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하노이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체육활동 실태 및 요구분석

        권성재 ( Sung Jae Kwon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3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2 No.-

        그 동안의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재외 한국학교에 대한 교육과정 위주의 여러 연구가 수행되어 온 반면, 국가 사회적 변화에 따라 활발히 진행되어 온 교과별 교육의 실태 분석은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본 연구는 베트남 하노이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체육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베트남 하노이 한국국제학교 학생 209명이며, 조사절차는 직접방문을 통해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첫째, 정규 체육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대부분 ‘경쟁활동’을 학습하고 있으며, 각 교육과정 대영역에서는 실기위주의 다양한 체육활동을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규 체육 수업 이외의 학교체육 활동을 조사한 결과, 40% 이내의 학생들이 ‘적극적’인 편으로 체육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학교 이외의 장소에서 절반 정도의 학생들은 주로 친구와 ‘주 2-3회’이상 체육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체육 시설과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절반이상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끝으로, 학교 체육활동 요구를 분석한 결과, 학교 정규 체육 활동과 방과 후 체육 활동의 모든 부분에서 다양한 요구를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교 정규 체육 활동과 방과 후 체육 활동 영역에서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체육 활동 요구를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재외한국학교 학생들의 체육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체육교육에 대한 장기적인 추후 연구와 관련 정책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s of Korean schools abroad. However, the educational curriculums that reflect national and social changes were scarcely performed.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physical activities of the students in Vietnam Hanoi Korean international school and analyze the needs of th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9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personal visi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 regular physical classes, the students were mostly learning ``competition activity``. Second, 40% or less students were actively participating school physical activities apart from the regular PE classes. Third, more than a half of the student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this regard, male students showed higher attitude than female students. Finally, the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needs in both PE classes and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s.

      • KCI등재

        중학교 학교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에 대한 행복감과 수업태도의 연구

        박정현,이의재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0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happiness and the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physical education class by studying the happiness and class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ample of 800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n 2019, and 762 of them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happiness and class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study subjec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n attitud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 happi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school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interaction with friends, physical activity benefits, teacher interaction, and psychological benefi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 instructional attitud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school type in terms of health, physical fitness, positive emotions, negative emotions, activ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 happi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found to influence all sub-factors (health and fitness,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ctiv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lass attitude. 본 연구는 중학교 학교 유형에 따른 체육 수업에서의 행복감과 수업 태도를 연구함으로써 학교 유형별 중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대한 행복감을 느끼는 정도와 수업 태도와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9년 체육수업에 참여 중인 서울특별시에 있는 중학생 800명을 표본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그중 762부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 대상자의 배경 변인인 학교 유형 따라 체육수업에서중학생의 행복감과 수업태도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체육수업에서 중학생의 행복감이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에서의 학생 행복감은 학교 유형에 따라 친구와의 상호작용, 신체활동 혜택, 교사와의 상호작용, 심리적 혜택 모든 요인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에서의 학생 수업태도는 학교 유형에 따라 건강과 체력,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능동적 참여와 수행, 대인관계 모든 요인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에서 행복감이 수업 태도 모든 하위요인 (건강과 체력,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능동적 참여와 수행, 대인관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후보

        학교체육 정책 및 교육과정 국제동향 분석 : 미국, 캐나다, 대만을 중심으로

        진연경 ( Yeonkyung Jin ),최윤소 ( Yoonso Choi ),린만루 ( Lin Man Hsu ),이현석 ( Hyunsuk Lee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6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4 No.2

        본 연구는 4개국(우리나라, 미국, 캐나다, 대만)의 학교체육 정책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학교체육에 대한 최근의 세계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학교체육정책 및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국의 학교체육정책 및 교육과정 문서를 토대로 하여 국가별 학교체육 정책 및 학교체육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교사임용방법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학교체육 교육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the policies and curricula fo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of four countries (South Korea, the U.S., Canada, and Taiwan) with the goal of grasping the international trend in physical education and to deduce points of improvement for the policy and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For this, the policy for physical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a as well as the method of selecting teachers were analyzed based on each country`s physical education policy and curriculum documents; though this analysis, points of improvement for physical education in Korea were deduced.

      • KCI등재

        학교체육에서 ICT 활용 의미 탐색: 빅 데이터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ICT 기반 학교체육 연구주제 분석

        손환,최윤소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0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8 No.2

        As we have confronte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fields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in academia have frequently discussed on the ways in which ICT and technologies should applied into their fields. This kind of research trend in Korea is to connect curricula with a variety of technologies in order to foster ‘creative human resource’, which is the latest concept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is milieu,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ICT and technologies usages in PE class. This study also critically discussed the ways in which ICT and technologies would be utilized as an educational tool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a practical manner so as to promote educational value of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big data topic-modeling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convergence education; 2) web-based education; 3) movement analysis; 4) applying I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most of researches related the topic have agreed the necessity of the usage of ICT and various technologies into PE classes. However, suggesting academical and political significances should actively discussed to guarantee effectiveness of ICT and technologies based school physical education so as not only to provide educational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but also to utilize technologies in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out any more burdens for teachers.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학교체육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최근 국내 교육계가 내세우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다양한 기술을 교과 콘텐츠와 연결시키고자 하는 움직임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체육 분야에서 15년간수행되어진 학교체육 및 체육수업 현장에서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연구주제의 동향을 면밀히 살펴보고, 미래 학교체육 현장에서 체육교과가 제공하는 교육적 가치 실현을 위한 효율적인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토픽모델링 기법을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1)융합교육, 2) 웹 기반 교육, 3) 신체활동분석, 4) ICT활용으로 총 4가지 주요 주제로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학교체육 분야에서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논의는 학교체육 현장에서 그 필요성을 인정받음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체육수업이 제공하는 교육적 가치를 학생들에게 온전히 전달하고 수업을 설계하는 교사가 과도한 업무부담 없이 자신의 수업에 테크놀로지를활용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ICT기반 체육수업의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학술적, 정책적 연구는 필요하다.

      • KCI등재

        체육 교사의 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의재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4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교사의 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통해 교과서 개발 경험이 체육 교사들에게 어떠한 의미이고그들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2개정체육과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교 체육 교과서를 집필한3명의 체육 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분석 및 연구결과는 Clandinin &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를활용하였다. 내러티브 결과 교과서 개발 경험 이야기하기로서 1. 교과서 개발 세계에 발들이기, 2. 의미 있는 교과서 만들기, 3. 아쉬운 최종 교과서 되돌아보기로 전개하였으며, 교과서 개발 경험 다시 이야기하기는 1. 체육 교사로서 사명감 기르기, 2. 교과서를 활용한 체육 교사되기, 3. 다음 기회를 기대하기라는 내용으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내러티브를 통해 교과서 개발 경험을 통해 체육 교사로서 더욱 성장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향후 후속 연구 제언으로 교사들의 교과서 개발 경험 이외에 다양한집필진이 함께 교과서를 개발하는 과정에 대한 탐구를 통해 효율적인 교과서 개발을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extbook development experiences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narratives about the textbook development experience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this end, thre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wrote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data analysis and research results used Clandinin & Connelly(2000) narrative inquiry. As a result of the narrative, as a story of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t developed into 1. stepping into the world of textbook development, 2. making meaningful textbooks, 3. looking back on the disappointing final textbook development experience, and 1. developing a sense of duty as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2. becoming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using textbooks, and 3. expecting the next opportunity were described. Through this narrative, we were able to discover a further development as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rough the experience of textbook development. As a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it was suggested that a plan for efficient textbook development is needed through exploration of the process of developing textbooks with various writers in addition to the teachers' textbook development experience.

      • KCI등재

        여자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분석

        송영현,정용철,이의재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9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un and worry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school type of high school girls.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569 general high school, special purpose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A, B, and C in 2018, except for 9 unsuccessfully filled out questionnaires. A total of 560 data were used as the final valid sample of the study.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esting things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by school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type. Second, concerns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school type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chool type.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un factors and the worry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desig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and to operate the classes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학교 유형에 따라 체육수업에 대한 재미거리와 걱정거리를 규명하는데 목 적이 있다. 이에 2018년 A시, B시, C시에 재학 중인 일반계 고등학교, 특수목적 고등학교, 특성화 고등학 교 학생 총 569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했으며 조사 후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기입 된 설문지 9부를 제외한 총 560명의 자료가 연구의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되었으며, 자료처리는 빈도분 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에 대한 재미거 리는 학교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교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에 대한 걱정거리 역 시 학교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재미거리 요인끼리의 상관관계, 걱정거리 요인끼리 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재미거리의 하위 요인별 건강유지, 성취 감, 수업의 용이성, 수업의 자유로움, 사회성 함양은 걱정거리의 하위요인인 운동종목걱정, 수업준비사항 걱정, 수업환경걱정, 운동기술 수행걱정, 처벌걱정, 수업 중 마찰걱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유형에 따라 어떻게 체육수업을 설계하고 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수업을 운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전문체육의 비정상의 정상화

        이학준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8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ay to normalize school elite sport. For this purpose, literature was studied. The result is as follows. What school elite sports should stop from doing is match fixing, doping and academic issues. elite sport is abnormal conditions in school elite sport. It can be found not in training the body, but in training the character of the body. So far, he/she has overtaxed himself/herself that he/she has sought medals and records. As a result, they have trained only mechanical athletes. Second, there is experience education of joy and beauty. The Olympic motto of‘Faster, Higher, Stronger' has lost the joy and beauty of athletics. The problem that school elite sports need to address is the lack of wisdom. The loss of joy and beauty is no longer physical education, it is just a labor for survival. And third, the practical education of fair play. More than just slogans, actions should be taken to reform the scene. This would result in normalization of school elite sports.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전문체육의 비정상의 정상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전문체육의 비정상의 문제는 파벌, 승부 조작, 도핑, 학업 문제 등이다. 학교 전문체육의 정상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몸닦달이 아니라 몸 닦기의 인성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지금까지 너무 몸을 혹사해 메달과 기록만을 추구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운동만 하는 선수들을 양성하게 되었다. 둘째, 지미지락의 체험교육이다. 올림픽 모토라고 할 수 있는 ‘보다 빠르고, 보다 높고, 보다 강하게’는 결과만을 강조하는 성공이데올로기로 체육의 즐거움과 아름다움을 상실하게 했다. 학교 전문체육이 보완해야 할 문제는 지미지락이다. 즐거움과 아름다움의 상실은 더 이상 체육이 아니며 그것은 생존을 위한 노동일 뿐이다. 그리고 셋째, 페어플레이의 실천 교육이다. 구호만이 아니라 현장을 개선할 수 있는 실천이 따라 주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학교 전문체육의 비정상의 정상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다.

      • KCI등재

        저소득층 청소년의 학교체육활동과 비만도 및 건강인지와의 관련성

        정인경,김정현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9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bes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y family income level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obes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participation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school of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y. Data from the 2016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Adolescents with low income levels showed higher rate of obesity and underweight but had higher stress and depression and lower happiness. And they had lower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school. Low-income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y were positive about their health and felt less stress. And the sedentary behavior and internet using time by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scho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actively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n low income adolescents. And the effects of regular practice of physical activity and reduction of sentential can be achieved. Therefore, policies for school sports classes and school sports clubs should be prepared to address the social and economic level of low-income adolescen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른 비만도 및 건강인지 차이를 알아보고, 저소득층 청소년의 학교체육활동 정도와 비만도 및 주관적 건강인지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16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소득수준이 낮은 청소년의 경우 저체중 및 비만인 경우가 많았으며, 스트레스 및 우울경험율이 높고, 행복감 인지율은 낮았다. 또한 평소 유산소 및 격렬한 운동, 걷기운동 실천율이 낮았으며 학교체육활동에도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청소년 중 학교체육 수업 및 스포츠 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의 경우 저체중과 비만율은 적었으며 자신의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었고 평소에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좌식행동 시간 및 인터넷 사용 시간이 학교체육수업의 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저소득층 청소년에 있어 적극적인 학교체육활동의 참여는 규칙적으로 신체활동을 실천하는 습관 형성 및 좌식활동량 감소 효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신체적 건강 뿐 아니라 정신적 건강상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환경에 따른 건강행태 불평등을 해소시키고 청소년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고려한 학교체육수업 및 학교스포츠 클럽활동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평생체육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 교육학의 기여와 한계

        진연경 ( Yeonkyoung Jin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1

        본 연구는 평생체육교육으로서 생활체육의 미래를 살피고,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 교육학의 기여와 한계를 선행연구물과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법적 근간을 살피며 평생체육으로서의 생활체육의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였고, ’스포츠비전 2030‘에서 생활체육의 미래 발전방향을 탐색하여, 생활체육 정책에서 스포츠 교육학의 학문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스포츠 교육학은 생활체육 현장의 학습자, 지도자, 교육과정 이해를 도울 수 있음을 강조하고, 생활체육의 주요 주체인 지도자를 스포츠 교육자로 성장하도록 교육방법을 체계적으로 도입하고, 체육지도자 자격 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체육지도자의 전문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 광범위한 생활체육 영역에서 스포츠 교육학 독자적인 내용 정립의 한계, 정책 주도적 특성이 강한 생활체육 현장, 학문적 연구에의 낮은 접근성 등이 스포츠 교육학이 생활체육에 관심을 갖는데 있어 한계점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향후에는 평생체육교육현장에서 실천적인 연구물이 스포츠교육학의 관점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관련 정책도 스포츠교육학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수립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uture of daily s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sport pedagogy, and explore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sport pedagogy for the promotion of sport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related theories. To this end, it looks at the legal foundation and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daily sports as lifelong sports, and explores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daily sports under ‘Sports Vision 2030’, stressing the need for academic efforts of sport pedagogy in daily sports policies. In addition, with an emphasis on sport pedagogy that can help learners, leaders and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in the field of sports, it argues for the need to systematically introduce education methods to help leaders, who are the key players in daily sports, grow into sports educators, and improve the sports leadership qualification system.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it is expected that the social perception of sports leaders' expertise, the limitation of establishing independent contents of sport pedagogy in a wide range of areas of daily sports, the characteristics of daily sports strongly affected by policies and the low access to academic research, etc. would appear as limitations in sport pedagogy turning attention to daily sports. In the future, the study emphasizes that practical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lifelong sport pedagogy from the perspective of sport pedagogy, and that relate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sport pedagogy.

      • KCI등재

        체육 분야 성(性)평등 연구 동향 분석: 사회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기

        최윤소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3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ritical analysis of research trends like gender equality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o this end, topic modeling was applied as a research analysis technique. The keywords of this study are ‘physical education,’ sports,‘ ’gender equality’ and ‘gender awareness’ and all the academic research data after starting the discussion about the topic in the field of domestic physical education were fixed as the target of analysis. The topic modeling results that applied the keyword were derived into 5 upper categories (efforts to improve sexual culture in sports, female activities in the field of sports, gender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sociocultural gender that begins from biological gender differences, changes in gender awareness due to external factors). The research findings implied that the first and second categories are not associated with the provision of institutional strategies although various research is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e third category suggested the necessity of discussing the enhancement of the sensibility of gender awareness in teachers and leaders who initiat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on the front line of physical education at schools. The final two categories implied the need to actively discuss various forms of gender defined socially and culturally by diverging from the patterns of research focused on biological male and female adults. In addition, this study concluded by suggesting the need to expand the spectrum of gender awareness research to extend the scope of gender awarenes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체육 분야 성(性)평등 연구 동향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픽모델링을 연구 분석 기법으로 활용하였으며, ‘체육’, ‘스포츠’, ‘성평등’, 그리고 ‘성인지’를 주요 키워드로 하여 국내 체육 분야에서 해당 주제로 논의가 시작된 이후 모든 학술연구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키워드를 적용한 토픽모델링 결과는 총 5가지 상위범주(스포츠 성문화 개선을 위한 노력, 여성의 스포츠분야에서의 활동, 학교체육에서의 성, 생물학적 성차에서 비롯된 사회문화적 성, 외부요인에 의한 성인지 변화)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첫 번째와 두 번째 범주에서는 체육학계에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장치의 마련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세 번째 범주는 학교체육 일선에서 학생들과 소통에 앞장서는 교사 및 지도자의 성인지 감수성 인식 제고를 위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 두 범주에서는 생물학적 성인 남성과 여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양상에서 벗어나 사회·문화적으로 정의되고 있는 다양한 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함과 더불어 체육 분야 성인지 범위 확장을 위해서는 성인지 연구 스펙트럼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며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