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

        이춘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7 대구경북연구 Vol.16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regional and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using the 2013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For the analysis, 16 regions were reclassified into five regions, Daegu, Gyeongbuk,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Other regions, and various industrial linkage effects were re-estimated.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the second highest specialized sector following electronic industries among manufacturing industries in the region, and the portion of intermediate inputs and demands was very high.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30 industrial sectors, and far higher than those of the steel industry in South-East regio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and Daegu region. The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showing forward linkage effect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3 times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industries, and impact factor showing backward linkage effect was higher than 1. Therefore,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an intermediate-demand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When the price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rising 10%, its effects on other regions were highest in Daegu region, and the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Gyeongbuk region followed in order. For the entire Korea, it affected higher price-rising pressure of 24.8%. The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more highly linked with Capital Metropolitan region or South-East region than Daegu region, it is necessary to seek more actively industrial collaboration with these regions.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최근 발표한 2013년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간 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16개 권역을 대구와 경북, 수도권, 동남권, 기타권 등 5개 권역으로 재분류한 후 여러 가지 산업연관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타 지역, 타 산업에 비하여 중간투입과 중간수요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생산유발계수는 30개 부문 전체 산업 평균보다도 상당히 높으며, 동남권이나 수도권, 대구 등에 비해서도 훨씬 더 높았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감응도계수는 전체산업 평균보다 3배 정도 높았고, 영향력계수도 1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전체산업 평균보다 높았다. 따라서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중간수요적 제조업형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물가가 인상될 경우, 대구지역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수도권, 동남권, 경북권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이 타 지역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수도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동남권, 경북권 등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별로는 철강제품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석탄 및 석유제품, 전력·가스 및 증기제품, 도·소매 서비스, 운송 서비스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후보

        대구경북 상생협력사업의 가중 평가기준 도출과 정책적 함의

        권용석,이재필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6 대구경북연구 Vol.15 No.1

        대구와 경북이 광역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자발적 상생협력을 도모한 이래, 협력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평가기준 마련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 AHP 기법을 활용하여 대구경북의 특수성에 부합하는 11개의 평가기준과 각각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평가기준 중 ‘신성장동력 창출 기여도’가 전체적으로 15.90% 비중을 차지하면서 가중치가 가장 높았으며, ‘갈등유발정도’, ‘비일회성’, ‘사업의 구체성’은 가중치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가중치의 비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책적 함의는 대구경북 상생협력은 우선적으로 지역 경제활성화에 주력하며, 지역 간 갈등 심화, 관련 제도 미비 등 현실적인 문제가 우려되더라도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면 그러한 협력사업은 우선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Since the metropolitan city DaeGu and the province GyeongBuk voluntarily have tried to cooperate each other on the provincial level, the need to establish criteria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projects for the promotion of effective cooperation has been raised continuously. This study derived 11 evaluation criteria and their respective weights which meet the peculiarities of DaeGu and GyeongBuk by using the AHP. Among the criteria, ‘contribution to new growth’ has, entirely accounted, the highest weight of 15.90%, while ‘conflict-inducing’, ‘one-off’, ‘concreteness of projects’ are low weighted.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omparison of weights is, the mutual cooperation is primarily focused on the local economy, and even if it would be afraid in terms of Intensifying inter-regional conflict, the relevant institutions lack and so on, such projects contributive to the local economy should be preferentially promoted.

      • KCI등재후보

        대구경북의 청색기술 개발과 산업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석희,안성조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6 대구경북연구 Vol.15 No.2

        Blue Technology is to apply inspiration from ecosystem in engineering and industries. Blue technology is considered as higher technological and market value as future industries. For fields available for industralization through use and convergence of blue technology, they include nano-technology, bio mechtronics, robot engineering, AI, sensor, fluid mechanics, utility, and medicine. In particular, for fields to be specializ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there are i) blue technology convergence part materials, ii) bio mechatronics, iii) saving resources convergent with blue technology, and iv) blue technology convergence energy development. For thi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run blue technology industrialization project to pursue integrated convergence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concentrating on blue technology, to establish blue technology convergence industrialization center as industrialization platform, and build collaborative networks with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addition, it requires support policies to prepare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industralization, to convert to strategic technological development system fit to sustainable comsumption and production trends, to build socio-economical system with co-existence between humanity and nature, to run blue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and to invigorate international information exchange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청색기술은 생태계에서 영감을 얻어 공학적·산업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청색기술은 미래산업으로서 기술적·시장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청색기술의 응용과 융복합화를 통해 산업화가 가능한 분야로는 나노기술,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로봇공학, 인공지능, 센서, 유체역학, 유틸리티, 의료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대구경북지역의 특성화 가능영역은 ① 청색기술융합형 부품소재, ②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③ 청색기술융합형 자원저감, ④ 청색기술융합형 에너지개발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청색기술 중심의 융합기술개발과 산업화를 통합적으로 추진할 청색기술산업화추진단을 구성·운영하고, 산업화 플랫폼인 청색기술융합산업화센터를 설립하여 관련 대학과 연구기관의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산업화를 위한 통합적 지원체계 마련,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트렌드에 부합할 수 있는 전략적 기술개발체계로의 전환, 자연과 인간의 공존 사회경제시스템 구축, 청색기술 교육프로그램 운영, 국제 정보교류 활성화, 학제간 공동연구 활성화 등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대구경북 지역민의 미래인식 분석: STEEP분류를 중심으로

        안성조,박현정,류형철,최재원,함윤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6 대구경북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nalyze how people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buk Province perceive the future. We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significance of future perception and analyze empirically the future perception of the residents of Daegu Gyeongbuk Province.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conducted a survey during June 2014 through July 2014. We conduct the frequency analysis, t-tst,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the survey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mong social trends, the expansion o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network scores the highest agreement(3.85) while the diversification of family structure scores the highest influence(3.76). Among technological trends, the augmentation of the sustainable transportation gets the highest point in both agreement(3.90) and influence(3.65). Among ecological trends, people agree most that the demand for food safety will increase(3.90) while presume that the ecosystem change may have the greatest influence(3.74). Among economical trends,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industry scores the highest agreement(3.73), but the most influential one is the development of the senior friendly industry(3.65). Among political trends, the increase of administrational demand for the safe society scores the highest in both agreement(3.87) and influence(3.77). In general, the residents of Daegu metropolitan city put higher agreement and influence for all the sectors of STEEP than those of Gyeongbuk province.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경북 지역민을 대상으로 미래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관련이 론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미래인식의 의의를 살펴보았고, STEEP모형을 활용하여 대구경북 지역민의 미래인식을 실증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6월부터 7월까지 약 2개월 간 이뤄졌으며, 빈도분석, 신뢰성분석, t-test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문의 동의도는 도시권연결 광역교통망 강화가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영향력은 가족구조 다양화가 3.76으로 가장 높았다. 둘째, 기술부문은 지속가능한 교통수단 확대의 동의도(3.90)와 영향력(3.65)이 공히 가장 높았다. 셋째, 생태부문의 동의도는 농산물․식품안전에 대한 요구증가(3.90)가 가장 높았으나 영향력은 생태계 변화(3.74)가 가장 높았다. 넷째, 경제부문의 동의도는 의료산업 발전(3.73)이 가장 높았으나 영향력은 고령친화산업 발전(3.65)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정치부문은 안전사회에 대한 행정수요 증가가 동의도(3.87)와 함께및 영향력(3.77)도 가장 높았다. 여섯째, 전반적으로 대구시민이 경북도민에 비해 STEEP의 각 부문별 동의도와 영향력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대구경북 다문화가정의 지역사회 포용성 확보 방안

        안성조,김순양,박은선,고수정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9 대구경북연구 Vol.18 No.2

        This study aims at seeking how to secure local community inclus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Even though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ir settlement as our community's members. In addition, in spite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including languages for their children, they are living as the marginalized rather than the members in our community. For these reasons, first, it is limitation of socio-cultural adjustment. Marriage immigrants' social participation is low. And lack of social adjustment education and cultural facilities, passive featur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higher expectation toward Korean men are some of these limitations. Second, it is economic poverty. It is derived from low income of Korean husbands and low employment rat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it is low rate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Many marriage immigrant women work in service jobs and simple labors, and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re factors to impair their employment. Fourth, it is lack of educational programs. There are few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run fragmentarily. Finally, conflicts and lack of understanding in family life and marital relations are also impairing factor for integrating multicultural families into local community. For the policy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et value system and goals of multicultural policies, Second, it is required to secure efficiency and expertise of multicultural policies and programs. Third, the relevance of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policies and programs should be enhanced.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according to demographic features of multicultural families. Finally, it is needed to improve access to multicultural policies and programs, and to enhance the results evalu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경북 다문화가정의 지역사회 포용성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간 대구경북의 다문화가정은 꾸준히 증가해 왔으나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그 자녀의 경우 언어 등의 다문화 배경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의 일원으로서 살아가기보다는 주변인으로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는 첫째, 사회문화적 적응의 한계를 들 수 있다. 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 비율이 낮은 편이다. 또한 사회적응 교육과 문화시설 부족, 결혼이주여성의 소극적 성향, 한국 남성에 대한 높은 기대감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경제적 빈곤을 들 수 있다. 이는 다문화가정의 한국인 남편의 낮은 소득수준과 결혼이주여성의 저조한 취업률이 원인이다. 셋째, 낮은 경제활동 참여율을 들 수 있다. 결혼이주여성의 상당수가 서비스업종이나 단순노무에 종사하고 있고, 양육부담으로 경제활동 참여가 저조한 편이다. 또한 낮은 전문성과 기술수준, 사회적 편견과 차별 등이 취업의 저해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넷째, 교육프로그램의 부실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인 교육훈련이 부족하고 교육프로그램은 파편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가정생활 및 부부관계에서의 갈등과 이해부족 역시 다문화가정의 지역사회 통합 저해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대한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다문화정책의 가치체계 및 목표설정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정책 및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정책 및 프로그램 내용의 적실성을 제고해야 한다. 넷째, 다문화가정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특성화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정책 및 프로그램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성과평가를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국제유가 변동이 대구·경북 지역산업에 미치는 영향

        임규채,이승아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6 대구경북연구 Vol.15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fluctuation of imported crude oil price on industries in Daegu Gyeongbuk province. For this we use regional industry linkage table in 2013, and we analys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crude oil and natural gas prices’ fluctuation on various industries in study area. From the results, industries that are strongly affected by a price fluctuation are urban gas, oil products, steam and hot water, electricity and renewable energy. These industries are energy related industries that use crude oil and gas as intermediary goods. The number of industries that are sensitive to crude oil prices are 16 industries in Daegu and 20 industries in Gyeongbuk. The most affected manufacturing industries are oil products, basic organic chemistry materials, non-metallic mineral, synthetic resins and synthetic rubber. The magnitude of price fluctuation are producer price, export price, and customer price in order. Moreover, Gyeongbuk area’s price as been affected strongly than Daegu, because Gyeongbuk use more crude oil and has more manufacturing industries. When imported crude oil prices are change, price change in Daegu and Gyeongbuk affects producer prices of oil price related service industries and major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customer prices of related service industries. However, the imported crude oil price change affects weakly on manufacturing producer price, and the magnitude of effects on customer price and producer price are smaller than service industry. 이 연구는 국제유가 변동이 대구와 경북 지역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으며 원유 및 천연가스 수입가격 변동이 대구와 경북지역 각 업종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가격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업종은 도시가스, 석유제품, 증기 및 온수, 전력 및 신재생에너지 등의 원유나 천연가스를 중간재로 사용하는 에너지관련 업종이었다. 원유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업종은 대구는 16개, 경북은 20개 업종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 제조업 중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석유제품, 기초유기화학물질, 기타 비금속광물제품,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등으로 나타났다. 물가변동은 생산자물가, 수출물가, 소비자물가 순으로 크게 변동했으며 대구보다 제조업 비중이 높고 석유 사용량이 많은 경북지역 물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입 원유가격 변동 시 대구·경북지역의 업종별 물가변동은 유가관련 서비스업과 일부 주력 제조업에서 생산자 물가가 크게 변하고 연관 서비스업 소비자 물가가 크게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유가격 변동이 제조업 생산자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고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서비스업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의 외부기술협력과 기술정보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김용현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7 대구경북연구 Vol.16 No.1

        It has examined the effect of various technical cooperation (external technical cooperation partner, idea and information activities) of SM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on innovation performance (sal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achievements) at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9 and 2013.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e proportion of external technical cooperation of SMEs in the region has increased and the satisfaction of enterprises has also been high. However, in 2009 and 201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les performance of technical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of local SMEs. However, cooperation between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SM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results of technology development achievements. It is the ideas and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inside of SME companies such as R&D, production and marketing department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les or technology development achievement among SMEs'. We have confirmed that ideas and information from competitors in the same industr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development. Daegu-Gyeongbuk area SMEs should increase their future sales by effectively strengthen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technical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and national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in order to improve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actively supports idea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activities within the enterprise.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금융위기 이후 대구경북 중소기업의 외부기술협력과 기술정보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외부기술협력의 대용변수로 기술협력수행경험를 사용하였고 기술정보활동의 대용변수는 아이디어 및 정보활동을 이용하여 매출액, 기술개발추진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융위기 이후 지역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협력 비중이 증가하고 기업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와 금융위기 이후 일관되게 지역 중소기업의 대학이나 국공립연구기관과 기술협력이 매출액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중소기업과 국책연구기관과의 협력이 기술개발추진실적에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러 중소기업의 기술정보활동 중 ‘R&D, 생산, 마케팅 부서 등 중소기업 내부에서 도출되는 아이디어와 정보’ 활동이 매출액 혹은 기술개발추진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2009년에서 2013년으로 오면서 강화되었다. 동종업종의 경쟁사로부터 얻는 아이디어나 정보는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추진실적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구경북 중소기업이 향후 매출액 증대를 위해 대학 및 국공립연구기관과 산학협력 및 기술협력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고, 중소기업의 혁신성과(매출액 및 기술개발실적) 향상을 위해서는 기업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아이디어 및 정보 획득 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중소기업내부 혁신역량 지원’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역 혁신과 임금 및 일자리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김용현,김희영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9 대구경북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index of innovation growth that can alleviate regional income and employment worsening conditions. This is an empirical question as to which innovation indicators are positively (+) externally affecting local income (wages) or local employment rates (jobs). The Daegu-Gyeongbuk area has a positive (+) external effect on the increase of income in patents, talents, knowledge manufacturing industry,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dustrial relation, enterprise accumulation, enterprise size, producable population, local vitality, Respectively. Indicators that have positive external effects on jobs or employment rates (dependent variables) are innovation indicators related to patent, amenity, knowledge manufacturing industry, high technology industry, corporate accumulation, population flow, and regional income. Innovation indicators that have positive external effects on both income and employment were analyzed by patent, knowledge manufacturing industry, and enterprise integration. This result sugges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regional innovation job model in the manufacturing sector that reflects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egu - Gyeongbuk region and corporate growth.It is imperative to find policies that can affect income and job growth rather than direct support measures for local income and job growth, and that can lead to positive externalities of innovation indicators. 지역의 소득과 일자리 여건 악화를 해소할 수 있는 혁신성장 지표를 찾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어떤 혁신지표가 지역소득(임금) 혹은 지역고용률(일자리) 증가에 긍정적(+) 외부효과를 주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는 실증의 문제이다. 대구경북 지역에는 특허, 인재, 지식제조산업, 지식서비스산업, 산업연관성, 기업집적, 기업규모, 생산가능인구, 지역활력, 고급일자리, 재정 관련 혁신지표가 소득증대에 플러스(+) 외부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자리 즉 고용률(종속변수)에 긍정적인 외부효과를 미치는 지표는 특허, 어메니티, 지식제조산업, 고기술산업, 기업집적, 인구유출입, 지역소득 등과 관련된 혁신지표로 나타났다. 소득 및 일자리 모두에 플러스 외부효과를 미치는 혁신지표는 특허, 지식제조산업, 기업집적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기업가 정신의 발현과 계획적인 대구경북의 권역 특성과 기업 성장을 반영하는 제조업 분야 지역 혁신 일자리 모형 정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지역의 소득 및 일자리 증가를 위한 직접적인 지원 대책보다는 소득 및 일자리 증가에 영향을 주는 혁신지표를 발굴하고, 혁신지표의 긍정적 외부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 대구경북지역의 육아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이주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5 대구경북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child-rearing environment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and suggest improvements through this evaluation items. This study researches literature and national statistics to derive the evaluation items which represent the level of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all the borough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are classified into four using Jenk’s Natural Break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Seo-gu in Daegu needs to be improved totally. In case of Suseong-gu in Daegu, Yecheon-gun in Gyeongsangbuk-do needs to be improved in the sector of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this evaluation index the municipalities themselves could find out where they improve in any sector of the child care environment and also know what to do to improve it. Even though the evaluations are characterized by a relative system, it is useful to find out the boroughs which need to be improved their child-rear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의 육아환경 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육아환경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육아환경을 사회적 육아환경과 물리적 육아환경으로 구분한 후 선행연구와 국가통계데이터를 검토하여 육아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Jenk’s Natural Break Method를 활용하여 평가항목별로 대구경북지역 내 지자체의 점수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종합적으로 대구 서구의 육아환경 개선이 요구되며, 물리적 육아환경의 경우 대구 수성구, 경북 예천군의 개선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평가지표를 통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각 지자체 스스로가 어떠한 부문에서 육아환경의 수준을 제고해야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는 규범적이고 절대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며 상대적인 평가라는 특징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시급한 지역, 육아환경 수준이 낮은 지역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대구·경북 지역 문학 수록 양상 연구

        박준형,최재호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2 대구경북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literature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hat have been canonized and to suggest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structuralist literary education based on new critique and literary education separated from life. Ultimately,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learners. For this purpose, it is self-evident that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the selection of textbook components are very important tasks. As a new paradigm of education such as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emerges and calls for overall changes in education, literary education emphasized the need for local literature close to life as a solution to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responding to the change or at least preparing to respond. To this end, we looked at how the discussion of regional literature has developed in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12 Literature 03-06] specifying regional literature in the literary field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s explanation, and its achievements We analyzed the aspects of textbooks that realized the standards and the aspects of literary and literary works in Daegu and Gyeongbuk among the works included in the entire literature textbook. And for literary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life, first, it is necessary to materialize the local curriculum including realistic literature education plans.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integrated classes within and between subjects. Lastl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local literature in literary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정전화된 대구·경북 지역 문학의 수록 양상을 고찰하고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신비평에 입각한 구조주의적 문학 교육, 삶과 유리된 문학 교육이라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있다. 궁극적으로 문학 교육은 학습자의 삶과 밀접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문학 작품의 선정과 교과서 구성 요소의 선정은 매우 중요한 작업임이 자명하다.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역량 기반 교육과정 등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교육의 전반적인 변화를 촉구하고 있는 현재, 문학교육은 그 변화에 응하고 있는가, 최소한 응할 준비는 하고 있는가 하는 의문에 대한 해결책으로 삶과 밀접한 지역 문학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지역 문학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를 살펴보았고,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에서 지역 문학을 명시하고 있는 성취기준과 그 해설, 그리고 그 성취기준을 구현한 교과서의 양상과 전체 문학 교과서 수록 작품 중 대구·경북 지역 문인 및 문학 작품의 수록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삶과 밀접한 문학 교육을 위해서는 첫째, 현실성 있는 문학교육 방안을 포함한 지역 교육과정의 구체화가 필요하다. 둘째, 교과 내, 교과 간 통합 수업을 통한 지역 문학 교육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문학 활동 시 지역 문학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