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어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 한 ・일 양국의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안종순,최영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1 No.-

        2015개정교육과정에서의 외국어교육방법은 문법의 정확성보다는 의사소통이 가능한 유창성을 중요시한다. 의사소통을 유창하게 하려면 무엇보다 발음교육 즉 음성교육이 중요하다. 한국인 일본어학습자 중에 고등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당히 높다. 그러나 이들을 위한 일본어 음성교육 연구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일본어 음성, 특히 일본어 모음에 주목하여 일본어교육 현장에서 음성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음향음성학적인 분석을 하였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F0값은 남녀의 비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 간의 비교에서는 일본인이 한국인보다 조금 높게 발음하는 경향으로 분석되었고 여학생 간의 비교에서는 대체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F1-F2값을 살펴보면 일본인과 한국인 남녀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입을 많이 벌리는 경향이 있고, 모음 전반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모음발화 시 혀 안쪽에서 조음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모음 ‘う[ɯ]’의 경우 일본인은 중설로 발음하고 한국인은 후설로 조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3값은 남녀 간의 비교에서 한국인과 일본인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입술모양을 둥글게 하고 발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기(Intensity)는 한국인과 일본인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조금 높은 세기로 발음하고 있었다. 여학생 간의 비교에서는 한국인이 더 세게 발음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지속시간(Duration)은 일본인 남녀의 경우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한국인 남녀의 경우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길게 발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인과 일본인 남녀 모두 일본인보다 한국인이 1.5-2배정도의 길이로 길게 발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teaching method of foreign languag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communicable fluency rather than the grammatical accuracy. To make communication fluent, pronunciation education, that is, phonetic education is important. The propor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mong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s very high. However, research on Japanese phonetic education for these students is extremely ra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Japanese sounds, especially Japanese vowel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onducted an acoustical phonetics analys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honetic education in the field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u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0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In comparison between male students, it was analyzed that Japanese were more likely to pronounce a bit higher than Korean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students. Looking at the values of F1-F2, female students tend to open their mouth bigger than male students in both Japanese and Korea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male students were articulating inside the tongue in pronouncing the overall vowels rather than female students. However, in the case of the vowel ‘う[ɯ]’, the Japanese pronounced it as a central vowel and the Koreans articulated it as a back vowel. The F3 value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both Koreans and Japanese showed that the lips of male students are rounder than female students. In terms of Intensity, male and female students of both Koreans and Japanese pronounced a little higher than girls. In comparison between female students, we could observe that Koreans are pronouncing har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pronunci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Japanese students, but in the case of Korean male and female students,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pronounced longer than male stud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both Koreans and Japanese pronounce longer for a length of 1.5-2 times than Japanese.

      • KCI등재

        공사(公私) 개념의 일본적‘수용문제’ - 서구의 공사 개념과 후쿠자와 유키치 -

        박규태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0 No.-

        본 논문의 목적은 특히 ‘일본적 수용양식’에 주목하면서 후쿠자와 유키치 사상에 있 어 공-사 개념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외래적인 것에 대한 일본적 수용양식은 일본적 사유와 등치관계에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등치관계를 일본적 ‘수용문제’로 이해하면서 이때 일본에 있어 외래적인 것의 수용이 항상 현재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자 한다. 일본 근대화의 아버지라 불리는 후쿠자와 유키치에 있어 서구적 공-사 개념의 수용 또한 현재적 관점에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이때 현대일본사회에서 공공성 담론 이 문제시되는 맥락으로서 본고는 첫째, 일본문화론적 맥락, 둘째, 학문적 담론의 맥락, 셋째, 우경화 현상과 연동하는 ‘사’의 과잉 및 ‘공’의 쇠퇴에 대한 위기의식 등을 들고 있다. 이 점을 염두에 두면서 본고는 서구적 공-사 개념과 일본적 공-사 개념의 특징을 검토한 후 후쿠자와에 있어 공-사 문제를 다루고 있다. 후쿠자와는 나라의 독립을 최우 선시한 국권론자였지만, 공-사 문제에 관한 한 국가(정부)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견지 했다. 예컨대 그의 ‘공-사’ 관념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공지공덕’론은 개인의 내적 자유 즉 ‘사’의 자율성에 대한 주장과 맞물려 있다. 그러나 이처럼 “일본의 역사를 관통하는 상하관계의 공-사 질서를 벗어나 근대 서구문명을 모델로 하는 공-사의 병립구조로 전 환”할 것을 추구한 후쿠자와의 뜻과는 달리, 근대일본에서는 관료를 상위로 하는 새로 운 상하관계구조가 재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공-사 문제의 해명을 위해 보완 적으로 정신분석학적 관점의 도입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오늘날 일본에서는 사적 공간만이 계속 확장되면서 공적 의식은 애매한 채로 남아 있다. 본고는 결론부에서 이 런 현대일본사회를 ‘사적 사회’라고 보면서, 그것이 라캉주의자 맥고완이 말하는 ‘주이 상스 사회’와 공통된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 유념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notion “public-private” in the thought of Fukuzawa Yukichi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the problem of reception in Japan”. In so doing, I will mention the reason why the discourse of “the public” has been questioned in contemporary Japan, in such aspects as not only the discourse on Japanese culture and academism, but also the feeling of crisis about the excess of “the private” and the degeneration of “the public”. Furthermore,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e in the notion of “public-private” in both the West and Japan will be summarized. Fukuzawa Yukichi, who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founders of modern Japan, though thinking that there was nothing more important than national independence, show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Meiji government as far as the issue of “public-private” was concerned. For example, his notion of “Kouchikoutoku”(public knowledge and virtue) must be deeply related to the individual inner freedom, that is, the autonomy of “the private”. However, a new vertical structure of Japanese bureaucracy was regenerated despite of Fukuzawa's intention to change the traditional vertical order of “public-private” into a new horizontal order based on the Western model. But nowadays “the private” only tends to be extended probably due to a kind of reaction to “Messi-hoko”(selfless devotion) in Japan. If we can call it a “private society”, it might share the same characteristics with the “society of jouissance” in common, such as the privatization of “the public”, the publicization of “the private”, or the variablenes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 KCI등재

        中国延辺地域の朝鮮族高年層日本語における無声破裂音

        黃永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5 No.-

        본고는 중국연변지역의 조선족노년층화자가 1945년 이전의 일본식민지시기에 일본어교육을 통해 습득한 일본어에 나타나는 음성영역(특히, 무성파열음)의 사용실태를 통해 70여 년 간 유지되어 온 동아시아지역 식민지일본어의 유성음ㆍ무성음의 보존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광복 이전의 일본어와의 접촉형태ㆍ접촉기간이 다르고 광복 이후에는 일본어와의 접촉이 거의 없는 피조사자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담화조사와 (읽기 방식의)조사문조사의 결과를 대조하면서 음환경 및 어종별로 그 보존 실태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관련한 언어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한국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파열음의 구별능력은 1945년 이전의 일본어와의 접촉도와 현재의 일본어능력에 따라 화자별로 연속성을 띠면서 보존되고 있다. 한편, 일본어가 제3언어환경에서 제2언어로서 보존되고 있는 중국지역보다 제1언어환경에서 제2언어로서 보존되고 있는 한국지역에서 보다 많이 나타나고 있다. (2)무성음화와 고착된 유성음화는 거의 보이지 않으며 사용수와 정확도에서 볼 때 중간언어적인 양상을 유지하고 있다. 음환경면에서는 ‘語中[t]→[d]의 유성음화’가 두 지역 모두 현저하지만, 특수음 다음에는 유성음화현상이 적게 나타난다. 그리고 어종별로는 고유어에서 가장 많다. (3)(잠정적인 결론이지만) 식민지일본어는 메타언어에 의한 일본어음성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당시의 일본어학습환경에 기인해 일본어능력이 낮은 층을 중심으로 ‘무성파열음의 유성음화’가 화석화된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analyzed for retention mechanism of unvoiced plosive sound in L2 retention period through the actual use situation of ethnic elder Koreans speaker of China Yanbian region appearing to learn the Japanese under the colonial education environment. Discourse research for four informants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Japanese since 1945) were carried to the subject of the sentence reading investigation while results combined. They are different to the contact form, contact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escribing in detail the actual conditions that held in the sound environment and language external factors that are relevant.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Korean colonial Japanese data, the followings were found. (1)(Voiced/Unvoiced) Plosive sound of the distinct ability of contact to Japanese before 1945 has been preserved by the continuous phase, depending on the current speaker of the Japanese language skills. On the other hand, the voiced plosive sound of Japanese appear much more preserved in Korea as L2 in L1 environment than the area being preserved as L2 in L3 environment. (2)Unvoiced/Fixed vocal sound of maintenance and the intermediate language can be used when viewed from the aspect and accuracy. The environmentally sound ‘in word [t]→[d] voiced’, China has more less the voiced sound and most often in the words of native language types. (3)Having tentative conclusions, it can be said that the Japanese colonial education has made the Japanese voice did not ‘silent voiced plosive’ focused on the lower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group due to the learning environment of not meta-language been in fossilized state.

      • KCI등재

        前田本 『日本書紀』 일본고유명의 성점 연구

        박미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학연구 Vol.47 No.-

        본 논문은 12세기 전사로 추정되는 前田本 『日本書紀』의 일본고유명에 가점된 성점을 조사하여 자료로 제시하고 한국고유명과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일본고유명의 성점은 중고음의 평성, 거성, 입성이 마에다본에서는 상성인 b점으로 가점되는 '상성화'의 경향이 높았다. 이는 한국고유명이 '평성화'로 가점되는 점과 상이하며 한국고유명과 일본고유명에 대한 가점 태도가 같지 않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중국 북방음을 기반으로 한 α군이 집중된 마에다본에서 성점은 중국의 중고음을 그대로 반영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한편 일본 오음의 평성·거성·입성은 a점, b점으로 대응하였으며 일본 한음의 평성·상성·거성·입성은 a점, b점으로 대응하였다. 이로써 일본 고유명의 성점은 일본오음과 한음 중 어느 한쪽을 일방적으로 반영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looked into the tone marks added to the proper nouns of Japan origin in Maeda manuscript which is assumed to be a 12thcentury copy, and provided the result as a material,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uscript in comparis on with middle Chinese, Japan Go’on, and Japan Kan’on. Furthermore, it discussed the difference with the proper nouns of Korean origin. As a result, ‘Hyosyo, Kyosho, Nisyo’ of middle Chinese in Our materials often tend to be marked as ‘b(Josyo)’ in Maeda manuscript. This is quite different compared to the fact that the proper nouns of Korean origin are marked as ‘Hyosyo’. From this, we could guess that the attitude related to the marking is not similar. Also, this means that Maeda manuscript is concentrated on α-group based on north Chinese, but does not reflect the middle Chinese itself. On the other hand, ‘Hyosyo, Kyosyo, Nisyo’ in Japan Go’on correspond to ‘a, b’ marking and ‘Hyosyo, Josyo, Kyosyo, Nisyo’ in Japan Kan’on correspond to ‘a, b’ marking. It revealed that the marking in the proper nouns of Japan origin does not reflect just one side between Japan Go’on and Kan’on.

      • KCI등재

        「やさしい日本語」の観点から初級日本語のシラバスを 考える

        李尙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61 No.-

        한국 일본어교육의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의 일본어학습자 수도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는 초급일본어 과정을 마친 학습자가 그 다음 레벨로 올라가지 않고 일본어학습을 포기하는 경우를 주요 요인으로 들 수 있다. 오랫동안 언어교육에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어 현장 교육에서는 실러버스나 학습법 등 실질적인 변화를 찾기가 어렵다. 무엇보다도 니즈에 맞는(학습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교육은 오랫동안 연구를 거듭해 왔으나 아직 한국의 일본어교육에는 충분히 적용되지 않아 이에 대한 재고가 시급하다. 본고에서는 대학의 일본어과정이 감소하고 일본어교육의 존재마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현황을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그 일환으로서 최근 2년간(2018-2019) 초급일본어과정의 학습현황을 검토하고 “쉬운 일본어”를 도입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쉬운 일본어”는 일본어실러버스를 간소화하고 산출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교육의 실용화를 목표로 하는 교육 방안이다. 본고에서는 “쉬운 일본어”를 도입하여 일본어를 처음 시작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초급일본어과정에 “쉬운 일본어”의 요소인 “1기능1형식”의 문법항목, 스파이럴 식 학습, 산출레벨 중심, 초급에서 중급까지 연속적이고 체계적인 실러버스의 적용 및 활용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As Japanese education in Korea continues to stagnate, the number of Japanese learner in university has been decreasing exponentially simultaneously. To be clear, a number of learners who finished beginner’s level, the curriculum focusing on new learners, tend to give up on going up to the next level.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changes from different perspective are highly required in recent language education. So it is imperative to set up an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learners (focusing on learner’s opinion) since Japanese field education is challenging to find changes in syllabus or learning method. This paper examines the solution on not only decreasing number of needs for Japanese education, but the existence of itself. This paper went through the learning status of the beginner’s Japanese language course and presented an educational plan that introduced “easy Japanese”. “Easy Japanese”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requires Japanese society to acquire multilingual multiculturalism from a few years ago, aiming to commercialize education by simplifying the Japanese syllabus and placing importance on calculation. This article introduces easy Japanese to beginners who are new to Japanese, making it a beginner’s course for beginners with the use of “One function one form”, spiral method, output level, continuous and systematic syllabus for basic – level Japanese.

      • KCI등재

        일본어 수동의 한국어 비수동 번역 양상에 관한 고찰 - 일본드라마 자막번역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정의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1 No.-

        한일 양 언어의 수동은 표현형식이나 의미용법 등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큰 틀에서 볼 때, 문의 구조는 유사점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사용 빈도를 기준으로 비교해 보면, 일본어보다 한국어의 수동사용 빈도수가 낮다는 견해가 일반적이었 다. 그러나 한국어의 수동사용 빈도수가 낮은 이유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거의 없었 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유를 밝히기 위해 구어표현을 잘 반영하고 있는 일본 의 최신 드라마 4편에서 사용된 수동표현을 추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자막번역의 유형 중, 수동 번역을 제외한 비수동 번역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수동으로 번역되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일본어 수동동사 중 한국어로는 수동으로 번역되지 않고 주로 비수동으로 번역되는 사례, 한국어 수동동사의 파생 제약에 따라 일본어에서는 가 능한 수동이 한국어로는 비수동으로 번역되는 사례, 일본어에서는 수동이지만 한국어에 는 없는 특수수동, 즉 간접수동이나 사역수동의 비수동 번역 사례, 어용적 조건에 따라 쓰여 지는 일본어 수동표현이 동일한 조건 하에서도 한국어로는 비수동으로 번역되는 사례, 일본어에서는 수동표현이 쓰이지만 번역되는 한국어의 문맥상황에 의해 비수동으 로 번역되는 사례 등, 일본어의 수동이 한국어에서 비수동으로 번역되는 다양한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실증적 조사결과에 근거한 비수동 번역의 다양한 사례는 결과적으로 수동사용 빈도수 저하의 요인이 되기도 하여, 일본어에 비해 한국어 수동의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종래의 견해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밝힐 수 있었다.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passives used in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in specific aspects such as expression forms and meaning, but from a large frame of view, their inquiry structures are similar. Nevertheless, to compare the frequency of their use, it was generally thought that the Korean language had lower frequency in its use than the Japanese language. However, why the frequency of use of passivity in the Korean language is low is hardly mentioned specifically. To identify the reasons, this study selected passive expressions used in four Japanese dramas which reflect current colloquial expressions and analysed the aspects of non-passive translation with the exception of passive translation out of the caption translations into Korean. As a result, cases of non-passive translation are presented as follows: Of Japanese passive verbs, cases where they were translated into non- passive Korean, not passive, those where passivity which is possible in Japanese were translated into non passive Korean according to derivational restrictions of passive Korean verbs, those where Japanese passive expressions which are used according to the language use condition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non-passive under the same language use conditions, cases where there are special passives which do not exist in Korean, that is, non- passive translation of indirect or causative passivity, and cases that in spite of passive expressions which are available in Japanese, they were translated into non-passive depending on contextual situation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explained diverse cases of non-passive trans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real investigation of reasons of low frequency in use and presented specific reasons for previous results where the frequency of Korean passivity in use is lower than in Japanese.

      • KCI등재

        한반도에서 간행된 일본어신문『경성신보(京城新報)』 문예물 연구 ― 「탐정실화 기이한 인연(探偵實話 奇緣)」을 중심으로 ―

        이현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5 No.-

        본 논문은 일본어 민간신문 『경성신보』에 게재된 히데코의 「탐정실화 기이한 인연」(1908년 11월 17일-12월1일)이라는 작품을 발견하고, 이 작품을 중심으로 1910년 이전 한반도에서 간행된 일본어 민간신문에서 탐정소설 장르의 문예물을 조사하여 당시 한반도의 재조일본인에게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탐정소설 장르로 파악되는 히데코의 「탐정실화 기이한 인연」의 등장인물의 활동 공간과 직업을 분석하여 당시의 재조일본인의 생활양상을 고찰하였다. 1910년 이전, 한반도에서 탐정소설 장르가 자리 잡기 이전 시기에 재조일본인이 발행한 일본어 민간신문에는 여러 탐정소설 장르의 작품이 소개되었는데, 그 대부분이 외국의 번역・번안 물이었다. 그 가운데 히데코의 「탐정실화 기이한 인연」은 ‘탐정실화’를 표제어로 내세운 창작물로서, 번역・번안에서 벗어나 창작탐정소설 장르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이 작품에는 경성이라는 배경아래 다양한 공간을 등장시켜 당시 재조일본인의 거류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었으며, 등장인물의 직업을 통해 당시 한반도에서 생활하던 일본인들의 직업관을 살펴볼 수 있었다. 「탐정실화 기연」은 탐정장르가 확립되기 이전 한반도에서 민간신문을 통해 새로운 장르를 발신시켰다는 점에서 일본어문학으로서의 일본어 창작탐정소설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aims at investigating the aspects regarding with that Japanese colonial settlers had enjoyed detective stories presented in Japanese newspapers, focusing on “A Strange Fate” serially pulished at Gyeongseong-sinbo, from 17th November to 1st December in 1908. Additionally, contemporary everyday lives of Japanese colonial settlers are also examined through characters and other settings of the novel. There were several detective stories in Japanese newspapers published by Japanese colonial settlers, before 1910, also before ‘detective story’ became a genre. Almost of those stories were literature in translation. But “A Strange Fate”, written by Hideko, classified as ‘real detective story’, was not one of translated story but an original : the meaningful initiative of a genre, original detective story. This story is meaningful as a set of signs regarding with Japanese settlers’ lifestyle and their notions about job throughout characters and settings as well. “A Strange Fate” is supposed to be an initiative of a new genre in Japanese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as a historical record in terms of manners and customs.

      • KCI등재

        8세기 신라의 대일외교와 동아시아 인식

        전덕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일본학연구 Vol.44 No.-

        본 논고는 8세기 신라의 대일외교 성격과 전개, 그리고 신라인의 대일본·발해인식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日本書紀에서 神功皇后의 신라 정벌 이래 신라와 고구려, 백제가 日本國의 蕃國이 되었다고 전하지만, 그대로 믿기 어렵다. 701년 大寶令 반포 이후에 일본은 唐을 隣國, 신라를 蕃國이라고 규정하였고, 이러면서 동시에 신라가 일본의 蕃國이 된 淵源을 神功皇后의 新羅征伐에서 附會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때 신라는 日本을 唐과 같은 宗主國으로 섬겨야 할 大國이 아니라 交隣의 대상이나 또는 잠재적인 敵國으로 인식하였다. 8세기 전반에 日本은 新羅 使臣을 蕃國 使臣의 禮에 따라 대우하였고, 신라는 이러한 일본의 태도에 대하여 크게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당시 신라가 일본의 요구를 수용한 것은 그들이 일본 중심의 世界秩序와 天下觀을 받아들여 그들의 蕃國이라고 스스로 自認하였기 때문이 아니라 일본의 침략을 우려하여 취한 외교적인 제스처(Gesture)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고 보기 어렵다. 730년대 초반에 신라인들은 自國을 중국과 대등한 유교문화를 발전시킨 君子國이라고 자부하였고, 반면에 日本과 渤海를 문화적으로 낙후된 夷狄國으로 貶下하여 차별하였다. 이때 신라인은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수용하면서도 自國은 중국과 동등한 유교문화를 발전시킨 君子國이라고 자부하는 한편, 일본과 발해는 신라보다 문화적으로 낙후된 야만적인 夷狄國으로 貶下하여 나름 대내외적으로 자존감을 드러내려 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라는 730년대 이후에 일본을 夷狄으로 인식하는 對日本觀을 바탕으로 일본에 파견한 自國 使臣들을 번국 사신의 예로서 대우하는 일본측의 태도에 대하여 강력하게 항의하였고, 이에 대하여 일본은 大寶令의 규정에 따라 신라가 蕃國의 예를 준수하기를 고집하였기 때문에 두 나라 사이에 외교적 분쟁이 잦았다.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 and process of Silla’s diplomacy toward Japan, and Silla people’s perception of Japan and Balhae. Although Nihonsyoki(日本書紀) tells us that Silla, Goguryeo and Baekje became the savage country(蕃國) of Japan after Empress Jinggu(神功皇后)’s conquest of Silla, it’s hard to believe it as it is. After the promulgation of Taihoryo(大寶令) in 701, Japan stipulated Tang Dynasty as a neighboring country(隣國) and Silla as a savage country. Simultaneously, they seemed to make an excessively forced analogy that the legend that Empress Jinggu conquered Silla was an origin for Japan’s decision to define Silla a savage country. At this time, Silla perceived Japan as an object of good-neighbor diplomacy(交隣) or a potential enemy, not as a big country like Tang that served with a suzerain state. In the early 8th century, Japan treated Silla’s envoys as envoys of the savage country and this treatment did not meet with big opposition from Silla. But this acceptance from Silla was not because Silla acepted the Japanese world order and the Japanese view of the world or admitted itself as a savage country of Japan. It is hard to say that Silla’s acception was more than a diplomatic gesture from concern about Japan’s invasion. In the early 730s Silla people were self-confident of their country and regarded themselves as people of a country that was a noble-man country(君子國) that developed Confucian culture comparable to that of China. On the other hand, Silla derogated and discriminated Japan and Balhae an uncivilized barbarians country(夷狄國) that fell behind culturally. So it can seem that Silla people tried to show off the internal and external self-regard of a nation through this. After 730s Silla lodged a strong protest against Japan’s treatment that treats its envoys as savage country’s envoys based on its view of Japan that regarded Japan as a barbaric outlander. Since Japan adhered to their prior decision to treat Silla as a savage country according to the rules of Taihoryo, these two countries conflicted each other frequently.

      • KCI등재

        ‘쉬운 일본어’와 다문화공생을 위한 ‘쉬운 한국어’의 가능성

        한아름,이충호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9 비교일본학 Vol.45 No.-

        일본은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 비교적 오랫동안 다문화 공생 사회를 위해 노력해 왔고, 다 문화 공생 언어 또한 일본 사회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것은 반드시 다문화 공생주의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친숙해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특히 주민의 일상생 활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다문화 공생주의가 여전히 극히 제한된 전문가의 영역 안에 남아 있 다. 일본의 다문화 사회에서 소통하는 방법으로 ‘쉬운 일본어’가 눈길을 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 거주자에 대한 언어적 지원이 한국어 교육에 집중되어 있으며, 다단계적 대응은 여전히 미흡하다고 말할 수 있다. 다문화가 진행됨에 따라, 진정한 다문화 공생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원어민과 이주민이 서로 협력하여, 가능한 한 빨리 원활한 의사소 통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일본 다문화 공생의 언어적 측면에서의 “쉬운 일본어”와 다문화 사회가 진행되 고 있는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측면에서의 “쉬운 한국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일본의 “쉬운 일본어”를 참조하여 한국에서 공용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 는 방법으로 ‘쉬운 한국어’를 제안한다. 이는 앞으로 더욱 더 다문화가 진행될 한국사회의 새 로운 소통의 수단이 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같은 지역에 살면서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면, 사람들을 서로를 민족, 인종, 국적, 성 별, 언어 “능력” 등으로 차별하게 된다.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수 용하는 쪽이 의식적으로 좀 더 마음을 열고 소통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주민의 언어생활을 돕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런 자세는 앞으로 더욱 심화될 다문화 공생 사회에 없 어서는 안 될 마음가짐일 것이다. Japan has been making efforts towards a multicultural symbiosis society for a Abstract ―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Japan has been making efforts towards a multicultural symbiosis in its society for a relatively long period. The language of multicultural symbiosis has long been used in Japanese society. However,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multicultural symbiosis has become familiar to most people. This is especially relevant in the daily life of its residents. Multicultural symbiosis still remains in the hands of a very limited number of experts. As a way of communicat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Japan, the concept of “friendly Japanese” attracts attention.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 linguistic support for foreign residents is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e multi factor correspondence level is still inadequate. As multiculturalization progresses, it is very important for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to work towards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to smoothly communicate as soon as possible. This is necessary in order to achieve a truly multicultural symbiosis. This research focuses on “Easy Japanese” in the linguistic aspects of the Japanese multicultural symbiosis, and how it relates to the aspect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foreigners living in Korea. Korea is rapidl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and so “Easy Korean” was introduced. This was based on a production of using gentle Korean public languages, thereby friendly Korean was proposed. There is a real possibility that it will become a new model of communication in Korean society, which is further becoming more multicultural in its future. Through living in the same area, people will begin to learn to understand each other without perfect communication or discriminating against others ethnicity, race, nationality, gender, language “ability” etc. In order to become a society that can grow together, it is required that the accepting side firstly and consciously opens a heart to communicate. Such a posture will be indispensable for a multicultural symbiosis society to prosper.

      • KCI등재

        일본어 교과서 변천사를 통해 본 동사활용표의 타당성에 관한 고찰

        장근수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9 비교일본학 Vol.46 No.-

        이 연구에서는 일본어 교과서의 변천사를 통해 동사활용표의 변화 과정을 검토하였다. 일본어 동사활용표의 변천 과정은 온전히 전통문법(학교문법)에 기반을 둔 활용표로 시작하여 상당 기간 학교문법과 일본어교육의 절충 과정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의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일본어교육에 기초를 둔 형태로 그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다. 분석의 결과 확인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73년에 간행된 최초의 교과서인 『日本語讀本』에서는 일본 학교문법의 활용표를 그대로 도입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후 이러한 형태는 제3차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제4차 ‘시사영어사’, 제5차 ‘박영사’, ‘보진재’, ‘천재교육’, 제6차 ‘성안당’, ‘천재교육’에까지 이어진다. 둘째, 일본어교육의 관점에 입각한 동사활용표를 최초로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제4차 교육과정 ‘교학사’, ‘한림출판사’이다. ‘한림출판사’의 경우 동사분류는 학교문법의 명칭(5단동사, 1단동사, 변격동사)을, 활용형의 명칭(ます형, た형)은 일본어교육을 도입한 절충된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교학사’의 경우는 학교문법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 일본어교육의 관점에서 동사활용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본어교육에 기반한 활용표는 이후 점차 확대되어 제7차 교육과정부터는 완전히 정착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verb conjugation table in the history of Japanese language textbooks. The process of the Japanese verb conjugation table began based on traditional grammar (school grammar) and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mpromise between school grammar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for a considerable time. In the current 2015 curriculum, the validity can be recognized as a table based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first Japanese language textbook Japanese Reader published in 1973, introduces the conjugation table of school grammar. These forms include the 3rd curriculum ‘DaeHan-gyokwaseo’, the 4th ‘SiSa-yeongeosa’, the 5th ‘ParkYeong-sa’, ‘Bojinjae’, ‘CheonJae-gyoyuk’, the 6th ‘SeongAn-dang’, and ‘CheonJae-gyoyuk’. Second, the first language textbooks to present a verb conjugation tabl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s the 4th curriculum ‘GyoHak-sa’ and ‘HanLim-Publishers’. In ‘HanLim-Publishers’, the verb classification suggests a compromised form in which the names of school grammar (5-dan verbs, 1-dan verbs, and Irregular verbs) are used, and the names of conjugation forms (masu-form, ta-form) are introduce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GyoHak-sa’, the conjugation form is presented in term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completely out of the framework of school grammar. The conjugation table based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gradually expanded afterwards, and was completely settled from the 7th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