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정 비교

        김영연,장선진,김수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저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특기?적성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균형 있는 교육과정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의 내용과 범주, 프로그램의 양이 학교별, 학년별로 어떻게 다른지, 프로그램을 과학의 세부분야인 생물, 화학, 지구과학, 물리, 환경으로 나눈다면 특별히 중점을 두고 있는 분야가 어떤 것인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인터넷 검색과 이메일 면접 그리고 문헌조사를 택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과학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최근 몇 년동안 운영하는 학교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였고 미국에서는 4개 대학과 1개 초등학교였다.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와 미국의 특기?적성교육제도는 공히 학생들의 방과후 교육활동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시행기관과 수혜자가 같은 기관이었지만 미국은 대학과 지역사회의 개입으로 인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가 다양한 형태이다. 담당영역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어를 위시한 정규교육관련이었지만 미국은 폭력 예방, 레크레이션 등의 사회교육적 내용이었다. 둘째, 우리나라와 미국 모두 초등학교 4학년에 프로그램이 편중된 졍향이었다. 셋재, 내용별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인체에 대한 프로그램, 색소분리, 다양한 지구과학이 많은 반면 미국은 생태학, 다양한 화학, 기상학, 천문학, 화석학, 환경 관련 프로그램이 많았다. 또한 우리나라와 미국은 공통적으로 전기와 에너지에 관련된 다양한 물리 분야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다섯째, 학년에 따라 개설 프로그램이 특징을 보였다. 생물분야에서 우리나라는 2학년, 미국은 4학년에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구과학분야는 우리나라는 3~4학년, 미국은 3학년에게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물리분야는 우리나라는 1~2학년에게 미국은 4학년에게 많은 양의 프로그램수를 제공한다. 환경분야는 양국 모두 매우 부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중점분야는 화학, 물리 순이었고 취약분야는 환경, 생물, 지구과학 순이었던 반면 미국의 중점분야는 생물이었고 취약분야는 화학, 물리, 지구과학 순이었다. The current after-school science curricula both in Korea and the USA were examined and compared in order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in science after-school curriculum in Korea. Informa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earching as well as email and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Five Korean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s in addition to four American university extension programs and one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quantity, contents and way of management of the programs as wel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the educational institute is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object of education is also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USA, however, educational institutes are elementary school, university, and community center.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the programs, indicated that the maximum numbers of program were found in the 4th grade in both countries. However, Korean elementary schools open more subjects in after-school science program than American institutions do. Third, Korean curricula emphasize the fields of physics and chemistry more than other fields, but U. S. A focused on the biology and earth science, In conclusion, students of both countries should learn the knowledge of all kinds of science fields.

      • KCI등재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의 의미와 구성 체계 탐색 :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예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8 교육과학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의 의미와 구성 체계 및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다. 문헌 검토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의 의미를 검토한 결과, 이것은 지역화된 미국 교육 체제의 특성상 모든국민에게 질 높은 과학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 개입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등장했으며, 과학교육의 목표를 ‘과학적 소양 함양’으로 규정하고 그에 도달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 평가하는 길잡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둘째, 국가과학교육기준의 구성 및 체제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이것은 상호 관련된 6개의 하위 기준들을 제시하고 있었다. 기준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교사의 역할과교육이 강조되고 있고, 과학 평가와 학습내용의 범위가 확장되어 상세하고 다양한 수준에서 제시되고 있으며, 교육체제와 정책에 관한 지침을 두어 과학교육의 총체적인변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이 우리나라과학교육과정 개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한 결과로써, 과학교육의 목표는 충분한 물적?인적 자원을 기반으로 실제적인 사회문화적 요구조사 및 연구를 통해 장기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정의 범위가 교사 교육을 비롯한 현실적 지원 및 정책계획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어야함을 제의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개발과정을 반성하고, 그 과정에 교육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실제적 지원방안과 정책적 결정까지 포함하도록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시각이 변화해야 함을 권고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NationalScience Education Standards(NS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gain insightsfor science curriculum reform in Korea.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reviews are as follows. First, NSES appeared as theneed of national leadership increased to provide high quality science education to all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ly localized education system. It serves as a guidelineof 'what and how to do' in order to achieve 'the scientific literacy,' which is theultimate goal of the science education. Second, NSES presents six interrelated standardsto attain scientific literacy. For the holistic change of the science education, thosestandards emphasize a)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eachers' role and the need of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cience education reform; b) to expand and diversify theareas of science contents and the ways of assessment; and c) to provide criteria toselect school science programs as well as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policies. The investigation of NSES provides useful insights toward science curriculumreform in Korea: a) the goal of science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long term vision, which reflects its own societal demands; b) the scope of sciencecurriculum reform should be extended to contain actual plans for teachersprofessional development, financial resource, policy making, and so on. The studysuggests that the future science curriculum reform in Korea should consider how tosupport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erms of financial support and educationalpolicy based on the vision of the thing which is needed to sustain change.

      • KCI등재

        과학의 본질과 과학교육에 관한 구성주의적 관점

        서예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과학 교수학습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보다 적절하고 의미 있는 과학경험을제공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과학적 지식의 본질과 과학교육에 관한 철학적 관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전통적으로 과학적 지식은 실증주의의 영향력 하에 실재를 반영하는 객관적 진리로 여겨져 왔다. 따라서 과학교육은 과학적 지식의 암기와 표준화된 양적 측정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과학적 지식의발생 및 발달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들은 사회적이고 주관적인 과학적 지식의 본질을밝혀주었다. 이렇듯 과학에 관한 맥락적 성격을 강조하는 철학관으로서 구성주의는 과학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경험의 질적 변화 및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의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발달하였다. 최근, 구성주의는 고도로 다원화된 현대사회의 특수성으로 인해 보다 정교한 형태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로 발전하였는데 주로 권력과 문화의 측면에서 과학학습에 관한 평등성과 수월성에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시각은과학의 교수학습에 있어 다양한 학습자들의 관심과 요구가 사회적 주류집단의 이익에의해 간과되지 않아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진정한 과학교육을 위해 모든학생들에게 이미 규정된 동일한 과학교육과정과 방법을 적용하기보다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가치와 기대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과학을 가르치고 배울 것을 제안한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science and scientific knowledge as a basis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of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to provide meaningful science learningexperiences for learners. Through examining literature, it is revealed thatscientific knowledge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objective truth or reality, under positivism. However, close examinations of howscience has developed disclose that subjective and social factors play a crucialrole in the prod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By challenging the predominantview of knowledge and science, constructivism has been developed as a newphilosophical perspective by stressing the cognitive structure to be found in theindividual learner and focusing on the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Recently, constructivism has been elaborated in the form of socioculturalconstructivism, addressing the issue of equity and excellence in science learningin terms of power and culture. Such a perspective emphasizes that the voicesand interests of some groups of learners should not be privileged at the expenseof others. The study suggests tha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ought to bedeveloped in a way to acknowledge different sociocultural values and demandsfrom diverse learners, rather than to provide same science curriculum andmethods for all of them.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 교육과정의 역사적·철학적 기초

        이은화,이정환,이경우,이기숙,박은혜,홍용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997 교육과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유치원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를 역사적ㆍ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화유치원 설립 당시부터 현재까지의 교육과정의 성립 및 변천과정과 철학적ㆍ심리적 사조를 살표보고 이들의 영향이 이화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부분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1914년 한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은 설립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며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의 측면에서는 유아들의 전인발달 특히 사회ㆍ정서적인 발달을 중요시하고 우리의 전통사상과 기독교정신, 진보주의 이론 및 구성주의가 그 철학적ㆍ심리적 기초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mainly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wha Lab Kindergarten, which was founded in 1914, is the very first kindergarten for Korean children. It has played the leader's role of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since then. Second, the curriculum of Ewha Lab Kindergarten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kindergartens' from its beginning in the sense that it was based on the firm belief of child-oriented philosophy. Third, essence of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has remained the same despite of its several changes. It has put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child, especially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child-oriented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the child's interests and experiences. Fourth,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was influened by several philosophies and psychological theories. Among those, Korean traditional thoughts, Christianity,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are the most salient. Because Ewha Lab Kindergarten was founded by American missionary, Christianity was the basis for the curriculum. Examples can be that hymns, prayer, and bible stories a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Easter, Thanksgiving, and Christmas are also celebrated. Perspectives on the purpose of educati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s role were influenced by Korean traditional thoughts. The contents, teaching strategies, the teacher's role,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were heavily influenced by both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 초등학교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서승희,김민경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2 교육과학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개정된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현장 적용에 따른 문제점을 조사하여 개선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초등교사 1,2,3,4학년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교육과정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사전연수미비, 교사들의 단위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저조하였음이 나타났다. 또한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취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으나 과밀학급, 물·인적 자원지원체제 미비 등 교육환경적 요인과 보충과정 운영 및 재이수 문제 등 교육과정 자체요인으로 인해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의도를 성공적으로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해 국가 차원의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교원연수 및 물·인적 자원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합의와 숙의 과정을 통해 각 단위학교 실정에 적합한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육운영방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investigate the way how the 7th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s recognized by teachers at school and how it is being implemented by them.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ver teachers who teac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rs and observations of sample classes. The survey was focused on finding out how teachers recognized, operated and adjusted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was generally recognized by most teachers through inside and outside school training, not very well nor not very bad. The surveyed teachers, however, were not well aware of the program and operation of curriculum since not many of them participated in the procedures of adjusting the curriculum to each school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It was founded that most teacher participants in survey agreed to the integra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into classroom. However, they regarded overly populated classes, lack of supporting systems and materials, and level education as main obstacles in adjust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in order to make the 7th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be better implemented at school.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new curriculum by teachers should be continuously enhanced through various formal and informal trainings given by national, municipal or provincial education authoritie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keep supporting systematic materials and information. More deliberation should be made on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which many teachers agree to find difficulty adopting at school. Each school should have more discussion on this matter and try to find way to adjust to individual school under its unique circumstances.

      • KCI등재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구온난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현철,홍승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생태환경과 체험관을 활용한 지구온난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감수성,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제주도 서귀포시 J초등학교 6학년 학생으로 실험반 학생들에게는 지구온난화 교육을 실시하고 비교반 학생들에게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반은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 영역, 감수성 영역 및 행동 영역에서 환경소양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지구온난화에 대응 행동 영역에서 실험반이 비교반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개발된 프로그램이 행동 실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아울러 실험반에 국한하여 적용한 프로그램 학습 후의 설문에서도 본 연구의 지역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이 지구온난화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실천 의지와 방법 면에서 여러 사람에게 홍보하는 데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지구온난화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지구온난화 대응 행동 실천의지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환경소양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이와 같은 지역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환경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lobal warming teaching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It sought to determine how this program affected perception and awareness of, and practical actions taken toward improving, the environment. Study subjects were sixth 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gwipo, Jeju province,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global warming teaching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had been taught by a conventional lecture-based program. Following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improvements in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perception, awareness, and action significantly improv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control group, perception and awarenes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Nonetheless, the global warming teaching program had more significant effects on learners than the conventional lecture-based program. Furthermor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nterest in sharing their knowledge of global warming. Study results strongly suggest implementing environmental awareness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통합 요소별로 살펴본 8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 현황 비교 : 노르웨이, 뉴질랜드, 덴마크, 스웨덴, 영국, 일본, 프랑스, 핀란드

        박은혜,장민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4 교육과학연구 Vol.45 No.1

        본 연구는 8개 국가를 중심으로 유보통합요소별(행정체계, 접근성, 재정, 교육과정, 법, 교원, 기관) 통합현황을 문헌연구로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유보통합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8개국 중 6개 국가의 유아교육・보육이 교육부의 행정체계 하에 관리되고 있었다. 둘째, 무상교육체제하에 원비상한제가 적용 될 때,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모든 기관 유형에 국가재정이 동일하게 지원되는 국가는7개국이었으며, GDP 대비유아교육・보육에의 지출은 덴마크와 스웨덴(1.4%)이 가장 높게, 일본(0.4%)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6개 국가에서 교육부관리 하에 의무교육 시작 전까지 영유아에 대한 일원화된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개발・적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육부의 일원화된 행정체계 하에 유아교육・보육이 관리되는 7개국은 일원화된 법령을 갖추고 있었다. 여섯째, 영국을 비롯한 4개국에서 유아교육 담당교사의 자격기준을 초등교사와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었고, 뉴질랜드를 비롯한 4개국에서 유아교육・보육담당교사의 자격기준을 강화하고 있었다. 일곱째, 유아교육・보육이 교육부로 일원화된 6개 국가 중 3개 국가에서 연령통합형기관유형이, 나머지 3개국에서는 다양한 기관유형이 있었다. 프랑스와 일본에서는 연령에 따라 이원화된 기관유형을 적용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tegration in Korea by analyzing the integration of OECD countries focusing on the 7 elements of integration. The elements were administration, accessibility, funding, curriculum, regulation, workforce and provisio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ECEC) sectors were under unified administrations, departments of education in 6 countries. Second, all countries had a policy of fre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lso parents’ accessibility to ECEC appeared high when maximum fees were capped. Third, 7 countries except for Japan applied for ECEC funding regardless of institution type. The largest amounts of public spending on ECEC were in Denmark and Sweden, the lowest were in Japan. Fourth, there was a unified national curriculum for ECEC under ministries of education in all countries except Japan and France. Fifth, ECEC were under unified law and regulation in those 6 countries which have unified administrations. Six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qualifications were equivalent to those for elementary teachers in 4 countries including the UK. Also, there was a trend of strengthening ECEC teacher’s qualifications in 4 countries including New Zealand. Seventh, there were age-unified ECEC types in 3 countries and various ECEC types in 3 other countries, all of which were under the aegis of ministries of education. The implications for ECEC integration in Korea were made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 KCI등재

        교육정책연구를 위한 시차적 접근 : 적용가능성 중심으로

        이제봉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time-lag approach to educational policy studies. Main concepts of this theory, developed by Korean scholar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include the sequence of cause variances, maturation, internal and external congruence of reform, cognitive time-lag, and timing and speed of reform. The time-lag approach explains how the different sequence of policy variances causes varied results of reform. The time-lag approach could be used as a theoretical or practical approach to educational policy studies. The main concepts of the theory provide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with an analytical framework for policy analysis. This approach is also helpful for considering educational values in educational policy-making processes. 이 글의 목적은 교육정책연구를 위한 시차적 접근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국내 정책⋅행정학자들에 의하여 고안된 시차적 접근은 정책이 추진될 때 정책요소의 선후관계가 정책의 효과를 좌우한다고 보고, 정책요소의 시간적 순서차이가 정책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여러 개념을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개혁의 방향과 속도, 선후관계, 작동순서, 작동시점의 변화, 변화지속의 시간적 차이, 숙성 기간, 인지상의 시차, 제도의 내외적 정합성 등에 관심을 둔다. 시차적 접근에서 개발된 주요 개념들은 교육정책연구를 위한 분석도구로 활용될 수있다. 개혁선행조건들의 시간적 배열, 작동순서에 따른 인과관계, 제도의 숙성기간, 정책참여자의 속성변화, 인지상의 시차와 같은 개념들은 교육정책의 실용적 방안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시차적 접근은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거나 상반된 가치의 조화를 요구하는 교육정책의 가치실현방식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예술계 고등학교의 보통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방향 탐색 : 외국 예술학교 음악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진,최나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4 교육과학연구 Vol.45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regular subjects in foreign arts school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arts high schools in Korea. This study focused on the regular subject curriculum for music majors.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current school curricula of arts high schools, and problems and needs were revealed from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results, three types of foreign arts schools were categorized by autonomy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Second, characteristics of regular subject curricula were analyzed in each case. The first type was under the regul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Despite this limitation, case schools created a new area by integrating similar subjects, developed a core curriculum subjects according to the school vision, or interwove music studies with academics. The second type managed schools autonomously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These schools managed regular subjects not by a formal grading system but by ability-based grouping. The third type was not regula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at all, but developed an innovative curriculum, a specifically integrated arts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reconsideri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regular subjects, providing more autonomy i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what actions schools should take once they have reached a certain level of aut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