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적정기술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승호(Seungho Han),김남수(Namsoo Kim),문지현(Jihyun Moon) 적정기술학회 2015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1 No.1

        본 글은 소규모이고 비용이 저렴하며 친환경적이고 인간의 얼굴을 하고 있는 적정기술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정기술 체험 및평가활동을 개발하여 기술평가카드를 가지고 각각의 선정된 적정기술의 특성을 이해하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참가한 학생들이 적정기술의 과학적 이론, 공학적 지식, 사용방법 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또한 적정기술평가카드를 활용한 적정기술 제품들을 평가한 결과 전반적으로 필요성, 편리성, 그리고 친환경성 측면이 우수한 반면 수리용이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본 활동이 적정기술에 대한 이해와 평가에도 유용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금번 적정기술 체험 및 평가활동은 향후 더욱 다양한 적정기술 제품을 소개하고 교육효과와 관련하여 활동 후 심층 설문을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금번 적정기술 교육프로그램은 적정기술의 이론적 측면과 해외사례에 편중된 측면이 있으므로 향후에는 적정기술에 대한 개념적 지식과 실제 응용 및 실습을 균형 있게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me for appropriate technology which is a small scale, affordabl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uman-faced one. To this end, an activity for experience and evalu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gether with a technology evaluation card and then applied in an education programme for appropriate technology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activity can sufficiently help them understand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ppropriate technology. Consequently, it has been noted that participating students have strong interest in scientific theory, engineering knowledge, and usage of appropriate technologies. In addition, it was further notable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evaluation card concluded that the selected appropriate technologies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necessity, convenience,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but needed to be improved in terms of local repair such that the activity would be useful in assisting students to understand and evaluate appropriate technologies. The activity, however, needs to be further improved by including more various appropriate technologies and implementing follow-up in-depth surveys on its effects. Finally, it has been noted that existing education programmes on appropriate technology is likely to be biased towards theoretical aspects and overseas examples of appropriate technologies. It has been thus recommended based on the case study that a future education programme on appropriate technology should keep in balance between delivery of conceptual knowledge on appropriate technologies, and their actual application and practices.

      • KCI등재후보

        대학생 참여 중심의 적정기술 활동 활성화를 위한 산학단 협력모델 연구:

        박찬준(Chanjun Park),김도연(Doyeon Kim),윤준석(Junseok Yoon),김경외(Keungoui Kim),이준민(Junmin Lee),황준석(Junseok Hwang) 적정기술학회 2018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4 No.1

        적정기술활동이 참여 학생에게 주는 교육적 효과가 크다는 논의가 지속되는 가운데, 적정기술을 활용한 학생 참여 중심의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대학이 늘고 있다. 그러나 적정기술과 관련된 여러 특성들을 고려하였을 때, 기존의 적정기술을 활용한 봉사활동의 접근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먼저, 학생 중심으로 적정기술 활동을 실시할 경우, 개별 적정기술 프로젝트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대학생들은 보통 방학을 활용해서 봉사활동을 참여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회성 사회봉사 활동은 적정기술이 추구하는 지속가능성 측면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전문지식의 부족과 실무 경험의 결여는 적정기술활동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적정기술은 현지인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기술의 완성도나 단일 제품으로서의 품질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2017 하계 SNU 공헌유랑단 서울대-한수원 베트남 빈딘 봉사단” 활동은 기존의 문제점들을 산학연 협력이라는 형태로 극복했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본 사례의 경우, 서울대학교, 한국수력원자력, 서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단이 협동하여 활동지역에 적합한 적정기술을 공급하기 위해 각자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 결과 대학생 참여 중심적 봉사활동이 가진 한계점을 보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 사례를 분석하여 적정기술 기반의 산학단 협력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대학은 기술의 연구개발과 문제해결형 인재 육성을, 기업은 자금지원 및 기술지원을, 사회공헌단은 현지와 기술 연구 집단, 기업, 학생을 연결하는네트워크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을 때 대학생 참여 중심 적정기술 활동의 교육적, 기술보급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많은 연구집단, 기업, 사회공헌단이 대학생 참여 중심의 적정기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ue to its educational effect on students who participate in appropriate technology (AT) activities, more number of universities started to promote voluntary service programs using AT. However, there are two limitations on existing voluntary service programs using AT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eatures of AT. Firstly, the consistency can be hardly maintained as most students participate as a one-time event. Secondly,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may cause a serious credibility problem. Since A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local people, inconsistency and imperfect quality of AT can cause a negative effect. In this context, we studied the case of “2017 Summer SNU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SNU-KHNP Corps in Binh Dinh Vietnam” as it is shown to be a good sample that overcame the existing problems through “Corporate-University-Institute” collaboration. For this cas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Hydro Nuclear Power, and Institute for Global Social Responsibility collaborated for the installment of AT.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goal of AT activities could be achieved when the role of each agent was clarified: Company for financial and technological support, university for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nstitute for connecting all agents and local sites.

      • KCI등재후보

        네트워크 분석 기반 적정기술국제학회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곽지윤(Jeeyoon Kwak),정성필(Seongpil Jeong) 적정기술학회 2021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7 No.1

        적정기술연구 분야는 환경, 의료, 교육 및 에너지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한 분야의 연구자가 적정기술 전체 분야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 즉, 사회 연결망 분석은 네트워크에 어떤 전체적인 연결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특정 관계망을 보기 쉽게 시각화 하거나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적정기술학회에서 개최한 2017-2019년까지의 적정기술 국제학회 초록집 자료를 이용하여 적정기술 분야의 학술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적정기술학회에서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거쳐 공저자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그와 관련된 통계적 지표를 해석하였다. 또한, 적정기술학회의 일반 현황 자료를 기반으로 연차별 발표자 및 연구 내용 변화를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research topics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include environment, medical, education, and energy etc. Therefore, having a review on appropriate technology requires huge efforts of specialists from many difference research areas. Social network analysis has been appl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mponents in the network and to provide insights by visualizing the huge network having many components. In this study, the co-authors and their research topics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ropriate technology (ICAT) held by Academic Society for Appropriate Technology (ASAT) from 2017 to 2019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and visualization tools. The networks between co-authors were analyzed using the pretreated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ASAT. The annual trend or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information on ICAT were also analyzed.

      • KCI등재후보

        일본 팹랩 사례와 한국의 적정기술 진흥정책에 관한 제언

        이건창(Kun Chang Lee),이명무(Myung Moo Lee),김윤호(Yun Ho Kim) 적정기술학회 2016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2 No.1

        해외 선진국의 적정기술 활동은 대안기술 활동과 개발 원조로 나누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적정기술 활동은 대안기술 활동 보다는 개발도상국을 위한 개발원조 형식의 활동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과학기술 전문 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 및 연구개발’의 원조에 치중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선진국 등의 개발도상국 적정기술 지원활동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생산력으로서의 적정기술’에 대한 새로운 탐색에 대한 방향의 전환이 필요해 보인 다. 본 연구에서는 ODA 선진국인 일본의 개발원조 현황과 새로운 적정기술 관련 정책을 소개한다. 특히 개발도상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면서, 적정기술의 외연을 확장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팹랩(FanLab, 제조 공방)의 현황과 사례(필리핀 보홀, 팹랩 가마쿠라)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향후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의 적정기술 성공 사례가 우리나라 정부 및 기업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 하고, 우리나라의 향후 적정기술의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appropriate technology driven by advanced countries usually include both substitute technology and development assistance. In contrast, those activities concerned with the appropriate technology by South Korea are focused on just development assistance rather than substitute technology. Furthermore, studies on the appropriate technology in South Korea tends to be conducted only by scientific volunteer organizations and university professors. Therefore, we suggest that policy views towards the appropriate technology may be changed from pure researches into emphasis on productivity. To support our proposed view like this, this study introduces new trends in the FabLab in Japan. They are spot-lighted as a means of improving people s quality of life in developing countries. On the lessons learned from these FabLab cases, this study proposes future directions of Korean government policy about the appropriate technology.

      • KCI등재후보

        적정한 신기술 프로토콜 2.0

        이명무,김윤호 적정기술학회 2020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6 No.1

        Recently, various discussions on appropriate technology have been conducted. In particular, as appropriate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art of ODA, various academic discussions are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existing appropriate technology is merely disseminating technology, and most of it disappea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from appropriate technology to appropriate social technology system. To this end, this note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appropriate technology and the BoP business, which has produced best practices that are success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w-income people. We also look at the facilitator's role in playing a key role in connecting appropriate technology and BoP business. Based on this, we propose an Appropriate New Technology Protocol 2.0 that combines appropriate technology and BoP business. 최근 기술 중심의 적정기술 외연 확장과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적정기술이 과학기술을 통한 공적개발원조(ODA)의 일환으로 주목받으면서, 적정기술과 관련한 다양한 학문적·비즈니스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적정기술의 대부분이 단순 기술 전파로 그치고, 그 후 활용되지 못하고 사라지고 있다. 따라서 적정기술에서 적정한 사회기술 시스템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노트에서는 저소득층의 삶의질 개선에 실질적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성공적인 우수 사례(Best Practices) 사례를 배출하고 있는 적정기술과 BoP 비즈니스라는 개념의 탄생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둘의 접점을 위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적정기술과 BoP 비즈니스를 접목한 적정한 신기술 프로토콜(Appropriate New Technology Protocol)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Appropriate Technology in University Education: Why and How?

        신관우(Kwanwoo Shin),이충훈(Choong-Hoon Lee) 적정기술학회 2017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3 No.1

        적정기술은 주로 저발전 국가에서 과학과 기술 분야의 훈련을 받지 않은 누구라도 자발적인 사회활동의 일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고려되어 왔다. 이런 광범위한 견해는 특히 “과학기술 인구의 증가’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것이다. 그러나, 적정기술에 대한 “대중의 용이한 접근”은 “적정기술”을 대학 교육에서 주제 중의 하나로 고려할 경우 그것에 대한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대학 교육은 학술적인 발전을 심화시키고 차세대를 육성하는 것을 그 주된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적정기술을 대학 교육의 학문적 주제로 통합해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첨단 기술의 발전이 적정기술의 가장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또한 학제간 연구로서의 적정기술 교육의 특성과 적정기술을 대학에서 교육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방법에 관해 논의한다. Recently, it has been widely considered that appropriate technology is just a part of social volunteered activities to anyone, including pre-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who are not properly trained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long as their activities are benefit to underdeveloped countries. Such a widespread view is positive in many ways, especially, in terms of “popul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the public accessibility” to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uld be a barrier when one considers whether “appropriate technology” can be one of themes in university education. Since university education is aiming to deepening academic development and nurturing next generation, we would like to discuss why the appropriate technology must be incorporated into academic themes in college education.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discuss that; the cutting-edge technological development can bring the most effective and practical improvement of appropriate technology. We also would like to discuss appropriate technology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and an appropriate method in educating appropriate technology in university.

      • KCI등재후보

        한국 및 개도국(캄보디아 등) 사례로 본 국경없는 과학기술자회의 적정기술 분야 사업 분석

        이수정(Sujung Lee),최윤정(Yoonjung Choi),박상희(Sanghee Park),김용수(Yongsoo Kim),정성필(Seongpil Jeong) 적정기술학회 2021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7 No.1

        사회로부터 고립된 마을에 거주하여 열악한 위생 환경에 놓여 있는 개도국 소외계층에게 과학과 기술을 지원하는 전문가 단체로서 2009년 국내 국경없는과학기술자회(SEWB)가 설립되었다. UN의 17개 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개도국 소외계층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 SDG가 추진된 2016년 이후 개도국과 선진국의 사회적 인프라 격차를 줄이고, 적정기술 보급을 통한 개도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SEWB의 국내 및 해외 사업이 수행되어 왔다. 국내 전문가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정기술 분야 국제 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ropriate technology, ICAT)와 강의, 경진대회를 개최하였다. 캄보디아를 포함한 6개 개도국을 대상으로 (재)자연드림씨앗재단 식수 공공성 사업과 적정기술 해외 봉사활동을 수행해왔다. 특히, 2019년부터는 ‘캄보디아 고립 마을 주민의 삶의 질 개선과 소득 증대를 위한 적정기술 마을 조성 사업’을 수행하면서 캄보디아 봇뱅 마을에서 물, 전기, 인프라, 농업 분야의 사회적 인프라 구축하고 있다. SEWB의 적정기술 분야 사업은 한정된 자원으로, 개도국에 적정기술 기반의 장치를 보급하고 개도국 국민의 복지와 생활수준 향상을 위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향후 개도국 소외계층의 식수 부족 문제와 기아문제를 해소하는데 SEWB가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cientists and engineers without borders (SEWB) was established on 2009 as the NGO having specialist groups to support the underprivileged in developing countries living in the isolated area and having water and sanitation problems. After the SDGs were suggested by the UN on 2016, activities are globally conducted by the nation, NGO and etc. to improve health and education of the underprivileged in developing countries. SEWB also have been conducted the projects in Korea and developing countries to reduce the gap of the infrastructure betwee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to help sustainable develop- ment in the developing countries by providing appropriate technology. In Korea, SEWB have been hel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ropriate technology (ICAT), lectures, and competitions for specialists and students. In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Cambodia and other 5 countries, SEWB have been provided water packages funded by iCOOP KOREA and volunteer opportunities. Since 2019, ‘SEWB sustainable village development project’ have been conducted in Bot Veng village, Cambodia to improve infrastructures on water, electricity, transportation, and agriculture by using desalination system, Solar Cow system, strengthened wooden bridge, and poultry farm, respectively. The developed solu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from SEWB could contribute to eliminate the water shortage and poverty.

      • KCI등재후보

        라오스 적정기술 사업화 사례연구 : 라오스-한국 적정과학기술거점센터를 중심으로

        백두주(Doo-Joo Baek),윤치영(Chi-Young Yun),오용준(Yong-Jun Oh) 적정기술학회 2021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7 No.2

        이 논문의 목적은 국제개발협력의 유력한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는 적정기술 사업화 모델을 라오스-한국 적정과학기술 거점센터(LKSTC) 사례로 검토하는 것이다. LKSTC는 농식품 분야의 세척·수처리·살균기술, 재생에너지 분야의 피코수력 발전기, 피코-태양광 하이브리드 시스템, 에너지 원격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했다. 적정기술 사업화는 카이펜 마을기업, 학교기업, 사회적 기업을 창업했다.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도국 적정기술 사업화는 수원국 정부의 지역개발 정책과 연계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시장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혁신적 기술개발 및 현지 창업네트워크를 적절히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중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mmercialization model of appropriate technology through the case of the Lao-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LKSTC). LKSTC has developed washing, water treatment, and sterilization technology in the agrifood sector and three types of pico-hydro generator, Pico-solar hybrid system, and energy remote monitoring technology in the renewable energy sector. Commercializ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y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Kaipan community business, school enterprises, and social enterprise.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ercializ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y in developing countries should enhance the linkage with the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of the recipient countries. Second, in order to minimize market risk, innovative technology development and local startup networks should be properly established. Finally, the mid and long term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the business.

      • KCI등재후보

        적정기술학회지의 출판된 논문 전체(2015-2022년)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 연구

        정성필(Seongpil Jeong) 적정기술학회 2023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9 No.1

        적정기술학회지는 2015년 1호가 발간된 이후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발간되고 있다 . 적정기술 분야의 전문학술지로서 환경 , 기계 , 소재 , 화공 , 경영 , 화학 , 의료 등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적정기술 연구 및 사례 연구가 출판되었다 . 이연구에서는 적정기술학회지 첫 호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연간 논문의 숫자 및 저자 정보를 파악하였다. 각 년도별로 논문의 저자의 소속을 대학 , 연구소 , 기업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 다수의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에 대한 분석도 수행하였다 . 이 연구를 바탕으로 그 동안 적정기술학회지가 어떻게 변화를 겪고 있는지 파악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 국내 유일의 적정기술분야 전문학술지로서 향후 지속 성장을 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The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has been published since the 2015. The major research topics for the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have been environment, mechanics, materials, chemical engineering, managing, chemistry, and medicine, etc. In this study, all the published papers of the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were analyzed based on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and authors. The author’s affiliation was analyzed as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and industry, etc. annually.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according to the author also analyzed. Based on the bibliometric analysis, it is worth to mention that the trends of publications of the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could be identified.

      • KCI등재후보

        적정기술학회지의 출판된 논문 전체(2015-2022년)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 연구 - 키워드 분석을 바탕으로 -

        정성필 적정기술학회 2023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9 No.2

        Because appropriate technology (AT) is mainly focusing on the technologies and methods for developing countries and vulnerable social group, the purpose of the AT could be providing water-energy-food infrastructure and education opportunity. The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JAT) is the professional journal on AT and has been published since 2015. In this study, the bibliometric analysis based on the keyword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for various research topics. The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all the published JAT papers and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and order of appearance. As the results, the variation for the number of keywords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year was evaluated and research trends on the various AT topics were confirmed. The research areas in keywords were relatively prior to the methods and targets in keywords in the order of appearance. If huge data base could be collected by the help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worth to mention that the keywords analysis of this study could be also used to other research topics. 적정기술 분야는 개발도상국 또는 사회적 약자 계층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과 방법론을 주로 다루는 학문 분야로서 , 각종 물-에너지 -식량 인프라 , 교육 기회 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적정기술학회지는 적정기술분야를 다루는 전문 학술지로서 2015년부터 발간되었다 . 이 연구에서는 적정기술학회지의 다양한 연구 분야를 빠르게파악하고 연구 동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계량서지적 분석 방법 중 키워드 분석을 적용하였다 . 전체 대상 논문에 대하여 키워드를 확보하였으며 , 키워드를 연도별 , 키워드 작성 순서별로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 그 결과 , 연도별 키워드를 바탕으로 게재 논문 수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었으며 , 분야별 연구 동향 파악이 가능하였다 . 또한 , 키워드 작성 순서에있어서 , 연구주제가 상대적으로 앞쪽에 그 상세 내용인 연구방법론과 연구대상이 후순위로 작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 향후 AI 기반의 대규모 자료 확보 기술이 보완되는 경우 , 타 분야 키워드 분석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