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4 신문화 사조와 문학연구회의 ‘아동문학 운동’

        권애영 중국학연구회 2017 중국학연구 Vol.- No.79

        5‧4 신문화 운동 시기에는 ‘아동 중심’ 의 새로운 인식이 확립되면서 ‘아동문학’이 등장하였다. 5·4시기 아동문학의 선구자들은 John Dewey의 ‘아동본위론’을 본보기로 삼았다. 5‧4의 사조 속에서 아동문학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갖고 활동을 한 단체는 문학연구회였다. 문학연구회는 『新靑年』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新靑年』의 사상과 이념을 계승하였다. 문학연구회 구성원들은 『小說月報』· 『文學旬刊』· 『詩』간행물과 『兒童世界』를 통해 아동문학의 이론 건설과 연구, 외국의 아동문학 작품 번역, 동화와 시 등의 아동 문예 창작을 하였다. 이 가운데 현대 최초로 백화문으로 쓴 『兒童世界』는 문학연구회의 핵심인물인 鄭振鐸가 주도하여 창간과 주편을 맡았기에 문학연구회 성원들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운영되었다. 아동문학 이론 건립과 연구자로는 周作人· 趙景深을, 외국 아동문학 작품 번역 활동가는 茅盾·周作人· 鄭振鐸을, 동화와 시 창작 작가로는 葉紹鈞·鄭振鐸·俞平伯를 꼽을 수 있다. 아동문학 운동의 중심역할을 한 『兒童世界』는 5·4 시기의 아동 인식이 반영되어 탄생한 현대 최초 아동 전문 잡지였고, 문학연구회 성원들은 아동을 주체로 인정하고, 아동의 흥미와 특성을 반영한 작품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 KCI등재

        서양 선교사의 사서(四書) 번역사에 대한 기초적 고찰

        김혜영 중국학연구회 2021 중국학연구 Vol.- No.98

        이 논문은 동서 문화 교류의 일면을 밝히기 위한 기초연구로, 예수회 선교사부터 개신교 선교사 제임스 레게까지의 사서(四書) 번역서를 소개하고 각 번역서의 특징 및 계승, 발전 양상을 고찰하였다. 예수회 선교사는 중국 경전 번역에 가장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그들은 중국 전통의 윤리, 철학, 문화, 사상에 주목하였으며 그 기반이 경전, 즉 사서라는 점을 인식하였다. 루이지에리, 마테오리치, 인토르체타, 다 코스타, 쿠플레, 노엘 등의 여러 예수회 선교사가 사서 번역 프로젝트의 임무를 완수하였으며, 예수회 선교사의 번역서는 계승 양상을 보인다. 예수회는 적응주의 선교 노선을 택하여 그리스도교의 토착화에 힘썼고, 따라서 사서 번역서는 중국을 이해하는 창이며, 선교 방법의 일환이었다. 그들이 서양에 알린 공자 철학은 볼프, 라이프니치의 계몽주의 철학에 영향을 미친다. 한편, 개신교 선교사들의 경우 유교 사상에 근거하여 그리스도교를 전파하고자 하는 열정은 사그라들었다. 마쉬맨, 제임스 레게는 사서 원문을 온전히 번역하고 역대 주석 및 언어, 문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보충하여 독자들의 텍스트 이해를 도왔다. 콜리는 유교 비판의 입장에서 사서를 번역하였다. 개신교 선교사의 번역서는 당시 유럽에서 발아한 중국학 형성과 연관성을 보이며 선교 목적의 범위를 넘어서서 서양 중국학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This study was a preliminary study aimed to identify an aspect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East and West. This study introduced the translations of the Four Books by Jesuit missionaries and the Protestant missionary James Legg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ach translation. The Jesuit missionaries showed the greatest interest in translating the Chinese classics. They wer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Chinese ethics, philosophy, culture, and philosophical ideas and acknowledged that the classics, that is, the Four Books, were at the basis of such ideas. The Society of Jesus chose to take the adaptationist approach and made an effort to indigenize Christianity, and the translation of the Four Books was a window to understand China and a part of a missionary strategy. A number of Jesuit missionaries participated in the translation of the Four Books, and the translation by Jesuit missionaries displayed aspects of succession as they were based on group projects. The Confucian philosophy the Jesuit missionaries introduced to the Western world later influenced the philosophers of the Enlightenment, such as Wolff and Leibniz. On the other hand, the Protestant missionaries aimed to convey the meaning of the original Four Books rather than engaging in missionary work based on Confucianism. They helped readers understand the texts by providing detailed descriptions of Chinese commentaries, as well as the Chinese language and characters. The translations by the Protestant missionaries wer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Chinese studies in Europe at the time, and their translations went beyond the scope of missionary work an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hinese studies in the Western worl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高麗史⋅樂志⋅唐樂』에 수록된 宋詞와 高麗詞에 관한 考察

        류기수 중국학연구회 2019 중국학연구 Vol.- No.90

        『高麗史』卷71 『樂志⋅唐樂』(이하 「唐樂」)에는 모두 72首의 詞가 실려있다. 수록된 작품에 음악적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작가의 이름도 적혀 있지 않으며 내용상 궁중 연회에서 사용되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작품들이 혼재에 있어, 朝鮮 후기부터 시작된 「唐樂」에 대한 논란은 현재까지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 논란은 크게 전래 과정 및 시기, 수록된 작품수 및 작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高麗史』의 일부인 「唐樂」에 中國의 詞硏究者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唐樂」에 실려 있는 宋詞들이 중국 版本의 校勘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실전된 詞調나 詞體를 잘 보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唐樂」이 음악적으로나 문학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文件임에도 불구하고 『宋史』의 부실한 기록이나 史料의 誤讀으로 인해 생긴 오해들이 중국 관련 논문에 종종 보이고 있다. 물론 우리 학자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거나 발견하지 못한 자료들을 제시한 부분도 적지 않으나, 本稿는 중국학자들의 글에서 발견된 誤謬의 修正에 더 주안점을 두고 작성되었다. 高麗⋅朝鮮詞는 우리의 것인데, 우리의 것을 우리가 연구하지 않고 중국학자들에게만 맡겨 놓는다면 詞 분야에서도 第二의 東北工程이 안 생긴다는 보장이 없다. 韓中의 詞 연구자들이 서로 소통하며 자신의 연구에 他山之石의 妙를 살린다면 더욱 진일보된 연구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중국사회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고찰과 CGSS의 논의지형

        이승은 중국학연구회 2017 중국학연구 Vol.- No.80

        Since 2003, the Chinese General Social Survey (hereafter China GSS/CGSS) has served a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project for advancing an understanding of the divide between urban and rural China, and of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people, and the quality of life of China. Although the CGSS has accumulated data both at an individual-level and a household-level data from 2003 onwards, South Korean academia has yet to pay due attention to the CGSS as a source of “data” or as the basis for a “methodology.” Against this backdrop, and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paper aims to propose methodological explorations and avenues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through the CGSS from 2003 to 2013. This study argues that the CGSS can be a tool for understanding China and its population, and it can function as both an important research data source for trustworthy analyses of Chinese society and a research methodology for deepening societal knowledge. By doing so,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methodological framing of the CGSS, which opens further discussion on data and methodology in the Sociology of China and Chinese Studies, as well as presents CGSS data as a potential basis for social indicators. 2003년부터 중국에서는 전국 단위로 표본이 표집되어 ‘중국종합사회조사(中国综合社会调查, Chinese General Social Survey, 이하 CGSS)’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국내 학계에서는 다른 사회과학에 비해 사회조사를 통해 중국을 이해하고자 하는 관심이 적었고, 중국연구에 사회조사, 설문조사 등의 양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중국을 연구하고자 하는 학풍 및 방법론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표집집단 규모, 표집범위, 내용 등을 고려할 때, CGSS가 ‘표준화된’ 중국인 집단에 대해 공신력 있는 분석을 제공해줄 수 있는 ‘연구자료’이자 ‘대상’이며, 이와 동시에 ‘연구방법’의 성격을 지닌다고 분석한다. 중국 사회를 보는 시각의 제공을 목적으로, 본고는 이 CGSS의 연구가치와 파급효과에 주목하기 위한 탐색적이자 시론적인 연구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하여 현대 중국사회 및 이를 구성하는 중국인들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도이자 연구자료로 CGSS를 활용한다. 이를 위해 2003~2013년까지 실시된 CGSS 문항의 주요내용과 주제를 분석하고, 이를 지표화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본고에서 분석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중국 사회 연구, 더 나아가 중국 연구에 주는 방법론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