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만남의 방식 -연동 작용과 반영 관계에 대해

        정명교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5

        Since the diversification of the disciplin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uman studies and natural sciences has been the very important agenda of the intellectuals. But despite of vehement aspirations, the separation of two sectors has only deepened. In regard of this situation, firstly, I reviewed critically the former attempts which have intended to bridge these heterogeneous spheres. Secondly, I confirmed the necessity of the correspondence of two. And finally, I groped what is the effective form of the communication. The result of my review is as follows. On the first subject, I’ve reasoned the impossibility of using “complementarity” as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two disciplines, which had been taken for granted and therefore not questioned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I have deduced that using the form of complementarity could lead to commercializing of the human creativity and knowledge that we see prevalent in the field of Informational Technology. On the second subject, I confirmed that the truth is identical to all the disciplines and this fact affords a basis for the impossibility of the complementarity. But I also gave considerations to the autonomy of the each disciplines- the real information and tools which each discipline handles are so different that, we must say, any immediate path between disciplines doesn’t exist. Taking a reflection upon these two contradictory problems simultaneously, I concluded that the truth which every disciplines pursue equally is not transcendental, but it comes gradually into view as synthetic result of incorporating the discoveries that each discipline will make respectively. The truth changes successively as the activities of discipline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m evolve. On the final subject, first of all, I examined possible methods of cooperation and form of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iplines, specifically, between the human studies and the natural sciences except the complementarity. I concluded that the form of relationship is linkage (gearing) and the method of cooperation is mutual-reflection between the standpoints of each discipline which try to find out the truth. Lastly, I confessed that the my two concepts, linkage and reflection as the form and method of the encounter between two disciplines, are the result of the reflection on the evolution in the natural sciences, in particular, in the evolutionary theory, and its linkage to the humanities. 학문의 분화 이후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만남은 오래 전부터 중요한 학문 세계의 의제로 추구되어 왔다. 그러나 소망과는 달리,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분리는 더욱 심화되어왔다. 이 글은 첫째,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에 교량을 놓으려는 현재까지의 시도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둘째,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만남의 필연성을 확인하는 한편, 셋째, 그 둘의 만남의 바람직한 방식이 무엇인지를 모색하였다. 이 검토와 모색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제에 대해, 한편으론 오랫동안 두 학문의 만남의 자연스런 방식처럼 여겨져 질문되지 않았던 ‘상호보완’의 방식이 불가능함을 논증하고, 다른 한편으로 오늘날 세속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인문학과 응용 기술(IT) 사이의 만남의 방식이 기본적으로 상호 보완의 방식에 근거해 있으며, 그 결합의 실제적인 결과는 인문학적 지식의 상품화라는 것을 살펴 보았다. 두 번째 주제에 대해,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추구하는 진리는 하나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바로 이 사실이 상호 보완적 방식이 불가능한 근원임을 살폈다. 그리고 동시에 이 공통된 진리는 결코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각 정신영역의 활동의 합동의 결과로서 점차로 드러난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그리하여 진리는 어느 하나의 정신영역(학문)의 담론체계로 환원되지 않으며, 진리는 정신영역들의 활동과 그 관계가 진화함에 따라 ‘변화’한다는 점을 명제로서 제시하였다. 세 번째 주제에 대해,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협력의 실제적인 방식은, 반영 관계에 근거한 연동작용임을 논증하였다.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각자 자율적인 기제를 갖추고 진화하고 있어서, 그것들을 만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회전수차들을 통해 물이 전기로 바뀌듯이, 혹은 단백질의 촉매작용이 물질을 생체 에너지로 바꾸듯이, 특정한 매개 작용에 근거한 이질적 영역들의 병발적이거나 추동적이거나 종합적인 운동임을 논증하였고, 그것을 연동이라 명명하였다. 다른 한편, 이 특정한 매개작용의 불가피성을 확인하고, 이 매개작용은 상호반사관계, 즉 반영관계를 통해서 성립한다는 점을 살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지를 구성하게 된 계기가 자연과학, 특히 진화론의 거듭된 자기 갱신의 양상들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이었음을 밝히고, 지금까지의 논지 자체가 이 논지의 논리적 체계가 제시하는 바와 같은 방식의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만남의 결과이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재난인문학 정립’을 위한인문학의 함의와 역할에 대한 분석

        박승현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The term “Disaster Humanities” is still new in our academic area. It is an attempt to understand, interpret and find ways of responding to disasters that conflict with the wishes and the intentions of human beings in pursuit of happiness. In order for the concept of Disaster Humanities to have practical meaning, it is imperative to answer the question at which point the humanities could involve into the disasters which mean painful and tragic parts of our realities. Furthermore, it seems that which implications the humanities here have and what its role need to be discussed consistently. In such society, the anxiety and sense of crisis that the entire ecosystem including human beings may face destruction always suppress us. To prevent this risk from being reality and turning into disaster, we must find the ways to revise existing paradigms and perspectives of the world. If nothing has changed in the view of our world, the future of mankind would be dark. At this point where disastrous situations have potential dangers, there is possibility of involvement of ethical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In fact, there is nothing but humanity who determine the fate of mankind. In order to eliminate the current “risk society”, we cannot help but call for a shift in our established way of life and the values. Such changes of the values depend on the will of human. The manifestation of human will be for realization of human ideals, which must be based on ‘internal morality’. Standing ‘internal morality’ on the basis means a sense of coexistence in which humans not only affirm their own existences but acknowledge otherness. To overcome selfish desire to only pursue one’s own survival and then realize life together suggests that human beings achieve humanity. This is where the role of the humanities is revealed. ‘재난인문학(Disaster Humanities)’이란 용어는 우리 학계에서 아직 생소하다. 인간이 행복을 추구하는 일반적인 삶의 의도와 바람과 상치되는 재난에 대하여 인문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고, 그 대응의 방법을 찾아나가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재난인문학’이란 개념이 실질적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재난이란 고통스럽고 비극적인 현실의 문제에 대하여 ‘인문학’은 어느 지점에서 개입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답을 하는 것이 우선되어 보인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여기서 말하는 인문학이란 어떤 함의(含意)를 담고 있으며, 그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사회는 위험사회라고 정의된다. 그러한 위험사회 속에서는 인류를 포함한 전 지구의 생태계가 파멸의 위기에 직면할지 모른다는 불안감과 위기감이 늘 우리를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이 현실화하여 ‘재난’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기존의 삶의 패러다임과 세계관을 변화시킬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만약 세계관의 대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인류의 장래는 어둡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인류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인류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이러한 ‘위험’을 내재한 재난의 상황에 윤리 철학, 그리고 인문학이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 있는 것이다. 지금의 이른바 ‘위험사회’의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기존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의 전환을 요구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한 가치관의 전환은 인간의 의지에 호소할 수밖에 없다. 인간의 의지 발현은 인간의 이상 실현을 위한 것이고, 그 이상은 바로 ‘내재적 도덕성’에 기반해야만 한다. ‘내재적 도덕성’에 기반한다는 것은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긍정함과 동시에 타자성을 인정하는 공존의식을 발현하는 것이다. 인간이 인간다움을 실현한다는 것은 자신만의 생존을 추구하는 이기적 욕망을 극복하고, 타자와 더불어 삶을 실현하는 것이다. 바로 이 부분에서 인문학의 역할이 드러나는 것이다.

      • KCI등재

        ‘재난인문학’의 실천 방법론 정립을 위한 시론 - 치유론을 중심으로 -

        박승현 ( Park Seung-hyu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0 No.61

        ‘재난인문학’이란 개념은 우리 학계에서 아직 생소한 용어이지만, 재난에 대한 과학 기술적, 경제적 접근을 넘어서 인문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해하고, 그 대응의 방안을 찾아가려는 목적에서 문학, 역사, 철학 등 학제간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학술적 활동이라고 일차적인 정의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재난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이러한 재난이 한번 일어나게 되면 필연적으로 우리 삶의 일상성을 무너뜨리고, 사회와 자연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심각한 사고이고, 사건이라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인간이 삶의 터전인 이 땅 위에 존재하는 한, 새로운 하루를 맞이하지 않을 수 없듯이, 재난이란 절망적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영위해 나가기 위하여 새로운 희망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대부분 인간은 자신의 불행을 방치하지 않는다. 언제나 직면한 사태에 대한 의미 분석을 위한 새로운 물음과 관점의 전환을 통하여 삶의 방향성을 새롭게 정립하고, 현실의 고통을 극복해 가려고 한다. 재난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지만, 개인적·사회적인 극복 의지를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발휘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것이다. 보다 나은 목적의식을 가지고 세상을 바꾸는 힘은 오직 인간에게서만 나올 수 있다. 인류를 포함한 전 지구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인간밖에 없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일 것이다. 그래서 현재 전 지구적 위기를 초래하고 있는 재난극복과 미래의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인간의 손에 달려 있는 것이고, 그것은 인간의 의지에 호소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재난인문학은 실천인문학이다. 치유는 재난을 경험하고 마주한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따라서 치유를 말하는 ‘인문학’은 단지 이론을 탐구하는 학문적 영역을 넘어서, 인간이 직면하는 고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학’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대학에서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과 같은 객관적인 지식 탐구로서 분류된 학문적 영역에 머무는 인문학이 아니라, 구체적 삶의 현장에서 ‘자기완성’과 ‘공감 능력’을 발휘하는 ‘실천 인문학’은 바로 이러한 재난극복의 의지 발현을 위한 방향성 결정에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된다. 재난 극복을 위한 실천 방법의 원리로 ‘반물화反物化’의 원칙과 ‘관점의 전환’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에 대하여 인문학적 접근을 시도한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재난이란 불행을 낳은 현실의 부조리함에 대하여 비판적 사유를 진행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의 고통을 극복하고, 새로운 삶의 방향성과 이상의 제시를 통하여 인간의 존엄성을 확보하려는 작업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cept of 'disaster humanities' is unfamiliar to our academic community, but it can be defined as an academic activity that attempts to interpret, understand and respond to disasters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beyond scientific, technological and economic approaches. There are various kinds of disasters,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nce such a disaster occurs, it is a serious event that inevitably breaks down the daily life of our lives and drastically changes societ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s long as humans exist on this land, where we live, we cannot help but face a new day, so even in the desperate situation of disaster, we cannot but say new hope to lead their lives. Most humans do not neglect their misfortunes. People always try to redefine the direction of life and overcome the pain of reality by changing their perspectives and question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situation they face. There are various ways to overcome disasters, but the results will vary depending on in what direction and how we exercise our personal and social will to overcome them. The power to change the world with a better sense of purpose can only come from humans. It would be a fact that only humans can determine the fate of the entire planet, including humanity. So it is in human hands to overcome the disasters that are causing the current global crisis and to determine the future direction of life, and it is bound to appeal to human will. Disaster humanities are practical humanities. Healing is what happens at the scene of a specific life experienced by a disaster. Therefore, "humanities," which refers to healing, play a role as "practical learning" to solve the pain faced by humans, beyond just the academic realm of exploring theories. Rather than humanities that remain in academic areas classified as objective knowledge exploration such as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in universities, "practical humanities" that display "self-completion" and "sympathy" in the field of concrete life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direction. As the principles of practical methods for overcoming disasters, the "principle of anti-materialization" and "transition of perspective" may be presented. Therefore, attempting a humanistic approach to disaster is to proceed with critical thinking about the absurdity of the reality that caused the unhappiness of disaster, on the other hand, to overcome the pain of reality, and to present a new direction and ideal of human life. It can be understood as a work to secure dignity.

      • KCI등재

        동아시아 재난에 대한 인문학적 담론의 모색

        강희숙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The history of mankind is a history of disaster. Thus, human beings have documented various types of disasters that have led to tremendous changes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meanwhile, they have continued their efforts to overcome and heal the traces and wounds left by disasters, as well as to constantly repeat or reconstruct stories based on memories and perceptions of them. This study from this point of view focused on two of the most basic and fundamental issues among the discourses that should be assumed regarding the performance of the research agenda, <memory, narration and healing of East Asian disaster, and establishment of disaster humanities>: What is disaster humanities and Why East Asia?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on “What is Disaster Humanities?”, it was also regarded as the study that places ‘human’ at the center of access to or research into disasters, on the premise of the problem that disaster, above all else, is focused on the question of ‘human life’, and humanistic approach to find the meaning of values and there human decency is requested. The areas of interest in disaster humanities were presented as the history of disasters based on human memory and records of them,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m, response to them and patterns of narration, changes in shock and psychology induced by disasters, and the resulting trauma and healing, etc. On why East Asia, it seems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thinking of setting East Asia as a unit for one reason is essential, especially when it comes to disaster research or social or national level responses to disasters, on the premise that Korea, China, and Japan are one community where none of them can be excepted when it comes to disasters. This is because the time and space axis of East Asia can be expected to prepare a common ground for the memory and healing of disasters and to provide a clue to share their solidarity against transnational disasters. 인류의 역사는 곧 재난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류는 개인과 공동체의 삶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을 문헌 자료에 기록하는 한편, 그에 대한 기억과 인식을 토대로 한 이야기들을 끊임없이 반복하거나 재구성해 내는 작업과 함께 재난이 남긴 흔적과 상처를 극복하고 치유해 내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동아시아 재난의 기억, 서사, 치유-재난인문학의 정립>이라는 연구 아젠다의 수행과 관련하여 전제하지 않으면 안 되는 담론들 가운데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근본적인 문제 두 가지, 곧 ‘재난인문학이란 무엇인가’와 ‘왜 동아시아인가’에 초점을 맞춰 논의가 이루어졌다. 논의의 결과 ‘재난인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재난은 다른 무엇보다도 ‘인간의 삶’의 문제에 관심을 두고, 거기에서 가치와 인간다움의 의미를 찾으려는 인문학적 접근이 요청되는 문제라는 전제하에 재난인문학 역시 ‘인간’을 재난에 대한 접근 또는 연구의 중심에 두는 학문이라고 보았다. 재난인문학의 관심 영역으로는 재난에 대한 인간의 기억과 기록에 바탕을 둔 재난의 역사, 재난에 대한 인식의 변화, 재난에 대한 대응 및 서사화 양상, 재난에 의한 충격과 심성의 변화, 이로 인한 트라우마와 치유 등을 제시하였다. 그다음 ‘왜 동아시인가’에 대해서는 ‘동아시아’에 속하는 국가들 가운데서도 특히 한, 중, 일 세 나라는 재난에 관한 한 어느 한 나라도 예외일 수가 없는 하나의 공동체라는 전제하에 재난 연구 또는 재난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대응에 관한 한 우리에게는 ‘동아시아’를 하나의 사유 단위로 설정하는 사고의 변혁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동아시아라는 시공간적 축은 재난의 기억과 치유의 공동성을 마련해 초국경적인 재난에 맞서는 연대를 함께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죽음 조희일(竹陰 趙希逸) 시세계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김기림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4

        Jo Hee-il was a writer who worked as a bureaucrat in the middle of the Choseon Dynasty. His father is Jo-Won (趙瑗) and his mother is the daughter of Lee Jun-min. He was recognized for his literary competence from an early age, and was active as an employee officer of Yugeun who was a guest hospitality bureaucrat. He had a close relationships with Lee Jeong-gu, Cha Cheon-ro, Heo Gyun, and Kim Sang-heon, who were famous at the time. In 1678 (the 4th year of King Sukjong), Son Chi-mi (孫致彌) came as an envoy and collected Joseon poetry and compiled 'Choseon Chaepungnok (朝鮮採錄)', at that time, he adopted two poems by Cho Hee-il His literary works is Juguemjip (竹陰集), which was published in woodblock print by his son Jo Gyeong-man in 1681 in Taein, and in 1704, his great-grandson Jo Jeong-man supplemented it and published an intermediate version. As he was recognized for his literary competence early, he strongly expressed his will to brighten the country through literature, and through this, he also expressed his pride as a bureaucrat. On the other hand, he laments in the face of a situation where his aspirations and the phenomena of the world are at odds, but he does not get caught up in it and is aiming for a state of “Zwamang” to overcome it. This allows him to continue to be interested in the reality as his bureaucrat and to look at it with a critical point of view, thereby showing his critique of his absurd state. 조희일은 조선 중기 관료로 활동했던 문인이다. 아버지는 조원(趙瑗), 어머니는 이준민 딸이다. 일찍부터 문학적 역량을 공인받았고 원접사 유근의 종사관이 되어 활약했다. 그는 당시 명성이 높았던 이정구, 차천로, 허균, 김상헌 등과 교유했다. 1678년(숙종 4)년에 손치미(孫致彌)가 사신으로 와서 조선의 시를 채집하여 조선채풍록(朝鮮採風錄) 을 엮었는데 조희일 시 2편을 넣음으로써 그의 문학적 명성도 높았다. 그의 문집은 죽음집 인데 아들 조경망이 1681년 태인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했고, 1704년 증손인 조정만이 증보하여 중간본을 간행했다. 그는 문학적 역량을 일찌감치 인정받은 만큼 문학을 통해 나라를 빛내고자 하는 의지를 시에서 강하게 표출했고 이를 통해 관료로서의 자부심도 담아내고 있다. 한편으로 자신의 포부와 세상의 현상들이 어긋나는 상황 앞에서 탄식하지만 그것에 매몰되지 않고 극복하고자 ‘좌망(坐忘)’적 태도를 지향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이는 그가 관료로서 현실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데 그럼으로써 부조리한 세태를 비판하는 내용도 보여준다. 한편으로 유배 기간 동안에는 유배 생활의 고난을 한탄하면서도 목숨을 살려주는 은혜를 베푼 임금에게 감사하는 감군은(感君恩) 마음을 드러냈다.

      • KCI등재

        일제의 혼합민족설과 관폐대사 제신에 관한 연구 - 부여신궁(扶餘神宮)을 중심으로 -

        문혜진 ( Mun Hea-ji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1925년 관폐대사 조선신궁에는 일본의 ‘혼합민족설’에 근거한 천황 중심의 일대 가족국가의 구현으로 황조신 아마테라스가 봉제되었다. 식민지 조선의 두 번째 관폐대사인 부여신궁은 1939년 기원(紀元) 2600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충청남도 부여에 진구황후(神功皇后)·오진(應神)·사이메이(齊明)·덴치(天智) 천황 4주(柱)를 봉제하여 창건 계획을 공표하였다. 이는 일제가 동아시아에 창건한 관폐대사에 있어 개척삼신 혹은 아마테라스가 아닌 제신을 봉제한 유일한 사례이다. 메이지 유신 이래 일본에서는 천황을 조상으로 하는 단일하고 순수한 기원(혈통)을 가진 일대가족국가라는 국체론이 지배이데올로기였다. 한일병합 이후로는 식민지의 이민족의 포섭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며, 일본 민족이 복합 민족으로 구성되었다는 혼합민족설이 힘을 얻게 되었다. 이에 국체론자의 단일민족설에서 혼합민족설로의 전향이 이어졌고, 국체론자의 도쿄제국대학 신도강좌에서 국가신도를 잘 봉행하는 이민족[피식민지인]은 일본 국민이 될 수 있다는 논리는 식민지 관폐대사에 황조신 아마테라스의 봉제를 통해 동아시아 피식민지인들을 천황의 일대가족국가 안으로 포섭하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일제의 관폐대사 중 가장 마지막에 창건된 부여신궁에는 식민지 조선과 일제 간의 ‘피의 친연성’을 역사화하는 천황가의 신들이 일제의 관폐대사 중 유일하게 봉제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제의 식민지 동화이데올로기로서 혼합민족설이 식민지 관폐대사의 제신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또한 혼합민족설의 한 지류인 일선동조론이 조선의 특수한 맥락에서 부여신궁의 제신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또한 이들 제신을 통해 내선일체의 역사를 어떻게 재구성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Joseon shinto shrine enshrined Amateras in 1925 to realize Japanese emperor’s one big family state based on theory of mixing races. Buyeo shinto shrine, the second highest shinto shrine in Joseon, was decided to construct in 1939 and to enshrine Jingu empress, Ojin emperor, Saimei emperor and Denchi emperor, as a part of the project commemorating the 2600th anniversary of Imperial House of Japan. It was the only case that enshrined ancestors of Japanese emperor in Japanese colonies. In Japan, national body theory(國體論), which Japan had a single and pure origin (blood) with the emperor as its ancestor, had been a dominant ideology since the Meiji Restoration. After colonization of Joseon, the problem of assimilation of the colonized people was highlighted, and theory of mixing races, which Japanese was made up of a complex ethnic group, gained strength; this led to the shift of national body theorists from theory of single race to theory of mixing races. Therefore, in the Shinto lecture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national body theorists argued that colonized people who believed and followed State Shinto could be Japanese, it made Amateras be enshrined in the highest shinto shrines of East Asia to realize Japanese emperor’s one big family state. Then, why the last highest shinto shrine in Japanese colonies, Buyeo shinto shrine only enshrined ancestors of Japanese emperor as a symbol of Korean and Japanese’s homogeneous theory? In this paper, how gods of the highest shinto shrines in Japanese colonies were related to theory of mixing races as the ideology of assimilation will be examined. In addition, this paper will identify how one of theories of mixing races, Korean and Japanese’s homogeneous theory, might be related to gods of Buyeo shinto shrine in special historical context of both Korea and Japan, and how such gods’s history would be made in Buyeo province.

      • KCI등재

        “명확성의 원리”로서의 문학어 - 문학의 언어를 둘러싼 임화의 비평적 사유 -

        강계숙 ( Kang Gye-soo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본고는 임화의 언어론 중 문학어와 관련된 내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그의 언어론은 복합적인 형성 배경을 바탕에 두고 있다. 첫째 마르크스주의 언어학인 마르주의의 수용, 둘째 형상 개념의 이론적 정립 및 비평적 전유, 셋째 복고주의와 기교주의 문학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 넷째 ‘문학어로서의 조선어의 완미한 개화’에의 요구, 다섯째 기교주의 논쟁의 영향 및 카프시에 대한 자기반성이 그것이다. 임화는 ‘형상의 구체성’을 문학의 예술적 특수성으로 인식하였는바 ‘문학어=형상적 언어’로 정의한다. ‘형상적 언어’는 구체적인 의미전달에 충실한 언어로서 일상생활에서의 인간적인 느낌, 감정, 의식 등을 직접 이야기하는 형식의 언어를 가리킨다. 그는 이러한 언어는 ‘생생한 생활의 말’을 통해 구현된다고 보았다. 그가 일상어를 문학어의 좋은 소재(素材/所在)로 지목한 까닭은 복고주의 문학의 언어적 퇴행 현상을 조선어의 발전에 큰 장애요인으로 보고 이를 ‘조선어의 완미한 문학적 개화’를 통해 극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기교주의 논쟁을 거치며 임화는 문학어를 대상의 형상화에 정합적으로 일치하는 언어로 재정리하고 이를 ‘명확한 언어’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학어는 ‘언어의 명확성의 원리’에 따라 실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주목할 것은 이러한 원리가 일상어를 통해서만 실현 된다고 전제하였다는 점이다. 그는 일상어의 합리적 기능과 실행을 가리켜 ‘완전한 현실성의 표상’이라 표현하며, 이를 언어의 기본성질이자 언어의 소박한 상태로 꼽고, 이러한 언어가 바로 예술의 소재가 되는 언어라고 부연한다. 중요한 것은 그가 일상어의 문학적 가치를 중시한 것과는 별개로 문학어와 일상어를 엄밀히 구별하였다는 점이다. 그는 문학어란 일상어가 예술적 구축에 요구되는 ‘선택과 정련의 과정’을 거쳐 미적으로 재탄생한 언어이며, 이는 장르를 불문하고 모든 문학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문학어는 그 외형에서만 일상어와 유사할 뿐 실은 별개의 언어임을 분명히 한다. 요컨대 문학어는 예술적 선택과 정련의 과정을 통과한 ‘일상어의 현실성의 에센스’인 것이다. 임화는 이러한 문학어의 특징이 가장 현저하게 구현되는 영역으로 시를 꼽았고, 훌륭한 시적 언어는 시의 고유한 창조 가운데 일상어를 내용상 형태상 재구성하여 전혀 다른 언어로 만들고, 그 과정에서 언어적 미감과 사실적 내용은 잊히지 않는 아름다움이 되어 강한 정신적 충동을 남긴다고 설명한다. This study intensively analyzes the content of a literary language among lm-Hwa's linguistic theories. His linguistic theory was shaped by complex backgrounds. His linguistic theory was influenced by the linguistics of Marxism, closely related to the theory of shape, contained criticism of retroism and mannerism, and called for the completion of the Korean language as a literary language. lm-Hwa defines literary language as 'the shaping language' because he recognizes 'concrete shape' as a speciality of literature. 'The shaping language' is a language that conveys meaning specifically and expresses human feelings, emotions and consciousness directly. He thinks that everyday language performs these verbal functions. The reason why he thinks everyday language is a good source of literature comes from his negative assessment of the literary language of retroism. Meanwhile, lm-Hwa's perception of the language of literature gradually deepens as he goes through mannerism argument. He redefines literary language as 'clear language' and explains that everyday language becomes literary language by 'principle of clarity', which means that language is written entirely to suit the literary expression of the subject. He refers to this basic quality of everyday language as an "expression of complete realism." He regards this as the basic nature of language and explains that a language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become a language of literature. What should be noted is that despite his emphasis on the literary value of everyday language, lm-Hwa has made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literary language and everyday language. The language of literature is a language in which everyday language has been reborn through a special artistic process, namely 'a process of choice and chastity'.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with only the appearance being similar. In short, literary language is the essence of everyday language that has been honed artistically. He says poetry is the most pronounced area of literary language. A good poetic language reconstructs the everyday language in the unique creative process of poetry and makes it a completely different language. Through the amazing changes of language, the beauty of the literary language and its realistic contents become leaving a strong mental impression.

      • KCI등재

        조선시대 전쟁소설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기억과 침묵

        김영미 ( Kim Young-mi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0 No.61

        재난 서사를 대표하는 조선시대 전쟁소설 「강도몽유록」, 「최척전」, 「김영철전」, 「박씨전」을 ‘여성’과 ‘기억’의 관점에서 읽어보았다. 전쟁은 남녀 모두에게 참혹한 상처를 남기는 사회재난이지만 그 영향력은 여성에게 더 폭력적으로 다가온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조선시대 전쟁소설 속에 형상화된 여성의 목소리를 탐색해 보았다. 공식기억에서 배제된 여성들이 17세기 전쟁소설 속에서는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 어떤 여성을 기억하고 있는지, 그 기억의 작동 원리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17세기 조선시대 전쟁소설 속에서 여성들의 고통은 전장(戰場)의 주체가 아니라는 이유로 주변적인 것으로 처리되든지 아니면 ‘열(烈)’이라는 프리즘을 투과시켜 논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꿈이라는 틀을 통해 죽어서야 말할 수 있었던, 그것도 자살로 정절을 지킨 여성들만이 말할 수 있었던 「강도몽유록」의 귀녀(鬼女)들이나 살아서 정절을 잘 지켜내고 말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한 「최척전」의 옥영 같은 여성이 있었다. 이 여성들은 살아서나 죽어서나 자신의 정절을 증명해야 했다. 정절이 증명된 여성들만 기억하고 기려서 15명의 귀녀들처럼 본인들의 슬픔을 맘껏 통곡할 수 있었고, 옥영처럼 온 가족이 행복해질 수 있는 자격을 가지게 된다. 또한 남성 중심의 서사 이면에서 전쟁의 폭력성을 소리죽인 울음으로 견뎌야 했던 「김영철전」의 아내들이 있었다. 이들의 고통은 문면(文面)에 드러나지 않고 김영철 뒤에서 침묵해야 했다. 후대 「김영철전」 한글 이본들에서 ‘여성 인물에 대한 서술 확장’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숨어서 고통당하는 아내들의 존재를 찾아내고 그녀들의 아픔에 공감하면서 새롭게 그녀들을 기억하고자 한 결과이다. 한편 「박씨전」은 실제적인 여성의 목소리를 대변한다기보다 ‘피화당(避禍堂)’이라는 환상적 공간을 통해 전쟁으로 인한 여성들의 통곡과 울음을 우회적으로 위무하고 있다. 이는 역설적으로 병자호란 당시 여성을 보호할 ‘피화당’ 같은 유토피아적 공간은 절대 존재하지 않았으며 포로로 잡혀간 수많은 부인네들의 통곡을 상기시킨다. 울음과 통곡만으로 전란의 참혹함 속에서 죽어간 원한은 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런 원한을 조금이나마 삭일 수 있는 것이 자유로운 감정 표출이다. 이런 측면에서 전쟁소설 속에 나타난 여성들의 숨죽인 울음과 대성통곡은 기억해야 할 중요한 한 부분이다. I’ve read Gangdomongyurok, Choicheokjeon, Kimyoungcheuljeon, Parkssijeon, the war novels of the Joseon period, which are representing disaster narrative,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and memories. War is a social disaster leaving horrible scar on both men and women, but its influence is much more violent toward women. Having a critical mind on this, it searched the women's voice embodied in the war nove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It examined how women excluded from official memory are embodied in 17th-century war novels, what kind of women they remember, and how the memories work.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the women's pain in the war novels in the 17th century Joseon was treated as peripheral because it was not the subject of the battlefield, or it was discussed by passing through a prism called ‘virtue(烈)’. There were women who could say only after death through the framework of dreams, at that, the women who kept their chastity by suicide could say, like the ghosts in Gangdomongyurok or Ok-young in Choicheokjeon, who obtained the right to speak as she kept her chastity during her life. These women had to prove their chastity on whether alive or dead. Since only women with proven chastity can be remembered and cherished, they could wail their sorrows as much as they could like the 15 ghosts, and they could be qualified to be happy for the whole family like Ok-young. Also, there were wives in Kimyoungcheuljeon, who had to endure the violence of war with muted tears behind the male-dominated narrative. Their pain shouldn't be revealed and be kept silent behind Kim Young-chul. It made the 'extension of narrative on woman character' in the later different editions of Kimyoungcheuljeon, and it is the result of finding the existence of wives who are suffering behind, and trying to remember them newly by sympathizing with their pain. Meanwhile, in Parkssijeon, it indirectly pacifies the wailing and crying of women caused by war through a fantastic space called ‘Pihwadang(避禍堂)’, rather than representing the actual voice of women. This, paradoxically, reminds that there was never a utopian space such as the "Pihwadang" where women could be protected during the Second Manchu Invasion but the wailing of many wives who were taken a prisoner. Only with crying and wailing, it can't erase the resentment that died in the horrors of war. However, the free emotion expression could repress the resentment even a little bit. In this respect, the women's soundless cries and loud wailing in the war novels are the significant part to remember.

      • KCI등재

        『소학』을 통해 본 조선시대 여성상

        이영란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1

        Women in the Joseon Period were considered to live controlled lives. People have a purpose of living anytime and anywhere. That purpose is usually defined by social nature rather than the purpose people have. In particular, women in the Joseon period were defined as beings who had to live life based on Confucian virtue under a patriarchal system. However, all people live for their own purposes and so do women. Women in the Joseon period did not receive formal education. However, women who were informally educated at home expressed themselves with self-awareness. Finally, it is hard to assert that women who receive institutional education are awakened and have established thought. To see the few literary persons who appear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it is confirmed that women had their own world developed. Home education for women was made with the use of education textbooks for women. The education textbooks for women were based on『Sohak』. It was recorded in the reading list for women that women basically read 『Sohak』. 『Sohak』 was designed for children from the age of 7 to 8 to understand basic manners as females as well as males. The important goal of reading 『Sohak』 was to teach basic virtues to women in the Joseon period, but as it was designed to teach women how to read and write, it was good for self-awakening. Therefore, 『Sohak』 is an important writing for girls to find their own identity. Authority at home was given to girls and women to establish household regulations. Women in the Joseon period tried to have virtuous nature and manners in the patriarchal system of a Confucian society, were engaged i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were faithful to their husbands, diligent and thrifty, and took care of their families. Furthermore, they accomplished what they imagined and intended through political participation. If women in the Joseon period were given any chance, they were well prepared to catch it while meeting the needs of society. 조선시대 여성은 우리에게 예속적인 삶을 살았던 여인으로 회자된다. 인간은 누구나 어디 시대에서나 살아가는 목적을 갖는다. 인간이 가지는 목적 자체보다는 사회적 성격에 의해 규정되어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특히 조선시대의 여성은 가부장제적 사회 속에서 유교적 덕목에 기준하여 살아가야하는 삶으로 정의해 버린다.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의 목적을 위해 인간은 살고 조선시대 여성도 그러했을 것이다. 조선시대 여성은 제도적 교육을 받지는 못했다. 하지만 비형식적으로 가정에서 교육을 받은 여성은 스스로 자각 의식을 가지며 자신을 표출하였다. 결국 여자가 제도적 교육을 받는 것만이 여성이 의식화되고 사상을 갖는다고 단정하기는 힘들다. 조선 초에 등장하는 여러 문학가를 보더라도 여성 자신들의 세계가 분명히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의 여성교육은 주로 여성교훈서를 교육되었다. 여성 교훈서의 기본 바탕은 그 근본을 『소학』에 두었다. 여성이 『소학』을 어느 정도 읽었는가에 대한 기록은 당시 문집을 통해 여성 독서목록의 예만 보아도 『소학』을 기본적으로 읽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소학』은 7~8세 아이들이 읽었던 책이다.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도 즉 인간으로서의 기본 도리를 알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책이다. 『소학』을 읽는다는 것은 조선시대 여성들이 갖추어야 할 덕망을 교육하는 것이 주목적이기는 하지만, 이는 여성에게 글을 깨우치는 시작이기도하기 때문에 여성이 자각적 의식을 갖게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소학』은 어려서 여성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하는 중요한 서적이라 할 수 있다. 집안에서의 권한을 여성에게 주어 집안의 규율을 정립하여 수신제가치국이라는 유학적 기본 원리를 여성에게 어려서부터 교육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의 여성들은 유교적 가부장제적 사회 안에서 정숙한 성품과 몸가짐을 닦으려고 하였고 또한 어머니로서 아내로서 자녀교육 그리고 남편과 신의를 갖고 지내며 근검절약하여 집안을 돌보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나아가 정치적 참여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관철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의 여성은 자신이 처한 사회적 환경에 맞추어 가면서도 자신에게 기회가 주어진다면 놓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준비된 여성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일본 강점기 일본인 교사 야스다 야스노리(安田保則)의 교육저술과 교육활동

        한예원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58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writings and activity of Yasda Yasnori a Japanese teacher in Gwag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安田保則, 1885〜?). He was born in Nomi-gun, Isikawa, Japan and was graduated from a teacher school in Isikawa. He came to Korea and worked as a teacher of a public school in 1915 and from 1918, he was engaged in diverse educational activities in Jeonnam and Gwangju for about 30 years. He published 『Working for Education in Korea(朝鮮敎育に安住して)』(1927) which recorded the status of education in Korea at that time while working as a teacher of an elementary school and a middle school. Then he published 『Construction of Factitive Education and Consequence(作爲敎育の建設と歸趨)』(1931) about trend of all-round education for ‘Gwangju-style Factitive Education.’ He compiled 『(Gwangju)Hyangtodokbon(鄕土讀本)』(1937) which explain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conditions of Korea at that time while teaching Japanese people at Gwangju Simsang Public School. This study examined two writings mentioned above and his educational activities and perspectives. ‘Factitive Education’ accepted work, labor and feasance of children as educational methods to remove disadvantages of nobility education for intellectualist and realize harmony between body and mind, which was influenced by Arbeitsschule of Germany. He wrote about educational theories including specific educational methods and activities while working as a teacher in Gwangju. It was hard to understand Gwagnju- style factitive education as there were only a few studies on it, but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presented an outline of it. 이 글은 일본 강점기 광주(光州)지역의 일본인 교육자 야스다 야스노리(安田保則, 1885〜?)의 교육저술과 교육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야스다는 일본의 이시카와현(石川縣)의 노미군(能美郡)에서 출생하였고, 이시카와현 사범(師範)학교를 졸업한 뒤, 1915년 조선총독부의 공립학교 훈도(訓導)가 되어서 조선으로 건너와 경성에서 활동하다가, 1918년부터 30여년간 전남과 광주의 교육기관에 근무하였다. 주로 현재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보통학교’, ‘심상초등학교’와 중학교에 해당하는 ‘실업학교’ 등에서 근무하면서 조선교육의 현황을 『조선교육에 안주하여(朝鮮敎育に安住して)』(1927년)로 출간하였고, 이어서 당시에 주목받던 심신(心身)의 전인교육을 수용하여 ‘광주식 작위교육’이라고 이름 붙이고, 『작위교육의 건설과 귀추(作爲敎育の建設と歸趨)』(1931년)로 출간하였다. 뿐 만 아니라 조선의 현지 사정을 교과내용으로 삼은 『(광주)향토독본(鄕土讀本)』(1937년)이라는 교재를 편집하였고, 또한 자신이 교장으로 있던 광주중앙심상고등소학교에서 실제로 시행하였던 교육과정을 『우리 학교 체육에 관한 종합연구(我が校体育の総合研究)』(1938년)라는 서명으로 발간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4권의 저술 중, 앞의 두 권을 발굴하고 그 내용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특히 야스다가 ‘광주식 작위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정리한 교육내용을 개략적이나마 소개하여, 차후 일본 강점기 재조 일본인 교육자들의 교육활동이 본격적으로 조명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일본인 교육자들의 조선에서의 교육활동을 고찰함은, 우리 근대교육 시발점의 교육 활동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또한 국권 회복 이후의 초기 한국교육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없어서는 안 될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나아가 일제 강점기의 교육관련 저술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한반도 미래교육의 방향잡기에 좋은 가이드라인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