인 사회행동이 기반이 되어야 지속가능해진다. Recently, Korea’s welfare environment has changed dramatically, community welfare and social economy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There are three reasons. First,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innovative coping with problems that the nation and market cannot solve. Second, by increasing social jobs and income in the region, creating a community welfare system in which local resources are positively circulated. Third,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practic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community through the cooperation and reciprocity of multiple stakeholders. The study examined cases of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focused on ‘social’ value rather than economic value. This is to find out how useful the social economy is for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Social cooperatives realiz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rough public economic activities, institutional support, and community caring activities. Italy’s social cooperatives were playing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 welfare of the socially vulnerable and securing the universal interests of the community. The medical welfare social cooperative in Ansan was carrying out a community welfare movement to maintain the healthy lives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medical services. As the local self-support center was transformed into a social cooperative, the capacity of participants in the self-sufficiency project was strengthened and the possibility of deserting poverty was increasing. The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practicing social care based on the value of cooperation that wanted to share the interests of the union with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he Ulim-Dure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building a welfare system in which the region was centered,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social capital. The HanSalim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effectively organizing its members to create a caring community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region. Japan’s welfare club, the association, was conducting community care centered on villag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ere were still some practical tasks for the social economy to be situated as a center of community welfare. For example, political will, solidarity of civil society, and strengthening of the local community are necessary.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which is supported by a social economy, begins wit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is completed by solidarity and partnership of civil society. In addition, for the sustainable community welfare system based social economy, the real decentralization, the value of trust and reciprocity, the maturity of civic consciousness, the active social behavior in the community are necessary.

      • KCI등재

        지역주도형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혁신 담론의 가능성- 도시를 중심으로 -

        한빛나라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1

        As the Korean government declares carbon neutrality by 2050, the local-driven energy transitions are gaining importance for the realization of national carbon neutrality. Local energy transitions are not only transitions towards distributed low-carbon energy systems, but also deep social transitions that include awareness-raising of local communities, bottom-up processes in decision-making,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nd behaviour change of energy consumers. Local energy transitions ultimately aime at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realizing sustainability. In particular, the energy transition for cities further emphasizes these social aspects. Cities have high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costs, and high energy demand due to high-density population, and they are places where energy inequality is a serious problem. Therefore, energy transitions in cities include not only expanding low-carbon energy sources in terms of energy production, but as well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changing consumers’ behavior, spreading low-carbon living practices. They also include enhancing energy access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 implications of energy transitions, and based on the nexus of technology and societ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Social Innovation as a driver of energy transions for cities. Social innovation discourse suggests a conceptual solution for local-driven energy transitions by redefining the role of local stakeholders and innovates rigid energy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ructures in Korea.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함에 따라, 국가적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지역주도의 에너지 전환이 강조되고 있다. 지역 에너지 전환은 저탄소·분산형의 지역 에너지 시스템 전환인 동시에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역 사회의 인식 제고와 의사결정과정 참여, 지역 역량강화, 에너지 소비자의 행동 변화 등을 포함하는 심층적인 사회적 전환이며,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개선하고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도시의 에너지 전환은 이러한 사회전환적 측면을 더욱 강조한다. 도시는 재생에너지 개발 비용이 높고 인구과밀로 인하여 에너지 수요가 높으며 에너지 불평등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도시의 에너지 전환은 에너지 생산 측면에서 저탄소 발전원을 확산할 뿐 아니라 소비의 측면에서 소비행동을 바꾸고 저탄소 이니셔티브를 확산하며, 에너지 접근성 개선을 통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를 중심으로 지역 에너지 전환의 사회·환경·경제적 함의를 분석하고, 기술-사회 넥서스에 기반하여 지역 에너지 전환의 동인으로서 ‘사회혁신 담론’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사회혁신 담론은 에너지 분야에서 지역 이해관계자들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하고 경직된 에너지 생산과 소비 구조를 혁신하여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지역 에너지 전환의 물꼬를 트는 담론적 솔루션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