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일성철학과 예술

        박영선(Young-Sun Park)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2 철학탐구 Vol.31 No.-

        셸링에 있어서 예술은 절대자를 함축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절대자를 계시한다. 동일성철학이 절대자의 본질을 명상하는데 있듯이, 절대자의 현시로서의 예술은 동일성철학의 맥락에서 정초된다. 즉 동일성철학의 이념을 추구하는 예술은 절대자의 특수한 현시 양식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예술철학』의 과제는 절대자 안에서 예술의 위치를 구성하는데 있다. 예술의 위치를 구성한다는 것은 사물의 형식으로서의 예술의 형식을 절대자(=우주)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표현해 내는 것이다. 이렇듯이 예술의 위치를 학문적으로 설정하는 일은 절대자(=우주)에 대해 예술이 맺는 연관성의 해명에 있다. 이것의 논의를 위해 우선 제1장에서 동일성철학을 살펴보며,이어서 제2장에서는 절대자 가운데 있는 예술의 구성으로서의 예술철학을 살펴본다. 예술을 철학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예술을 예술답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지적해 내야하기 때문에 제3장에서는 아름다움으로서의 진리와 선에 관해 살펴본다. 마지막 제4장에서는 예술과 신화에 대하여 살펴본다. 철학이 절대자를 이념 가운데 (이념적으로) 직관하는 것이라면, 예술에서의 직관은 실재적으로 발생한다. 객관화된 실재성의 측면에서 보자면 이념들은 신들(Gotter)이며, 이것들의 표현이 신화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신화의 구성이 예술철학의 관건이 된다.

      • KCI등재후보

        17~19세기 서양 철학과 수사학의 관계

        김승철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6 철학탐구 Vol.20 No.-

        According to John Toland and Leo Strauss, from the ancient period free-thinking philosophers had faced the religio-political persecution and censorship. Yet they did not give up openly expressing their thoughts through their rhetoric, that is, to write between the lines or to distinguish their thoughts between the esoteric and the exoteric meanings. To test the verity of their arguments I have tried to read rhetorically the 17~19th century western philosophers such as Descartes, Spinoza, Lessing, Kant, Fichte, Schlegel and Schleiermacher. Its results follow: Descartes, who seems to prove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ctually denied them, so that he might be called the founder of the modern rhetorical philosophy. Spinoza provided an ethical justification for the rhetorical philosophy that tried to deceive the censors and oppressors, mo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ife than death. Although it is not well-known, the 18~19th century Prussia (Germany) was the era of the censorship that thoroughly controlled the free religio-political thoughts with its powerful military power and conservative religious zeal of the Prussian National Religion. Lessing laid the foundation of the Prussian rhetorical philosophy to pass the censorship, Kant systematically developed it, and through Fichte and Schlegel the Romantic rhetorical philosophy appeared, that was not only completely hidden but also completely open. Thus even the Romanticists themselves discussed about the im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ir own Romantic compositions. Schleiermacher introduced the Romantic rhetoric into the theological world.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17~19the century western philosophy is completely rhetorical and it calls us to understand philosophy rhetorically. 일반적으로 철학적 이해는 철학자의 사상을 삶과의 관계에서 이해하기보다 개념 자체의 분석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톨란드(John Toland)와 스트라우스(Leo Strauss)는 고대로부터 철학자들은 그들의 사상에 대한 정치종교적 억압 혹은 검열에 직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행간 혹은 언어의 의미를 내외적으로 구분하는 수사학을 통해 자신들의 사상을 표현하였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이와 같은 주장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데카르트, 스피노자, 렛싱, 칸트, 피히테, 슐레겔 그리고 슐라이어마허와 같은 17~19세기 철학자들의 사상을 수사학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적으로 데카르트는 외적으로 신과 영혼 불멸을 증명하는 것처럼 보이나 내적으로 그것들을 부정했기에 현대 수사학적 철학의 창시자라고도 부를 수 있겠다. 스피노자는 이성적인 자유인은 죽음보다 삶을 더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여 수사학적 철학이 검열관을 기만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윤리적 타당성을 제공하였다. 18~19세기 프로이센(독일)은 강력한 왕권과 국가 종교를 바탕으로 정치종교적 사상을 통제하던 검열의 시대였다. 렛싱이 독일 수사학적 철학의 기초를 놓았고, 칸트가 체계적으로 발전시켰으며, 피히테를 거쳐 슐레겔에 이르러 낭만주의 수사학을 이루게 되었다. 낭만주의 수사학적 철학은 본질적으로 철저하게 공개되었으나 철저하게 은폐된 수사학으로 그것을 통하여 저자의 사상을 이해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이기에 낭만주의자들 스스로 이해의 불가능성에 대해 논하였다. 이러한 낭만주의 수사학은 슐라이어마허를 통해 기독교 신학에도 유입되었다. 따라서 톨란드와 스트라우스가 주장하듯이 서양 철학 특히 17~19세기 서양철학은 수사학적 철학이므로 그것에 대한 이해는 수사학적이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논리중심치료에 대한 규칙 제공자로서의 청암사상

        이영의(Young E. Rhee)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2 철학탐구 Vol.31 No.-

        20세기 이후에 등장한 후기 산업사회의 본질을 보여주는 대표적 특징은 그 사회가 물질적으로 풍요롭지만 정신적으로는 풍요롭지 못하다는 점이다. 이 글의 목표는 후기 산업사회에 만연하고 있는 철학적 병을 치료하는 방안으로서 철학치료분야에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논리중심치 료(logic-based therapy)를 추천하고, 치료를 위한 규칙 제공자로서의 청암(靑岩) 박태준의 사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글에서 나는 철학치료의 본질은 사고의 혁신에 있다고 보고, 사고의 혁신을 위한 적합한 치료 모형으로서 논리중심치료를 검토할 것이다. 논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2절은 삶의 건강의 의미를 간략히 살펴보고, 마음의 병의 두 가지 유형을 제시하면서 그 중에서 철학적 병의 특징을 중점적으로 논의하며, 철학치료의 정체성을 의학치료와 심리 치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한다. 3절은 논리중심치료에 나타나는 실천 추리의 구조를 제시하고 구체적 사례를 통하여 그 성격을 검토한다. 4절은 청암사상을 철학적 차원과 이념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그로부터 논리중심치료를 위한 규칙들을 유도한다. A representative feature of post-industrial societies after the twentieth century is that they are materially affluent but mentally no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uggest the logic-based therapy that has discussed actively in philosophical therapy as a way of healing philosophical diseases which are rampant in the post-industrial societies and to analyze the ideas of Chung Am as a provider of rules or antidotes for the philosophical diseases. I shall start from the assumption that the nature of philosophical therapy consists in the innovation of thought and examine the logic-based therapy as a very appropriate model of philosophical therapy. The paper goes as follows. In section two I shall examine the meaning of health of life briefly, suggest two types of diseases of mind and especially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philosophical diseases, and examine the identity of philosophical therapy in comparison to medical therapy and psychological therapy. In section three I shall examine the structure of practical inference shown in the logic-based therapy. Lastly, in section four, I shall discuss the idea of Chung Am at both philosophical level and ideological level and from them deduce the rules for logic-based therapy.

      • KCI등재

        샌델과 공화주의 공공철학

        맹주만(Maeng, Joo-Ma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3 철학탐구 Vol.34 No.-

        샌델은 현재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로서 자유주의의 공공철학이 근대 이래로 다양한 변형과 변신을 꾀하며 돌파구를 마련해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그러나 이 글은 이러한 샌델의 비판은 적중한 것이 아니며, 그가 자유주의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대안적 공공철학으로 내세우고 있는 공화주의는 특히 칸트적 자유주의를 대체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절차적 공화정으로 해석되는 롤스 및 칸트적 자유주의 공공철학과 샌델의 시민적 공화정의 공공철학을 대비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샌델은 오늘의 지배적인 정치철학으로서 자유주의 공공철학의 지배 아래서 당면하고 있는 시대적 과제를 공동체의 쇠퇴와 자치의 위기로 진단한다. 그리고 그 대안을 우리 시대에서는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지만 우리의 전통 속에 남아 있는 시민적 공화정의 가능성들을 되살리는 데서 찾을 수 있다고 선언한다. 시민적 공화정으로서 샌델의 공공철학은 시장과 자본의 힘을 제재하기 위해 도덕적 가치와 시대적 가치, 합리적 토론과 논의에 참여하는 민주시민의 힘, 부자와 빈자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공동선의 추구를 비롯해 사회적 연대와 시민적 덕목을 강조하는 등 공동체와 자치를 강조한다. 하지만 이런 요소들이 자유주의 공공철학에서도 결코 배제되거나 거부되는 것은 아니다.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결합 내지는 긴장관계에서 엿볼 수 있듯이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으로서 자유주의의 등장은 애초에 그 자체가 공동체가 지닌 지배적인 자의적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서 권력구조와 권리 주체의 합리적 조정을 목표로 한 것이었으며, 이와 함께 저와 같은 공화주의적 덕목들 역시 자유주의적 이념 아래서 제한적으로 수용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그러므로 샌델이 문제 삼고 있는 것처럼 단순히 자치의 위기나 공동체의 쇠퇴와 같은 표현은 상황을 일방적으로 호도하기가 쉽다. 이 글은 이런 점들을 불식시키면서 샌델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서 그가 자유주의의 한계를 비판할 목적으로 문제 삼고 있는 낙태 논쟁과 링컨-더글러스 논쟁 사례를 검토할 것이다. Sandel maintains that democracy"s discontent, as he says, is caused by the loss of self-government and the erosion of community which have suffered from the limits of the liberalistic public philosophy by which we live. The central idea of the liberal political theory here is that government should be neutral toward the moral and religious views its citizen espouse. This Kantian liberalism consist of three main thesis, the priority of individual rights, the ideal of neutrality, and the conception of persons as freely choosing, unencumbered selves. This paper aims to focus on the problems of Sandel"s republican public philosophy which criticizes the limits of Kantian liberalism, including Rawls’ political liberalism and the minimalist liberalism. Sandel"s republican political theory contrasts with the liberalism of the procedural republic in at least two respects. The first concerns the relation of the right to the good; the second, the relation of liberty to self-government. Republicanism affirms a politics of the common good, and the republican sees liberty as internally connected to self-government and the civic virtues that sustain it. Sandel deals with the abortion debate and the Lincoln-Douglas debates in order to make a diagnosis of pending political issues which expose the limits of liberalism, and show that his republican alternatives are right. In this paper I argue two things. One thing, in spite of the limits of Rawls" liberalist publc philosophy, I will argue that Sandel"s republican public philosophy cannot offer an alternative resolution because it has serious problems like leaving individual rights vulnerable to the tyranny of the majority, dominant civic virtue or the powerful person having it, etc. The other thing, in spite of its more than a few inner problems, I will argue that Kantian liberalism still holds through something like the comprehensive liberalism confronting directly about moral problems.

      • KCI등재

        한국철학사 연구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8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의 한국철학사 연구들을 성찰하면서 향후의 한국철학사 기술작업의 방향과 방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 기술작업이 한국 사회의 의사소통과 의식형성이란 관점에서 볼 때 지니는 의미와 이 의미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한국철학사 기술 작업에 요청되는 새로운 변화된 관점과 방향을 찾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한국철학사 기술이 출판을 전제로 할 때 그것은 독자들과의 의사소통의 과정에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였고, 이를 학문적 논의로 연결하기 위해서 사회체계를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다루는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의 관점을 원용하였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을 한국철학사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논의하는 주제는 네 가지이다. 첫째, 일제 식민지 사상사관은 어떻게 다루는가? 둘째, 한국철학이란 성립가능한가? 셋째, 한국철학의 실체화는 가능한가? 넷째, 한국철학의 고유성은 가능한가? 논의의 결론은 한국철학의 형이상학적 실체화로부터 벗어나서 한국에서 이루어진 의사소통의 체계를 통해서 한국 철학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주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것이 식민사관의 그늘에서 벗어나는 길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서구 철학의 문제의식과 주제를 통해서 과거의 전통사상의 철학적 커뮤니케이션을 재구성하는 작업이 한국철학사의 본령인지 그것과는 별도의 다른 방법이 가능한지는 학계의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a study result on direction and methods of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due to a reflection on many studies of Korean philosophy until now. It includes a reflection on meaning of the historiography from communication of Korean society and looks for a required new viewpoint and methods of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For these it is considered that the historiography should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with readers when the historiography is published. Thus Niklas Luhmann’s Social System theory is to provide a basis of this discussion.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four themes: How to approach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Could concept of Korean philosophy be possible? Is it available to take substance of Korean philosophy for granted? How is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possible? The conclusion is as follow. Firstly substantialization of Korean philosophy should be avoided and rather system and context of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communications in Korea should be very identity and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However, it needs more continuous discussion to choose a main method to describe the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according to the Western philosophical themes or to other themes.

      • KCI등재

        멘델스존의 유대 계몽주의 –계몽주의와 유대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홍우람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9 철학탐구 Vol.55 No.-

        18세기 독일의 대표적인 철학자였던 멘델스존은 현재 우리에게 그저 칸트에 의해 비판받은 독단주의 철학자 혹은 합리주의를 대중적으로 전파한 통속 철학자로 간과되곤 한다. 그러나 18세기 독일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멘델스존의 철학은 그 자체로 더 철저히 연구되고 평가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멘델스존 철학에 대한 연구는 이성의 권위와 관련한 이분법적 대립 구도 속에서 다소 단순하게 파악되던 18세기 독일 철학의 지도를 훨씬 더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 왜냐하면 멘델스존은 합리주의 철학자로서 이성의 권위를 옹호하는 동시에, 유대주의자로서 전통적 신념을 위해 이성의 관용을 요구하는 독특한 철학을 전개했기 때문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 우리는 먼저 계몽주의에 대한 멘델스존의 입장을 칸트의 입장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우리는 멘델스존의 대표적인 저작 중 하나인 『예루살렘』을 통해 멘델스존의 독특한 계몽주의적 입장이 통속적 목표에서 기인하지 않고 멘델스존 자신의 유대교적 입장에서 실존적으로 제기된 것임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는 멘델스존의 유대 계몽주의를 평가하고 멘델스존 철학 연구를 위한 이후 과제를 제시할 것이다. Mendelssohn, who was a representative philosopher of Germany in the 18th century, is now neglected merely as a dogmatist philosopher who was criticized by Kant or as a popular philosopher who tried to propagate rationalist philosophy.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18th-century German philosophy, Mendelssohn’s philosophy needs to be studied and evaluated more thoroughly in itself. Above all, the study of Mendelssohn’s philosophy can make the 18th-century German philosophy map much more abundant, which has been somewhat simply grasped according to the dichotomous view with regard to the authority of reason. Mendelssohn elaborated his unique philosophy according to which, on the one hand, he as a rationalistic philosopher defended the authority of reason, and on the other hand, he as a jewish philosopher demanded that reason be tolerant for the traditional belief. In order to confirm this, we will first analyze Mendelssohn's position on the Enlightenment in comparison with Kant's. Furthermore, we will examine Mendelssohn's Jerusalem and show that his unique position on the Enlightenment does not originate from a popularist view, but from an existential view based on his Jewish faith. And finally, we will evaluate Mendelssohn's Jewish Enlightenment and present a future task for the study of Mendelssohn' s philosophy.

      • KCI등재

        카르납의 두 가지 확률 개념

        이초식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5 철학탐구 Vol.17 No.-

        이 논문은 <확률론의 철학적 기초>를 큰 주제로 연구하는 프로젝트의 서두 논문에 해당하며, <확률론을 충실히 연구하려면 확률에 관해 철학을 하여야 한다>는 테제를 지원하는 논의를 핀다. 이를 위해 철학적 독단을 피하고 끊임없는 회의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실천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철학함의 디폴트(default)를 우선 제의한다. 확률론의 철학적 기초를 마련한 대표적인 사례의 하나로서 카르납의 확률사상을 선정하여 그와 대립하는 사상들(특히 포퍼와 라이헨바하의 이론)과 비교하여 검토하고 이를 철학함의 디폴트에 의거하여 풀이함으로써 의도한 테제를 지원하는 사례연구로 삼고자 한다. 끝으로 확률에 관한 철학적 탐구가 확률을 충실히 배우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철학교육이 수학교육을 비롯해 다른 교과 교육들에서도 필요 불가결의 요소임을 알리고자한다. This thesis is an introduction for the project,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Probabi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for the theme that if one wants to study probability substantially, one must apply the philosophizing activity onto the subject of probability. To enable us to show a way to the purpose, the default method of philosophy, neither dogmatism nor skepticism, is proposed in this paper. For this study, Carnap's two concepts of probability are selected to be examined, along with the opposite views of Popper's theory and Reichenbach's theory; these studies are re-interpreted to support the theme by the default method of philosophy. If the application of philosophizing devoted to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probability is accepted, it can then be extended to propose that teaching philosophy is a necessary condition, not only for the education of mathematics, but for the education of all the other sciences as well.

      • KCI등재

        푸펜도르프가 구상하는 자연 종교에서 신, 인간의 신에 대한 의무, 종교와 도덕

        조관성(Cho, KwanSu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5 No.-

        글쓴이는 아래 논문에서 푸펜도르프의 자연법 이론이 품고 있는 세 가지 갈래 곧 자연법에 기초한 윤리학과 자연법에 의존하는 사회 과학들 그리고 자연법에 따르는 종교 철학이나 도덕 철학 가운데 셋째 갈래의 영역 안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적을 추구한다. 첫째로 아래 논문은, 푸펜도르프가 자연 종교 그리고 신에 대한 인간의 의무라는 주요 주제 아래 종교 철학과 도덕 철학의 시각에서 사유하고 이해하는 내용을 충분히 해명해내고자 한다. 이 첫째 목적을 위하여 아래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하위 주제들을 다룬다: 신의 존재와 신의 본질적 특징, 이성과 신앙, 지식과 계시, 내면성의 철학 모형을 따르는 안으로부터의 신 존재증명, 이것으로부터 뚜렷이 구별되는 것으로 실재주의 철학 모형을 따르는 밖으로부터의 신 존재 증명, 종교 언어의 유비적 사용, 이신론에 정향한 유신론, 도덕적 신 존재 증명, 도덕을 위한 종교와 신. 둘째로 글쓴이는 종교 철학과 도덕 철학의 역사에 주의하여 이 철학사 안에서 푸펜도르프가 차지하는 영향사적 위치와 의미를 발굴해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글쓴이는 푸펜도르프를 집중적으로 다루면서도 푸펜도르프를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안셀무스, 아퀴나스,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칸트 등과 같은 철학자들과 비교해 봄으로써 푸펜도르프의 자연 종교 개념에 함축적으로 담겨 있는 (이 논문에서 비교 대상이 되는) 두 철학자의 시각과 견해를 동일시하거나 구별할 수 있는 영향사적 전역사와 후역사의 흔적들을 밝혀내고자 시도한다. This article purports to make an interpretative study of the first book of Pufendorfs On the Duty of Man and Citizen According to Natural Law. It has the following two purposes. On the one hand it aims to provide an elucidating full account of what Pufendorf understands under the main themes of natural religion and man`s moral duties toward God. For this purpose it deals with such sub-themes as God`s existence and essence, reason and faith, knowledge and revelation, the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God from the outside in contrast with that from the inside, the analogical use of religious language, deism-oriented theism in distinction from atheism, moral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God, religion for morality. On the other hand taking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religious philosophy and moral philosophy into consideration the author intends to make clear Pufendorfs philosophical place and significance in it. For this purpose he attempts to carry out an excavating inquiry so that he may bring out the dual histories of both reception and influence that can be said to lie implicit and hidden in Pufendorfs conception of natural religion not only by focusing on Pufendorf but also by comparing Pufendorf (even if in an oversimplified way) with such philosophers as Aristotle, Augustinus, Anselm, Aquinas, Descartes, Leibniz, and Kant with either identification or distinction in view.

      • KCI등재

        니체의 카오스 철학

        강용수(Kang Yong So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8 철학탐구 Vol.50 No.-

        니체의 카오스에 대한 비판은 그의 철학적 관심인 우주론, 존재론, 인식론, 미학, 사회철학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카오스는 그 자체로 부정성을 함축하지만, 새로운 인간을 창출하기 위한 형성력의 전제로서 요청된다. 이 글은 니체의 카오스 개념을 창조성과 관련하여 새롭게 연구하기 위해 그것의 기술적(記述的)인 측면과 규범적인 의미를 구별하면서 카오스의 극복의 가능성을 여러 가지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카오스는 니체의 우주와 인간에 대한 역동적인 세계관을 보여주는 단서로서 ‘신의 죽음’으로 야기된 존재의 탈신화화, 탈인간화를 넘어 생성의 무목적성을 미학의 차원에서 새롭게 열어 보이면서 무한한 생성을 통해 자기완성을 구현하는 철학적 긍정개념이다. 전통철학이 카오스에 대한 혐오 때문에 자신의 내면세계를 도식화, 단순화하여 그러한 혼돈에서 벗어나려고 했다면, 니체의 카오스 철학은 기존의 생성과 존재, 다수와 일자로 각인된 형이상학과 윤리학의 이분법적 틀을 넘어 철학적 사유를 영원회귀의 필연성으로 확장함으로써 타자와의 사회적 관계에서 인간의 자기완성, 자기창조의 과제를 ‘삶의 기예’(Lebenskunst)라는 미학적 의미에서 역동적으로 제시한다. Nietzsche’s criticism of chaos is a very important subject in his philosophical interests of cosmology, ontology, epistemology, aesthetics, and social philosophy. Chaos implies negativity in itself, but is required as a premise of forming power to create a new human being.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chaos from various viewpoints by distinguishing Nietzsche’s concept of chaos from its descriptive aspect and its normative meaning in order to newly study it in relation to creativity. Chaos is a clue to Nietzsche’s universe and a dynamic world view of human beings as a clue to demythization and dehumanization of existence caused by ‘Death of God’. Nietzsche’s chaos philosophy beyond the dichotomy of metaphysics and ethics, is affirmative notion to open up a new dimension of aesthetics as the purpose of creation. By expanding philosophical thought into the inevitability of the eternal return, we dynamically present the task of human perfection and self-creation in the aesthetic sense of ‘Lebenskunst’ in social philosophy.

      • KCI등재

        광장정치의 논리 -카시러(Ernst Cassirer)의 견해를 중심으로-

        신응철(Eung-Chol Shi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9 철학탐구 Vol.56 No.-

        최근 한국사회는 극단적으로 국론이 분열되어 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 나아가 국민들이 결국 두 쪽으로 분열되고 말았다. 광장정치가 대의정치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런 광장정치의 현실 앞에서 철학은, 철학자는 무엇을 할 수 있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 사태를 어떻게 진단하고 처방해야 할 것인가?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광장정치의 현상을 바라보면서 우리시대가 요청하는 철학의 실천과 철학자의 역할을 곰곰이 되새기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카시러(Ernst Cassirer 1874-1945)의 관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는 나치정권에 치열하게 항거하고 나치즘의 정치 이데올로기를 치밀하게 분석하여 들추어냈다. 따라서 지금 여기에서 벌어지고 있는 광장정치의 논리를 규명하는데도 그의 예리한 통찰은 유의미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철학의 실천과 철학자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광장정치의 현상에 대해 철학적인 규정을 하고자 한다. 그리고 광장정치의 기제방식과 작동원리를 제시하고, 이에 근거하여 궁극적으로는 광장정치의 실체를 밝혀보고자 한다. Nowadays, Korea society was divided two camps, that is,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by political circles and civil societies. And then the politics of public square substituted for the representative politics. In this situation, what can do philosophy and philosophers. How we can make a diagnosis and a prescription about this politics of public square. In this context, we have to consider a practice of philosophy and the role of philosophers. In this process, we will focus on Ernst Cassirer"s view point in terms of his political philosophy. Cassirer was strongly resisted for Nazism and sharply analyzed about ideology of Nazism. Therefore we will use Cassirer"s view point in order to examine the logic of politics of public square in our society. In this article, firstly we will deal with a practice of philosophy and philosophically define about the phenomena of politics of public square. And nextly we will reveal the mechanism and operation of politics of public square. Finally we will disclose the logic of politics of public squ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