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특수교육 역사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홍정숙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 Vol.18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omestic trends of studies investigating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and to present future tasks in an effort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Method: The literature review involves theses and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without any restriction as to the year of publication. A total of 120 theses have been analyzed.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theses posted in academic journals was high(97 theses, 80.9%),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ses was published between the years 2000 and 2010(70 theses, 58.3%). Second, the rate of theses covering overall periods was far higher than those published during the restricted time periods. Third, the number of 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was 85(70.8%), while the number of studies dealing with the history of foreign special education was 35(29.2%). Most of the theses pertained to studies dealing with the whol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110 theses, 91.7%). Fourth, based on the type of subject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studies investigating “special education in general” studies were the largest in number at 79(65.8%). Fifth, the number of studies dealing with the history of institutions for special education was the largest(41 studies, 31.1%), followed by studies involving the history of thoughts and figure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40 studies, 30.3%), studies of the history of content and methodologies of special education(21 studies, 15.9%), studies of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culture(15 studies, 11.3%), studies of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studies(13 studies, 9.9%), and studies of the history of oral statements of special education(2 studies, 1.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reports the inadequacies and bias in studies related to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and presents strategies for a balanced research approach into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특수교육 역사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사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함에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문헌연구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분석대상 문헌은 학술지에 게재되거나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특수교육사 관련 논문이다. 발표 연도는 제한하지 않았으며, 총 12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술지 논문의 비중이 높고(97편, 80.9%), 2000〜2009년에 가장 많은 논문(70편, 58.3%)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 시기는 통사로 이루어진 논문의 비중이 기간을 한정한 논문보다 월등히 높았다. 셋째, 한국 특수교육사 연구는 85편(70.8%), 외국 특수교육사 연구는 35편(29.2%)이 이루어졌다. 이들 대부분은 전체사 연구(110편, 91.7%)였다. 넷째, 특수교육대상 유형별로는 ‘특수교육 일반’ 논문이 79편(65.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내용 영역에 따른 연구 동향은 특수교육 제도사(41편, 31.1%), 특수교육 사상․인물사(40편, 30.3%), 특수교육 내용․방법사(21편, 15.9%), 특수교육 문화사(15편, 11.3%), 특수교육학사(13편, 9.9%), 특수교육 구술사(2편, 1.5%)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떤 부분에서 특수교육사 연구가 미진하며 편향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밝히고, 균형 있는 특수교육사 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 초등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에 대한 질적 분석 : 강남구청 파견 사례를 중심으로

        박민례,조윤경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5 특수교육 Vol.4 No.1

        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특수교육 보조원 배치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2002년부터 정책적으로 실현되는 단계에 있다. 그러나 통합지원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실태파악 및 역할규명에 대한 현장 적용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특별시 강남구청 초등 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에서 지원을 받아 통합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육 보조원 10명을 대상으로, 질적면담 방법과 이에 대한 질적 자료 분석이라는 연구 방법을 도입해 좀 더 현장 중심적인 목소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직접 면담을 통한 질적 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제는 다음의 7가지로 요약된다. 1) 보조원의 개인적 요인, 2) 특수교육보조원 제도, 3)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4) 담임 교사와의 관계, 5) 특수학급과의 관계, 6) 부모와의 관계, 7) 특수교육보조원 제도 개선안.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점이 추후 실행 과제로 제안되었다. 1) 특수교육보조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진행, 2) 특수교육보조원 제도 개선을 위한 법적 제도화 시행, 3)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정립과 담임교사와의 역할 경계 지침 마련, 4) 담임교사의 통합에 대한 인식변화와 자질 향상을 위한 지원, 5) 특수교육과의 상호보완적 위치의 확립, 6) 장애아동 부모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강화, 7) 통합을 위한 인식 개선 프로그램의 실시. The inclusion became the basic educational righ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2002, the paraprofessional system was actualized, who supported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general class. But studies on the picture and the role of paraprofessionals were rare, especially in Korea. 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grasp the conditions of paraprofessionals and to develop the directions for this system. This study us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 with concerned, to convey the vivid voice of conditions of paraprofessional system. The interviews were focused on 10 paraprofessionals as followed contents : 1) personal informastion, 2) the reason to working as paraprofessionals, 3) practical role, 4) difficulties in paraprofessionals, 5) meaning worthwhile, 6) difficulties in inclusions, 7) in-service training program to receive. And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summarized as seven major themes, 1) personal variables of paraprofessionals, 2) system related issues of paraprfessionals, 3) roles, 4) relationship of parents, 7) direction for chang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lementation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who concerned, the role clarification of paraprofessionals and other suggestions were discussed as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서울 지역 사립초등학교의 특수교육요구 학생의 현황과 지원실태 및 교사의 통합교육 인식

        박승희,문주연,이성아,한경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and supports for them, an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nclusive education in privat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total of 210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6 grade homeroom teachers who were randomly selected one at each grade in 35 elementary schools. The responses of the total of 183 teachers from 34 school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Finding/Results: There were 110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in 72 classes of 25 schools, and they were distributed more in boys and lower grades. The main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hese students were self-centered behaviors, ADHD-related behaviors, and academic difficulties. The support for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y school administrators was low.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was not well implemented for students and other school members. The physical accommodations and extra person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as scarcely found. The links betwee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were insufficient. Most respondents were not willing to refer thei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to the official identification proces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he major reasons for not referring were the parents’ objection and the lack of appropriate supports at their schools. Teachers lacked knowledge on the referral process. Teachers agreed on the need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n inclusive education and the need for placing special education specialist in private elementary schools. Value: This study is the first survey on th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in private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rther discussions on the establishment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enrolled in the all grade levels of private schools nationwide.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 체계 밖의 특수교육요구 학생들의 현황과 지원에 관심을 두어 서울 지역 사립초등학교의 ‘특수교육요구’ 학생 현황과 지원실태 및 교사들의 통합교육 인식을 처음으로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의 39개 전체 사립초등학교 중 연구에 동의한 35개교 각 학년별 1명 교사가 무선으로 선정되어 질문지에 무기명 응답하였다. 최종 34개교 183명의 응답자료가 통계처리 되었다. 연구결과: 특수교육요구 학생은 34개교 중 25개교의 72개 학급에 총 110명이 있었으며, 남학생과 저학년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이 학생들의 주요 어려움은 자기중심적 행동, ADHD 관련 행동, 학업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학교관리자의 관심은 낮은 편이었으며, 장애이해교육은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추가 인적 자원은 ‘학부모’가 고용한 보조인력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담임교사와 특수교육전문가 간의 연계는 미흡하였다. 교사의 대다수가 특수교육요구 학생을 ‘특수교육대상자’로 의뢰할 의향이 없었고 특수교육대상자 선별 및 의뢰과정에 대해 잘 모르거나 전혀 모르고 있었으나 통합교육 연수 및 사립초등학교에 특수교사 배치 필요성에 대해선 동의하는 편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사립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특수교육요구 학생의 현황과 지원실태 및 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을 최초로 밝힘으로써 사립초등학교의 특수교육 지원체계 개발의 필요성을 촉구하였고, 전국의 사립초등학교의 통합교육 지원 대책 촉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수업의 실제

        박승희(Park, Seung Hee),이효정(Lee, Hyo-Jung),허승준(Hur, Suhng Jun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 중학교 특수학급 설치가 30년이 넘은 현 시점에서 ‘중학교 통합교육’의 실상과 허상을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수업 및 통합학급 교과수업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처음으로 전국 차원에서 진단해보고 앞으로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고 시급한 개선 대책을 촉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총 331개 중학교의 특수학급 교사 331명, 일반교사 401명, 총 732명이 질문지 조사연구에 참여하였다. 학교당 특수교육대상 학생은 평균 9.53명, 특수학급수는 평균 약 2개였으며, 학생의 장애유형은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다. 전체 331개 중학교 중 약 21%의 학교에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이 있었고, 약 66%의 학교에 완전통합된 학생이 있었다. 특수학급 교사의 평균 수업은 주당 20.33시간, 학급당 평균 학생 수는 6.65명이었다. 특수교사의 기간제 비율은 약 24%로, 일반교사보다 10% 이상 더 많았다. 특수교사의 약 68%, 일반교사의 약 63%가 최근 3년간 통합교육 관련 연수 경험이 없었지만, 전체 교사의 약 94%가 통합교육을 지지하였다. 특수학급에서 가장 많이 진행된 수업은 수학과 국어 교과였다. 일반교사의 약 41%가 특수학급 수업 평가를 NEIS에 입력하지 않았고 약 91%의 중학교에서 통합학급 수업 및 교육활동을 개별화교육계획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일반교사의 약 3%만이 교과와 관련된 IEP의 장단기 교육목표를 파악하는 수준이었다. 일반교사의 약 40%가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해 별도의 수업 목표를 수립하지 않았고, 교과에 대한 평가는 일반학생과 동일한 방법과 기준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67%이었다. 일반교사의 약 56%가 특수학급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교과에 대해서도 평가를 하고 있었으며, 약 60%의 일반교사는 학생이 ‘거의 수업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이 연구는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 실태가 제시하는 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함으로써 중학교 통합교육의 실상과 허상에 대한 전문가들과 정책당국의 시급한 관심과 후속연구를 촉구하고, 중학교 통합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필수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instructional practices in both special and general classes to discuss what we do next as well as to promote better solutions urgently needed. A total of 732 teachers in 331 middle schools wa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the largest disability category in special education services. About 21% of middle schools have students who placed in self-contained classes, and about 66% of schools hav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placed in regular classes full time. Special teachers teach 6.65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average for 20.33 hours per week, whereas general teachers teach students in 7 regular classes for 19.15 hours per week on average. About 24% of special teachers in the study were temporary teachers, and it"s 10%p higher than general teachers". About 68% of special and 63% of general teachers have not taken any in-service training course on inclusive education in 3 years. Nevertheless, about 94% of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report that they support inclusive education. The popular subjects taught in special classes are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About 41% of general teachers do not enter students" data evaluated by special teachers into NEIS, and 91% of schools do not include students’ educational goals and plans for regular classes in their IEPs as well. General teachers hardly know the IEP goals of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lated to their own teaching subjects. About 41% of general teachers do not develop any individualized go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classes. Moreover, about 56% of general teachers evaluat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do not even attend those classes at all, and 60% of general teachers perceive thos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rdly understand their classes. This study shows urgent needs for professional awareness on these issu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n middle schools.

      • "특수교육(학)"용어의 개념 재고 : 독일의 특수교육(학)사를 중심으로

        김기흥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4 특수교육 Vol.3 No.2

        본 연구는 개념이 가지는 일반적인 중요한 의미들을 바탕으로 독일의 특수 교육(학)사를 중심으로 몇 가지 관련개념들을 살펴봄으로서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에 미치는 시사 전을 간단히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독일의 특수교육사 가운데서 치료교육학, 특수교육학, 장애아교육학 및 재활교육학 등 다양한 관련 개념의 도입배경 및 그 성격을 차례로 살펴보고, 이어서 이러한 용어의 개념들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대학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의학적 모델로서의 치료교육학, (분리적)교육학적인 입장에서의 특수교육학, 사회학적인 측면을 강조한 장애아교육학 및 사회주의적 이념을 바탕으로 도입된 재활 교육학 등 매우 다양한 용어의 개념들이 대학 및 학문계에서 혼용되고 있지만 다소간의 상호모순점으로 인하여 대립하거나 충돌하기보다는 오히려 서로의 단점을 상호보완적이고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독일의 현실에 비추어 우리나라의 상황을 살펴보면 학계 및 대학에서 천편일률적일뿐만 아니라 오늘날 통합교육의 정신과도 배치되는 분리적인 의미가 강한 ‘특수교육(학)’ 용어의 개념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장애 및 장애아를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 관찰하여 장애를 가진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교육적 이론과 실천적 서비스를 특정한 학분 분야에서만 바라보는 편협한 관점을 지양하고 초학문학적인 입장에서 상호교류 및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입장에서의 연구가 절실히 요청되는 것으로 본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 of the concepts of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youths upon Korean special education by reviewing those in the context of German history. Throughout German history the scholars in special education have used very diverse concepts in educational service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youths. Each concept implies a specific philosophy and thoughts which determine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the contents, and the methodology of special education. In Germany, scholars have developed the theorise on special education from very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special education which emphasizes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handicapped, education for the disabled which focuses upon education for the disabled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and rehabilitational education based on socialism besides therapeutic education as a medical model. Also, German scholars have attempted to apply those theories into practice up to now. Those various perspectives need to be a mutually supportive and harmonious relationship rather than be in conflicts each other. Generally, special education is an applied science which needs supports from such relevant disciplines as philosophy, sociology, psychology, medicine, education in general, human, science, and so on. Thus, special education must pursu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purpose of special education is not to limit its approach in a discipline bu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es of the handicapped through reintegra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handicapped children of lives of the handicapped through reintegra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this line of reasoning, the word of 'special education' or 'special education science' which has uncritically been used in Korea needs to be deeply reexamined to include diverse concepts. By doing that, one is able to achieve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as well as in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운영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과 요구

        Son, Jiyoung,Lee, Juengeu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2

        The study investigated parental perceptions and needs on the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 total of 1,960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a nationwide survey that consists of one short-answer question and twelve multiple-choice questions. Parents considered facilitation of safe school life and inclusion as the most positive aspects of the system. The need for more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as a parental concern. Parents identified the most pressing areas for improvement as the extent of support, personnel certification, and on-the-job training. Specific needs concerning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ere identifi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the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Korea.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운영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1,960명의 장애학생 부모에게 선다형 문항과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응답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행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에 대한 인식과 관련해서 부모들은 ‘장애학생의 안전한 학교생활 지원’과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참여기회의 확대’를 현행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가장 큰 혜택으로 보았다. 둘째, 부모들은 현재 지원되고 있는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외에 다양한 제도와 개인 역량에서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셋째, 이들은 보조인력의 지원범위와 자격제도, 연수 및 훈련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부모들은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에서 자격기준 선발 및 배치, 양성제도, 연수, 지원범위, 관리, 근무여건 및 사회적 관계에 대해 구체적인 요구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함의하는 바를 논의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반성적 수업시연과 분석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탐색

        박계신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in the practical knowledge of 6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result of their participation in reflective method on teaching excercise and analysis program. Reflective method on teaching excercise and analysis program included theory lessons, watching and analyzing videos of case classes, pre-conference for drawing up teaching plans based upon consultation with professor and colleagues, teaching excercise and post-conference for course analysis. Throughout the process, the pre-service teachers wrote reflective journals and recorded feedback was given by professor and colleagues.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flective method on teaching exercise and analysis program significantly changed teaching behaviors and the practical knowledg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could narrow the difference between theories and reality through reflective practice. 2) The participants have had an opportunity to reconstruct their knowledge of education plans, content knowledge, manner of speaking and classroom management. 3) The participants became positive agents in cooperative learning and engaged in dynamic evaluation through a triangle structure of professor, colleagues and self. From the above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erience of this program have positively influenced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therefore, shows desirable direction in establishing the new frame of teacher trai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는 반성적 성찰을 강조하는 수업시연과 분석 활동에 참여한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총 6명의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로 이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연구 대상들을 교수효율성척도 득점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고 집단별 사례 특성과 교수효율성척도를 통한 득점 분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 수업 후 학습공동체 협의회 전사 자료, 수업계획안 작성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들에게 나타난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은 성격, 개인적 배경, 실습 참여 의지 및 실습상황에서의 겪게 되는 경험들이 매우 달랐고, 개인이 가진 특성 중 현장에서의 교수 경험의 유무, 수업 참여에 대한 태도, 개인의 분석적 사고와 치밀한 조직력, 반성적 성찰의 수준 및 동료와 지도교수의 조언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수용성은 수업시연과 분석의 전 회기 동안 학생 간 교수 행동의 수준과 진보의 차이를 구분 짓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교수 행동의 점진적인 진보는 모든 참여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적 분석에서 연구 대상자들은 다양한 교수 행동 면에서 지식의 확장과 통합의 결과를 나타냈다. 즉,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은 수업의 계획과 실행 사이의 간극을 경험하게 되었고, 대상 유아들의 흥미, 발달 수준, 장애 유형들을 실제적으로 경험하면서 반응적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은 자신들이 교과내용에 대한 정확한 지식, 아동들과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법, 학급 운영에 대한 지식과 적용 기술이 부족함을 깨닫고 관련 지식을 재구성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자신들의 수업 개선을 위해 학습공동체의 피드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동료와 지도교수의 조언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이 자신만의 실천적 지식을 구성하는 주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론과 교수 경험을 통합하고 반성적 성찰을 강조하는 현장 중심의 활동, 학습공동체로부터 자신의 수업을 반성하게 되는 기회를 갖게 되는 수업시연과 분석 활동이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를 위한 교육과정으로 중요성을 가짐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특수학급 학생의 교과 지도 현황과 지원 방안

        정은주(Jung, Eunju)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교과지도 현황과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과지도를 위해 필요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3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는 직업관련 교과의 수업이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었다. 특수학급 운영을 위해 특수교육 교육과정 위주로 운영하는 경우와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병행해서 운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둘째, 58% 정도의 특수교사가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교과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교과지도가 어려운 이유로는 학급 내 학생들의 수준차이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과지도를 위한 방안으로는 교과지도 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보급이 가장 우선시되었으며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과전문성 신장을 위해 현장 중등 특수교사를 위한 교과교육관련 연수가 가장 선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atus of teaching subjects and support needs for teaching subjects at special classrooms in high schools. A total of 36 special teachers in high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nswered the survey ques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eachers were teaching subjects related occupation. Mathematics and Korean language were also mainly taught. For managing special classrooms, teachers mainly applied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r ‘both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about 58% of teachers answered they had difficulties in teaching subjects. The main reason of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subjects was the level differences of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Third and lastly, the first and foremost support plan for these teachers to teach subjects wa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eaching materials they could use. As the plan for improving teachers" specialities in subjects, teachers preferred teacher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teaching subjec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 고등학생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

        김정은,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2

        연구목적: 서울 및 수도권 소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의 자녀의 중등이후교육(postsecondary education, PSE)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를 조사하고, 자녀의 학교유형(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따라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질문지 조사를 통해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 총 238부 질문지 응답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 자녀의 고등학교 졸업 후 PSE의 희망 진로로 ‘직업훈련기관의 직업관련 프로그램 참여’를 1위로 응답하였고(45.4%), 자녀에게 PSE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필요성의 최상위 이유는 ‘자녀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때문’ 으로 나타났다. PSE 프로그램 결정 시 어려움의 최상위는 자녀의 교육적 수준에 알맞고, 적절한 거리에 있는 PSE 기관과 프로그램의 수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PSE의 적합한 운영 주체 1순위는 국가·지자체로, 실시 장소로는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직업훈련기관,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교 순으로 선호되었다. 적합한 강사로는 ‘특수교사 혹은 특수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1순위로 나타났고, 교육 기간으로는 2-3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SE 내용으로 질문지의 12개 전 영역인, 대인관계기술 영역부터 기능적 학업기술 영역까지 모두 요구가 높았다. 추가 지원으로는 ‘경제적 지원’ 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학부모간 자녀의 PSE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서 PSE로의 진학지도와 전환 및 다양한 PSE 개발 및 실행에 참조할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의 고등학교 졸업 이후 진학할 다양한 PSE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구체적 교육과정 및 운영체계 개발의 필요성을 지적하며, 고등학교에서 PSE로의 전환 체계와 양질의 PSE 제공을 지원하는 정책 수립이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학부모 관점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의의를 가진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bout their children’s postsecondary education(PSE), and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PSE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school type. Method: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survey questionnaire method. Responses from a total of 238 paren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SE option best preferred for their children was ‘vocational programs at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here was a high level of perception of the parents on the necessity of PSE for their children, and the most responded reason for the PSE was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quality of life’. The parents found not enough appropriate PSE programs for their children with DD at a reasonable distanc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ranked first as the most appropriate to operate their children’s PSE institutions. The site most desired for PSE wa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Most favored instructors for PSE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professionals holding a certificate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most desired PSE period was 2-3 years. All 12 domains were highly validated as contents of a PSE curriculum.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arents’ perspectives and demand for PSE and it provides useful data on the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PSE for their children with DD at a time when governmental policy for the appropriate PSE for individuals with DD is called for.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 수준 인식

        김주혜,김정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 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와 교사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여 통합교육 지원 역할과 관련한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지원 역할의 중요도와 실행 수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 수준 인식의 차이는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교사변인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원분산분석과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역할 실행 수준은 중요도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중요도에 있어서는 교육경력과 통합교육 경력에 따라 교육과정 지원과 사회적 관계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교과정 별로는 전체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합교육 지원 실행에서는 교육경력과 연수시간에 따라 전체 통합교육 지원과 통합교육 운영 및 관리 지원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교과정별로는 교육과정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논의: 성공적이고 질적인 통합교육을 위하여 1)특수교사의 통합지원에 대한 역할 인식의 중요성, 2)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전문성 강화, 3)학교과정별 특성을 고려한 접근과 관련한 개선방향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specific guidances for the role of special class teachers i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special class teachers for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ir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290 special class teach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special class teachers' role and their performance level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that the teachers acknowledged and performance that they actually conducted i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were tested by the t-test.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were conducted. Results: The level of performance of special class teachers i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at of importance as they acknowledged. In terms of import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pporting curriculum and social relati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education or inclusive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all areas by the school level. In performance of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inclusive education support, and inclusive educ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support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job training hou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supporting the curriculum by the school level as well. Conclusion: 1) the importance of role recognition for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2)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experts, and 3) particular approach reflecting the specific context of each school level,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